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318B1 -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318B1
KR100878318B1 KR1020070006235A KR20070006235A KR100878318B1 KR 100878318 B1 KR100878318 B1 KR 100878318B1 KR 1020070006235 A KR1020070006235 A KR 1020070006235A KR 20070006235 A KR20070006235 A KR 20070006235A KR 100878318 B1 KR100878318 B1 KR 10087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connector housing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431A (ko
Inventor
최성국
안현근
이승환
하태호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Priority to KR102007000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3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인 폴리우레탄 폼이 발포되는 벽면에 부착되어 단열재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에 전원 공급 기능을 하되, 발포된 단열재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은, 제품 내부의 격벽 사이에 발포되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에 내장되어 단열재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 짓는 벽면에 부착되되, 몸체 중심부에 커넥터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면으로 상기 커넥터 삽입구를 통해 단자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커넥터 몸체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가 맞닿아 상기 커넥터 몸체의 개방면을 덮어 밀폐시키며,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다수개의 반원홈이 형성되되, 상기 반원홈은 인접한 반원홈과 서로 맞닿아 상기 단자선을 삽입시키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와, 상기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된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에서 상기 단자선을 고정시키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단자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커넥터, 단열재, 폴리우레탄 폼, TPA

Description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A connector housing with a sealing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를 적용하여 벽면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자위치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커넥터 하우징 110 : 고정판
120 : 커넥터 몸체 130 : 점착 테이프
140 : 걸림돌기 150 : 코어부
200 : 단자위치고정부 210 : 단자위치고정부 몸체
220 : 반원홈 230 : 지지판
240 : 걸림판 250 : 걸림홈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인 폴리우레탄 폼이 발포되는 벽면에 부착되어 단열재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에 전원공급 기능을 하되, 발포된 단열재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징(housing)이라 함은 기계의 부품이나 기구를 싸서 보호하는 틀로서, 물을 이용하는 세탁기나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제품에 구성된 하네스(harness) 연결부를 방수시키거나, 냉장고 등과 같은 제품처럼 단열을 목적으로 제품 내부에 단열재를 발포시켜 연결부를 씰링(sealing)함으로써 발포된 단열재가 연결부의 틈새로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항공기, 우주선 등과 같이 실내외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나 응축수에 의해서 연결부가 전기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냉장고 등에 적용되는 폼 내장용 커넥터 하우징은 단열재인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이 발포되는 격벽 내부에 위치하여, 단열재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 짓는 내부 벽면에 부착됨으로써 단열재의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 등에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폼 내장용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단열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우레탄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발포 과정을 통해 원래 체적보다 10배 이상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 발포액의 체적 변화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에 내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당한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커넥터 하우징과 벽면 사이의 부착 부분이나 커넥터 하우징 자체의 내부 틈새를 통하여 발포된 단열재가 누설되어 전원 연결부인 단자의 접촉불량이나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자선은 전선 끝에 상호 대응하여 체결되는 암수 단자가 각각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러한 암수 단자선의 체결만으로도 단자선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것처럼, 발포된 폴리우레탄 폼에 내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인 경우에는 발포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단자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단열재가 발포되기 때문에 단자 이탈에 따라 단자를 재체결을 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 따라서, 단자선이 커넥터에서 이탈되는 것을 좀더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2차적인 수단으로써 단자위치고정부(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를 사용하여 단자선과 커넥터의 결속력을 기계적인 구조로 확보하고 있다. 즉, 단자위치고정부는 단자선의 돌출부위를 커넥터 몸체 내부에서 일탈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주어 단자선이 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단자위치고정부는 커넥터 내부 구조인 코어의 형상에 따라서 삽입된 단자선이 정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에 부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판에는 이형지(release paper)가 점착면에 붙여진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를 부착하여 벽면과의 접촉력을 강화하고, 커넥터 하우징 자체의 틈새, 즉 커넥터 하우징 자체의 금형구조에 의한 틈새 및 제품 연결부위의 조립 공차에 의한 틈새를 막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커넥터의 외부에 스폰지 및 테이프를 감아 연결함으로써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에 내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에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폰지는 발포액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녹아버리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단열재인 발포액의 누설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커넥터를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판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관통구에 커넥터가 결합된 후에도 관통구 자체의 밀폐성이 떨어지며, 관통구의 틈새를 막기 위해서 스폰지와 테이프 등의 방액 수단을 적용하지만, 이 경우에도 스폰지가 발포액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녹아버리게 되어 발포액이 관통구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을 목적으로 발포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자체적으로 밀폐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방액 수단의 사용 없이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단열재의 내, 외부 사이에서 전원공급을 위해 내, 외부의 경계면에 부착되는 고정판과, 부착된 고정판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단자선이 끼워지는 커넥터 몸체와, 끼워진 단자선이 커넥터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커넥터 몸체를 덮어 밀폐시키는 단자위치고정부로 구성된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은, 제품 내부의 격벽 사이에 발포되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에 내장되어 단열재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 짓는 벽면에 부착되되, 몸체 중심부에 커넥터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면으로 상기 커넥터 삽입구를 통해 단자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커넥터 몸체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가 맞닿아 상기 커넥터 몸체의 개방면을 덮어 밀폐시키며,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다수개의 반원홈이 형성되되, 상기 반원홈은 인접한 반원홈과 서로 맞닿아 상기 단자선을 삽입시키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와, 상기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된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에서 상기 단자선을 고정시키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단자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10) 및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암수커넥터(20, 30)를 살펴보면, 우선 커넥터 하우징(10)은 벽면에 점착 테이프(13)를 통해 부착되는 고정판(11)과, 고정판(11)과 일체로 이루어져 커넥터(20)가 삽입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방지틀(12)로 구성된다.
