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729A -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729A
KR20030093729A KR1020020031559A KR20020031559A KR20030093729A KR 20030093729 A KR20030093729 A KR 20030093729A KR 1020020031559 A KR1020020031559 A KR 1020020031559A KR 20020031559 A KR20020031559 A KR 20020031559A KR 20030093729 A KR20030093729 A KR 2003009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riving unit
mobile phone
driv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148B1 (ko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148B1/ko
Priority to JP2002366640A priority patent/JP2004015798A/ja
Priority to DE10260341A priority patent/DE10260341A1/de
Priority to US10/325,786 priority patent/US7184092B2/en
Priority to FI20022283A priority patent/FI115101B/fi
Priority to CNB021583951A priority patent/CN1253039C/zh
Publication of KR2003009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마이크 및 버튼이 구비되며 일측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대향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마련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우징을 구비하며,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스피커 및 표시창이 마련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회동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렌즈가 위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며 출력단에 연결된 카메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Equipped with a camera and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인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위치 제어를 자동으로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의 형태로는 이동체 상호간의 직접통신(무선송수신기), 하나의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체 사이의 통신(MCA 무선), 복수의 기지국에서 근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통신(자동차전화) 등이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용 주변장치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 업무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스마트폰, HPC(Hand Held PC:휴대용 PC)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은 그 사용 단말기의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소형화 및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전화기는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는 바(BaR)타입과, 숫자(기능)버튼을 덮개로 차폐시킨 커버를 갖는 플립(Flip)타입과, 본체가 반으로 접혀지는 폴더(Folder)타입 등으로 분류되며,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타입의 휴대전화기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를 내장한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폴더타입 휴대전화기는 크게 본체(100)와 폴더(200)로 이루어지는 바, 이때 상기 본체(100)는 전면측에 통상 숫자 및 기능 버튼(110)과 마이크(120)가 구비되어지며, 내부에는 송수화를 위한 각종 구성 전장부품(미도시)을 내장하고, 후면측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팩(미도시)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폴더(200)는 각종 통화정보 및 기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210;liquid crystal display)와, 스피커(220) 등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각종 구성 전장부품(미도시)이 내장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상술한 폴더(200)가 본체(100)에 대해서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며, 이 힌지를 중심으로 폴더(200)가 본체(100)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를 이루게 된다.
한편, 근래들어 상기와 같은 휴대전화기는 단순한 송수화 기능에서 벗어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부가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출시되고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중의 대표적인 것으로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전화기가 있다.
상기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전화기는 기본적으로 사물을 찍어 저장하거나 email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동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GPS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이 찍힌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받아보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전화기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카메라가 휴대전화기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제공되는 착탈 타입과, 카메라를 휴대전화기의 몸체에 내장시키는 내장타입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타입은 휴대전화기의 외부에 카메라를 착탈하는 구조로서, 카메라의 방향은 수동으로 절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착탈타입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카메라가 휴대전화기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휴대전화기의 전체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자신의 정면 모습 뿐만 아니라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카메라를 회전시켜야 하고, 그때마다 일일이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반면, 내장타입의 휴대전화기는 휴대전화기의 내부에 카메라를 내장한 것으로 외관 구성이 단순해지고 카메라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나, 이 역시 본인 뿐만 아니라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고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전화기는 그 편리성으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카메라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사물을 자유자재로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한쌍의 카메라(500),(600)를 폴더(200)의 내,외측면에 구비시킨 내장 타입의 휴대전화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복수개의 카메라(500),(600)를 구비해야 하는 것에 의한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전화기에 카메라가 복수개 구성되므로 제조 및 설계상의 자유도가 크게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소형 화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원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 제어를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카메라 구동장치 및 이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내장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에서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내지 도 9는 도 3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버튼
15 : 고정부 20 : 폴더
21 : 표시창 22 : 스피커
25 : 하우징 30 : 힌지 어셈블리
31 : 암형 커플러 32 : 수형 커플러
33 : 스프링 35 : 브라켓트
34 : 힌지더미 41 : 모터
42 : 감속기 43 : 위상 검출부
50 : 카메라 g1,g2 : 기어
