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391A -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391A
KR20030093391A KR1020020029782A KR20020029782A KR20030093391A KR 20030093391 A KR20030093391 A KR 20030093391A KR 1020020029782 A KR1020020029782 A KR 1020020029782A KR 20020029782 A KR20020029782 A KR 20020029782A KR 20030093391 A KR20030093391 A KR 2003009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door glass
hole
grip mem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336B1 (ko
Inventor
장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3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에 관한 것으로, 도어글라스를 고정하는 그립의 구조를 이원화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으로 형성하되, 분리된 그립중 도어글라스를 측면에서 눌러주는 제2 그립부 내부에 삽입너트와 판스프링부재를 구비시켜 그립의 체결력 강화를 통해 도어글라스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두 개의 분리된 그립부재간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분리된 그립부재를 일체화하여 이동시 부품의 소실을 막을 수 있고 인라인 공정시 분실의 위험과 별도의 구분된 보관상자에서 부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을 없앰으로 작업 공정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Door glass grip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립의 형상을 이원화된 분리형 그립으로 하고, 일측 그립부재 내부에 삽입너트와 판스링부재를 구비하여 도어 글라스의 이탈과 유동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글라스 그립 결착공정의 공정효율 및 차량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글라스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글라스는 도어 프레임을 따라 승강되어 창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장치, 예컨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장치나 핸들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장치나 핸들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도어글라스의 하측 단부는 도어글라스 고정용 그립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글라스가 상기 개폐장치 등에 의해 승강하도록 되어있다.
도 1a 는 차량의 레귤레이터 레일상에 도어글라스 그립이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 와 도 1c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 구조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b 는 상기 도 1a 의 레귤레이터 레일(13)상의 "B" 위치에서 도어글라스 그립(3)이 결착된 상태에서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레귤레이터 레일(13)은 레일(13)과 연결된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및 하강운동이 이루어지고, 도어글라스(1)는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13)의 B 위치에 도어글라스 그립에 의해 결착된다.
도어글라스 그립(3)을 이용하여 위한 도어글라스(1)를 결착하기 위해, 도어글라스(1) 및 도어글라스 그립 조립체를 도어채널(미도시) 사이로 삽입한 다음, 도어 레귤레이터 레일(13)상에 올려놓은 후 볼트 등의 체결부재(7)로 도어글라스(1)를 결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3)에 있어서, 글라스 그립의 재질이 경도가 낮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체결부재(7)인 볼트로 글라스(1)를 결착할 시 그립 내부에 삽입된 삽입너트(5)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글라스 그립을 경도가 높은 딱딱한 재질을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삽입너트(5)가 위치한 삽입부에서의 제품 성형 불량 발생 시, 그립 내면의 삽입너트(5)부 주위가 국부적으로 살이 올라오게 되며, 이러한 현상으로 그립의 내면 전체가 균일하게 도어글라스(1)와 접촉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 결착시 글라스(1)에 국부적으로 집중응력이 발생되어 도어글라스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c 는 체결부재로 스크류를 사용하는 종래의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23)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예시된 스크류 타입의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23)에 있어서, 스크류(27)가 결착될 때 그립(23)의 "C"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도어글라스(21)와 접촉되어 글라스(21)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어글라스(21)의 승/하강 운동의 불량으로 도어글라스(21) 결착위치의 조정을 위한 A/S 과정에서는 결착되어 있는 스크류(27)를 풀고, 재결착하는 과정이 반복되는데, 이 경우 그립(23)의 "C"부에서 글라스(21)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약화되어 글라스(21)가 유동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립을 두 개의 구성부재로 분리시킨 이원화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이 제시되어 있다.
