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702B1 -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702B1
KR100974702B1 KR1020080070599A KR20080070599A KR100974702B1 KR 100974702 B1 KR100974702 B1 KR 100974702B1 KR 1020080070599 A KR1020080070599 A KR 1020080070599A KR 20080070599 A KR20080070599 A KR 20080070599A KR 100974702 B1 KR100974702 B1 KR 10097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ubber
wiper blade
yoke means
bla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00A (ko
Inventor
안재혁
김태경
김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7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점지지 구조를 취하는 유니타입 블레이드장치에서 블레이드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고 특히 블레이드 양단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한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유리창을 닦는 것으로, 소정길이로 이루어진 러버부;
상기 러버부의 양단부와 그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한 지점 이상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요크수단;
상기 요크수단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와이퍼블레이드, 러버부, 요크수단, 4점지지, 커버부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Automobile Wiper Blade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점지지 구조를 취하는 유니타입 블레이드장치에서 블레이드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고 특히 블레이드 양단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한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와이퍼(Wiper)는 비나 눈이 올 때,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유리창(통상적으로, 윈드실드글래스)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에 묻은 비, 눈, 또는 기타 이물질을 닦아냄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계를 확보하도록 하는 세척수단이다.
상기 와이퍼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와, 일단부는 와이퍼 모터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와이퍼블레이드장치에 축지되는 와이퍼 암과,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자동차의 유리창 상에서 왕복 운동하여 상기 유리창을 닦는 와이퍼블레이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는 4점지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니타입 자동차 와이퍼블레이드 장치를 나타낸 결합도 및 분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장치(1)는 와이퍼 암(8)의 선단에 연결되고, 차량 앞유리(30)의 유리면(30a)에 대하여 와이퍼 암(8)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다.
상기 와이퍼 암(8)은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 회전되므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장치(1)는 차량 앞유리(30)의 유리면(30a)에서 소정 각도범위로 왕복 와이핑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장치(1)는 레버조립체(4), 와이퍼스트립(wiper strip)(5), 두 개의 배킹플레이트(backing plate) 및 커버부재(7)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조립체(4)는 토너먼트형(tournament style)으로 연결된 메인레버(2)와 두 개의 서브레버(3)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조립체(4)에서, 상기 메인레버(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측(와이퍼스트립(5)측) 개방부를 포함하는 산 모양의 폴드부(mountain fold)를 갖도록 금속판재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레버(2)는 연결홀더부(10), 두 개의 암부(11) 및 두 개의 연결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홀더부(10)는 메인레버(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제공된다.
상기 암부(11)는 연결홀더부(10)의 대향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12)는 각각 암부(11)의 선단부에 제공된다. 즉, 상기 연결부(12)는 메인레버(2)의 대향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커버부재(7)는 중앙커버부(고정커버부)(20) 및 두 개의 사이드(side)커버부(가동커버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커버부(21)는 중앙커버부(20)의 대향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중앙커버부(20) 및 사이드커버부(21)는 레버조립체(4)를 수용하고 커버한다. 또한, 상기 중앙커버부(20) 및 사이드커버부(21)는 와이퍼스트립(5)의 단부로 연장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7)의 길이방향 길이는 레버조립체(4)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7)는 와이퍼스트립(5)과 함께 일체적 외관을 제공하도록 와이퍼스트립(5)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는 와이퍼스트립의 양단이 지지되지 못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와이퍼블레이드장치가 고속 작동시 그 양단부가 떨리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는바, 이에 따라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는 커버부재가 하나의 중앙커버부와 두 개의 사이드커버부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 및 해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 체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으로 와이퍼블레이드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퍼블레이드에서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와이퍼블레이드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단일 구성으로 만들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특히 고속 주행시 와이퍼블레이드가 주행풍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창을 닦는 것으로, 소정길이로 이루어진 러버부;
상기 러버부의 양단부와 그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한 지점 이상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요크수단;
상기 요크수단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러버부와 상기 요크수단 사이에는 상기 러버부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레일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크수단은, 상기 러버부의 일단 및 일측지점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를 갖는 제1레버부; 상기 제1레버부와 교차되게 상기 러버부의 타단 및 타측지점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를 갖는 제2레버부; 상기 제1레버부와 제2레버부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레버부와 제2레버부의 교차지점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크수단에는 상기 제1레버부 및 제2레버부가 상기 러버부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힌지핀에 함께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등간격으로 상기 러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에는 주행풍에 의해 상기 러버부가 유리창에 밀착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블레이드의 러버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유리창이 골고루 깨끗하게 닦이며, 특히 종래에 문제가 되던 러버부 끝단에서의 채터링 현상이 억제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퍼블레이드를 커버하는 커버부가 단일의 물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특히 커버부에 만곡부가 형성되어 와이퍼블레이드가 유리창에 밀착되도록 도와줌으로써 차량 고속 주행시 와이퍼블레이드가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부분 결합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분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러버부(110)와, 요크수단(120)과, 커버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러버부(110)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유리창에 밀착되어 상기 유리창을 닦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러버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러버부(110)의 길이는 차종에 따라 모두 약간씩 차이가 나는바 상기 러버부(110)의 길이는 특정될 것이 아니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그 길이가 적당하게 설정되면 된다.
