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234Y1 -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34Y1
KR200327234Y1 KR20-2003-0018263U KR20030018263U KR200327234Y1 KR 200327234 Y1 KR200327234 Y1 KR 200327234Y1 KR 20030018263 U KR20030018263 U KR 20030018263U KR 200327234 Y1 KR200327234 Y1 KR 200327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support pipe
motor assembly
bol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위영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8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7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motor holder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5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having a pre-attachment device (i.e. to hold elements in position during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조립체와, 상기 모터조립체와 결합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모터조립체를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과, 상기 지지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와이퍼가 결합되는 와이퍼샤프트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퍼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있어서,상기 지지파이프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내벽면과 그 내벽면들을 연결하는 연결벽면을 가지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조립체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 및 연결벽면에 접촉되는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Wiper apparatus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모터조립체를 지지파이프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와이퍼는, 플라스틱이나 철재로 된 와이퍼블레이드지지대에 고무재질의 와이퍼블레이드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차량의 앞유리나 뒷유리의 표면에서 일정한 회전각을 가지고 회동하면서 유리표면에 묻은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의 이물질을 닦아내아 운전자에게 깨끗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와이퍼를 동작시키는 장치가 와이퍼 구동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지지파이프의 결합부와 모터조립체의 결합블록부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상기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00)는, 모터(101)를 포함하는 모터조립체(102)와 지지파이프(103)와, 체결수단(104)과, 와이퍼샤프트(105)와 동력전달부(106)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조립체(102)는, 와이퍼(미도시)를 작동시키는 모터(101)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모터조립체(102)에는 한 쌍의 결합블록부(102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103)는, 차량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마운팅부(103a)에 그 양단부가 고정된다. 지지파이프(103)의 중간부위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103)가 압착되어 형성된 평평한 결합부(10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104)은 지지파이프(103)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104a)와 모터조립체(102)의 결합블록부(102a)에서 상기 볼트(104a)에 체결되는 너트(104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수단(104)에 의해 지지파이프(103)의 결합부(103b)에 상기 모터조립체(102)의 결합블록부(102a)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퍼샤프트(105)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이퍼가 장착되어 있는 와이퍼암이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06)는 상기 모터(101)의 구동력을 와이퍼샤프트(105)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호 연결된 제1링크(106a)와 제2링크(106b)와 제3링크(106c)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링크들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101)의 축에 연결된 구동축(102a)이회전되며, 일단부가 상기 구동축(102a)에 고정되어 있는 제1링크(106a)가 회동하게 된다. 제1링크(106a)가 회동하게 되면, 회동하는 제1링크(106a)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제3링크(106c)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제2링크(106b)는 각각 좌우로 일정구간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2링크(106b)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각 제2링크(106b)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와이퍼샤프트(105)는 일정각도내에서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퍼샤프트(105)의 일정각도내의 왕복회전운둥은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퍼샤프트(105)에 와이퍼암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모터(101)는 상당히 큰 토크를 가지고 작동하기 때문에, 모터조립체(102)와 지지파이프(103)의 결합은 견고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00)의 경우에는, 모터조립체(102)의 결합블록부(102a)의 일면과 지지파이프(103)가 압착되어 평평하게 성형된 결합부(103b)의 외측의 일면만이 상호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104a)와 너트(104b)의 체결력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력이 충분히 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조립체(102)와 지지파이프(103)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지지파이프(103)를 감싸는 별도의 보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부품의 추가와 조립의 공정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의 상승, 그리고 장치 전체의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파이프와 모터조립체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지지파이프의 결합부와 모터조립체의 결합블록부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지지파이프의 결합부와 모터조립체의 결합블록부 간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의 체결수단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의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삽입부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10 ... 지지파이프
12 ... 결합홈부 20 ... 모터조립체
22 ... 삽입부 30 ... 체결수단
32 ... 볼트 34 ... 나사공
36 ... 너트 38 ... 리벳
