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467A - 도어 로킹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로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467A
KR20030015467A KR1020010049018A KR20010049018A KR20030015467A KR 20030015467 A KR20030015467 A KR 20030015467A KR 1020010049018 A KR1020010049018 A KR 1020010049018A KR 20010049018 A KR20010049018 A KR 20010049018A KR 20030015467 A KR20030015467 A KR 20030015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ignal
telephone
doo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우메하라
Original Assignee
고이치 우메하라
인터내셔날 오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치 우메하라, 인터내셔날 오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이치 우메하라
Priority to KR102001004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467A/ko
Publication of KR2003001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46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를 이용한 도어 로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의 키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전화망 접속수단과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착신벨신호가 수신되면,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자물쇠 제어부, 및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자물쇠 제어부의 열림신호에 따라 도어를 여는 자동 자물쇠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망 접속수단으로 각 가정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ISDN 터미널어답터(TA)나 ADSL모뎀을 이용하므로 도어 로킹시스템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착신시에 후크 오프(Hook-off)하지 않고 착신벨(Ring)신호만으로 자물쇠를 제어하므로 통신비용이 들지 않는다.

Description

도어 로킹시스템 { Door locking system }
본 발명은 도어 로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도어 로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옥내)에 불법으로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로킹시스템은 메인 로킹시스템과 보조 로킹시스템으로 구분되어 도어에 부착되고, 각 로킹시스템은 자물쇠(a lock)와 자물쇠를 열기 위한 열쇠(a key)로 이루어 진다.
한편, 가정자동화(HA:Home Automation)가 발전하면서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가정내 각종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도어 로킹시스템의 경우에도 전화회선을 개재하여 접속이 이루어진 후 비밀번호(password)를 입력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제어할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비밀번호를 잊어버릴 경우에는 도어를 제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도어 로킹시스템의 경우에는 전화가 접속된 후(즉, 착신측에서 후크 오프된 후)에 제어절차가 수행되므로 조작하는 동안 과금이 진행되어 통신비용이 소요되고, 제어시스템이 복잡하여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면 접속이 이루어지기 전에 착신벨(Ring)신호에 의해 도어 자물쇠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도어 로킹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에 설치된 ISDN 터미널 어답터나 ADSL 모뎀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도어 로킹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로킹시스템의 제1 실시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물쇠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자물쇠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로킹시스템의 제2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폰12: 기지국
14: 무선전화망16: 공중전화망(PSTN)
100,400: 옥내102: 도어
104: 자동 자물쇠106: 자물쇠 제어부
108: 일반 전화기110: ISDN터미널어답터
110-1,110-2:전화연결잭112: 컴퓨터
114: 전화인입단자202: 오픈버튼
204: 링신호검출기206: 클로즈버튼
208: 제어신호발생부302: 모터구동부
304: 모터306: 록/언록기구
410: ADSL모뎀412,18: 스프릿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의 키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전화망 접속수단;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착신벨신호가 수신되면,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자물쇠 제어부; 및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자물쇠 제어부의 열림신호에 따라 도어를 여는 자동 자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으로는 각 가정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ISDN 터미널어답터(TA)나 ADSL모뎀을 이용하므로 도어 로킹시스템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착신시에 후크 오프하지 않고 착신벨신호만으로 자물쇠를 제어하므로 통신비용이 들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ISDN선로의 경우)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ISDN 가입자의 선로를 이용하여 도어 로킹시스템을 구성한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중전화망(PSTN:16)의 교환기(미도시)로부터 옥내 전화인입단자(114)로 ISDN 전화선로가 접속되어 있고, 옥내 전화인입단자(114)에는 비ISDN단말을 ISDN망에 접속하기 위한 ISDN 터미널어답터(TA:Terminal Adapter; 110)가 접속되어 있다. ISDN 터미널어답터(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SDN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웍 터미널(NT)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2대의 전화기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전화연결잭(RJ-11; 110-1,110-2)과 하나의 컴퓨터를 수용하기 위한 컴퓨터 연결잭(RS-232C 포트; 110-3)을 제공한다. 