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683Y1 - 핸들링장치 - Google Patents

핸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683Y1
KR200301683Y1 KR20-2002-0028545U KR20020028545U KR200301683Y1 KR 200301683 Y1 KR200301683 Y1 KR 200301683Y1 KR 20020028545 U KR20020028545 U KR 20020028545U KR 200301683 Y1 KR200301683 Y1 KR 200301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ate
rotating
handling devic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산기
Priority to KR20-2002-0028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8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중량의 물체를 운반하고 방향을 전환시켜 주도록 된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홀더에 파지된 물품은 회전장치에 의해 반향을 전환시키고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방향을 수평 및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며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킨 상태에서 평행이동장치에 의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정의 위치에 있는 물품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켜 정확하게 공급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조하고 조작 이용할 수 있으며, 경·중량체의 물품을 다루는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들링장치 { A Handling Apparatus }
본 고안은 경·중량의 물체를 운반하고 방향을 전환시켜 주도록 된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레일을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베이스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베이스플레이트에는 회전판을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하되 회전판에는 메인지주와 밸런싱에어호이스트를 장착하며, 메인지주에는 보조지주를 상하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밸런싱에어호이스트의 로드와이어를 조조지주에 연결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보조지주의 하단에 복수개의 홀더가 등간격으로 장착된 작동판을 굴대설치하여 실린더에 의해 방향을 수평 및 수직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밸런싱 에어 호이스트만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생산하는 라인에서와 같이 각종 경·중량체의 물품을 소정의 장소로 운반하고 운반된 물품을 조립 및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주로 사용하였으며, 작업자가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물품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에어 호이스트로서는 미국특허 등록 제 5,522,581호가 알려져 있다.
이는 원통형으로 된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는 스크류봉이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인입 및 배출되는 엔드캡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입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스크류봉의 소정의 스트로크의 범위내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피스톤이 왕복운동할 때에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릴이 정역으로 회전되면서 단부에 후크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로프를 릴에 회권시키거나 회권된 와이어로프를 풀어주면서 경·중량체의 물품을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인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998-33732호 "밸런싱 에어 호이스트"를 제안하였다.
이는 하우징의 일측 엔드캡에 장착되어 하우징의 내부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에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부하발생방지수단과, 상승되는 후크를 정지시킬 때에 피스톤 챔버로부터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시켜 플로팅기능으로 전환시켜 주는 점핑방지용 밸브를 매니폴더에 장착하며, 펜던트 스위치를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조작할 때에 피스톤 챔버에 인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시켜 릴이 급속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후크가 급상승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들, 단순한 밸런싱 에어 호이스만으로 된 장치는 경·중량체의 물품을 특정한 지역에 까지는 다소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었으나, 물품의 방향을 자유스럽게 전환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동시킨 물체를 특정한 위치(장소)에 정확하게 투입하거나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홀더가 등간격으로 장착된 작동판을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장치에 의해 평행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방향을 수평 및 수직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홀더에 의해 물품을 파지하고 물품의 파지된 홀더를 수평이동장치에 의해 수평이동시키고 승하강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상하이동시키며, 회전장치에 의해 평행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수평 및 수직상태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있도록 하여, 경·중량체의 물품을 특정한 장소나 위치에 정확하게 이동시키고 공급(투입)시킬 수 있도록 된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로드와이어(19)의 하단에 후크가 장착된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레일(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한쌍의 레일(2)을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고 하측에 회전장치(1-2)가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3)를 레일(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평행이동장치(1-1)와,
베이스플레이트(3)에는 하측에 승하강장치(1-3)가 장착되는 회전판(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장치(1-2)와,
회전판(13)에는 하측에 방향전환장치(1-4)가 장착되는 보조지주(30)를 메인지주(20)에서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1-3)와,
보조지주(30)의 하단에 굴대 설치되는 복수개의 홀더(33)가 장착된 작동판(32)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방향전환시켜 주는 방향전환장치(1-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의 적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핸들링장치 2. 레일 3. 베이스플레이트
5. 이동장치 10. 회전축하우징 12. 회전축
13. 회전판 15. 서포트파이프 18. 밸선싱에어호이스트
19. 로드와이어 20. 메인지주 22. 승하강판
23. 지지바 24. 가이드블럭 25. LM가이드
30. 승하강보조지주 32. 작동판 33. 홀더
35. 실린더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방향전환장치(1-4)에 의해 방향을 전환되는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1)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홀더(33)가 장착된 작동판(32)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평행이동장치(1-1)와, 수평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장치(1-2)와, 수직선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승하강장치(1-3)와,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방향을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방향전환장치(1-4)로 크게 구성하였다.
