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380Y1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80Y1
KR200306380Y1 KR20-2002-0037983U KR20020037983U KR200306380Y1 KR 200306380 Y1 KR200306380 Y1 KR 200306380Y1 KR 20020037983 U KR20020037983 U KR 20020037983U KR 200306380 Y1 KR200306380 Y1 KR 200306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housing
ca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장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to KR20-2002-0037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 바디의 힌지암상에 장착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소정의 수납부를 갖는 힌지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하측 고정 샤프트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암상에 고정되는 소정의 골형부를 갖는 힌지 캠과, 상기 힌지 캠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 캠의 골형부와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산형부를 갖고 있으며, 회전축 방향으로 수직 운동만 하도록 수납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의 상부에 수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를 힌지 캠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최상부에서 상기 수납된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을 단속하는 단속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암상에는 상기 힌지 캠의 고정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길이의 핀이 상기 힌지암의 보스와 고정 샤프트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며, 유지 보수시 분해가 손쉽고,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ROTARY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본 고안은 메인 바디상에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 바디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hinge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 바디가 개폐되는 힌지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로터리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만 에서 수십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기능을 좀더 개발하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술한 고화질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응한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출시되고 있는바, 예를 들어, 화상통신을 하거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또는 캠코더(camcoder)로써 사용하기 위한 소형 렌즈 어셈블리와 같은 광학 촬영 장치를 단말기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촬영 장치는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내장형인 경우, 일반적으로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힌지모듈에 설치되며, 장착된 광학 촬영 장치는 힌지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학 촬영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즉시 디스플레이 하거나 PC에 연결하여 촬영한 피사체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술한 광학 촬영 장비를 구비한 단말기의 폴더는 본체와 폴더를 연결시켜주는 힌지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에는 두 개 이상의 힌지 모듈이 적용되는데, 폴더를 본체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시기키 위하여 사용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폴더를 힌지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 모듈을 사용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로터리 힌지 모듈(rotary hinge module)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로터리 힌지 모듈은 폴더에 고정되는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에 수납되는 산형부와 골형부로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캠, 상기 힌지샤프트를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 하우징에 수납된 힌지 샤프트의 단부가 돌출되어 본체의 힌지암상에 고정되고, 폴더 및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의 후방 후퇴에 의해 폴더는 일정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회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의 힌지암상에서 힌지캠은 소정의 스크류에 의해 본체와 긴밀히 고정시키게 되며, 힌지하우징에 수납되는 요소들을 단속하기 위하여 소정의 플레이트를 그 상부에 위치시키고, 이링(E-ring)등의 부품을 사용하여 고정시켜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 방식은 조립하기가 어렵고 유지보수등을 목적으로 힌지 모듈을 분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다 보면 스크류가 풀려 폴더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시 분해가 손쉽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힌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힌지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로터리 힌지 모듈 20: 힌지암
30: 힌지 하우징 40: 힌지 캠
50: 힌지 샤프트 60: 힌지 스프링
70: 단속 플레이트 80: 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메인 바디의 힌지암상에 장착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소정의 수납부를 갖는 힌지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하측 고정 샤프트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암상에 고정되는 소정의 골형부를 갖는 힌지 캠과, 상기 힌지 캠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 캠의 골형부와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산형부를 갖고 있으며, 회전축 방향으로 수직 운동만 하도록 수납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의 상부에 수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를 힌지 캠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최상부에서 상기 수납된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을 단속하는 단속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상에는 상기 힌지 캠의 고정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을갖는 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길이의 핀이 상기 힌지암의 보스와 고정 샤프트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로써,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인 본체(110)와, 서브 바디인 폴더(120) 및 상기 본체(110)상에서 폴더(120)를 일정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힌지 모듈(미도시됨) 및 상기 폴더를 상기 힌지 모듈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로터리 힌지 모듈(도 2 및 도 3의 1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어셈블리(130)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30)는 하단에 다수의 숫자 키버튼과, 상단에 소정의 네비게이션 키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션 키버튼은 사용자가 단말기로의 통화외에 인터넷 검색, 디지탈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으로써 피사체의 촬영을 할 경우등 다양한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30)의 하측에는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송화부인 마이크로폰 장치(140)가 설치된다.
상기 폴더(12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5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와이드 엘씨디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모듈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상부에는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수화부인 스피커폰 장치(160)가 설치된다.