sw : 스위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마이크 및 버튼이 구비되며 일측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대향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마련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우징을 구비하며,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스피커 및 표시창이 마련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회동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렌즈가 위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며 출력단에 연결된 카메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을 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동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브러시와 정류자로 구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배선되는 스위치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계센서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폴더의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의 회전시 렌즈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피사체 촬상이 가능하게 카메라의 회전방향으로 부분 절개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절개된 부분과 상기 카메라의 측부 사이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가 끼워 맞춤형태로 구비되어 카메라의 양측을 지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카메라는 일측부에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가 연결되며, 이 FPC는 하우징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폴더내로 연장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카메라는 일측부에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가 연결되며, 이 FPC는 고정부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본체내로 연장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한쌍의 보강부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카메라의 측부에 연결되어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FPC의 일단이 본체측으로 연장되게 통로가 형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는,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마이크 및 버튼이 구비되며 일측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대향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마련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우징을 구비하며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스피커 및 표시창이 마련되는 폴더와, 상기 하우징에 근접되는 폴더의 일측에 마련된 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출력단을 통해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카메라에 전달하여 회전되게 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을 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하면서 토크는 증대시켜 출력단을 회전시키는 감속기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에 축이음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기어와,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위치되어 카메라와 포스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게 구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가 상기 제1기어에 교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로 구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평기어와 반달기어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생성하여 출력단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의 바람직한 일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크게 본체(10), 폴더(20), 카메라(50), 구동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송수화를 위한 회로를 내장하는 구조이며, 전면에는 각종 기능 및 숫자 버튼(11)이 배열되고, 하부 일측에는 마이크(미부호)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체(10)의 일측에는 한쌍의 고정부(15)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며, 이때의 고정부(15)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도면에서 바라보면 본체(10)의 상측 양끝단에서 한쌍의 고정부(15)가 돌출되며, 이들 고정부(15)는 후술할 폴더(20)의 하우징(25)이 힌지 결합될 수 있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폴더(20)는 상술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각종 전장품을 내장하는 구조이며, 전면 또는 전,후면으로 통화정보 및 기능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창(21)이 구비되고, 상부 일측으로는 스피커(22)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폴더(20)의 일측에는 상술한 한쌍의 고정부(15)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25)이 구비되는 바, 이때의 하우징(25)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가 빈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본체(10)와 폴더(20)는 힌지 어셈블리(30)에 의해 회동되어지는 바, 이때의 힌지 어셈블리(30)는 상호 테이퍼진 부위를 통해 맞춤 결합되는 암형 및 수형 커플러(31),(32)와 스프링(33) 그리고 힌지더미(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암형 및 수형 커플러(31),(32)중의 하나는 상기 하우징(25)에홈(25')과 돌기(31')로서 끼움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남은 하나는 일측 고정부(15)에 위치되어 스프링(33)의 탄성력을 받아 후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더미(34)는 원통체로 마련되어 상기 암형 및 수형 커플러(31),(32)가 구비되지 않은 타측의 고정부(15)와 하우징(25)의 일측 내주면에 끼움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폴더(20)의 개폐 동작시 상기 폴더(20)와 일체로 암형 커플러(31)가 회전을 이루면서 스프링(33)의 지지력을 받는 수형 커플러(32)를 후퇴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폴더(20)의 하우징(25)내에는 카메라(50)가 폴더(20)의 회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카메라(50)는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신호를 상대방에게 송출하거나 또는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상기 폴더(20)의 하우징(2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50)의 회전방향은 폴더(20)의 전후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며, 도 3은 카메라(50)의 렌즈가 폴더(20)의 전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카메라(50)는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폴더(20)내의 회로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p2)가 연결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FPC(p2)는 일단이 상기 카메라(50)의 일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25)을 통해 폴더(20)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25)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FPC(p2)가 폴더(20)측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슬릿 형태로 절개된 통로를 마련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메라(50)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25)은 카메라(5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렌즈부분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되는 구성이거나, 또는 대응되는 부분이 피사체가 투영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커버되는 구성이다.
