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670Y1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7670Y1 KR200307670Y1 KR20-2002-0027051U KR20020027051U KR200307670Y1 KR 200307670 Y1 KR200307670 Y1 KR 200307670Y1 KR 20020027051 U KR20020027051 U KR 20020027051U KR 200307670 Y1 KR200307670 Y1 KR 2003076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ffic safety
- precast concrete
- concrete body
- base plat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지반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 상부면에 위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일체거동수단;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및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은 도로 지반면에 위치하는 상기 기초판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를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도로의 교통안전시설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신설도로 뿐 만 아니라 기존도로에서도 그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이동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先)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와 기초판을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결합함으로서 교통안전시설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신설 도로 뿐 만 아니라 기존 도로에서도 교통안전시설물의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또한 이동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안전시설물이라 함은 도로에서 교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시설물로 신호기, 도로표지, 횡단보도교, 보도, 자동차도, 방호책, 가로등, 구획선 등을 일컫는 것이지만, 본 고안에서 교통안전시설물은 중앙분리대, 연석 등을 일컫는 말로 한정한다.
기존의 교통안전시설물은 기초콘크리트에 다우웰 바(dowel bar)를 설치한 후, 슬립폼(slip form)에 의해서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기초판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왔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기하학적인 형상의 교통안전시설물을 형성하게 함으로서 원래 의도했던 대로의 모양과 크기의 교통안전시설물을 정밀하게 시공하기 어려우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건조수축되어 균열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기존의 교통안전시설물은 한번 시공되면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식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도로의 파손이나 유실로 인한 노면의 덧씌우기 공사 시에는 교통안전시설물의 해체작업이 어려우며,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이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노면 공사를 실시할 경우에는,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의 하단 일부가 새로 포장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몰되어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의 전체적인 높이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수차례 반복되는 도로의 노면 공사로 인해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의 높이는 현격하게 줄어들게 되어 교통안전시설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며, 이러한 교통안전시설물은 재설치 작업이 요구되며, 더불어 이에 따른 상당한 인건비, 자재비 및 작업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도로 교통안전시설물은 무근 콘크리트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충돌 시 그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파손되어 그 원형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쉽게 부서지는 조각이나 파편으로 충돌 차량 및 대향 차량에도 손상을 입히기 쉽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선(先)제작된 기초판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본체를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도로의 교통안전시설물을 형성함으로서 신설도로 뿐 만 아니라 기존도로에서도 그 시공이 용이하고 간편하며, 이동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내부에 와이어매쉬가 매립되어 있어 차량 충돌 시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의 A-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의 B-B'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C-C'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c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f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기초판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의 구체예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 지반면 10 : 도로
100, 100a, 100b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110 : 기초판 111 : 고정돌기부
112 : 고정홈
120, 120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121 : 결합돌기부 121a : 연결돌기부
122 : 결합홈 122a : 연결홈
123 : 인양홀 124 : 줄눈
125 : 형광도료 또는 형광테이프 126 : 와이어매쉬
127 : 교통안전표지판(미표시부호) 128 : 고정홀
130 : 일체거동수단 131 : H형강
132 : 강관 140 : 고정수단
본 고안은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에 관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은 중앙분리대, 연석 등을 일컫는 말로 한정한다.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은 크게 기초판(11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 일체거동수단(130); 및 고정수단(14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반면(1)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110); 상기 기초판(110) 상부면의 고정홈(112)과 대응되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결합홈(122)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일정크기의 연결홈(122a) 또는 연결돌기부(121a)가 형성되어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상기 기초판(110)의 고정홈(112)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결합홈(122)에 정착되어 상기 기초판(1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40); 및 상기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연결홈(122a)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판(120)에 정착되는 일체거동수단(130);으로 구성되는 형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반면(1)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110); 상기 기초판(110) 상부면의 고정홈(112)과 대응되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결합홈(122)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고정홀(128)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일정크기의 연결홈(122a) 또는 연결돌기부(121a)가 형성되어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의 고정홀(128)에 삽입되며, 상기 기초판(110)의 고정홈(112)에 정착되어 상기 기초판(1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40); 및 상기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의 연결홈(122a)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판(110)에 정착되는 일체거동수단(130);으로 구성되는 형태, 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반면(1)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고정홈(112) 또는 고정돌기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110); 상기 기초판(110) 상부면의 고정홈(112) 또는 고정돌기부(111)와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부(121) 또는 결합홈(122)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일정크기의 연결홈(122a) 또는 연결돌기부(121a)가 형성되어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및 상기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연결홈(122a)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판(110)에 정착되는 일체거동수단(130);으로 구성되는 형태로 구분된다. 추후 시공 시에는 상기 전술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 중 시공현장의 상황에 맞는 것을 택일하여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도 5a 및 도 5f는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의 기초판(1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구체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40)을 이용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일 경우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에 단일 또는 다수개의 홈(112, 122)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를 사용하며,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40)을 이용하지 않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일 경우에는 도 5c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에 단일 또는 다수개의 돌기부(111, 121) 또는 홈(112, 1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부(111, 121) 및 홈(112, 122)이 끼움식으로 결합함으로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을 형성하는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의 상기 기초판(1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결합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식의 조립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 시에는 이 중 택일하여 시공한다.
