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914A - 보조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914A
KR20030095914A KR1020020033535A KR20020033535A KR20030095914A KR 20030095914 A KR20030095914 A KR 20030095914A KR 1020020033535 A KR1020020033535 A KR 1020020033535A KR 20020033535 A KR20020033535 A KR 20020033535A KR 20030095914 A KR20030095914 A KR 20030095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lower case
automatic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예식
Original Assignee
민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예식 filed Critical 민예식
Priority to KR102002003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5914A/ko
Publication of KR2003009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of shapes different from point-like or linear, e.g. circul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2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of polygonal shape, e.g. square or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어의 외측에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설치 자체도 전혀 알 수 없도록 도어의 내측에 설치하여 열쇠(key)나 비밀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면 접속이 이루어지기 전에 착신벨(Ring)신호에 의해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자동 자물쇠 기구는 외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화망 접속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외부 전원의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배터리;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하부 케이스로부터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잠금쇠;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잠금쇠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 도어의 잠금시 잠금쇠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잠금쇠 삽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걸림쇠; 및 걸림쇠와 걸림쇠의 인접된 부분의 하부케이스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보조 도어 록 장치{Lock apparatus of door}
본 발명은 현관문의 보조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일측에 보조용으로 설치되어 잠겨진 상태의 자동 자물쇠 기구를 번호 키(key), 열쇠 및 지문 인식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전화를 이용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옥내)에는 불법으로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록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 록 장치에는 메인 도어 록 장치와 보조 도어 록 장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으 도어 록 장치 중 메인 도어 록 장치는 대체적으로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기능은 물론,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겸비된다. 이러한 메인 도어 록 장치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열쇠(key)의 조작을 통해 자물쇠를 잠금 하거나 잠금해제시키는 기계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보조 도어 록 장치의 경우에는 단지 도어의 잠금 및 해제 기능만을 갖춘 것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보조 도어 록 장치는 열쇠(key)의 조작을 통해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키는 기계식과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전자식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식의 경우 열쇠를 삽입하기 위한 키뭉치가 옥외로 표출되어 있기 때문에 위조키를 삽입하여 키뭉치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탈취도구로 키뭉치를 도어로부터 뜯어내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가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계식의 경우에는 범죄자의 무단잠금해제가 가능하여 도난의 위험성이 많은 문제가 있다.
한편, 전자식의 보조 록 장치의 경우에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비밀코드를 입력하는 코드입력부,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밀코드가 지정된 코드에 일치하면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잠금쇠를 해제하는 제어부,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제어부를 제어하는 해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코드입력부는 도어에 설치된 버튼식, 카드삽입식 및 무선리모콘식 등 다양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의 외부에서 코드입력부로 비밀코드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잠금쇠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그리고,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어부는 자동으로 잠금쇠를슬라이드 시켜 도어를 잠근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식의 도어 록 장치는 코드입력부를 통해 비밀코드를 입력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므로 별도의 키나 키뭉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비밀코드가 노출되지 않는 한 도어의 무단잠금해제는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식의 도어 록 장치 역시 대체적으로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밀코드의 노출로 인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탈취도구로 도어 록 장치를 도어로부터 뜯어내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가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어 도난의 위험성이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어의 외측에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설치 자체도 전혀 알 수 없도록 도어의 내측에 설치하여 열쇠(key)나 비밀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면 접속이 이루어지기 전에 착신벨(Ring)신호에 의해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식의 열쇠 꾸러미를 휴대하고 다니는 등의 불편함은 물론, 분실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상태가 도어의 외측에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설치 자체도 전혀 알 수 없도록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 록 장치를 통해 가정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ISDN 가입자의 선로를 이용한 도어 록킹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에 도시된 자동 자물쇠의 제어부를 보인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에 도시된 자동 자물쇠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언록(unlock)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록(lock)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언록(unlock)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록(lock)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를 보인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를 보인 저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비대칭형 가입자 선로(ADSL)를 이용한 도어 록킹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자동 자물쇠 기구 202, 202a. 상하부 케이스
210. 접속단자 220. 예비 배터리
230. 구동모터 240. 잠금쇠
250, 250a. 기어 252. 회전암
252a. 힌지 254. 안내봉
256. 지지편 260. 걸림쇠
262. 잠금쇠 삽입구 270. 영구자석
272. 감지센서 280.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
282.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 282a. 탄성노브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도어 록 장치는 키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전화망 접속수단, 전화망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착신벨신호가 수신되면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자물쇠 제어부 및 자물쇠 제어부의 열림신호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자동 자물쇠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록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자물쇠 기구는 외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화망 접속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외부 전원의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배터리;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하부 케이스로부터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잠금쇠;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잠금쇠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 도어의 잠금시 잠금쇠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잠금쇠 삽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걸림쇠; 및 걸림쇠와 걸림쇠의 인접된 부분의 하부케이스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 도어 록 장치에는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그 설정을 변환시키는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가 하부 케이스 내측에서 상부 케이스의 상부측으로 노출되게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자동 자물쇠 기구의 설정이 자동 및 수동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이 상부 케이스의 상부 외측에서 누를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 내측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은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가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잠금쇠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가 잠금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잠금쇠의 잠금이 이루지도록 한다.