구동부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카메라(50)의 위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정·역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1)와, 이 모터(41)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을 감속시키면서 동시에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41)는 상기 하우징(25)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게 되며, 이 모터(41)의 일측으로는 감속기(42)가 고정 설치되어 모터(41)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를 증대시켜 출력단(s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단(s1)의 타단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50)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41)의 회전력은 감속기(42)를 통해 출력단(s1)에 연결된 카메라(50)에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카메라(5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카메라(5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스위치(sw)와 위상 검출부(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sw)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입력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배선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치(sw)는 통상 모터(41)의 정·역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치(sw)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용이한 위치 즉, 본체(10) 또는 폴더(20)의 여러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키패드 즉, 숫자 및 기능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마이컴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마이컴을 통해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위상 검출부(43)는 상기 카메라(50)의 위치를 미리 셋팅된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스위치(sw) 신호에 의해 작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입력신호를 통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50)의 위치를 검출하여 소정의 전기신호를 구동부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위상 검출부(4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인 상기 카메라(50)와 고정체인 상기 구동부의 각각 대향되는 면에 브러시(43a)와 정류자(43b)를 구비시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정류자(43b)는 브러시(43a)와 접점시 통전을 이루는 정류패턴 구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카메라(50)와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브러시(43a)는 정류자(43b)의 정류패턴이 형성된 구간내에서만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이 통전구간이 끝나는 시작과 끝부분에서 소정의 전기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부의 전원이 단속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위상 검출부(43)는 상기 카메라(50)의 위치를 검출하여 구동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상술한 기구적인 구성 즉, 브러시(43a)와 정류자(43b)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센싱수단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일종의 자계센서인 홀IC와 마그네트 또는 MR소자와 마그네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sw)를 조작하게 되면, 이 스위치(sw)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1)가 정·역 방향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감속기(42)를 통해 카메라(5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sw)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부 즉, 카메라(50)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예로 사용자가 스위치(sw)를 조작하는 시간동안 구동부측에 전기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카메라(50)가 스위치(sw)의 조작시간 동안 정·역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스위치(sw) 신호에 의해 상술한 위상 검출부(43)가 카메라의 위상을 검출하고 이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카메라(50)를 제조사측에서 임의로 설정한 각도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sw)를 한번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부 즉, 카메라가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카메라의 회전 경로에 기구적인 스톱퍼를 형성시켜 이 스톱퍼에 의해 카메라의 회전이 강제 정지되록 하고, 이때 상기 카메라가 강제 정지될 때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35)는 도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카메라(50)가 하우징(25)의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브라켓트이고, (p1)은 본체(10)와 폴더(2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FPC이고, (p2)는 상기 카메라(50)에 공급되는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이다.
