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986Y1 -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986Y1
KR200303986Y1 KR20-2002-0034732U KR20020034732U KR200303986Y1 KR 200303986 Y1 KR200303986 Y1 KR 200303986Y1 KR 20020034732 U KR20020034732 U KR 20020034732U KR 200303986 Y1 KR200303986 Y1 KR 200303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arm
wiper
pivot shaft
fasten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to KR20-2002-0034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5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shaft holders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7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motor holder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아암이 피봇축에 견고히 체결토록 하여 와이퍼의 장시간 작동에 따라 체결부위에 발생되는 갭(Gap)으로 인해 와이퍼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링크와, 연결링크를 개재하여 구동링크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피봇축과, 상기 피봇축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상기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르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4) 일단에는 선단에 나사부(4a)를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체결구(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와이퍼 아암(5)의 헤드부에는 상기 다각형상의 체결구(40)와 대응되는 다각형상의 요홈(5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요홈(50) 상면에는 관통홀(52)이 천공되어 상기 피봇축(4)의 체결구(40)가 와이퍼 아암(5)의 요홈(50)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 지며, 상기 와이퍼 아암(5)이 결합된 피봇축(4) 선단의 나사부(4a)로는 너트(8)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Union construction of Wipper arm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아암이 피봇축에 견고히 체결토록 하여 와이퍼의 장시간 작동에 따라 체결부위에 발생되는 갭(Gap)으로 인해 와이퍼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에는 주행 중에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나 빗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윈드실드가 끼워져 있다. 이 윈드실드 표면에 먼지나 흙이 쌓이게 되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눈이나 비가 오는 지역을 운행할 경우에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있는 물기를 빨리 제거해야 전방을 주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동차에는 와이퍼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윈드실드 표면에 있는 먼지나 빗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와이퍼 장치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와이퍼 모터(1)와, 이 와이퍼 모터(1)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링크(2)와, 피봇축(4)을 개재하여 구동링크(2)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5)과. 중앙 부분이 와이퍼 아암(5)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어 와이퍼 아암(5)이 이동하게 되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일정 각도의 범위 내를 이동하면서 윈드실드 표면을 닦아 냄으로써, 표면에 묻어 있던 각종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6)로 이루어져 있다. 와이퍼 아암(5)의 조립시에는 그의 일단에 형성된 홀을 피봇축(4)의 나사부에 끼운 다음, 너트(8)와 커버(9)를 씌워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다음에, 도 2는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5)의 헤드부는 피봇축(4)의 테이퍼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나사부(4a)에는 너트(8)가 체결되어 와이퍼 아암(5)의 이탈을 제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 피봇축과 와이퍼 아암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이루어진 와이퍼 체결구조의 경우, 피봇축 선단에 테이퍼진 스플라인 축 및 이와 치합되는 와이퍼 아암 헤드에 키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머신을 통해 고도의 작업을 요하게 되므로서, 가공이 용이하지 못 해 이에 따른 피봇축 제작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제작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량생산이 용이하지 못 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키홈이 형성된 와이퍼 아암을 피봇축에 장착시, 와이퍼 아암의 고정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몇번이고 피봇축으로 부터 와이퍼 아암을 해체시킨 후 재차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한 위치로 고정이 이루어 지게 되므로서, 피봇축에 와이퍼 아암을 체결하는데 따른 번거러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피봇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와이퍼 아암을 장시간 작동하게 되면 피봇축에 와이퍼 아암을 긴밀하게 지지하고 있는 너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테이퍼진 스플라인 축을 따라 와이퍼 아암의 헤드부가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이로인해 스플라인 결합된 체결부위에 갭(Gap)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 지지 않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피봇축과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에 따른 여러가지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피봇축 선단에 다각형상의 체결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피봇축과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의 헤드부에 상기 다각형상의 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피봇축에 형성된 체결구가 와이퍼 아암에 형성된 요홈에 치합되어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피봇축에 와이퍼 아암을 견고하게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퍼의 장기간 작동에 따라 체결부위에 갭(Gap)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봇축으로 부터 와이퍼 아암이 슬라이딩되어 와이퍼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각형상의 체결구를 가진 피봇축에 와이퍼 아암의 장착이 용이하여, 와이퍼 아암의 정확한 고정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와이퍼 아암의 위치고정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피봇축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에 따른 피봇축과 와이퍼 아암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의 피봇축과 와이퍼 아암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4...피봇축 4a...나사부
5...와이퍼 아암 8...너트
40...체결구 50...요홈
52...관통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링크와, 연결링크를 개재하여 구동링크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피봇축과, 상기 피봇축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상기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르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 일단에는 선단에 나사부를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와이퍼 아암의 헤드부에는 상기 다각형상의 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요홈 상면에는 관통홀이 천공되어 상기 피봇축의 체결구가 와이퍼 아암의 요홈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 지며,
상기 와이퍼 아암이 결합된 피봇축 선단의 나사부로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앞서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참조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의 피봇축과 와이퍼 아암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봇축(4) 선단에 나사부(4a)를 포함한 다각형상의 체결구(40)가 일체형성되며, 상기 피봇축(4)과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5)의 헤드부에는 상기 다각형상의 체결구(40)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50)이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요홈(50) 상면에는 피봇축(4)의 체결구(40) 선단에 일체형성된 나사부(4a)가 관통되는 관통홀(52)이 천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는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봇축(4)의 체결구(40)로 와이퍼 아암(5)의 헤드부가 장착되어 체결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서, 이는 특히, 와이퍼 아암(5)의 헤드부에 형성된 요홈(50)으로 피봇축(4) 선단에 일체 형성된 다각형상의 체결구(40)가 끼워지도록 서로 결합하게 되면, 피봇축(4)의 체결구(40)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4a)는 와이퍼 아암(5)의 관통홀(52)을 관통하여 헤드부 외측으로 돌설되도록 결합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피봇축(4)과 와이퍼 아암(5)이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부 외측으로 돌설된 피봇축(4)의 나사부(4a)로 너트(8)를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면 상호간에 견고한 상태로 그 결합이 완료된다(도 4참조).
한편, 상기 피봇축(4) 선단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체결구(40)는 단조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은 다각형상의 체결구가 형성된 피봇축과, 상기 피봇축의 다각형상의 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와이퍼 아암이 서로 치합되어 체결이 이루어 지므로서, 서로 치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피봇축간의 체결에 따른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아암의 체결상태가 견고히 됨은 물론, 와이퍼 장시간 작동에 따라 너트가 풀렸을 경우에도 너트가 완전히 풀리지 않는 한 피봇축의 구동력을 와이퍼 아암에 그대로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피봇축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체결구가 와이퍼 아암에 형성된 요홈에 치합되어 체결되므로서, 피봇축에 와이퍼 아암을 견고하게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퍼의 장기간 작동에 따라 체결부위에 갭(Gap)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봇축으로 부터 와이퍼 아암이 슬라이딩되어 와이퍼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다각형상의 체결구를 가진 피봇축에 와이퍼 아암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므로서, 와이퍼 아암의 정확한 고정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와이퍼 아암의 위치고정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봇축 선단에 일체 형성된 다각형상의 체결구는 단조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서, 별도의 가공머신을 통해 가공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제품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