또 상기 고정수단(140)을 이용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a)에서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의 상부면에 상기 고정수단(140)의 삽입을 위한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고정홀(128)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홀(128)의 형성여부는 후술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의 설치방법에 따라 택일된다.
또한 도 1a, 도 2, 도 3a,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 양단부에는 상기 일체거동수단(130)의 설치 및 본체(120, 120a) 상호간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홈(122a) 또는 연결돌기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 시공 시에는 시공방법 및 시공현장의 상황에 맞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의 연결홈(122a) 및 연결돌기부(121a)를 적절히 배치해가며 시공한다.
또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 내부에는 와이어매쉬(126)가 매립되어 있어, 기존의 무근형태의 교통안전시설물 보다 내구성이 뛰어나며, 차량 충돌 시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충돌 차량 및 대향 차량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 상부면에는 암나사가 매립된인양홀(123)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 시나 유지보수 시 이동이 가능하고 용이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 외측면에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의 다수개의 줄눈(124)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운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 120b)는 유색콘크리트로, 기존의 주변경관과 조화롭지 못했던 무채색의 교통안전시설물과는 달리 주변경관과 조화로우며 미관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에게 교통안전시설물 인지능력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에는 형광도료(125) 또는 형광 테이프(125)의 도색 및 부착이 가능하여 주, 야간 운전 시 원거리에서도 운전자의 식별이 가능하여 차선 불인지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의 상부에는 교통 안전표지판(127, 미표시부호)의 부착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형광도료(125) 또는 형광테이프(125)의 도색 및 부착과 교통 안전표지판(127, 미표시부호)의 설치여부는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전술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에서 사용되는 상기 일체거동수단(130) 및 고정수단(140)은 H형강(131) 또는 강관(132) 등이 이용되며, 이 중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택일하여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상기 일체거동수단(130)은 차량 충돌 시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의 밀림이나 전도를 방지하며, 상기 고정수단(140)은 시공되는 상기 기초판(1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를 상호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내구성을 강화한다. 또 상기 일체거동수단(130)을 시공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거동수단(140) 없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 120a)에 형성된 연결돌기부(121a) 및 연결홈(122a)만으로 연결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보다 차량 충돌 시 밀림이나 전도에 대한 대항력이 뛰어나며, 상기 고정수단(140)을 이용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은 앞서 언급한 도 3a,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111, 121) 또는 홈(112, 122)의 끼움식으로 결합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보다 결합 및 고정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일체거동수단(130) 및 고정수단(140)의 시공여부는 시공방법 및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 시공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의 설치방법은 시공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우선, 도 1a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거동수단(130) 및 고정수단(140)을 이용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로 지반면(1)의 시공위치에 다수개의 기초판(110)을 일렬로 위치시킨다. 상기 기초판(110)을 적정 위치에 배치시킨 후, 일렬로 배치된 상기 기초판(110)의 양 단부에 상기 일체거동수단(100)의 일단을, 상기 기초판(110)의 고정홈(122)의 일정위치에 고정수단(140)의 일단을 위치시킨 후, 상기 일체거동수단(130)과 고정수단(140)을 상기 기초판(110)에 정착시킨다. 상기 정착된 일체거동수단(130)의 좌우양옆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를 위치시킨다. 이 때 배치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121a) 및 연결돌기부(122a)를 적절히 배치해가며 위치시키며, 상기 기초판(110)에 정착된 고정수단(140)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결합홈(122)을 끼움식으로 결합하여 마무리함으로서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을 기존도로에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기초판(110)의 설치없이 기존도로의 시공위치에 코어링하여 상기 일체거동수단(130) 및 고정수단(140)을 정착시킨 후, 상기 일체거동수단(130)의 좌우양옆에 상기 본체(120)를 위치시켜 상기 전술한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을 시공함으로서, 용이하고 간편한 시공방법으로 본 고안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을 형성한다.
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일체거동수단(130)과 고정수단(140)을 이용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a)을 시공할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의 설치방법과 같이, 도로 지반면(1)의 시공위치에 다수개의 기초판(110)을 일렬로 위치시킨 후, 상기 기초판(110)의 양단부에 상기 일체거동수단(130)의 일단을 위치시켜 상기 기초판(110)에 정착시킨다.
이후 상기 정착된 일체거동수단(130)의 좌우양옆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를 위치시킨다. 이 때 사용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는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고정홀(12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며, 앞서 언급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의 설치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122a) 또는 연결돌기부(121a)를 시공현장의 조건에 맞게 적절히 배치해가며 시공한다.
상기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를 시공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a)의 고정홀(128)에 상기 고정수단(140)을삽입하여 상기 기초판(110)에 정착시켜 마무리함으로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a)을 형성한다.