전술한 자동 자물쇠 기구는 전화선로의 단선시에는 잠금쇠를 상시 잠금해제시켜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함이 양호하다.
전술한 구성에서 잠금쇠의 슬라이딩 수단은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치(齒)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은 기어에 치(齒)결합되고, 타단에는 금속구가 구비된 회전암;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잠금쇠와 동일선상에 설치되어지되 잠금쇠의 후단 내측 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잠금쇠의 출몰시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봉; 및 잠금쇠의 상부측에서 고정 지지하되 그 상부에는 회전암의 금속구가 삽입되어 회전암의 회전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된 잠금쇠 지지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걸림쇠의 일측에 설치된 영구자석; 및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의 감지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자물쇠 제어부는 잠금신호를 발생하여 도어를 상시 잠금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도어 록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ISDN 가입자의 선로를 이용한 도어 록킹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에 도시된 자동 자물쇠의 제어부를 보인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에 도시된 자동 자물쇠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DN 가입자의 선로를 이용한 도어 록킹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실시예로써 ISDN선로의 경우 공중전화망(PSTN; 16)의 교환기(미도시)로부터 옥내 전화인입단자(114)로 ISDN 전화선로가 접속되어 있고, 옥내 전화인입단자(114)에는 비ISDN단말을 ISDN망에 접속하기 위한 ISDN 터미널 어답터(TA:Terminal Adapter; 110)가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ISDN 터미널 어답터(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SDN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웍 터미널(NT)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2대의 전화기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전화연결잭(RJ-11; 110-1, 110-2)과 하나의 컴퓨터를 수용하기 위한 컴퓨터 연결잭(RS-232C 포트; 110-3)을 제공한다. 이때, 2대의 전화기는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ISDN선로에 연결되나 각각 고유의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통상 하나의 전화번호는 일반적인 전화기(음성통화)에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전화번호는 팩스용 전화번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써 ISDN선로의 경우에는 팩스용 전화번호를 도어 로킹시스템을 위한 키용 전화번호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ISDN 터미널 어답터(110)의 일반 전화번호용 RJ-11포트(110-1)에는 일반 전화기(108)가 연결되어 있고, 팩스 전화번호용 RJ-11포트(110-2)에는 자동 자물쇠(104)를 제어하기 위한 자물쇠 제어부(10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02)의 내측에는 자동 자물쇠(104)가 설치되어 있고, 자동 자물쇠(104)는 자물쇠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102)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자물쇠 제어부(106)는 자동 자물쇠(105)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거실 등에 설치되어 있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자물쇠(104)를 수동으로 열기 위한 오픈버튼(106a), 잠금하기 위한 클로즈 버튼(106c), ISDN TA(110)의 팩스용 전화연결잭(110-2)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벨(Ring)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신호 검출기(106b), 클로즈버튼(106c)이 눌려지면 자동 자물쇠(104)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신호를 발생하고 오픈버튼(106a)이 눌려지거나 링신호 검출기(106b)가 착신벨신호를 검출하면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106d)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자동 자물쇠(104)는 록/언록 기구(104c)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구동모터나 솔레노이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방식으로써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구동부(104a), 구동모터(104b) 및 록/언록 기구(104c)로 구성되어 자물쇠 제어부(106)의 잠금신호에 따라 도어(102)를 잠금하고, 열림신호에 따라 록/언록 기구(104c)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102)를 열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동으로 자동 자물쇠(104)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바 혹은 잠금버튼을 도어(102) 혹은 자동 자물쇠(104)에 설치할 수 있고, 잠금바나 잠금버튼을 조작하면 자동 자물쇠(104)를 수동으로 잠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 자물쇠(104)는 도어(102)가 닫혀 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잠겨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휴대폰(셀룰러 폰, PCS폰 등; 10)은 기지국(12)을 통해 무선전화망(14)에 접속될 수 있으며, 무선전화망(14)과 공중전화망(16)은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휴대폰 가입자와 PSTN 가입자가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은 ITU-T에서 표준화하여 권고한 것으로 이용자와 망 인터페이스 사이에 디지털 접속을 가능하게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망으로서, 가입자측으로 64Kbps(B채널)를 기본 단위로 하여 정수배의 전송로를 제공하나 통상 2B+D 채널의 기본 대역을 제공한다.