도 5내지 도 9는 도 3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상기 카메라(50) 폭 넓이에 대응되는 폭만큼 하우징(25)을 일부 절개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카메라(50)에 공급되는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한 FPC(p2)가 하우징(25)의 일부분을 경로로 하여 폴더(20)측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의 상기 하우징(15)은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FPC(p2)가 통과될 수 있게 슬릿 형태의 통로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구성에서 상기 카메라(50)에 공급되는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p2)가 고정부(15)를 통해 본체(10)측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구동부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구동부가 구비되어 카메라(50)를 구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상기 카메라(50)에 공급되는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p2)를 도 5와 반대되는 카메라(50)의 측부에 연결하여 폴더(20)로 연장시킨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낙하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카메라(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카메라(50)의 양측으로 보강부(60)를 구비시키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보강부(60)는 상기 고정부(15)가 돌출되는 본체(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하우징(25)의 절개된 부분과 상기 카메라(5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 맞춤으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60)는 상기 카메라(50)의 양측부를 견고히 지지하는 것에 의해 낙하 또는 기타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카메라(50)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카메라(50)에 공급되는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p2)가 상기 보강부(60)내부를 통과하여 폴더(20)측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구성에서 구동부의 위치가 반대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크게 본체(10)와 폴더(20) 그리고 카메라(50) 및 구동부 및 제어부로 구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휴대전화기의 구조와 거의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50)가 하우징(25)내에 설치되지 않고하우징(25)의 외부에 즉, 폴더(20)측에 설치된 것을 제안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요부인 카메라(50)와 구동부 및 동력 전달부 그리고 제어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50)는 상기 하우징(25)에 근접되는 폴더(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 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상기 카메라(50)의 회전방향은 폴더(20)의 전후면 방향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카메라(50)는 동력 전달부를 통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부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카메라(50)의 위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정·역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1)와, 이 모터(41)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을 감속시키면서 동시에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41)는 상기 하우징(25)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게 되며, 이 모터(41)의 일측으로는 감속기(42)가 고정 설치되어 모터(41)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를 증대시켜 출력단(s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단(s1)의 타단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를 구성하는 제1기어(g1)에 축이음되어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의 출력단(s1)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제1기어(g1)와, 이 제1기어(g1)와 원주 방향으로 교합되며 카메라(50)와 포스트(s2)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제2기어(g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g1)와 제2기어(g2)는 반달기어와 평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w)는 제1,2기어가 출력단(s1)과 포스트(s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41)의 정·역 방향의 회전력은 감속기(42)를 통해 출력단(s1)에 연결된 제1기어(g1)에 전달되고, 이 제1기어(g1)와 교합된 제2기어(g2)가 연동하여 포스트(s2)로 연결된 카메라(5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카메라(5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w)가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스위치(sw)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입력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배선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치(sw)는 통상 모터(41)의 정·역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sw)를 조작하게 되면, 이 스위치(sw)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1)가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며, 이때의 구동력은 감속기(42)와 제1기어(g1)와 제2기어(g2)를 통해 카메라(50)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50)는 사용자가 스위치(sw)를 조작하는 시간동안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50)를 공간이 협소한 하우징(25)내에 구비시키지 않고 외부에 구성시키므로 제조 및 설계의 자유도가 증대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스위치(sw)에 의해서만 상기 카메라(5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제 제한하지 않고 전술한 제1실시예의 위상 검출부(43)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sw)를 조작하게 되면, 이 스위치(sw)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1)가 정·역 방향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감속기(42)를 통해 카메라(5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sw)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부 즉, 카메라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예로 사용자가 스위치(sw)를 조작하는 시간동안 구동부측에 전기신호를 인가므로서, 상기 카메라(5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스위치(sw) 신호에 의해 상술한 위상 검출부(43)가 카메라의 위상을 검출하고 이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카메라(50)를 제조사측에서 임의로 설정한 각도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sw)를 한번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부 즉, 카메라가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카메라의 회전 경로에 기구적인 스톱퍼를 형성시켜 이 스톱퍼에 의해 카메라의 회전이 강제 정지되록 하고, 이때 상기 카메라가 강제 정지될 때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 각도 위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증대되는 것에 의한 제품의 기능과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단일의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종전의 복수개의 카메라 장착형에 비하여 제품의 제조 및 설계상의 자유도가 크게 증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22)