도 2a 는 도어글라스 그립을 두 개로 이원화시킨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 는 상기 도 2a 의 도어글라스 분리된 두 개의 그립부재가 결착된 상태의 결합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100)은 도어글라스(101)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글라스(10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1 그립부재(103)와, 상기 제1 그립부재(103)와 대향하며, 상기 제1 그립부재(103)와의 사이에 도어글라스(101)를 수용하여 결착하는 제2 그립부재(105)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그립부재(103,105)의 내측에는 상호 맞물릴 경우 도어글라스(101)를 내부에 결착시킬 수 있는 도어글라스 결착구(103c,105c)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결착구(103c,105c)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나오고 그 단부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갈고리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그립부재(105)는 상기 결착구(105c)와 연결되어 있는 날개부(105b)가 상부와 저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오고 그 단부는 도어글라스(101)의 상부면을 눌러주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제1 및 제2 그립부재(103,105)로 분리된 그립은 제2 그립부재(105)의 날개부(105b)가 도어글라스(101)를 눌러주고, 각 그립부재(103,105)의 결착구(103c,105c) 걸림턱에 의해 서로 결착되므로 그 중심부로 형성된 관통홀(109)의 내부로 결착부재(113)인 스크류의 반복운동에 의해서도 각 그립부재(103,105)는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결착부재(113)가 볼트, 예컨데 육각머리형 볼트에서 최근 접시머리형 스크류가 많이 사용되어짐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인-라인 작업시 어려움을 겪는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육각머리형 볼트는 임팩트 소켓에 볼트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작업상의 편리함이 있으나, 접시머리형의 스크류는 열십(+)자 드라이브 공구를 사용해야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스크류가 그립에 부착될 때 스크류의 이동에 따라 그립의 내면을 갉아 내면서 들어가게 되므로 낮은 토오크로는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토오크를 높이면 그립의 내면이 스크류를 지지하지 못해 스크류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스크류의 탈착을 반복하게 되면 스크류의 부착력이 떨어져 심한 경우 도어 레귤레이터 레일에서 글라스가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시된 도어글라스 그립의 경우, 그립이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도어글라스 조립 공정시 제1 및 제2 그립부재를 별도의 수용박스에 담아 운반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특히 도어 인너패널과 아웃패널의 사이로 흘렸을 경우 찾아내기가 힘드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립부재를 이원화하고 이원화된 그립부재중 일측 그립부재의 내부에 삽입너트와 판스프링부재를 구비시켜 그립 체결력의 향상 및 그립 날개부의 탄성 증대를 통한 글라스의 유동을 방지하고, 이원화된 부재를 하나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작업공정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글라스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는 차량의 레귤레이터 레일상에 도어글라스 그립이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b 와 도 1c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 구조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는 도어글라스 그립을 이원화시킨 종래의 개선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 는 상기 도 2a 의 도어글라스 그립이 체결된 상태의 그립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의 사시도,
도 3b 는 상기 도 3a 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에 있어서, 이원화된 두 그립부재의 확대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 : 도어글라스 3 :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
5,107 : 삽입너트 7,115 : 체결부재
9,109 : 관통홀 103 : 제1 그립부재
105,205 : 제2 그립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글라스 그립은 도어글라스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몸체와, 도어글라스의 하측 단부를 지지하는 기저부 및 도어글라스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제1 관통 결착부로 이루어지는 제1 그립부재와; 상기 제1 그립부재와 대향해 있으며, 내측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저부로 경사지게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와 도어글라스의 일측면부를 눌러 지지하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 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오고 도어글라스의 관통홀 내부로 삽착되는 제2 관통 결착부와; 및 상기 제1 및 제2 관통 결착부 내부로 삽입되어 도어글라스를 그립에 고정시키는 결착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어글라스 그립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립부재의 내부에 관통홀 내에서 그 나사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삽입너트와, 제2 그립부재의 날개부 내면에서 그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판스프링부재가 구비되어, 도어글라스 그립의 체결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글라스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글라스 그립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글라스 그립의 사시도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a 에 도시된 도어글라스 그립에 있어서, 이원화된 두 그립부재가 결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글라스 그립(200)은 이원화된 두 개의 그립부재, 제1 그립부재(103)와 제2 그립부재(205) 및 상기 두 그립부재(103,205)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1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그립부재(103)는 도어글라스(10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몸체(103a)와, 도어글라스(101)의 하측 단부를 지지하는 기저부(103b) 및 도어글라스(101)에 형성된 