ISDN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SDN용 전화기 등이 필요로 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단말(전화기 등)을 ISDN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어답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ISDN선로를 사용하는 일반 가입자의 경우 각 가정에 ISDN 터미널 어답터가 설치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대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경우에 하나는 일반 전화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팩스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일반 전화용 전화번호를 "6332-0522-1", 팩스용 전화번호를 "6332-0522-3"이라 하고, 팩스용 전화번호를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키용 전화번호로 사용하기로 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에 도어(102)에 설치된 자동 자물쇠(104)는 자동으로 잠기거나 잠금바 혹은 잠금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잠근다.
사용자가 귀가하여 자동 자물쇠(104)를 열고자 하면 휴대폰(10)으로 키용 전화번호 "6332-0522-3"를 다이얼링 한다.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무선전화망(14)은 공중전화망(16)으로 연결되고 공중전화망(16)의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ISDN 터미널 어답터(110)로 착신신호를 보내고, ISDN 터미널 어답터(110)는 전화벨을 울리기 위한 착신벨(Ring)신호를 터미널 어답터(110)에 연결된 자물쇠 제어부(106)로 송출한다. 통상, 착신벨(Ring)신호로는 20Hz, 90V가 사용된다.
자물쇠 제어부(106)의 링신호검출기(106b)는 착신벨(Ring)신호가 검출되면 제어신호 발생부(106d)에 이를 전달하고, 제어신호 발생부(106d)는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자물쇠(104)에 전달한다. 자동 자물쇠(104)는 제어신호 발생부(106d)의 열림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04b)를 구동하여 록/언록 기구(104c)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착신측에서는 착신벨 신호만 수신할 뿐 후크 오프(Hook-off)신호를 응답하지 않으므로 과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폰(10)으로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자동 자물쇠(104)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면 도어(102)를 열고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집안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 방문객이 있어 자동 자물쇠(104)를 열고자 하면 자물쇠 제어부(106)의 오픈버튼(106a)을 누른다. 오픈버튼(106a)이 눌려지면 제어신호 발생부(106d)가 열림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자물쇠(104)에 전달하고, 자동 자물쇠(104)는 제어신호 발생부(106d)의 열림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04b)를 구동하여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클로즈버튼(106c)이 눌려지면 제어신호 발생부(106d)가 잠금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104)가 잠금되어 도어(102)를 잠금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언록(unlock)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록(lock)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언록(unlock)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의 록(lock)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를 보인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 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자동 자물쇠(104)를 기구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4 내지 도 10 의 보조 도어 록 장치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회로적인 자동 자물쇠(104)와 구분하기 위해 도면부호를 달리 표기하기로 하고, 또한 "자동 자물쇠"를 ...자동 자물쇠 기구...라 표현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물쇠 기구(200)는 외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202, 202a), ISDN 터미널 어답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210), 외부 전원의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배터리(220),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230), 구동모터(230)의 정역 구동에 의해 하부 케이스(202a)의 내부로부터 출몰되어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잠금쇠(240), 구동모터(230)의 정역 구동에 의해 잠금쇠(240)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 도어의 잠금시 잠금쇠(240)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잠금쇠 삽입구(262)가 일측에 형성된 걸림쇠(260) 및 걸림쇠(260)의 인접된 부분의 하부케이스(202a) 내부 일측과 걸림쇠(260)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도어 록 장치로써의 자동 자물쇠 