이때, 2대의 전화기는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ISDN선로에 연결되나 각각 고유의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통상 하나의 전화번호는 일반적인 전화기(음성통화)에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전화번호는 팩스용 전화번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팩스용 전화번호를 도어 로킹시스템을 위한 키용 전화번호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ISDN 터미널 어답터(110)의 일반 전화번호용 RJ-11포트(110-1)에는 일반 전화기(108)가 연결되어 있고, 팩스 전화번호용 RJ-11포트(110-2)에는 자동 자물쇠(104)를 제어하기 위한 자물쇠 제어부(10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02)에는 자동 자물쇠(104)가 설치되어 있고, 자동 자물쇠(104)는 자물쇠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102)를 잠그거나 열도록 되어 있다. 자물쇠 제어부(106)는 자물쇠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거실 등에 설치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자물쇠(104)를 수동으로 열기 위한 오픈버튼(202)과 잠그기 위한 클로즈 버튼(206)이 있고, ISDN TA(110)의 팩스용 전화연결잭(110-2)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벨(Ring)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신호 검출기(204)와, 클로즈버튼(206)이 눌려지면 자동 자물쇠(104)를 잠그기 위한 잠금신호를 발생하고 오픈버튼(202)이 눌려지거나 링신호 검출기(204)가 착신벨신호를 검출하면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208)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 자물쇠(104)는 록/언록 기구(306)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모터나 솔레노이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모터 구동방식일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구동부(302)와 모터(304), 록/언록 기구(306)로 구성되어 자물쇠 제어부(106)의 잠금신호에 따라 자동 자물쇠를 잠그고 열림신호에 따라 자동 자물쇠를 열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동으로 자물쇠를 잠그기 위한 잠금바 혹은 잠금버튼을 도어 혹은 자물쇠에 설치할 수 있고, 잠금바나 잠금버튼을 조작하면 자물쇠를 수동으로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 자물쇠(104)는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잠겨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폰(셀룰러 폰, PCS폰 등)(10)은 기지국(12)을 통해 무선전화망(14)에 접속될 수 있으며, 무선전화망(14)과 공중전화망(16)은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휴대폰 가입자와 PSTN 가입자가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은 ITU-T에서 표준화하여 권고한 것으로 이용자와 망 인터페이스 사이에 디지털 접속을 가능하게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망으로서, 가입자측으로 64Kbps(B채널)를 기본 단위로 하여 정수배의 전송로를 제공하나 통상 2B+D 채널의 기본 대역을 제공한다. ISDN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SDN용 전화기 등이 필요로 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단말(전화기 등)을 ISDN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어답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ISDN선로를 사용하는 일반 가입자의 경우, 각 가정에 ISDN 터미널 어답터가 설치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대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경우에 하나는 일반 전화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팩스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일반 전화용 전화번호를 "6332-0522-1"이라 하고, 팩스용 전화번호를 "6332-0522-3"이라 하자.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팩스용 전화번호를 자동 자물쇠를 열기 위한 키용 전화번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에 도어(102)에 설치된 자동 자물쇠(104)는 자동으로 잠기거나 잠금바 혹은 잠금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잠근다.
사용자가 귀가하여 자동 자물쇠(104)를 열고자 하면, 휴대폰(10)으로 키용전화번호 "6332-0522-3"를 다이얼링한다.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무선전화망(14)은 공중전화망(16)으로 연결되고 공중전화망(16)의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ISDN 터미널 어답터(110)로 착신신호를 보내고, ISDN 터미널어답터(110)는 전화벨을 울리기 위한 착신벨(Ring)신호를 터미널 어답터(110)에 연결된 자물쇠 제어부(106)로 송출한다. 통상, 착신벨(Ring)신호로는 20Hz, 90V가 사용된다.