통상 상기 러버부(11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곡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리창면에 상기 러버부(110) 전체가 밀착되어 유리창에 붙은 빗물이나 눈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한편, 상기 요크수단(120)은 상기 러버부(110)가 유리창에 밀착되도록 상기 러버부(1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요크수단(120)에는 상기 러버부(110)의 양단부와 그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한 지점 이상을 지지하는 지지부(s)가 구비된다.
즉, 상기 요크수단(1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와이퍼암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러버부(110)가 유리창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중요 구성으로, 상기 러버부(110)와 상기 요크수단(120) 사이에는 상기 러버부(110)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레일스프링(1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스프링(111)은 상기 러버부(110)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상기 요크수단(120)의 지지부(s)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이 상기 러버부(110)의 어느 한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주변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한다.
여기서, 상기 요크수단(120)은 상기 러버부(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s)와, 그 양단부 사이의 어느 한 지점을 지지하는 지지부(s)로 이루어져 지지부(s)의 개수가 3개가 되어도 무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러버부(110)의 양단부 및 그 양단부 사이의 두 지점 이상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s)의 개수가 적어도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상기 러버부(110)가 균일한 가압력을 갖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크수단(120)은 단일 물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러버부(110)와 결합되는 지지부(s)의 개수가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상기 요크수단(12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구성으로 분할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요크수단(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 및 힌지핀(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레버부(121)는 상기 러버부(110)의 일단 및 그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러버부(110)의 일측지점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지지부(s)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레버부(122)도 상기 러버부(110)의 타단 및 그 타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러버부(110)의 타측지점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지지부(s)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1레버부(121)와 상기 제2레버부(122)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의 교차지점에는 상기 힌지핀(123)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버부(121)와 상기 제2레버부(122)는 상기 힌지핀(12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러버부(110)를 가압하게 된다.
물론, 도3 및 도4에는 상기 지지부(s)가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 각각에 2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지지부(s)가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균등한 거리로 지지부(s)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의 각 양단에 지지부(s)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가 교차 배치되면 상기 제1레버부(121)에서 하나의 지지부(s)는 상기 러버부(110)의 일단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s)는 상기 제2레버부(122)의 두 개 지지부(s)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s)가 상기 러버부(110)에 결합될 때 그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지지부(s)는 등간격으로 상기 러버부(110)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상기 지지부(s)가 등간격으로 상기 러버부(110)에 결합되면 상기 요 크수단(120)에서 상기 러버부(110)로 가압력이 전달될 때 상기 러버부(110)에서의 하중이 균일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요크수단(120)에는 상기 제1레버부(121) 및 제2레버부(122)가 상기 러버부(11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24)에는 상기 힌지핀(123)에 함께 끼워질 수 있도록 힌지공(124a)이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탄성부재(124)가 상기 힌지핀(123)에 설치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레버부(121) 및 제2레버부(122)가 상기 러버부(110)를 가압할 수 있는 외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124)의 일단은 상기 제1레버부(121) 상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부재(124)의 타단은 상기 제2레버부(122)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레버부(121)와 상기 제2레버부(122)가 모두 상기 러버부(1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탄성부재(124)는 상기 제1레버부(121)을 가압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레버부(122)를 가압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힌지공(124a)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힌지공(124a)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버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장착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2연장부가 장착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홈은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요크수단(120)을 커버하여 외부에서 상기 요크수단(120)이 바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요크수단(120)을 외부의 열이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13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풍에 의해 상기 러버 부(110)가 유리창에 밀착되도록 하는 만곡부(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만곡부(131)는 차량이 주행할 때 상기 커버부(130) 쪽으로 불어오는 주행풍에 의해 유리창 쪽으로 눌려서 유리창과의 밀착력이 우수해지도록 함으로써 고속 주행시 상기 러버부(110)가 유리창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 및 도2는 4점지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니타입 자동차 와이퍼블레이드 장치를 나타낸 결합도 및 분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부분 결합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분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러버부 111 : 레일스프링