기구(200)는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내측에 설치되어 접속단자(210)를 통해 전화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된 자동 자물쇠 기구(200)는 전화선로를 통한 전원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구동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전화선을 흐르는 전기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자동 자물쇠 기구(200)는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내측에 설치되어 접속단자(210)를 통해 전화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동작이 자동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되면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에 의해 도어의 닫힘신호가 자물쇠 제어부(106; 도 2 참조)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자물쇠 제어부(106)은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를 통해 잠금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의 잠금신호 발생에 의해 모터 구동부(104a; 도 3 참조)는 잠금쇠(240)가 잠금되는 방향으로 구동모터(230)를 구동시켜 도어를 잠금하게 된다.
반면, 실내에 아무도 없는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10; 도 1 참조)으로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면 무선전화망(14; 도 1 참조)은 공중전화망(16; 도 1참조)으로 연결되고, 공중전화망(16; 도 1 참조)의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ISDN 터미널 어답터(110; 도 1 참조)로 착신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어서, ISDN 터미널 어답터(110; 도 1 참조)는 전화벨을 울리기 위한 착신벨(Ring)신호를 터미널 어답터(110; 도 1 참조)에 연결된 자물쇠 제어부(106; 도 1 참조)로 송출한다.
자물쇠 제어부(106; 도 1 및 도 2 참조)의 링신호검출기(106b; 도 2 참조)는 착신벨(Ring)신호가 검출되면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에 이를 전달하고,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는 이에 따라 잠금쇠(24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구동부(104a; 도 3 참조)에 송출한다. 따라서, 모터 구동부(104a; 도 3 참조)는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의 열림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30)를 구동시켜 잠금쇠(240)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이처럼 잠금쇠(240)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도어 록 장치로써의 자동 자물쇠 기구(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 케이스(202, 202a)는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외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하부 케이스(202, 202a)의 내측은 소정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전술한 상·하부 케이스(202, 202a) 중 상부 케이스(202)에는 후술할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와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의 노출되는 상태를 덮는 수단이 구성되는데, 이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와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의 덮는 수단은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와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이 노출되는 상부 케이스(202)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그 일측에는 관통공(202-1a)이 형성된 덮개(202-1), 상부 케이스(202)의 내측으로 설치된 탄성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탄성되는 고정구(202-2)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202-2)는 덮개(202-1)의 관통공(202-1a)에 관계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덮개(202-1)가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와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을 덮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단 일부가 덮개(202-1)의 관통공(202-1a)에 삽입됨으로써 덮개(202-1)의 슬라이딩된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반면,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와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을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덮개(202-1)를 슬라이딩시킬 경우에는 덮개(202-1)에 힘을 가하거나 고정구(202-2)를 하부로 누르면서 덮개(202-1)를 슬라이딩시키면 관통공(202-1a)으로부터 고정구(202-2)가 이탈되고{실상은 고정구(202-2)는 하부로 눌려진 상태로 그자리에 있고, 덮개(202-1)가 슬라이딩되는 것임}, 이에 따라 덮개(202-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접속단자(210)는 전화망 접속수단인 ISDN 터미널 어답터(110; 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 접속단자(210)는 하부 케이스(202a)의 내측 하부측에 설치되어 ISDN 터미널 어답터(110; 도 1 참조)측의 연결잭(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는 부분이 하부 케이스(202a)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접속단자(210)는 전화선로를 통해 자동 자물쇠 기구(200)로 전원이 인입되는 단자이기도 하다.