자물쇠 제어부(106)의 링신호검출기(204)는 착신벨(Ring)신호가 검출되면 제어신호 발생부(208)에 이를 전달하고, 제어신호 발생부(208)는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자물쇠(104)에 전달한다. 자동 자물쇠(104)는 제어신호 발생부(208)의 열림신호에 따라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록/언록 기구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착신측에서는 착신벨 신호만 수신할 뿐 후크 오프(Hook-off)신호를 응답하지 않으므로 과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폰(10)으로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자동 자물쇠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면, 도어(102)를 열고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집안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 방문객이 있어 자동 자물쇠(104)를 열고자 하면, 자물쇠 제어부의 오픈버튼(202)을 누른다. 오픈버튼(202)이 눌려지면 제어신호 발생부(208)가 열림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자물쇠(104)에 전달하고, 자동 자물쇠(104)는 제어신호발생부(208)의 열림신호에 따라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클로즈버튼(206)이 눌려지면, 제어신호 발생부(208)가 잠금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104)가 도어를 잠근다.
제 2 실시예 (ADSL선로의 경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비대칭형 가입자 선로(ADSL)를 이용하여 도어 로킹시스템을 구성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망사업자측의 설비와 옥내 전화인입단자(114)는 ADSL 전화선로(기존의 전화선로)로 접속되어 있고, 옥내 전화인입단자(114)에는 일반전화와 컴퓨터를 ADSL 전화선로에 접속하기 위한 ADSL 모뎀(410)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선로(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는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로서, 하나의 전화회선에서 낮은 주파수대역(4KHz 이하)은 음성통신(전화)에 할당하고 높은 주파수대역은 데이터통신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통신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단말에서 망으로 가는 상향 대역(Up stream)과 망에서 단말로 오는 하향 대역(Down stream)으로 구분되는데, 통상 상향으로 640Kbps, 하향으로 8Mbps의 고속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ADSL을 위해서는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스프릿터(412,18)가 가입자측과 망측에 설치되는데, 방식에 따라 가입자측의 스프릿터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입자측에 설치되는 ADSL 모뎀(410)은 컴퓨터 안에 설치되는 내장형과 컴퓨터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으로 구분되고, 일반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접속포트(RJ-11)(414)를 제공한다. 망측에 설치된 스프릿터(18)에 의해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가 분리되어 음성신호는 기존의 공중전화망(16)의 교환기로 전달되고, 데이터신호는 DSLAM장치(20)를 통해 백본망(2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ADSL방식은 기존의 전화회선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가입자에게는 선로당 하나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 전화번호를 키용 전화번호로 사용한다. 그리고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회선이므로, 착신시 착신벨(Ring)신호(20Hz, 90V)는 공중전화망(16)의 교환기(미도시)로부터 제공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02)에는 자동 자물쇠(104)가 설치되어 있고, 자동 자물쇠(104)는 자물쇠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102)를 잠그거나 열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구성에서 자동 자물쇠(104)와 자물쇠 제어부(106)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외출시 자물쇠의 잠금동작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귀가 후 자물쇠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10)으로 ADSL선로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다이얼링에 의해 무선전화망(14)을 거쳐 공중전화망(16)으로 호(Call) 신호가 전달되면, 공중전화망(16)의 각 교환기들에서는 소정의 호처리 절차가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착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기가 착신벨(Ring)신호를 ADSL선로를 통해 ADSL모뎀(410)으로 송출하고, ADSL모뎀(410)은 착신벨신호를 그대로 전화연결포트(414)를 통해 자물쇠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자물쇠 제어부(106)의 링신호검출기(204)는 착신벨신호가 검출되면 제어신호 발생부(208)에 이를 전달하고, 제어신호 발생부(208)는 이에 따라 자동 자물쇠(104)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자물쇠(104)에 전달한다. 자동 자물쇠(104)는 제어신호 발생부(208)의 열림신호에 따라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록/언록 기구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착신측에서는 착신벨 신호만 수신할 뿐 후크 오프(Hook-off)신호를 응답하지 않으므로 과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도어 앞에서 키용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자물쇠를 여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외출중에 손님이 방문하여 자물쇠를 열어줄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외출지에서 바로 키용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자물쇠를 열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를 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키용 전화번호만으로 자물쇠를 열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자물쇠를 열고 닫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착신시에 후크 오프하지 않고 착신벨신호만으로 자물쇠를 제어하므로 통신비용이 들지 않는 잇점이 있다. 특히, 일반전화 가입자 뿐만 아니라 ISDN가입자나 ADSL가입자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로킹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각 가정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ISDN 터미널어답터(TA)나 ADSL모뎀을 이용하여 설치하므로 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소정의 키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전화망 접속수단;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착신벨신호가 수신되면,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자물쇠 제어부; 및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자물쇠 제어부의 열림신호에 따라 도어를 여는 자동 자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킹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은 ISDN 터미널 어답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킹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은 ADSL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킹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제어부는 착신벨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신호 검출기와, 오픈버튼과, 클로즈버튼과, 상기 클로즈버튼이 눌려지면 자물쇠를 잠그기 위한 잠금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오픈버튼이 눌려지거나 상기 링신호 검출기가 착신벨신호를 검출하면 자물쇠를 열기 위한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킹시스템.