120 : 요크수단 121 : 제1레버부
122 : 제2레버부 123 : 힌지핀
124 : 탄성부재 130 : 커버부
131 : 만곡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리창을 닦는 것으로, 소정길이로 이루어진 러버부(110);
    상기 러버부(110)의 양단부와 그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한 지점 이상을 지지하는 지지부(s)가 구비된 요크수단(120);
    상기 요크수단(120)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커버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부(110)와 상기 요크수단(120) 사이에는 상기 러버부(110)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레일스프링(111)이 설치되며,
    상기 요크수단(120)은,
    상기 러버부(110)의 일단 및 일측지점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s)를 갖는 제1레버부(121);
    상기 제1레버부(121)와 교차되게 상기 러버부(110)의 타단 및 타측지점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s)를 갖는 제2레버부(122);
    상기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레버부(121)와 제2레버부(122)의 교차지점에 삽입되는 힌지핀(123);을 포함하여 이루지고,
    상기 요크수단(120)에는 상기 제1레버부(121) 및 제2레버부(122)가 상기 러버부(110)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4)가 상기 힌지핀(123)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탄성부재(124)는 상기 제1레버부(121)을 가압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레버부(122)를 가압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버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장착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2연장부가 장착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s)는 등간격으로 상기 러버부(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30)에는 주행풍에 의해 상기 러버부(110)가 유리창에 밀착되도록 하는 만곡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KR1020080070599A 2008-07-21 2008-07-21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KR10097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99A KR100974702B1 (ko) 2008-07-21 2008-07-21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99A KR100974702B1 (ko) 2008-07-21 2008-07-21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00A KR20100009800A (ko) 2010-01-29
KR100974702B1 true KR100974702B1 (ko) 2010-08-06

Family

ID=4181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99A KR100974702B1 (ko) 2008-07-21 2008-07-21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86A (ko) 2014-09-24 2016-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 노즐 일체형의 와이퍼 블레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869U (ko) * 1990-11-30 1992-07-21
KR19980049652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40086586A (ko) * 2003-03-27 2004-10-11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핀 일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JP2006232078A (ja) * 2005-02-24 2006-09-07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869U (ko) * 1990-11-30 1992-07-21
KR19980049652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40086586A (ko) * 2003-03-27 2004-10-11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핀 일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JP2006232078A (ja) * 2005-02-24 2006-09-07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86A (ko) 2014-09-24 2016-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 노즐 일체형의 와이퍼 블레이드
US9707937B2 (en) 2014-09-24 2017-07-18 Hyundai Motor Company Washer nozzle integrated wiper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00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7579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HK1110560A1 (en) Adaptable windscreen flat wiper and associated detachable joining piece
KR101602961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20080034529A1 (en) Wiper blade for cleaning glass or polymeric windshields
KR10062916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US20150158462A1 (en) Windscreen wiper ar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481682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536012B1 (ko) 차량용 창유리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00974702B1 (ko)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 장치
JP2013538737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装置
US20080184516A1 (en) Windscreen Wiper Arm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H09164916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0397002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KR100820137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아답터
KR1003970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조립체
JP2006044475A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467053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381284B1 (ko) 트위스팅 와이퍼 아암
KR19980038252U (ko)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KR200202620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링크
KR200146880Y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 와이퍼의 와이핑 에어리어 변환 장치
KR100821763B1 (ko) 탈부착성이 향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9980036062U (ko) 자동차 와이퍼아암의 헤드구조
KR19980041721U (ko) 자동차 와이퍼아암의 헤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