예비 배터리(220)는 외부로부터 자동 자물쇠 기구(20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때 자동 자물쇠 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 예비 배터리(220)는 하부 케이스(202a)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화선로의 단선시 자동 자물쇠 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예비 배터리(220)는 전화선로의 단선으로 인하여 통신망이 두절될 경우 자동 자물쇠 기구(200)에 이미 설정된 동작에 따라 자동 자물쇠 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잠금쇠(240)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모터(230)를 구동시키게 된다.
구동모터(230)는 잠금쇠(240)를 하부 케이스(202a)의 내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 구동모터(230)는 하부 케이스(202a)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인가된 외부전원 및 예비 배터리(220)에 의해 정역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230)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의 잠금 및 잠금해제 신호에 따라 정역 구동되어 잠금쇠(240)를 슬라이딩시킨다.
잠금쇠(240)는 도어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키는 것으로, 이 잠금쇠(240)는 하부 케이스(202a)의 내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230)의 정역 구동에 의해 하부 케이스(202a)로부터 출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잠금쇠(240)는 후술하는 잠금쇠(240)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에 의해 하부 케이스(202a)로부터 측방향으로 출몰되어 걸림쇠(160)에 걸림되거나 검림해제됨으로써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킨다. 이러한 잠금쇠(240)의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잠금쇠(240)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은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잠금쇠(240)가 하부 케이스(202a)로부터 출몰되게 하는 것으로, 이 잠금쇠(240)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은 구동모터(230)의 모터축(232)에 치(齒)결합되어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250, 250a), 하부 케이스(202a)의 일측에 힌지(252a)에 의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은 기어(250a)에 치(齒)결합되고 타단에는 금속구(252b)가 구비된 회전암(252), 하부 케이스(202a)의 내측에 설치되는 잠금쇠(240)와 동일선상에 설치되어지되 잠금쇠(240)의 후단 내측 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잠금쇠(240)의 출몰시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봉(254) 및 잠금쇠(240)의 상부측에서 고정 지지하되 그 상부에는 회전암(252)의 금속구(252b)가 삽입되어 회전암(252)의 회전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공(256a)이 형성된 잠금쇠 지지편(25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잠금쇠(240)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의 동작은 먼저,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시 구동모터(230)의 정역 구동이 있게 되면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은 모터축(232)에 치(齒)결합된 기어(250, 250a)를 통해 전달되어 기어(250)에 역시 치(齒)결합된 회전암(252)을 일정범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암(252)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암(252)의 금속구(252b)가 삽입되어 결합된 지지편(256)을 이동시키게 되고, 지지편(256)의 이동에 의해 지지편(256)과 결합된 잠금쇠(240)가 안내봉(254)을 따라 지지편(256)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케이스(202a)를 출몰함으로써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게 된다. 이때, 잠금쇠(240)는 후술하는 걸림쇠(260)의 잠금쇠 삽입구(262)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거나 삽입해제되어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게 된다.
걸림쇠(260)는 잠금쇠(240)의 걸림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 걸림쇠(260)는 잠금쇠(240)가 도어를 잠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쇠 삽입구(262)에 삽입됨으로써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금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걸림쇠(260)는 통상 도어의 외형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고, 케이스(202, 202a)는 도어측에 설치되어 잠금쇠(240)가 도어를 잠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쇠 삽입구(262)에 삽입되면 도어의 열리는 방향에 대해 잠금쇠(240)가 걸림쇠(260)에 걸림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는 열리지 않고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반면, 잠금쇠(240)가 도어를 잠금해제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쇠 삽입구(262)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자물쇠 제어부(106; 도 2 참조)으로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걸림쇠(260)의 일측에 설치된 영구자석(270) 및 하부 케이스(202a)의 일측에 설치되어 영구자석(270)의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72)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자동 자물쇠 기구(200)가 자동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면 상시 도어를 잠금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감지센서(272)가 걸림쇠(260)에 설치된 영구자석(270)에 근접되기 때문에 감지센서(272)에 영구자석(270)의 자력이 감지되고, 이에 따라 감지센서(272)는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임을 자물쇠 제어부(106; 도 2 참조)에 전송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닫힘신호가 자물쇠 제어부(106; 도 2 참조)에 전송되면 자물쇠 제어부(106; 도 2 참조)는 이를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제어신호 발생부(106d; 도 2 참조)는 잠금쇠(240)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신호를 발생하여 모터구동부(104a; 도 3 참조)를 통해 구동모터(230)를 구동시켜 잠금쇠(240)를 잠금 방향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잠금하게 된다.