  1.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마이크 및 버튼이 구비되며 일측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대향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마련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우징을 구비하며,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스피커 및 표시창이 마련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회동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렌즈가 위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며 출력단에 연결된 카메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을 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동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브러시와 정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배선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의 회전시 렌즈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피사체 촬상이 가능하게 카메라의 회전방향으로 부분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절개된 부분과 상기 카메라의 측부 사이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가 끼워 맞춤 형태로 구비되어 카메라의 양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일측부에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가 연결되며, 이 FPC는 하우징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폴더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일측부에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FPC가 연결되며, 이 FPC는 고정부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본체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보강부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카메라의 측부에 연결되어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FPC의 일단이 본체측으로 연장되게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1.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마이크 및 버튼이 구비되며 일측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대향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마련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우징을 구비하며, 송수화를 위한 회로와 스피커 및 표시창이 마련되는 폴더와;
    상기 하우징에 근접되는 폴더의 일측에 마련된 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출력단을 통해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카메라에 전달하여 회전되게 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을 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하면서 토크는 증대시켜 출력단을 회전시키는 감속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에 축이음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기어와;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위치되어 카메라와 포스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게 구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가 상기 제1기어에 교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및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평기어와 반달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동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브러시와 정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배선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18. 피사체를 촬상하는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생성하여 출력단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동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브러시와 정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배선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KR10-2002-0031559A 2002-06-05 2002-06-05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KR10047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559A KR100471148B1 (ko) 2002-06-05 2002-06-05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JP2002366640A JP2004015798A (ja) 2002-06-05 2002-12-18 カメラ駆動装置及びカメラ駆動装置が装着された携帯電話機
DE10260341A DE10260341A1 (de) 2002-06-05 2002-12-20 Kameraantriebseinheit und mit einer Kameraantriebseinheit ausgestattetes Mobilfunktelefon
US10/325,786 US7184092B2 (en) 2002-06-05 2002-12-20 Camera drive unit and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camera drive unit
FI20022283A FI115101B (fi) 2002-06-05 2002-12-30 Kameran käyttöyksikkö ja matkapuhelin varustettuna kameran käyttöyksiköllä
CNB021583951A CN1253039C (zh) 2002-06-05 2002-12-30 照相机驱动单元以及配备有照相机驱动单元的蜂窝式电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559A KR100471148B1 (ko) 2002-06-05 2002-06-05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729A true KR20030093729A (ko) 2003-12-11
KR100471148B1 KR100471148B1 (ko) 2005-02-21

Family

ID=3671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559A KR100471148B1 (ko) 2002-06-05 2002-06-05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4092B2 (ko)
JP (1) JP2004015798A (ko)
KR (1) KR100471148B1 (ko)
CN (1) CN1253039C (ko)
DE (1) DE10260341A1 (ko)
FI (1) FI11510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519B1 (ko) * 2002-07-03 2005-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카메라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80282B1 (ko) * 2002-10-2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649582B1 (ko) 2004-10-05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1783B2 (en) * 1997-04-25 2008-01-22 Minerva Industries, Inc. Mobile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57612A1 (en) * 1997-04-25 2004-08-12 Minerva Industries, Inc. Mobile communication and stethoscope system
JP2005535244A (ja) * 2002-08-05 2005-11-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携帯画像通信用装置
JP4371258B2 (ja) * 2002-11-06 2009-11-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動開閉機構
KR100487616B1 (ko) * 2002-11-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영상 반전 스위치장치
KR100463432B1 (ko) * 2002-12-10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100504143B1 (ko) * 2003-01-11 200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각도 제어장치 및 방법
US7619686B2 (en) * 2003-03-24 2009-11-17 Kantan Inc.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FI118669B (fi) * 2003-04-01 2008-01-31 Samsung Electro Mech Liukutyyppinen matkapuhelin ja liukumismenetelmä siihen