평행이동장치(1-1)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정의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평행하게 설치하여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면 4곳에 장착된 이동장치(5)의 바퀴(7)를 삽입하였는데, 상기 이동장치(5)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면 4곳에 장착편(8)을 고정시켰고 각장착편(8)에는 양측에 2개씩의 바퀴(7)가 굴대 설치된 이동편(6)을 고정시켰으며, 상기 전후에 위치하는 각 이동편(6)의 바퀴(7)를 각 가이드레일(2)에 삽입하여 바퀴(7)의 롤링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승하강장치(1-3)가 장착된 회전판(13)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2)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중앙선상에서 상면에는 지지봉(3-1)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호하우징(4)에 의해 보호하도록 하였고 저면에는 회전축하우징(10)의 플랜지(10-1)를 통상의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이들은 수직으로 연통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수직으로 연통되는 지지봉(3-1)과 회전축하우징(10)의 내부에는 회전판(13)의 상면 중앙에 직립으로 고정된 회전축(12)을 삽입하여 장착하되 회전측하우징(10)의 내주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환상단턱벽(10-2)의 상·하측에는 베어링(11)을 개입시켜 자유롭게 회전되고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하되 상측의 베어링은 테이퍼롤러베어링(11-1)을 장착하였고 하측의 베어링은 트러스트베어링(11-2)을 장착하였다.
회전판(13)의 하측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1-3)는, 회전판(13)의 저면에 장착판(14)을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하였고, 장착판(14)의 저면에는 한쌍의 서포트파이프(15)를 이격시켜 나란하게 고정시키되 서포트파이프(15)의 내면 전방측에는 고정편(16)을 각각 고정시켜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의 상면 중앙에 고정된 장착편(17)을 장착하고 후방측에는 메인지주(20)의 상단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켰으며, 메인지주(20)의 저면에는 LM가이드(25)를 수직으로 길게 장착하고 승하강판(22)의 저면에 상하 이중으로 장착된 가이드블럭(24)을 결합하여 가이드블럭(24)이 LM가이드(25)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승하강판(22)의 저면에는 상면에 고정편(27)이 고정된 지지바(23)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시켜 고정편(27)에는 로드후크(26)를 장착하여 밸런싱에어호이스크(18)의 로드와이어(19)를 연결 고정시켰다.
상기 지지바(23)의 전방에는 보조지주(30)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보조지주(30)의 하단에는 방향전환장치(1-4)를 장착하였다.
상기 방향전환장치(1-4)는, 홀더(33)가 등간격으로 장차된 작동판(32)을 축(31)으로 굴대 설치하였고, 보조지주(34)의 중간부와 작동판(32)에는 상측장착편(34)과 하측장착편(36)을 고정시켜 상측장착편(34)에는 에어실린더(35)의 후단을 축(38)으로 장착하고 하측장착편(36)에는 에어실린더(35)의 로드(35-1)의 선단을 축(37)으로 장착하였으며, 특히 보조지주(30)의 배면 하단에는 스톱퍼(39)를 고정시켜 작동판(32)의 작동범위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또한, 메인지주(20)의 하단 일측에는 전기압력스위치(40)를 설치하였고, 그 상측에 지지바(43)를 고정시켜 핸드밸브(41)와 업/다운핸들(42)을 설치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다른 핸들링장치(1)를 레일(2)을 따라 소정의 이동시킬 제품이 있는 장소(위치)로 이동시킨다.
핸들링장치(1)의 이동은 메인지주(20)를 밀어주게 되면 평행이동장치(1-1)의 바퀴(7)가 롤링되어지므로 핸들링장치(1)의 전체를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동편(6)의 양측에 2개씩 굴대 설치된 바퀴가 각각의 레일(2)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핸들링장치(1)는 흔들림 없이 자연스러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핸들링장치(1)는 회전장치(1-2)에 의해 방향전환장치(1-4)를 포함하여 승하강장치(1-3)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승하강장치(1-3)의 메인지주(20) 또는 지지바(23)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판(13)의 상면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12)이 지지봉(3-1)과 회전축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판(13)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승하강장치(1-3)와 방향전환장치(1-4)도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홀더(33)를 어느 방향으로 든 전환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1)는 승하강장치(1-3)에 의해 홀더(33)를 포함하는 방향전환장치(1-4)를 다음과 같이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향되어 있는 홀더(33)를 포함하는 방향전환장치(1-4)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업/다운핸들(42)을 업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가 작동하여 길게 인출되어 있는 로드와이어(19)를 회권시켜 주게 되고, 로드와이어(19)가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의 내부에 회권되어지면 로드와이어(19)에 연결된 로드후크(26)와 함께 지지바(23)가 고정되어 있는 승하강판(22)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후크(26)와 함께 지지바(23)가 고정되어 있는 승하강판(22)이 상승할 때에 승하강판(22)의 배면에 고정된 가이드블럭(24)이 메인지주(20)에 고정된 LM가이드(2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홀더(33)를 포함하는 방향전환장치(1-4)는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홀더(33)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여 업/다운핸들(42)을 중립의 위치로 전환시켜 주게 되면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의 작동이중지되면서 홀더(33)는 소정의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승하강판(22)이 상단까지 상승할 때에 업쇼바(21)는 승하강판(22)의 