반면,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감지센서(272)에 영구자석(270)의 자력이 감지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도어 열림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 기구(20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는 자동 자물쇠 기구(20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설정을 변환시키는 것으로, 이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는 하부 케이스(202a) 내측에서 상부 케이스(202)의 상부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자동 또는 수동 설정을 변환하게 된다. 이처럼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280)의 구성은 실내에 사람이 있을 때는 자동으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되어진다.
즉, 실내에 사람이 있을 때는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설정을 수동으로 변환하여 내부에 있는 사람이 후술하는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의 누르는 동작을통해 도어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내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설정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실외로 사람이 나간 후 도어의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실내로 들어 올 때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은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설정이 자동 및 수동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잠금쇠(240)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은 하부 케이스(202a) 내측에 상하로 눌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부 케이스(202)의 상부 외측에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노브(282a)에 의해 눌려진다. 이처럼 구성된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282)은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잠금쇠(240)가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잠금쇠(24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자동 자물쇠 기구(200)의 잠금쇠(240)가 잠금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잠금쇠(240)의 잠금이 이루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도어 록 장치로써의 자동 자물쇠 기구(200)는 전화선로의 단선시에는 잠금쇠(240)를 상시 잠금해제시켜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키(key)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 자물쇠 기구(200)를 공중전화망을 통해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잠금된 도어를 잠금해제시키기 때문에 키(key)를 가지고 다니는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다음은 비대칭형 가입자 선로(ADSL)를 이용한 도어 록킹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비대칭형 가입자 선로(ADSL)를 이용한 도어 록킹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로써 비대칭형 가입자 선로(ADSL)를 이용하여 도어 로킹시스템은 망사업자측의 설비와 옥내 전화인입단자(114)는 ADSL 전화선로(기존의 전화선로)로 접속되어 있고, 옥내 전화인입단자(114)에는 일반전화와 컴퓨터를 ADSL 전화선로에 접속하기 위한 ADSL 모뎀(410)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선로(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는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전화회선에서 낮은 주파수대역(4KHz 이하)은 음성통신(전화)에 할당하고 높은 주파수대역은 데이터통신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통신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단말에서 망으로 가는 상향 대역(Up stream)과 망에서 단말로 오는 하향 대역(Down stream)으로 구분되는데, 통상 상향으로 640Kbps, 하향으로 8Mbps의 고속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ADSL을 위해서는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스프릿터(412, 18)가 가입자측과 망측에 설치되는데, 방식에 따라 가입자측의 스프릿터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입자측에 설치되는 ADSL 모뎀(410)은 컴퓨터 안에 설치되는 내장형과 컴퓨터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으로 구분되고, 일반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접속포트(RJ-11; 414)를 제공한다. 망측에 설치된 스프릿터(18)에 의해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가 분리되어 음성신호는 기존의 공중전화망(16)의 교환기로 전달되고, 데이터신호는 DSLAM장치(20)를 통해 백본망(22)에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DSL방식은 기존의 전화회선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가입자에게는 선로당 하나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 전화번호를 키용 전화번호로 사용한다. 그리고,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회선이므로 착신시 착신벨(Ring)신호(20Hz, 90V)는 공중전화망(16)의 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된다.