40 ... 와이퍼샤프트 50 ... 동력전달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는,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조립체와, 상기 모터조립체와 결합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모터조립체를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과, 상기 지지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와이퍼가 결합되는 와이퍼샤프트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퍼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로서,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내벽면과 그 내벽면들을 연결하는 연결벽면을 가지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조립체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 및 연결벽면에 접촉되는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모터조립체의 삽입부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복수의 리브가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에 상기 모터조립체의 삽입부가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들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모터조립체의 삽입부가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홈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와,상기 볼트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볼트는 상기 삽입부측으로부터 삽입되며,상기 볼트는 상기 삽입부와 접하는 부분이 널링(knurling)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너트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너트고정홈이 마련되어, 상기 볼트는 상기 결합홈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너트고정홈 내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삽입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홈부측에서 머리부를 형성하는 리벳이며, 상기 리벳은 상기 삽입부와 접하는 부분이 널링(knurling)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파이프의 결합부와 모터조립체의 결합블록부 간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는, 지지파이프(10), 모터조립체(20), 체결수단(30), 와이퍼샤프트(40) 및 동력전달부(50)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에 있어서, 지지파이프 (10)와 모터조립체(20) 간의 결합구조 및 체결수단(30)을 제외한 상기 구성요소들의 구조나 작동에 관한 설명은 앞서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00)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지파이프(10)와 모터조립체(20) 간의 결합구조 및 체결수단(3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파이프(10)는, 차량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마운팅부(19)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그 지지파이프(10)의 중간부위에는 결합홈부(12)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홈부(12)는, 도 5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10)의 중간부분을 압착 성형하여 그 부의의 지지파이프(10)를 대략 "ㄷ"자 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홈부(12)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내벽면(120)과 이러한 내벽면(120)을 결합홈부(12)의 내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벽면(122)을 가진다.
상기 모터조립체(20)는, 와이퍼(미도시)를 작동시키는 모터(21)를 포함하며, 한 쌍의 삽입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21)는, 복수의 링크(52, 54, 56)들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50)를 통하여 와이퍼사프트(40)를 회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각 삽입부(22)는, 상기 지지파이프(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부(12)의 한 쌍의 내벽면(120) 및 연결벽면(122)에 접촉된다.
그리고, 삽입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10)의 연결벽면(122)과 접하는 전방부분의 폭(W1)보다 그 후방부분의 폭(W2)이 더 크게 되어 있으며, 점진적으로 그 폭이 커지도록 경사져있다. 전방부분에서 후방부분까지는 테이퍼로 되어 있다. 삽입부(22)의 전방부분의 폭(W1)은 연결벽면(122)의 폭과 같거나 약간 짧도록 되어 있으며, 후방부분의 폭(W2)은 삽입부(22)가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에 삽입되기 전 자유스러운 상태에서의 결합홈부(12)의 입구부의 폭보다 약간 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삽입부(22)는 복수의 리브(220)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리브(220)는 도 5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의 한 쌍의 내벽면(120)과 마주하는 부위에 마련된 것으로서, 결합홈부(12)의 내벽면(120)을 향해 돌출되어서, 삽입부(22)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리브(220)의 돌출높이와 그 개수는 삽입부(22) 및 결합홈부(12)의 재질과 필요에 따라 알맞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리브(220)는 결합홈부(12)의 내벽면에 접촉되어서, 삽입부(22)와 결합홈부(12)의 상호 접하는 면들 사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삽입부(22)와 결합홈부(12) 사이의 체결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체결수단(30)은 본 실시예의 경우, 볼트(32)와 나사공(34)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32)는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측으로부터 결합홈부(12)를 관통하며 삽입된다. 상기 나사공(34)은 상기 볼트(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부(22)에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의 지지파이프(10)와 모터조립체(20)간의 결합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퍼 구동장치(1)의 지지파이프(10)와 모터조립체(20)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우선 모터조립체(20)의 각 삽입부(22)를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에 볼트(30)가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삽입한다. 이 때, 삽입부(22)의 전방부분의 길이(L1)는 결합홈부(12)의 입구의 폭보다 작아 쉽게 삽입되지만, 삽입부의 후방부분의 길이(L2)는 결합홈부(12)의 입구의 폭보다는 약간 크게 되어 있어서, 삽입부(22)는 결합홈부(12)의 연결벽면(122)에는 접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32)를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 외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모터조립체(20)의 삽입부(22)에 마련된 나사공(34)에 체결하기를 시작한다.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삽입부(22)의 결합홈부(12)의 연결벽면(122)과 대면하는 전면은 연결벽면(122)에 접근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홈부(12)의 한 쌍의 내벽면(120)들은 후방부분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삽입부(22)의 전면이 연결벽면(122)에 면접촉할 때까지 볼트(32)를 나사공(34)에 체결한다.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삽입부(22)의 3개의 면이 각각 결합홈부(12)에 면접한 상태에서 볼트(32)와 나사공(34)의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력이 종래보다 우수하다.