  1.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링크와, 연결링크를 개재하여 구동링크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피봇축과, 상기 피봇축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상기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르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4) 일단에는 선단에 나사부(4a)를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체결구(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와이퍼 아암(5)의 헤드부에는 상기 다각형상의 체결구(40)와 대응되는 다각형상의 요홈(5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요홈(50) 상면에는 관통홀(52)이 천공되어 상기 피봇축(4)의 체결구(40)가 와이퍼 아암(5)의 요홈(50)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 지며,
    상기 와이퍼 아암(5)이 결합된 피봇축(4) 선단의 나사부(4a)로는 너트(8)가 체결되어 결합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KR20-2002-0034732U 2002-11-20 2002-11-20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KR200303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32U KR200303986Y1 (ko) 2002-11-20 2002-11-20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32U KR200303986Y1 (ko) 2002-11-20 2002-11-20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986Y1 true KR200303986Y1 (ko) 2003-02-11

Family

ID=4933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32U KR200303986Y1 (ko) 2002-11-20 2002-11-20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9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3842A1 (en) Wiper
WO2001030623A8 (de)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H1134808A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US7640619B2 (en) Bearing for wiper drives
KR200303986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US5774928A (en) Screen wiper apparatu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having means, for indexing the screen wiper with respect to a drive spindle
KR20060004291A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US20070289081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303985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체결구조
KR100345576B1 (ko) 차량의 와이퍼 고정장치
US4817236A (en) Stroke-controlled windshield wiper unit for motor vehicles
KR100336537B1 (ko) 차량의 와이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200213439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19980065608U (ko) 윈도우 와이퍼장치
KR100368918B1 (ko) 확장형 와이퍼장치
KR100974702B1 (ko)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KR101339163B1 (ko) 마운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0666294B1 (ko) 장착이 용이한 와이퍼 마운팅구조
KR20020262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장착구조
KR20020020074A (ko) 와이퍼 장치의 구동부 결합구조 및 그의 결합방법
KR0129399Y1 (ko) 자동차의 와이퍼 취부구조
KR200327234Y1 (ko)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KR100368922B1 (ko) 와이핑 각도 가변형 구동부 결합구조
KR20020043876A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와이퍼 암
KR100368917B1 (ko) 조수석용 4절 와이퍼 아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