한편, 도 11 에서와 같이 도어(102)에는 자동 자물쇠(104)가 설치되어 있고, 자동 자물쇠(104)는 자물쇠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102)를 잠그거나 열도록 되어 있다. 도 11 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구성에서 자동 자물쇠(104)와 자물쇠 제어부(106)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외출시 자물쇠의 잠금동작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귀가 후 자물쇠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10)으로 ADSL선로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한다. 다이얼링에 의해 무선전화망(14)을 거쳐 공중전화망(16)으로 호(Call) 신호가 전달되면 공중전화망(16)의 각 교환기들에서는 소정의 호처리 절차가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착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기가 착신벨(Ring)신호를 ADSL선로를 통해 ADSL모뎀(410)으로 송출하고, ADSL모뎀(410)은 착신벨신호를 그대로 전화연결포트(414)를 통해 자물쇠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자물쇠제어부(106)의 링신호검출기(204)는 착신벨신호가 검출되면 제어신호 발생부(208)에 이를 전달하고, 제어신호 발생부(208)는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자물쇠(104)에 전달한다. 자동 자물쇠(104)는 제어신호 발생부(208)의 열림신호에 따라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록/언록 기구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착신측에서는 착신벨 신호만 수신할 뿐 후크 오프(Hook-off)신호를 응답하지 않으므로 과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도어 앞에서 키용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자물쇠를 여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외출 중에 손님이 방문하여 자물쇠를 열어줄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외출지에서 바로 키용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자물쇠를 열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를 열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된 상태가 도어의 외측에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설치 자체도 전혀 알 수 없도록 도어의 내측에 설치하여 열쇠(key)나 비밀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를 통해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기계식의 열쇠 꾸러미를 휴대하고 다니는 등의 불편함은 물론, 분실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설치된 상태가 도어의 외측에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설치 자체도 전혀 알 수 없도록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 록 장치를 통해 가정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만으로 자물쇠를 열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자물쇠를 열고 닫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착신시에 후크 오프하지 않고 착신벨신호만으로 자물쇠를 제어하므로 통신비용이 들지 않는 잇점이 있다. 특히, 일반전화 가입자 뿐만 아니라 ISDN가입자나 ADSL가입자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로킹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각 가정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ISDN 터미널 어답터(TA)나 ADSL모뎀을 이용하여 설치하므로 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키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전화망 접속수단,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착신벨신호가 수신되면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자물쇠 제어부 및 상기 자물쇠 제어부의 열림신호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자동 자물쇠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는 외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외부 전원의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배터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잠금쇠;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상기 잠금쇠를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수단;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잠금쇠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잠금쇠 삽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인접된 부분의 하부케이스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그 설정을 변환시키는 자동 및 수동 설정노브가 상기 하부 케이스 내측에서 상부 케이스의 상부측으로 노출되게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의 설정이 자동 및 수동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외측에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 내측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은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가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쇠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의 잠금쇠가 잠금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쇠의 잠금이 이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자물쇠 기구는 전화선로의 단선시에는 상기 잠금쇠를 상시 잠금해제시켜 상기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치(齒)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은 상기 기어에 치(齒)결합되고, 타단에는 금속구가 구비된 회전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잠금쇠와 동일선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잠금쇠의 후단 내측 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잠금쇠의 출몰시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봉; 및
    상기 잠금쇠의 상부측에서 고정 지지하되 그 상부에는 상기 회전암의 금속구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암의 회전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된 잠금쇠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은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 설치된 영구자석;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감지신호를 상기 자물쇠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보조 도어 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의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자물쇠 제어부는 잠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도어를 상시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도어 록 장치.