그후, 상기 폴더(120)와 본체(110)를 연결 시키는 힌지암(111) 내부의 일측에 소정의 힌지 모듈(미도시 됨)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더(120)는 도 1의 축 A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써,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암(111)상에는 상기 폴더(120)를 도 1의 축 X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 힌지모듈(도 2의 10)이 설치된다. 상기 로터리 힌지 모듈(10)은 상술한 힌지암(111)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를 광학 촬영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170)를 상기 힌지암상에 내장시킬 수 있는데, 상기 렌즈 어셈블리(170)는 소정의 각도 조절 수단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60°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피사체의 촬영시 사용자 마다의 독특한 촬영 각도 또는 위치에 부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힌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힌지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힌지 모듈(10)은 메인 바디의 힌지암(도 1의 111; 이후 20으로 표기함)상에 장착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소정의 수납부(31)를 갖는 힌지하우징(30)과, 상기 힌지 하우징(30)의 수납부(31)에 수납되며 하측 고정 샤프트(42)가 상기 힌지 하우징(30)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암(20)상에 고정되는 소정의 골형부(41)를 갖는 힌지 캠(40)과, 상기 힌지 캠(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 캠(40)의 골형부(41)와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산형부(51)를 갖고 있으며, 회전축 방향(축 X 방향)으로 수직 운동만 하도록 수납되는 힌지 샤프트(50)와, 상기 힌지 샤프트(50)의 상부에 수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50)를 힌지 캠(40)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60) 및 상기 힌지 하우징(30)의 최상부에서 상기 수납된 힌지 캠(40), 힌지 샤프트(50) 및 힌지 스프링(60)을 단속하는 단속 플레이트(70)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암(20)은 본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관통구멍(21)을 가지며, 중앙에 상기 관통구멍(21)까지 일정 직경의 장착 구멍(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구멍(22)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21) 까지 소정의 개방된 슬릿(260이 형성되는데, 이는 폴더에서 인출된 급전 수단인 가요성 인쇄회로를 본체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힌지 하우징(30)의 상측 양단에는 마주보도록 삽입홈(34)이 형성된 리브(33)가 돌출된다. 상기 리브(33)의 삽입홈(34)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30)에 구성 요소들(힌지 캠, 힌지 샤프트, 힌지 스프링)을 수납후 단속하기 위한 단속 플레이트(70)의 양단이 긴밀히 삽입된다. 즉, 상기 단속 플레이트(70)의 양단이 상기 리브(33)의 삽입홈(34)에 긴밀히 삽입되므써 힌지 하우징(30)상의 수납 요소들을 단속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속 플레이트(70)는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리브(34)내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힌지 하우징(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단속 플레이트(70)의 상측면상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플레이트 회전용 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33)에 형성된 삽입홈(34)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속 플레이트(70)상에는 상부면보다 낮은 리세스(recess)(71)를 각각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하우징(3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홈(3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샤프트(50)에는 상기 가이드 홈(32)에 안착되어 상, 하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52)가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 하우징(30)이 회전할 때, 힌지 샤프트(50)의 산형부(51)는 회전하지 않도록 본체의 힌지암(20)에 고정되는 힌지 캠(40)의 골형부(41)를 타고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암(20)상에는 상기 힌지 캠(40)의 고정 샤프트(42)가 안착되는 안착홈(25)을 갖는 보스(2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스(23)의 측방향으로 소정의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24)과 안착홈(25)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조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힌지 캠(40)의 고정 샤프트(42)상에 소정의 고정 구멍(4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샤프트(42)의 고정 구멍(43)은 상기 보스(23)의 안착홈(25)에 장착시 관통구멍(24)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스(23)에 힌지 하우징(30)에서 돌출된 고정 샤프트(42)가 가조립된 후, 일정 길이의 핀(80)이 상기 힌지암(20)의 보스(23)와 고정 샤프트(42)를 동시에 관통한 후,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샤프트(42)를 테이퍼지도록 형성하고, 안착홈(25)을 이에 상응하는 구조로 형성하여 결합하면, 좀더 원활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로터리 힌지 모듈은 조립성이 향상되며, 유지 보수시 분해가 손쉽고,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메인 바디의 힌지암상에 장착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소정의 수납부를 갖는 힌지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하측 고정 샤프트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암상에 고정되는 소정의 골형부를 갖는 힌지 캠;
    상기 힌지 캠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 캠의 골형부와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산형부를 갖고 있으며, 회전축 방향으로 수직 운동만 하도록 수납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의 상부에 수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를 힌지 캠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최상부에서 상기 수납된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을 단속하는 단속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상에는 상기 힌지 캠의 고정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길이의 핀이 상기 힌지암의 보스와 고정 샤프트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고정 샤프트의 부분은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원활히 장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상측 양단에는 마주보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단속 플레이트의 양단이 상기 리브의 삽입홈에 긴밀히 삽입되므써 힌지 하우징상의 수납 요소들을 단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플레이트는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리브내에서 회전시키면 힌지 하우징에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플레이트의 상측면상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회전용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2002-0037983U 2002-12-20 2002-12-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200306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83U KR200306380Y1 (ko) 2002-12-20 2002-12-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83U KR200306380Y1 (ko) 2002-12-20 2002-12-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80Y1 true KR200306380Y1 (ko) 2003-03-07

Family

ID=4940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983U KR200306380Y1 (ko) 2002-12-20 2002-12-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20030086017A (ko)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EP1871079A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20060093163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638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317847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529962B1 (ko) 통합 힌지 모듈
KR200323867Y1 (ko) 통합 힌지 모듈
KR20034571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100600702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100639506B1 (ko) 회전 가능한 액정화면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63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637580B1 (ko) 회전형 표시화면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0838B1 (ko) 회전형 카메라모듈의 비고정식 접점구조 및 이를 적용한휴대폰
KR1005873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200402699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5397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2004005403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0326829Y1 (ko) 통합 힌지 모듈
KR100689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