KR200307752Y1 - 브라켓 - Google Patents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52Y1
KR200307752Y1 KR20-2002-0037252U KR20020037252U KR200307752Y1 KR 200307752 Y1 KR200307752 Y1 KR 200307752Y1 KR 20020037252 U KR20020037252 U KR 20020037252U KR 200307752 Y1 KR200307752 Y1 KR 200307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longitudinal direction
frames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준
Original Assignee
이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준 filed Critical 이근준
Priority to KR20-2002-0037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들을 단부에서 타부재의 면에 수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프레임들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브라켓(Bracket)은, 내부가 빈 파이프형이며 양단부가 관통되고 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단부를 서로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면과 일치되는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는 상기 브레임의 단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를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상에서 90도로 꺽여져 L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라켓{Bracket}
본 고안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함은 물론, 프레임을 타 부재의 면상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창틀, 문틀 등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금속 프레임 및 브라켓으로 조립구성되는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창틀, 문틀 등의 구조체는, 프레임들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다수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부에서 프레임들이 동일 면상에서 서로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의 마무리면을 45도로 경사지게 절단한 후, 각각의 마무리면을 맞닿게 하고,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의 측 면상에서 타 프레임의 단부를 수직으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용접에 의한 융착후 융착 부위를 연마하거나, 각각의 프레임의 접촉면을 서로 대응되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끼워 맞추어지도록 조립하는 공정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과정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과정은, 구조체의 조립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면을 45도로 절단하거나, 끼워 맞추어지기 위한, 홈 및 돌출부의 형성을 위한 선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게되어, 구조체의 조립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에 의한 융착 고정은, 항상 용접을 위한 도구로서, 전기용접기, 산소용접기 등을 구비하여야 하며, 용접후 용접 부위를 고르게 하기 위한 연마 과정을 더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술한 문제점에 더하여, 종래에는 생산현장에서 창틀, 문틀 등의 사각틀 구조체를 완전 조립한 후, 완전 조립된 구조체를 벽체 개구부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완전 조립된 사각틀체 상태의 창틀을 운반하게 되면 운반 도중 충격 등으로 인하여 결합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파손될 염려가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틀, 문틀 등의 구조체를 이루는 프레임들을 조립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들을 서로 직각이 이루도록 결합되기 위한 선 가공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프레임 부재들을 용이하게 서로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치된 프레임 조립 구조체를 생산현장에서 미리 조립하여 운반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 현장에서 프레임 부재들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직접 조립과 동시에 설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원 고안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의 결합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4b : 프레임 54c : 턱
54d : 개구부
60a : 브라켓 60b : 돌출부
60c : 단턱부 60d : 턱가이드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브라켓은, 내부가 빈 파이프형이며 양단부가 관통되고 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프레임의 관통된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면과 일치되는 단면을 가지며 ,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돌출 구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상에서 90도로 꺽여짐으로서, 전체의 모양이 L 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L 자의 양 단부 각각이 서로 다른 프레임의 관통된 단부에서 프레임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서 동일면 상에서 두개의 프레임이 서로 90도를 이루며 결합된다.
이하,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의 브라켓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원 고안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의 결합구성도이다.
도1의 프레임(54b)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단부(54e)는 관통되어 있고, 프레임(5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면에는 내부의 공간까지 관통된 개구부(54d)가 형성된다. 개구부(54d)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턱(54c)을 가진다. 상술한 프레임(54b)을 직각으로 조립하기 위한 브라켓(60a)은 엘로드와 같은 '┑'형상의 봉형 부재이다. 봉의 단면은 상술한 프레임(54b)의 내부의 공간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브라켓(60a)의 양측이 서로 다른 프레임(54b)의 양 단부에서 삽입됨으로서, 두 개의 프레임(54b)을 서로 90도가 되도록 결합시킨다. 상술한 브라켓(60a)은 프레임(54b)과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이 브라켓(60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는 면상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60b)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60b)의 양측에는 브라켓(54b)의 턱(54c)이 유도될 수 있도록, 턱(54c)의 폭과 일치하는 단턱부(60c)를각각 가지며, 단턱부(60c)가 연장되어 브라켓(60a)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술한 턱(54c)이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턱가이드홈(60d)을 가진다. 상술한 턱가이드홈(60d)은 브라켓(60a)이 프레임(54b)의 단부에서 삽입되는 경우, 턱이 브라켓(60a)의 면상에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브라켓(60a)이 프레임(54b)의 내부로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60a)의 돌출부에는 브라켓(60a)이 프레임에 결합된 후 프레임에 브라켓(60a)을 더욱 견고히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르는 브라켓은, 프레임부재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프레임 구조체를 완전조립하여 현장으로 이송함이 없이, 각 부재로서의 프레임을 구조체의 설치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구조체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브라켓이 보강부재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프레임에 의하여 조립된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내부가 빈 파이프형이며 양단부가 관통되고 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단부를 서로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면과 일치되는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는 상기 브레임의 단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를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상에서 90도로 꺽여져 L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KR20-2002-0037252U 2002-12-13 2002-12-13 브라켓 KR200307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52U KR200307752Y1 (ko) 2002-12-13 2002-12-13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52U KR200307752Y1 (ko) 2002-12-13 2002-12-13 브라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83U Division KR200304189Y1 (ko) 2002-07-18 2002-07-18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52Y1 true KR200307752Y1 (ko) 2003-03-20

Family

ID=4940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252U KR200307752Y1 (ko) 2002-12-13 2002-12-13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660A (ko) * 2019-04-22 2020-10-30 알루인터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체
KR20210000465U (ko) * 2019-08-20 2021-03-03 배진영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660A (ko) * 2019-04-22 2020-10-30 알루인터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체
KR102233593B1 (ko) * 2019-04-22 2021-03-30 알루인터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체
KR20210000465U (ko) * 2019-08-20 2021-03-03 배진영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커넥터
KR200494006Y1 (ko) * 2019-08-20 2021-07-13 배진영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1050A (en) Frame corner structure
KR200307752Y1 (ko) 브라켓
EP1333145B1 (en) Square for the structural connection of metallic tubular section bars contained for reinforcement purposes inside plastic tubular section bars and method for its mounting
JP2010281192A (ja) 建築用接合金具、固定金具、及び、固定ピン
KR200304189Y1 (ko) 브라켓
KR200307751Y1 (ko) 브라켓
JP6727090B2 (ja)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KR200143008Y1 (ko) 코너 브라켓트
CN218751076U (zh) 由管材制成的框架以及包括这种框架的工程机械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KR200382781Y1 (ko) 방범창용 코너 연결구
CN111411719A (zh) 一种玻璃幕墙的内、外框条的连接结构
JP6855607B1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取付具及び三方枠取付方法
CN210067860U (zh) 一种新型门窗型材组件及其门窗竖型材和门窗横型材
JP6383684B2 (ja) 建造物
JP7404439B2 (ja) 建具枠連結構造及び建具枠連結具並びに建具枠連結方法
EP2080850A1 (en) Anchoring mechanism for enclosures
CN214532587U (zh) 用于门窗的铝合金型材结构
GB2289080A (en) Joining frame members
KR100513585B1 (ko) 버스용 시트 프레임의 벽면측 브라켓 조립구조
JP2023135415A (ja) 壁パネルの取付部材、取付構造体、建物および壁パネルの取付工法
KR200269638Y1 (ko) 방화문
JP4694726B2 (ja) シャッタ用レール
JP2006312831A (ja) 受け金具,連結金具及び建築用接合金具
KR200355497Y1 (ko) 조립식 현관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