고정판(11)의 일 측면에는 테이프(13)가 부착되는데, 부착과정 전에는 이형지를 통해 점착 테이프(13)의 점착면이 보호된다. 또한, 고정판(11)에는 몸체를 관통하며 커넥터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판(11)을 경계로 단열재가 발포되는 내부와 외부에 각각 구비되는 단자선(40a, 40b)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하우징(10)에는 다수개의 단자선(40a, 40b)이 끼워진 한 쌍의 암수 커넥터(20, 30)가 고정판(11)의 양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호 연결된다.
단열재가 발포되는 내부 영역, 즉 고정판(11)에 일체로 이루어진 방지틀(12)이 구비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암커넥터(20)는 몸체(21)가 커넥터 삽입구(14)에 끼워지고, 커넥터 삽입구(14)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커넥터 몸체(21)의 외부 상하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된 잠금부(22)와, 끼워진 커넥터 몸체(21)가 단열재의 외부 영역으로 빠지지 않도록 커넥터 몸체(21)의 외부면 둘레에 돌출된 스톱퍼(23) 및 암커넥터(20)의 개방되는 면으로 삽입되는 단자위치고정부(26)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가 발포되는 내부 영역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암커넥터(20)가 위치하게 되고, 단열재의 외부 영역에는 암커넥터(20)와 한 쌍을 이루어 결합하는 수커넥터(30)가 구성된다.
수커넥터(30)는 몸체가 암커넥터(20)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암커넥터(20)에 구성된 잠금부(22) 및 스톱퍼(23)가 구비되지 않으며 커넥터 몸체(31)의 크기도 작다. 그러나 수커넥터(30)에도 단자선(40b)이 삽입되기 때문에 걸림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34)에 단자위치고정부(36)가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한 쌍의 암수 커넥터(20, 30)는 서로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몸체 크기가 결정되며 코어부(25, 35)의 형상 및 구조가 결정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를 적용하여 벽면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언급한 커넥터 하우징(10)의 고정판(11)이 점착 테이프(13)를 통해 벽면(90)에 부착되고, 한 쌍의 암수 커넥터(20, 30)가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단열재 내부와 외부를 단자선(40a, 40b)으로 연결시킨다.
벽면(90)의 좌측 영역, 즉 고정판(11)에서 방지틀(12)이 부착된 영역에는 암커넥터(20)에는 발포된 단열재가 커넥터 하우징(10)을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방액 수단인 스폰지(50)와 테이프(60)가 사용된다. 스폰지(50)는 암커넥터 몸체(21)와 커넥터(20)에 삽입된 단자선(40a) 일부를 감싸 암커넥터(20)에 고정되는 단자위치고정부(26)는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스폰지(50)가 감싸인 암커넥터(20)를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한 후, 스폰지(50)의 외부와 커넥터 하우징(10)의 방지틀(12)이 고정되고, 누설되는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테이프(60)를 감싸준다.
