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511Y1 - 컨넥터 캡 구조 - Google Patents

컨넥터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511Y1
KR200303511Y1 KR20-2003-0000346U KR20030000346U KR200303511Y1 KR 200303511 Y1 KR200303511 Y1 KR 200303511Y1 KR 20030000346 U KR20030000346 U KR 20030000346U KR 200303511 Y1 KR200303511 Y1 KR 200303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p
case
urethane foa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일수
Original Assignee
예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일수 filed Critical 예일수
Priority to KR20-2003-0000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5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와 같이 케이스 내부 공간에 우레탄 폼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형성시 케이스 외벽에 삽입되는 컨넥터의 결합부로부터 우레탄 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넥터에 캡이 견고하게 고정될수 있도록 컨넥터 캡의 일측에 컨넥터의 걸림턱을 감싸는 형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컨넥터의 상부를 개방형으로하여 전체적인 캡의 높이를 낮춘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컨넥터 캡 구조{Structure of connector cap}
본 고안은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산업장치에서 케이스의 내외벽 사이를 우레탄 폼으로 발포하여 단열구조를 형성시 케이스의 외벽에 천공하여 삽입된 컨넥터의 결합부로 부터 우레탄 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컨넥터에 캡이 견고하게 고정될수 있게하는 컨넥터 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컨넥터 캡은 컨넥터로 부터 쉽게 이탈하거나 느슨하게 이완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컨넥터 캡과 케이스의 접촉면을 핫멜트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으로 컨넥터 캡의 이탈방지와 컨넥터 캡과 케이스의 접촉면으로 부터 우레탄 폼의 발포시의 누출을 방지 하였다.
또한 컨넥터 캡의 상부에는 전선 결속부를 형성하여 컨넥터 단자와 연결된 다수의 전선을 하나의 묶음으로 결속하였으나, 이는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컨넥터 상부의 전선 결속부까지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여 제한된 내부 공간 활용에 지장을 초래하였으며 컨넥터 캡을 컨넥터에 결합하기 위하여는 전선을 컨넥터에 연결하기전에 캡의 결속부에 전선을 끼워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컨넥터 캡이 컨넥터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거나, 느슨하게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접착제의 사용없이도 컨넥터 캡이 케이스와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컨넥터 캡의 상부 전선 결속부가 필요로하는 공간을 축소하여 제한된 내부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컨넥터 캡의 결합후에 컨넥터에 전선을 연결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넥터 캡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컨넥터 캡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컨넥터 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컨넥터 캡의 조립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캡 2. 밀착부
3. 걸림턱 4. 걸림돌기
5. 컨넥터 6. 케이스
7. 홈 8. 로크편
9. 우레탄 폼 10. 전선
11. 전선결속부 12. 개방부
13. 테이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캡의 하부에 컨넥터의 걸림턱과 결합 할 수 있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캡의 상부에 형성된 전선 결속부를 제거하여 컨넥터 캡의 전체높이를 낮춘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컨넥터 캡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컨넥터 캡이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도이다.
컨넥터 캡(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밀착부(2)에 인접하여 컨넥터의 걸림턱(3)을 감싸는 형태의 걸림돌기(4)를 형성한다.
컨넥터(5)가 케이스(6)에 천공된 홈(7)에 삽입되면 컨넥터(5)의 선단에 형성된 로크편(8)과 걸림턱(3)에 의하여 컨넥터는 케이스(6) 벽면에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컨넥터 캡(1)의 걸림돌기(4)는 컨넥터의 걸림턱(3)과 케이스(6)사이에 게재되어 컨넥터(5)를 케이스(6)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밀착부(2)가 케이스 표면에 밀착 할 수 있게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케이스(6)내부 공간에 단열재를 충진하기 위하여 우레탄 폼(9)을 발포시 밀착부(2)를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지 않더라도 컨넥터 삽입구멍으로 부터 우레탄 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거나 캡에 외력이작용하더라도 캡이 쉽게 이탈되거나 이완되지 아니한다.
또한 컨넥터 캡(1)은 컨넥터와 결합후 캡의 높이가 컨넥터 높이와 일치할 수 있도록 캡(1)의 상부는 개방부(12)를 형성한다.
이는 컨넥터 상부에 접속되는 전선(10)이 컨넥터에 캡(1)이 씌워진 후에도 연결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아울러 캡의 상부, 즉 전선 결속부(11)로 인한 소요공간을 축소 할 수 있게하기 위한 것이며 컨넥터와 접속되는 전선은 전선 결속용 테이프(13)로 결속한다.
컨넥터 캡의 재질은 가요성의 PVC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컨넥터 캡과 컨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캡의 밀착부(2)가 변형되어 케이스(6)에 보다 확실하게 접촉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캡은 내열성을 가진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컨넥터에 쇼트가 발생시 캡이 먼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컨넥터(5)와 캡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이탈하거나 이완되지 않으며 케이스(6)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내부에 우레탄 폼(9)을 발포시에도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함이 없이 우레탄 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캡의 전체높이를 낮출수 있어 내부공간 활용이 보다 용이하고 캡을 컨넥터에씌운후에도 컨넥터에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케이스의 내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선단에 록크편(8)을 갖추어 케이스(6)의 벽면에 삽입 고정되는 컨넥터(5)에 덧 씌워지는 캡에 있어서, 캡(1)의 아래쪽 밀착부(2)에 인접하여 컨넥터의 걸림턱(3)을 감싸는 형태의 걸림돌기(4)가 형성되고, 캡의 상부는 컨넥터(5)와 같은 높이로 개방부(12)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캡의 구조.
KR20-2003-0000346U 2003-01-07 2003-01-07 컨넥터 캡 구조 KR200303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46U KR200303511Y1 (ko) 2003-01-07 2003-01-07 컨넥터 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46U KR200303511Y1 (ko) 2003-01-07 2003-01-07 컨넥터 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511Y1 true KR200303511Y1 (ko) 2003-02-07

Family

ID=4933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346U KR200303511Y1 (ko) 2003-01-07 2003-01-07 컨넥터 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5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18B1 (ko) * 2007-01-19 2009-01-14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CN114024166A (zh) * 2021-09-26 2022-02-0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线缆组件及线缆组件的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18B1 (ko) * 2007-01-19 2009-01-14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CN114024166A (zh) * 2021-09-26 2022-02-0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线缆组件及线缆组件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550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장치
KR100754765B1 (ko)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KR200303511Y1 (ko) 컨넥터 캡 구조
US6254431B1 (en) Waterproof connector
CN102570162A (zh) 电连接器
KR101017955B1 (ko) 콘센트 커버
JP6052983B2 (ja) 冷蔵庫用扉のヒーター配線構造
KR102412678B1 (ko) 밀폐형 커넥터
CN103347792B (zh) 用于气密容器的手柄组件
KR200413968Y1 (ko) 누전 방지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CN207835764U (zh) 音箱
KR20130064837A (ko) 밀폐 구조의 커넥터
KR200142801Y1 (ko)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0878318B1 (ko)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KR100889833B1 (ko) 전선 커플링장치
CN111435772A (zh)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KR20080003684U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200384662Y1 (ko) 볼트 절연캡 장치
KR101638179B1 (ko)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CN216916936U (zh) 一种餐盒连接结构
CN217468930U (zh) 一种模压内芯防水连接器
KR200400286Y1 (ko) 컨넥터 삽착부의 밀봉구조
CN215306922U (zh) 具有强密封按键的电动牙刷
CN216408915U (zh) 一种新型路灯防水接头
KR200314818Y1 (ko) 방수기능을 가지는 멀티탭과 플러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