KR1020010049018A 2001-08-14 2001-08-14 도어 로킹시스템 KR20030015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18A KR20030015467A (ko) 2001-08-14 2001-08-14 도어 로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18A KR20030015467A (ko) 2001-08-14 2001-08-14 도어 로킹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67A true KR20030015467A (ko) 2003-02-25

Family

ID=3741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18A KR20030015467A (ko) 2001-08-14 2001-08-14 도어 로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4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914A (ko) * 2002-06-15 2003-12-24 민예식 보조 도어 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854Y1 (ko) * 1990-11-20 1993-05-24 세기산업 주식회사 팩이 연결된 냉온 맛사지기
KR950032960A (ko) * 1994-05-04 1995-12-22 이종수 전화기를 이용한 자물쇠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83847A (ko) * 1999-08-19 1999-12-06 정지운 도어록 장치
JP2000002029A (ja) * 1998-06-16 2000-01-07 Hitachi Ltd 電子ロックシステム
JP2001132292A (ja) * 1999-11-05 2001-05-15 Systec:Kk 錠制御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854Y1 (ko) * 1990-11-20 1993-05-24 세기산업 주식회사 팩이 연결된 냉온 맛사지기
KR950032960A (ko) * 1994-05-04 1995-12-22 이종수 전화기를 이용한 자물쇠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2000002029A (ja) * 1998-06-16 2000-01-07 Hitachi Ltd 電子ロックシステム
KR19990083847A (ko) * 1999-08-19 1999-12-06 정지운 도어록 장치
JP2001132292A (ja) * 1999-11-05 2001-05-15 Systec:Kk 錠制御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914A (ko) * 2002-06-15 2003-12-24 민예식 보조 도어 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347A (en) Dual-line telephone bridging device that gives remote telephones access to communications features
US5341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of common in-house wiring to permit multiple telephone carriers to serve the same customer
US7177664B2 (en) Bluetooth interface between cellular and wired telephone networks
CA2100699C (en) Portable telephone user profiles using central computer
CN100403740C (zh) 基于互联网协议传输语音的网关及其控制方法
US20030059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ilbox owner and caller identification integration
JPS5925064B2 (ja) 公衆加入電話回線網の利用方法
US5327483A (en) Cordless phone and cordless phone system using such cordless phone
CN101340603A (zh) 一种利用公众电话网组建的楼宇对讲系统
KR20030015467A (ko) 도어 로킹시스템
CA23084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nalog telephone apparatus to a digital, analog or hybrid telephone switching system
KR20120052505A (ko) 공동현관 출입제어를 위한 통신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6862350B2 (en) Integrated access device resident mechanism for automatically routing call to specified number upon off hook signaling event
KR20010098128A (ko) 휴대폰 또는 전화기 연동 도어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10046287A1 (en) Communicatio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setting up a connection
EP0151168A1 (en) Telephone trunk barring device
US6882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IP private branch exchange
KR100423147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용 무선접속장치 및 방법
AU2021107032A4 (en) Alarm Communication Device
KR100594071B1 (ko) 원격지 내선 직접 호출을 이용한 사설교환기 제어방법
JP3751773B2 (ja) 交換システムおよび着信電話制御方法
CN101009856A (zh) 楼宇对讲系统及方法
GB2300322A (en) Combined infra-red and telephone communications for computers
KR20030095914A (ko) 보조 도어 록 장치
US5887055A (en) Subscriber information shifting technique for a private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