또 앞서 언급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과는 달리 상기 고정수단(140)을 이용하지 않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으며, 상기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의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110)에 고정돌기부(111)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에는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11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로 지반면(1)의 시공위치에 다수개의 기초판(110)을 일렬로 위치시킨 후, 상기 기초판(110)의 양단부에 상기 일체거동수단(130)의 일단을 위치시켜 정착시킨다.
이후 상기 정착된 일체거동수단(130)의 좌우양옆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를 위치시켜, 상기 기초판(110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부(11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의 결합홈(122)을 끼움식으로 결합함으로서 상기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b)을 형성한다. 이 때 앞서 언급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의 설치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122a) 또는 연결돌기부(121a)를 시공현장의 조건에 맞게 적절히 배치해가며 시공한다.
추후 시공 시에는, 상기 전술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100, 100a, 100b) 중 시공현장 상황에 맞는 것을 택일하여 시공한다.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은 선(先)제작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및 기초판을 현장에서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결합함으로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신설도로 뿐 만 아니라 기존도로에서도 그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이동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상부에는 암나사가 매립된 인양홀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 시 또는 유지보수 시 상기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이동이 더욱 용이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내부에는 와이어매쉬가 매립되어 있어 차량 충돌 시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설사 차량 충돌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파편 등의 발생을 줄일수 있어 충돌 차량 및 대향차량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은 선(先)제작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및 기초판을 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시공 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건조수축균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크기와 모양의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인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외측면에 폭방향으로 줄눈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 통행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의 외측면에는 형광도료 또는 형광테이프가 도색 및 부착되어 있어, 주, 야간 운전 시 원거리에서도 운전자의 주의력을 향상시켜 차선 불인지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교통 안전표지판 부착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 도로 지반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상기 기초판 상부면의 고정홈과 대응되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일정크기의 연결홈 또는 연결돌기부가 형성되어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상기 기초판의 고정홈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의 결합홈에 정착되어 상기 기초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상기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의 연결홈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판에 정착되는 일체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도로 지반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상기 기초판 상부면의 고정홈과 대응되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일정크기의 연결홈 또는 연결돌기부가 형성되어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의 고정홀에 삽입되며, 상기 기초판의 고정홈에 정착되어 상기 기초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상기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의 연결홈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판에 정착되는 일체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도로 지반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판;상기 기초판 상부면의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부와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부 또는 결합홈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일정크기의 연결홈 또는 연결돌기부가 형성되어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및상기 연속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의 연결홈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판에 정착되는 일체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일체거동수단 및 고정수단은 H형강 또는 강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상부면에는 암나사가 매립되어 있는 다수개의 인양홀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는 유색콘크리트이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외측면에는 형광도료 또는 형광테이프가 도색 및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는 외측면에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의 다수개의 줄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 내부에는 와이어매쉬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본체는 상부면에 교통안전 표지판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7051U KR200307670Y1 (ko) | 2002-09-10 | 2002-09-10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7051U KR200307670Y1 (ko) | 2002-09-10 | 2002-09-10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4380A Division KR20040022827A (ko) | 2002-09-10 | 2002-09-10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및 그 설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7670Y1 true KR200307670Y1 (ko) | 2003-03-19 |
Family
ID=4933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7051U KR200307670Y1 (ko) | 2002-09-10 | 2002-09-10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7670Y1 (ko) |
-
2002
- 2002-09-10 KR KR20-2002-0027051U patent/KR20030767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67904B1 (en) | Tactile plate assembly | |
KR20110016158A (ko) |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 |
KR200307670Y1 (ko)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 |
KR20040022827A (ko) | 조립식 교통안전시설물 및 그 설치방법 | |
JPH0258610A (ja) |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 |
KR20040017262A (ko) | 도로포장용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 |
KR920006029Y1 (ko) | 차도 및 횡단보도 포장용 타일제 | |
JP6144319B2 (ja) | 境界ブロック | |
KR100820733B1 (ko) |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 |
KR101037594B1 (ko) | 날개형 블록 | |
KR200245941Y1 (ko) |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 |
DE2636105C3 (de) | Bordstein für Fußgängerüberwege | |
KR200274494Y1 (ko) | 도로의 경계석 구조 | |
KR200378157Y1 (ko) | 조립식 보차도 경계블록 | |
KR200216585Y1 (ko) | 보도 경계석 | |
CN219490578U (zh) | 一种道路侧石及人行道结构 | |
CN219793759U (zh) | 一种预制模块化拼装的交通隔离带 | |
CN209082402U (zh) | 一种路面可移动的混凝土石墩 | |
JP2014173291A (ja) | 境界ブロック | |
CN217678783U (zh) | 预制装配式防撞护栏 | |
KR200337272Y1 (ko) | 볼라드경계석 | |
KR200248495Y1 (ko) | 차도 인도 경계석 | |
KR200227584Y1 (ko) | 횡단보도용 블록 | |
KR200278555Y1 (ko) | 도로분리대 | |
KR102019668B1 (ko) | 조립식 구조를 갖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