KR100524747B1 (ko) * 2003-04-16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조립체 구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18002B1 (ko) * 2003-05-30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US7369178B2 (en) * 2003-06-05 2008-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JP2005026868A (ja) *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音声信号記録装置
DE602004019360D1 (de) * 2003-07-04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rehbare Kamera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DE602004021457D1 (de) * 2003-07-08 2009-07-23 Lg Electronics Inc Rotierende Kameraanordnung für Mobilübertragungsvorrichtung
KR100619811B1 (ko) * 2003-09-06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화상자동반전장치
US7290034B2 (en) * 2003-09-18 2007-10-30 Vulcan Port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polling a server for new emails, downloading the new emails in a background process, and caching the downloaded emails for access by an email appl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computer
US7536440B2 (en) * 2003-09-18 2009-05-19 Vulcan Port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email synchroniz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50076085A1 (en) * 2003-09-18 2005-04-07 Vulcan Port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mail attachment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50066597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93544B1 (ko) * 2004-01-09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US20100134964A1 (en) * 2004-03-08 2010-06-03 Originatic Llc Electronic Device
JP2005267000A (ja) * 2004-03-17 2005-09-29 Sony Corp 電子機器および機能割り当て方法
EP1735995A1 (en) * 2004-04-05 2006-12-27 Nokia Corporation An electronic imaging device
KR100677333B1 (ko) * 2004-07-0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조립체
KR101080553B1 (ko) 2004-07-20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JP4224712B2 (ja) 2004-09-24 2009-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器及びその組立方法
JP4647273B2 (ja) * 2004-09-24 2011-03-09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駆動機構
US7529958B2 (en) * 2004-11-15 2009-05-05 Charles Roth Programmable power transition counter
US8149346B2 (en) 2005-10-14 2012-04-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505319A (ja) * 2006-09-27 2010-02-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回転式カメラユニットを持つ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
US8159363B2 (en) * 2009-02-16 2012-04-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ing gravity to direct a rotatable camera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538052B2 (en) 2012-07-26 2017-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put-output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CN103929511A (zh) * 2014-04-11 2014-07-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的旋转装置和手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US5414444A (en) * 1994-03-30 1995-05-09 At&T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orientable video imaging element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GB2372663B (en) * 1998-05-08 2002-11-27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KR100584436B1 (ko) * 1999-09-28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GB2358538B (en) * 1999-11-24 2003-11-0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JP2001197462A (ja) * 2000-01-17 2001-07-19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テレビ電話システム
JP2001245267A (ja) * 2000-02-28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付き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US6532035B1 (en) * 2000-06-29 2003-03-1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ation of close-up imaging capability in a mobile imaging system
JP3630096B2 (ja) * 2000-11-30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519B1 (ko) * 2002-07-03 2005-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카메라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80282B1 (ko) * 2002-10-2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649582B1 (ko) 2004-10-05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148B1 (ko) 2005-02-21
JP2004015798A (ja) 2004-01-15
FI20022283A (fi) 2003-12-06
FI20022283A0 (fi) 2002-12-30
FI115101B (fi) 2005-02-28
US7184092B2 (en) 2007-02-27
CN1253039C (zh) 2006-04-19
CN1466398A (zh) 2004-01-07
US20030227564A1 (en) 2003-12-11
DE10260341A1 (de)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148B1 (ko)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JP4546503B2 (ja) 向上した画像通信性能を有する携帯用通信装置
JP4384648B2 (ja) 携帯端末機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EP1455505A1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camera module
US20060063570A1 (en) Portable apparatus
GB2389735A (en) Folding radiotelephone has protected camera lens
JP2003533090A (ja) 適合可能な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携帯電子装置
KR20110050243A (ko) 휴대 단말기
WO2004066616A1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JP2005198279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携帯用端末機
JP2005198314A (ja) 回転式表示装置が具備された携帯用無線端末機
JP3738195B2 (ja) 携帯電話端末
KR200372675Y1 (ko) 자동 회전식 카메라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200400032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
KR20060073291A (ko)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6816Y1 (ko) 자동 회전형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5004169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스피커 및 카메라 통합 장치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100542950B1 (ko) 휴대폰의 회전식 카메라용 고정장치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JP2005217817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