상승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상승되어 있는 홀더(33)를 포함하는 방향전환장치(1-4)를 하향시키고자 할 때에는 업/다운핸들(42)을 다운의 위치로 전환시켜 주며, 업/다운핸들(42)을 다운의 위치로 전환시켜 주면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가 역으로 작동하여 회권되어 있는 로드와이어(19)를 풀어 인출시켜 주게 되고, 로드와이어(19)가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의 내부에서 풀어져 인출되어지면 로드와이어(19)에 연결된 로드후크(26)와 함께 지지바(23)가 고정되어 있는 승하강판(22)도 하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후크(26)와 함께 지지바(23)가 고정되어 있는 승하강판(22)이 하향할 때에 승하강판(22)의 배면에 고정된 가이드블럭(24)이 메인지주(20)에 고정된 LM가이드(2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홀더(33)를 포함하는 방향전환장치(1-4)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하향하게 되며, 홀더(33)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여 업/다운핸들(42)을 중립의 위치로 전환시켜 주게 되면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의 작동이 중지되면서 홀더(33)는 하향된 소정의 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핸들링장치(1)를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홀더(33)를 이용하여 이송시킬 물품을 파지하며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홀더(33)가 진공흡입장치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진공흡입에 의해 흡착하므로 금속/비금속 등 재질에 상관 없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마그네트장치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홀더(33)를 전기압력스위치(40)를 조작하여 전기를 공급시켜 자성을 갖게 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흡착할 수 있게 된다.
물품을 파지하고 있지 않거나 물품을 파지한 홀더(33)는 방향전환장치(1-4)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방향을 전환시켜 준다.
도 1a에 예시된바와 같이 홀더(33)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이 수직상태로 전환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핸드밸브(40)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35)를 작동시키면 수납되어 있던 로드(35-1)가 인출되면서 하측장착편(36)과 함께 작동판(32)을 밀어주게 되고, 작동판(32)은 보조지주(30)의 하단에 장착된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판(32)은 그의 배면이 보조지주(30)의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된 스톱퍼(39)와 접촉되면서 정지하게 되므로 작동판(32)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작동판(32)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33)도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수직상태에서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수평상태로 전환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핸드밸브(40)를 역으로 조작하게 되면 에어실린더(35)가 역으로 작동하면서 인출되어 있는 로드(35-1)가 수납되어지고, 로드(35-1)가 수납되어지면서 작동판(32)을 당기게 되므로 수직상태에 있던 작동판(32)은 축(3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a에 에시된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작동판(32)과 일체로 된 홀더(33)도 수평상태로 전환되어진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1)는 홀더(33)에 의해 물품을 파지하고, 방향전환장치(1-4)에 의해 홀더(33)에 파지된 물품의 방향을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전환시키며, 회전장치(1-2)에 의해서는 파지된 물품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주며, 승하강장치(1-3)에 의해서는 파지된 물품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평행이동장치(1-1)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정의 위치(장소)에 있는 물품을 특정한 위치(장소)로 이동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링장치는, 홀더에 파지된 물품은 회전장치에 의해 반향을 전환시키고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방향을 수평 및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며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킨 상태에서 평행이동장치에 의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정의 위치에 있는 물품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켜 정확하게 공급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조하고 조작 우뇽할 수 있으며, 경·중량체의 물품을 다루는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로드와이어(19)의 하단에 후크가 장착된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레일(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한쌍의 레일(2)을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고 하측에 회전장치(1-2)가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3)를 레일(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평행이동장치(1-1)와,
    베이스플레이트(3)에는 하측에 승하강장치(1-3)가 장착되는 회전판(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장치(1-2)와,
    회전판(13)에는 하측에 방향전환장치(1-4)가 장착되는 보조지주(30)를 메인지주(20)에서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1-3)와,
    보조지주(30)의 하단에 굴대 설치되는 복수개의 홀더(33)가 장착된 작동판(32)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방향전환시켜 주는 방향전환장치(1-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행이동장치(1-1)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평행하게 설치한 것과,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면 4곳에 이동장치(5)를 장착하여 전후에 위치하는 이동장치(5)의 바퀴(7)를 삽입한 것과,
