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553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553B1
KR101080553B1 KR1020040056566A KR20040056566A KR101080553B1 KR 101080553 B1 KR101080553 B1 KR 101080553B1 KR 1020040056566 A KR1020040056566 A KR 1020040056566A KR 20040056566 A KR20040056566 A KR 20040056566A KR 101080553 B1 KR101080553 B1 KR 10108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se
transparen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106A (ko
Inventor
승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5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에 관한 것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돔스위치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버튼과; 상기 돔스위치와 투명 버튼 사이에 위치하여, 투명 버튼을 통해 투과되는 빛을 감지함과 아울러 투명 버튼의 누름력을 돔스위치에 전달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를 메인인쇄기판과 디지털 카메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카메라 촬영모드시 작동 버튼을 누르지 않고 광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흔들림이 없어 최상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STRUCTURE OF OPERATING BUTTON OF DIGITAL CAMER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케이스 102 : 관통홀
103 : 투명버튼 104 : 광센서
105 : 고무패드 107 : 인쇄회로기판
108 : 돔스위치 109 :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110 : 디지털 카메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에 관한 것으로,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광센서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영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일정한 각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형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여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형,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하에서는 최근 가장 널리 보급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회전형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상측에 힌지설치부(12)를 구비한 단말기 본체(11)와 상기 본체측 힌지설치부(12)와 힌지결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그 하측에 힌지설치부(22)를 구비하고 내측면에 액정 디스플레이(23)를 구비한 폴더(2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1)의 상단 및 본체측 힌지설치부(12)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공간부(13)에 카메라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사이드버튼(16)이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카메라 장치로서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렌즈(42)와 내부에 상기 렌즈(42)를 수용하고 외주면에 상기 렌즈의 노출용 개구부(44)를 구비하며 후면에 회전축이 끼워지는 홈(미도시)이 형성된 하우징(43)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41)과, 이 카메라 모듈(41)과 회로부(미도시) 사이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인 14는 키패드부, 15는 마이크홀, 17은 안테나, 24는 스피커홀, 31은 배터리, 45는 요철부이다.
상기 회전형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모드 전환을 통해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전환한 다음 렌즈(42)를 피사체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폴더(21)의 내측면에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영상 구도를 설정하여 카메라 작동을 위해 사이드 버튼(16)을 눌러 사진을 찍고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시켜서 이후 사용 목적에 맞게 재생, 편집, 전송, 삭제 등의 조작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은 대다수가 푸쉬(push)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해 푸쉬(push)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가 흔들리게 되어 촬영된 사진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카메라 촬영 모드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흔들림이 없어 최상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돔스위치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버튼과; 상기 돔스위치와 투명 버튼 사이에 위치하여, 투명 버튼을 통해 투과되는 빛을 감지함과 아울러 투명 버튼의 누름력을 돔스위치에 전달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를 메인인쇄기판과 디지털 카메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 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는 케이스(101), 투명 버튼(103), 광센서(104), 고무패드(105), 돔스위치(108)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09)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1)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02)이 형성되어 있고, 중 공으로 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디귿자 모양의 투명 버튼(103)이 상기 관통홀(102)에 관통하여 상기 투명 버튼(103)의 폐쇄단부가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투명 버튼(103)의 개방단부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센서(104)는 상기 투명 버튼(103)의 내부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을 감지하고, 디지털 카메라(110)에 일단이 연결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09)의 타단은 상기 광센서(10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센서(104)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09)에 의해 메인회로기판(10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무패드(105)는 상기 광센서(104)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버튼(103)의 개방단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무패드(105)에는 상기 케이스(101)의 내측방향으로 돌기(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돔스위치(108)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07)의 도전패턴 위에 상기 고무패드(105)의 돌기(106)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투명 버튼(103)을 손가락으로 덮어 외부의 빛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광 센서(104)에서 빛 차단이 감지되어 인쇄회로기판(107)의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09)을 통해 카메라(110)로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에 의해 카메라(110)가 작동하게 된다.
사진 촬영이 끝나게 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투명 버튼(103)을 일반 버튼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투명 버튼(103)을 누르게 되면 상기 고무패드(105)의 돌기(106)가 반구형상의 돔스위치(108) 중앙 볼록한 부분에 접촉하여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돔스위치(108)의 눌린부분이 인쇄회로기판(107)의 도전패턴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중앙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에 의하면, 카메라 촬영모드시 작동 버튼을 누르지 않고 광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흔들림이 없어 최상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돔스위치;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버튼;
    상기 돔스위치와 투명 버튼 사이에 위치하여, 투명 버튼을 통해 투과되는 빛을 감지함과 아울러 투명 버튼의 누름력을 돔스위치에 전달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를 메인인쇄기판과 디지털 카메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스위치와 광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6566A 2004-07-20 2004-07-20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KR101080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566A KR101080553B1 (ko) 2004-07-20 2004-07-20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566A KR101080553B1 (ko) 2004-07-20 2004-07-20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106A KR20060009106A (ko) 2006-01-31
KR101080553B1 true KR101080553B1 (ko) 2011-11-04

Family

ID=3711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566A KR101080553B1 (ko) 2004-07-20 2004-07-20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6441A (zh) * 2009-11-06 2011-05-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48B1 (ko) 2002-06-05 2005-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48B1 (ko) 2002-06-05 2005-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106A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216022A1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directional camera lens modules
KR100488425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US7320607B2 (en) Main board for portable terminal
KR1010805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JP3847158B2 (ja) 携帯電話装置
KR101012370B1 (ko) 카메라 일체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36129A (ko)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0287B1 (ko) 컴팩트한 이동 통신 기기
JP2004333871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及び防水カメラ
JP4239441B2 (ja) 電子機器
KR100641322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커버장치 및 그 커버장치를이용한 촬영모드 전환방법
JP4310730B2 (ja) 電子機器の電池端子接続装置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90123698A (ko) 휴대 단말기
KR200397802Y1 (ko) 접촉식 촬영신호 입력장치 및 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JP4310623B2 (ja) 電子カメラ
JP4230166B2 (ja) 携帯情報端末用ストロボ
KR100504822B1 (ko) 카메라가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 방법
KR10058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안정화 장치
KR200374440Y1 (ko)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638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JP4725816B2 (ja) 電子機器の外装ケース及び外装ケー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