KR1020020033535A 2002-06-15 2002-06-15 보조 도어 록 장치 KR20030095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535A KR20030095914A (ko) 2002-06-15 2002-06-15 보조 도어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535A KR20030095914A (ko) 2002-06-15 2002-06-15 보조 도어 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914A true KR20030095914A (ko) 2003-12-24

Family

ID=323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535A KR20030095914A (ko) 2002-06-15 2002-06-15 보조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59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600B1 (ko) * 2005-05-12 2006-09-06 주식회사 코아스웰 서랍용 자물쇠의 잠금구조
KR200451942Y1 (ko) * 2008-12-05 2011-01-25 박준석 자기부상의자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37A (ja) * 1993-06-25 1995-01-17 Nitsuko Corp Isdnテレ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950032960A (ko) * 1994-05-04 1995-12-22 이종수 전화기를 이용한 자물쇠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1923A (ko) * 1998-06-18 1998-10-26 김좌순 통신장치를 이용한 도어록 제어시스템
JPH10292688A (ja) * 1997-02-20 1998-11-04 Kouji Kagetani 扉の施解錠方法
KR0156635B1 (ko) * 1995-08-28 1998-12-15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개/폐기능 구현방법
JP2000002029A (ja) * 1998-06-16 2000-01-07 Hitachi Ltd 電子ロックシステム
KR20000059263A (ko) * 2000-07-28 2000-10-05 김미경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 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
JP2001132292A (ja) * 1999-11-05 2001-05-15 Systec:Kk 錠制御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KR20010099569A (ko) * 2000-04-28 2001-11-09 박희수 무선 원격제어 출입문 개폐장치
KR20020008924A (ko) * 2000-07-21 2002-02-01 박용덕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JP2002147079A (ja) * 2000-11-15 2002-05-22 Systec:Kk 錠制御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KR20030015467A (ko) * 2001-08-14 2003-02-25 고이치 우메하라 도어 로킹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37A (ja) * 1993-06-25 1995-01-17 Nitsuko Corp Isdnテレ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950032960A (ko) * 1994-05-04 1995-12-22 이종수 전화기를 이용한 자물쇠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0156635B1 (ko) * 1995-08-28 1998-12-15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개/폐기능 구현방법
JPH10292688A (ja) * 1997-02-20 1998-11-04 Kouji Kagetani 扉の施解錠方法
JP2000002029A (ja) * 1998-06-16 2000-01-07 Hitachi Ltd 電子ロックシステム
KR19980071923A (ko) * 1998-06-18 1998-10-26 김좌순 통신장치를 이용한 도어록 제어시스템
JP2001132292A (ja) * 1999-11-05 2001-05-15 Systec:Kk 錠制御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KR20010099569A (ko) * 2000-04-28 2001-11-09 박희수 무선 원격제어 출입문 개폐장치
KR20020008924A (ko) * 2000-07-21 2002-02-01 박용덕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20000059263A (ko) * 2000-07-28 2000-10-05 김미경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 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
JP2002147079A (ja) * 2000-11-15 2002-05-22 Systec:Kk 錠制御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KR20030015467A (ko) * 2001-08-14 2003-02-25 고이치 우메하라 도어 로킹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600B1 (ko) * 2005-05-12 2006-09-06 주식회사 코아스웰 서랍용 자물쇠의 잠금구조
KR200451942Y1 (ko) * 2008-12-05 2011-01-25 박준석 자기부상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3123B1 (en)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WO2007126299A1 (en) Multi digital door
KR10048130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20060125237A (ko)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AU718328B2 (en) Facility for interfacing video intercommunication system with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KR20030095914A (ko) 보조 도어 록 장치
KR20020081168A (ko) 전자식 도어록
JP2013532243A (ja) 自動で呼び鈴が鳴る電子式ドアロック
KR100644200B1 (ko)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KR20010098128A (ko) 휴대폰 또는 전화기 연동 도어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74373B1 (ko) 도어 잠금 제어 시스템
KR20030015467A (ko) 도어 로킹시스템
US20040051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from a remote location
JP3718907B2 (ja) トイレ内機器のリモコン装置システム
KR100332286B1 (ko)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4250A (ko) 도어 자동개방 제어장치
KR20010048228A (ko) 도어 자동 개방장치 및 개방방법
FR2665041A1 (fr) Appareil de controle d'acces, notamment portier d'immeuble.
JPH0832945A (ja) テレビ電話装置
KR19980038101A (ko)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개폐시스템
KR200380869Y1 (ko)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238784Y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20030060864A (ko) 중계기를 이용한 도어락 인터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