    상기 이동장치(5)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면 4곳에 장착편(8)을 고정시키고 각 장착편(8)에는 양측에 2개씩의 바퀴(7)가 굴대 설치된 이동편(6)을 고정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장치(1-2)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중앙선상에서 상면에는 지지봉(3-1)을 일체로 형성하고 저면에는 회전축하우징(10)의 플랜지(10-1)를 서로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고정시킨 것과,
    지지봉(3-1)과 회전축하우징(10)의 내부에는 회전판(13)의 상면 중앙에 직립으로 고정된 회전축(12)을 삽입하여 장착하되 회전측하우징(10)의 내주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환상단턱벽(10-2)의 상·하측에는 베어링(11)을 개입시켜 장착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승하강장치(1-3)는,
    회전판(13)의 저면에 장착 고정되는 장착판(14)의 저면에는 한쌍의 서포트파이프(15)를 이격시켜 나란하게 고정시키되 서포트파이프(15)의 내면 전방측에는 고정편(16)을 각각 고정시켜 밸런싱에어호이스트(18)의 상면 중앙에 고정된 장착편(17)을 장착하고 후방측에는 메인지주(20)의 상단을 일체형으로 고정시킨 것과,
    메인지주(20)의 저면에는 LM가이드(25)를 수직으로 길게 장착하고 승하강판(22)의 저면에 상하 이중으로 장착된 가이드블럭(24)을 결합하여 가이드블럭(24)이 LM가이드(25)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과,
    상기 승하강판(22)의 저면에는 상면에 고정편(27)이 고정된 지지바(23)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시켜 고정편(27)에는 로드후크(26)를 장착하여 밸런싱에어호이스크(18)의 로드와이어(19)를 연결 고정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1-4)는,
    지지바(23)의 전방에는 보조지주(30)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보조지주(30)의 하단에는 홀더(33)가 장착된 작동판(32)을 축(31)으로 굴대 설치한 것과,
    보조지주(34)의 중간부와 작동판(32)과의 사에에는 에어실린더(35)의 후단과 로드(35-1)의 선단을 축(38)(37)으로 장착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장치(1-3)에서 회전축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어링(11)은,
    상측은 테이퍼롤러베어링(11-1)을 장착하고, 하측은 트러스트베어링(11-2)을 장착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1-4)에서 보조지주(30)의 배면 하단에는 작동판(32)의 작동범위를 제어하는 스톱퍼(39)를 고정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1-4)의 홀더(33)는 진공흡착,마그네트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장치.
KR20-2002-0028545U 2002-09-24 2002-09-24 핸들링장치 KR200301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45U KR200301683Y1 (ko) 2002-09-24 2002-09-24 핸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45U KR200301683Y1 (ko) 2002-09-24 2002-09-24 핸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683Y1 true KR200301683Y1 (ko) 2003-01-29

Family

ID=4939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45U KR200301683Y1 (ko) 2002-09-24 2002-09-24 핸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6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36B1 (ko) 2005-10-25 2007-05-02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
KR101416379B1 (ko) * 2012-12-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트랜스미션 로딩장치
CN117848398A (zh) * 2024-03-05 2024-04-09 山东鸿驰测绘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测量的多方位测量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36B1 (ko) 2005-10-25 2007-05-02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
KR101416379B1 (ko) * 2012-12-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트랜스미션 로딩장치
CN117848398A (zh) * 2024-03-05 2024-04-09 山东鸿驰测绘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测量的多方位测量装置
CN117848398B (zh) * 2024-03-05 2024-05-14 山东鸿驰测绘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测量的多方位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756A (en) Manipulation and transport device for rolled materials
JP2009539732A (ja) 延長フォークを有するパレット台車
KR20090057630A (ko)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20160063830A (ko) 자동 이송대차
US5372469A (en) Parcel cart for coil-shaped objects
KR200301683Y1 (ko) 핸들링장치
KR100342254B1 (ko)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CN113044734B (zh) 一种面向集装箱的正面吊
CN211393753U (zh) 一种夹持叉车
JPH09285928A (ja) チャック装置及び物品回転装置
KR101870678B1 (ko) 정밀설비용 탄성지지형 에어케스터 운반장치
JPH05139316A (ja) 筒状又は柱状の物体の運搬装置
JPH06206613A (ja) 搬送装置
JP2007223741A (ja) ワーク搬送装置
CN209974250U (zh) 顶升机构、取件机构、搬运装置
KR101829588B1 (ko)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CN111960273A (zh) 机械加工用精准下料式行吊
CN111186761A (zh) 一种工件翻转装置
JP2008308052A (ja) 車両用ドラムリムーバ
CN214828730U (zh) 一种手动拾起工装转运装置
CN113003429B (zh) 一种汽车生产线用可升降吊具
JPH082888A (ja) 運搬装置
CN217377192U (zh) 一种导轨式液压升降作业平台
CN214686220U (zh) 一种用于叉车护顶架装配的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