또한, 삽입부(22)가 결합홈부(12)의 내벽면(120)들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며 그들 사이에 끼워져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결합홈부(12)의 내벽면(120)들은 삽입부(22)를 복원력으로 강하게 누르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결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삽입부(22)에는 복수의 리브(220)가 마련되어 있어서,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의 내벽면(120)들과 이들에 각각 대면하는 삽입부(2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체결력을 높여주며, 와이퍼의 작동시 체결부위의 흔들림을 현저히 줄여준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 에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1)의 체결수단(30)의 다른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경우 다른 구성요소, 즉 지지파이프(10), 모터조립체(20), 와이퍼샤프트(40) 및 동력전달부(50)들의 구성이나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체결수단은 도 6에 도시된 첫 번째 예에 비교하여 보면, 볼트(32)는 상호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첫 번째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나사공(34)이 삽입부(22)에 직접 형성되어 있었으나, 도 7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는 삽입부(22)에 나사공(34)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볼트(32)와 체결될 수 있는 별도의 너트(36)가 마련된 점이 다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체결수단은 도 7에 도시된 예에 비교하여 보면, 볼트(32)와 너트(36)를 체결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상호 동일하나, 볼트(32)와 너트(36)의 체결위치가 서로 다르다. 즉, 볼트(32)가 삽입부(22)로부터 삽입되어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의 외측에서 너트(36)와 체결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체결수단은 도 8에 도시된 예에 비교하여 보면, 볼트(32)와 너트(36)이 체결위치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볼트(32)에 몸통부분 중 삽입부(22)와 접하는 부분에 널링(knurling)가공부(320)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널링가공부(320)는 볼트(32)의 몸통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볼트(3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볼트(32)가 삽입되는 삽입부(22)의 관통공의 직경은 볼트(32)의 몸통에 형성된 널링가공부(320)의 돌출부위들이 일부 변형되며 억지끼워맞춤이 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이렇게 널링가공부(320)가 몸통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32)는, 결합홈부(12)에 삽입되기 전에 미리 삽입부(22)의 관통공에 널링가공부(320)의 일부가 파손되며 억지끼워맞춤된다. 그런 후, 볼트(32)는 지지파이프(10)의 결합홈부(12)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너트(36)가 체결된다. 이러한, 널링가공부(320)는 볼트(32)와 너트(36)의 체결시 결합홈부(12)와 삽입부(22) 간의 결합위치를 정해주는 별도의 수단, 예컨대 돌기와 이를 수용하는 홈부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과 조립공정이 간편해 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널링가공이라고 호칭하였으나, 로렛트(rollet) 혹은 세퍼레이션(separation) 가공이라고도 불리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체결수단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교하여 보면, 볼트(32)와 너트(36)를 리벳(38)으로 교체한 점이 다르다. 상기 리벳은 삽입부(2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지지파이프(10) 측에 머리부(380)가 형성된다. 또한, 리벳(38)의 몸통부에도, 도 9에 도시된 볼트(32)의 몸통부에 형성된 널링가공부(320)와 같은 널링가공부(382)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가공부(382) 자체의 구성이나 기능은 상술한 볼트(32)에 형성된 널링가공부(320)와 동일하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는 또 다른 체결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수단은 볼트(32)와 너트(36)를 포함하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나, 삽입부(22)에 너트(36)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너트고정홈(222)이 마련된 점이 다르다.