한편, 암넥터(20)가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방지틀(12) 내부로 감싸진 스폰지(50)도 밀려 들어가면서 암커넥터(20)와 커넥터 삽입구(14; 도 1참조) 사 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막아주어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해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10)과 한 쌍의 암수 커넥터(20, 30)의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자선이 빠지지 않도록 단자선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자위치고정부(26)는 위치고정 역할뿐만 아니라 커넥터 몸체(120)의 개방면을 밀폐하는 역할도 가지도록 덮개 형상으로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100)은 단열재가 발포되는 격벽 내부에 내장되는데, 격벽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 짓는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판(110)과, 고정판(110)의 양 측면으로 단자선(4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판(1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몸체 외부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커넥터 몸체(120)와, 커넥터 몸체(120)에 삽입되는 단자선(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반원홈(220)이 형성되어 커넥터 몸체(120)와의 결합시 인접한 반원홈(220)과 서로 맞닿아 단자선(40)이 끼워지는 관통구가 만들어지고 커넥터 몸체(120)의 개방되는 면을 덮을 수 있는 단자위치고정부(200)로 이루어진다.
고정판(110)의 중앙부에는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판(110)의 양 측면에 결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 몸체(120)를 통해 단열재가 발포되는 내부 영역과 단열재의 외부 영역을 단자선(40)을 통해 연결시킨다.
고정판(110)의 일 측면에는 고정판(110)의 면적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는 점 착 테이프(130)가 부착되어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100)이 벽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단열재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110)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부착되는 벽면의 형상에 따라 고정판(110)의 형상도 일부 굴절되는 등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중공형인 한 쌍의 커넥터 몸체(120)의 크기 및 커넥터 몸체(120) 내부를 구획하는 코어부(150)는 단자선(40)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외부 크기 및 코어부(150)의 격벽 모양 및 구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몸체(120)의 내부 구조인 코어부(150)의 격벽 구조를 6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역에 1개씩의 단자선(40)이 삽입되도록 형성하였다.
한편, 코어부(150)의 격벽 구조에 삽입되는 단자선(40)은 도 1에 도시된 암수 단자선(40a, 40b)와 동일한 단자 구조로 이루어져 코어부(150)에서 용이하게 결속되어 진다.
단자위치고정부(200)는 측면에 반원홈(220)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단자위치고정부 몸체(210)와, 커넥터 몸체(120)에 삽입된 단자선(40)을 위치고정시키는 지지판(230)과, 커넥터 몸체(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40)에 끼워지는 걸림홈(250)이 구비된 걸림판(240)으로 구성되는데, 단자위치고정부(200)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자위치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자위치고정부(200)는 단자선(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과 얇은 판 형태로 단자선(40)을 커넥터 몸체(120) 내부로 삽입되도록 끼울 수 있되, 커넥터 몸체(120)의 개방되는 면을 덮어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위치고정부(200)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사출성형을 통해 만들어진다.
단자위치고정부(200)는 크게 두 가지 모양으로 나뉘는데, 커넥터 몸체(120)에 결합시 바깥 쪽에 위치함으로써 단자위치고정부 몸체(210)의 일 측면에만 다수개의 반원홈(220)이 형성되는 A타입과, A타입 사이에 위치하여 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다수개의 반원홈(220)이 형성되는 B타입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단자선(40)의 수가 총 6개이어서 6개의 관통구를 만들 수 있도록 일측면에 3개의 반원홈(220)이 형성된 A타입 2개와 총 6개의 반원홈(220)이 형성된 B타입 1개의 단자위치고정부(200)가 사용되었지만, 삽입되는 단자선(40)의 개수에 따라서 자유롭게 B타입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몸체에 형성된 반원홈(220)의 개수도 바꿀 수 있다.
또한, 반원홈(220)의 직경도 단자선(40)의 종류에 따른 직경에 따라서 확대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반원홈(220)의 표면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매끄럽게 사출 성형되지 않고, 사출 성형시 발생하는 버(Burr)가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커넥터 몸체(120)로 삽입되는 단자선(40)이 인접한 반원홈(220)이 서로 맞닿아 형성된 관통구에 보다 밀착되도록 하여 관통구에 형성된 틈새를 줄임으로써 단열재가 새지 않도록 한다.