상기 너트고정홈(222)에는 육각형의 너트(36)가 도 1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다. 삽입된 너트(36)에는 결합홈부(12)측으로부터 삽입된 볼트(32)가 체결된다. 너트고정홈(222)에 삽입된 너트(36)는 별도의 지지장치없이 볼트(32)가 체결될 수 있어서, 조립고정을 간편하게 하여준다.
또한, 지지파이프(10)가 없다고 가상하고 도시한 도 12와, 개략적 단면도인 도 13을 참조하면, 삽입부(22)에는 너트고정홈(222)과 연통되어 있는 하단홈부(2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단홈부(224)는 삽입부(22)를 만들기 위한 금형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삽입부(22)에 복수의 리브(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리브(22)들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리브(220)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한 다른 효과들은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의하면, 지지파이프와 모터조립체는 결합홈부와 삽입부가 각각 갖는 3개의 면이 상호 면접한 상태로 체결수단의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조립체와, 상기 모터조립체와 결합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모터조립체를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과, 상기 지지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와이퍼가 결합되는 와이퍼샤프트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퍼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내벽면과 그 내벽면들을 연결하는 연결벽면을 가지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조립체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 및 연결벽면에 접촉되는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조립체의 삽입부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복수의 리브가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결합홈부에 상기 모터조립체의 삽입부가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들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모터조립체의 삽입부가 상기 결합홈부의 내벽면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홈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삽입부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삽입부와 접하는 부분이 널링(knurling)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너트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너트고정홈이 마련되어,
    상기 볼트는 상기 결합홈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너트고정홈 내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삽입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홈부측에서 머리부를 형성하는 리벳이며,
    상기 리벳은 상기 삽입부와 접하는 부분이 널링(knurling)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KR20-2003-0018263U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KR200327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63U KR200327234Y1 (ko)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63U KR200327234Y1 (ko)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34Y1 true KR200327234Y1 (ko) 2003-09-19

Family

ID=4941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263U KR200327234Y1 (ko)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2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52Y1 (ko) * 2011-09-23 2013-09-09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52Y1 (ko) * 2011-09-23 2013-09-09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30623A8 (de)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2001500090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に用いられるワイパ装置
JPH1134808A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JPH02502622A (ja) 自動車のワイパーシステムの駆動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49923A1 (en) Coupling apparatus of wiper arm
MXPA06002308A (es) Un brazo para limpiador de parabrisas.
US20020162184A1 (en) Wiper device
US7600803B2 (en) Windshield wiper,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JP2003508292A (ja) ワイパ装置
KR100767979B1 (ko) 4 바아-조인트식 와이퍼 아암 및 그 세팅 방법
KR100688052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6196754B1 (en) Driv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especially for vehicle window panes
KR100647450B1 (ko) 와이퍼 암
KR200327234Y1 (ko)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EP1266810B1 (en) Wiper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100821497B1 (ko) 와이퍼 장치 및 와이퍼 암의 지지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100692888B1 (ko) 구동축에 와이퍼 아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EP1839968A2 (en) Motor with reduction gear
KR20010072103A (ko) 와이퍼 시스템
KR100689645B1 (ko) 와이퍼 시스템의 구동 샤프트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20110232021A1 (en) Windshield wiper drive
JP3287804B2 (ja) ワイパ装置の取付け構造
US9487186B2 (en) Vehicle wiper motor unit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KR100688921B1 (ko) 와이퍼 아암의 구동 장치
KR20033442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