즉, A타입과 B타입 또는 두 개의 B타입의 분할된 단자위치고정부 몸체(210)에 각각 형성된 반원홈(220)이 서로 맞닿아 관통구가 형성되는데, 반원홈(220)의 표면에 매끄럽게 제거되지 않은 버에 의해 관통구의 직경이 단자선(40)의 직경보다 부분적으로 작게 되어 단자선(40)이 삽입되면 커넥터 몸체(140)는 밀폐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버를 통해서 피복으로 덮여져 있는 단자선(40)과의 마찰력를 증가시켜서 단자선(40)이 커넥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은 단열재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서 단열재인 폴리우레탄 폼이 발포되는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양 측면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고정판과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커넥터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자선을 고정시켜 주는 단자위치고정부를 커넥터의 덮개 형상으로 변형시켜 커넥터 내부가 단열재로부터 밀폐되도록 하되, 단자위치고정부는 다수 개로 분할 가능하고, 분할된 단자위치고정부에는 각각 반원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넥터 몸체에 결합시 단자선이 밀착되어 끼워지는 관통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여 발포액 누설로 인한 불량 제품을 재처리하지 않음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방액 수단인 스폰지 및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제품 내부의 격벽 사이에 발포되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에 내장되어 단열재 외부에 구성된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 짓는 벽면에 부착되되, 몸체 중심부에 커넥터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면으로 상기 커넥터 삽입구를 통해 단자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커넥터 몸체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가 맞닿아 상기 커넥터 몸체의 개방면을 덮어 밀폐시키며,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다수개의 반원홈이 형성되되, 상기 반원홈은 인접한 반원홈과 서로 맞닿아 상기 단자선을 삽입시키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와, 상기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된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에서 상기 단자선을 고정시키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단자위치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부착되는 상기 벽면의 굴곡에 따라 굴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고정부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위치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반원홈의 표면에는 상기 반원홈이 인접한 반원홈과 맞닿아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에 상기 단자선을 보다 밀착시켜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로 단열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출성형을 통한 버(Bur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고정부 몸체에 형성된 상기 반원홈의 개수 및 직경은 상기 단자선의 개수 및 직경에 따라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KR1020070006235A 2007-01-19 2007-01-19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KR10087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35A KR100878318B1 (ko) 2007-01-19 2007-01-19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35A KR100878318B1 (ko) 2007-01-19 2007-01-19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31A KR20080068431A (ko) 2008-07-23
KR100878318B1 true KR100878318B1 (ko) 2009-01-14

Family

ID=3982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35A KR100878318B1 (ko) 2007-01-19 2007-01-19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9030A (zh) * 2020-10-23 2021-01-05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多孔位塑壳连接器安装卡盘
CN113838606A (zh) * 2021-09-23 2021-12-24 厦门精远电子有限公司 一种多接头的端子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612B2 (ja) * 1989-07-19 1999-02-0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0144480Y1 (ko) * 1995-08-29 1999-06-15 류정열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KR200303511Y1 (ko) * 2003-01-07 2003-02-07 예일수 컨넥터 캡 구조
KR200400286Y1 (ko) 2005-08-24 2005-11-04 이주태 컨넥터 삽착부의 밀봉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612B2 (ja) * 1989-07-19 1999-02-0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0144480Y1 (ko) * 1995-08-29 1999-06-15 류정열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KR200303511Y1 (ko) * 2003-01-07 2003-02-07 예일수 컨넥터 캡 구조
KR200400286Y1 (ko) 2005-08-24 2005-11-04 이주태 컨넥터 삽착부의 밀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31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8196A (en) Insulated wiring harness for domestic refrigerator
US10476189B2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50003709A1 (en) Cable with waterproof plug, connector cable with waterproof plug, manufacturing method of cable with waterproof plug,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able with waterproof plug and terminal
KR100684550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장치
JP4464892B2 (ja) コネクタ
US20060223351A1 (en) Wire harness fixing device
JP2006302850A (ja) 防水パッキンとそれを用いた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6706A (ja)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US9653843B2 (en) Connector
CN103392264A (zh) 扁平电路连接器
KR100878318B1 (ko) 밀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US20090181571A1 (en) Sealed cartridge electrical interconnect
TWI705622B (zh) 連接器
JP5720590B2 (ja) コネクタ
EP4084248A1 (en) Bushing module and device having lead-out wires
KR20130064837A (ko) 밀폐 구조의 커넥터
JP4525674B2 (ja) スプライス部の止水構造
JP2007311351A (ja) 2つのハーフシェルから形成されたゲルシールを備えたコネクタ部材
JP2019003779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CN206788418U (zh) 光模块封装
KR200445799Y1 (ko) 커넥터
KR20060000215A (ko) 냉장고 하니스 하우징
KR101337218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20050022436A (ko) 밀폐형 커넥터
JP200819254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