관통홀(109)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03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제1 관통 결착구(103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관통 결착구(103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결착부재로 구성되되,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있으며, 맞은편 제2 그립부재(205)의 관통 결착구(205c)와 결착될 경우, 각 결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견고한 결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관통 결착구(103c)의 내부로는 볼트 등의 결착부재(115)가 삽입되는 통로인 관통홀(1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그립부재(103)와 대향하여 있는 본 발명의 제2 그립부재(205)는 내측 중심부에 홀(10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205a)와, 상기 몸체(205a)의 상부 및 저부로 경사지게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와 도어글라스(101)의 일측면을 눌러 지지하는 날개부(205b)와, 상기 몸체(205a)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오고 도어글라스(101)의 관통홀 내부로 삽착되는 제2 관통 결착구(205c)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관통 결착구(205c)는 다수의 결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그립부재(103)의 관통 결착구(103c)와 결착될 수 있도록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결착부재중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결착구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1 그립부재(103)와 제2 그립부재(205)간의 결착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그립부재(205)의 몸체(205a)와 날개부(205b)의 내부에 삽입너트(107)와 판스프링부재(205d)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삽입너트(107)는 제2 그립부재(205)의 내부에 삽입되며, 특히 체결부재(115)가 삽입되는 관통홀(109)의 통로상에 삽입되되, 그 나사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스크류 결착부재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결착이 이루어질 경우 체결력이 약화되고, 이로 인해 도어글라스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삽입너트(107)가 구비된 종래의 일체형 도어글라스 그립에 있어서 발생되는 도어글라스(101)의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원화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에 있어서, 스크류를 이용한 반복적인 부착공정에 의해 체결력이 약화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도어글라스 그립부재(205)의 몸체(205a)와 날개부(205b)의 내부에서 그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나온 판스프링부재(205d)가 구비되는데, 상기 판스프링부재(205d)의 삽입으로 과다한 토크가 제2 그립부재(205)에 인가될 때에도 삽입너트(107)의 결착부재(115)가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결착부재(115)가 제1 및 제2 그립부재(103,205)에 결착된 후에도 제2 그립부재의 날개부(205b)의 탄성을 증대시키게 되어 도어글라스(101)의 유동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재(103,105)를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111)는 제1 그립부재(103)의 기저부(103b)와 제2 그립부재(205)의 하측 날개부(205b)간에 설치되며, 그 재질은 두 개의 그립부재(103,205)가 연결은 되지만 굴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료로 사용한다.
상기 연결부재(111)의 설치로 종래에는 제2 그립부재(205)와 분리되어 있던 제1 그립부재(103)가 함께 연결된 형태로 움직이게 되므로 이동시 2개의 부품중 어느 하나를 분실할 위험이 없고, 공정라인에 있어서도 항상 2개의 구성부품이 인접하여 있음으로 도어 패널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어느 한 부품이 떨어져 찾는데 따른 불편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글라스 그립은 그립의 구조를 이원화된 분리형 도어글라스 그립으로 형성하되, 분리된 그립중 제2 그립부 내부에 삽입너트와 판스프링부재를 구비시켜 그립의 체결력 강화로 도어글라스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분리된 그립부재간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그립의 이동시나 인라인 공정시 분실의 위험을 없애 작업 공정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도어글라스(10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몸체(103a)와, 도어글라스(101)의 하측 단부를 지지하는 기저부(103b) 및 도어글라스(101)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03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제1 관통 결착구(103c)로 이루어지는 제1 그립부재(103)와; 상기 제1 그립부재(103)와 대향해 있으며, 내측 중심부에 관통홀(10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5a)와, 상기 몸체(105a)의 상부 및 저부로 경사지게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와 도어글라스(101)의 일측면부를 눌러 지지하는 날개부(105b)와, 상기 몸체(105a)의 내측 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오고 도어글라스(101)의 관통홀 내부로 삽착되는 제2 관통 결착구(105c)로 이루어지는 제2 그립부재(105)와;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재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도어글라스를 그립에 고정시키는 결착부재(115)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립부재(105)의 내부에 관통홀(109) 내에서 그 나사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삽입너트(107)와, 제2 그립부재의 날개부(105b) 내면에서 그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판스프링부재(205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글라스 그립은 상기 제1 그립부재(103)의 기저부(103b)와 제2 그립부재의 하측 날개부(105b)와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삽입너트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연장설치됨으로써 체결부재에 의한 토오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KR10-2002-0029782A 2002-05-29 2002-05-29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KR10044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82A KR100448336B1 (ko) 2002-05-29 2002-05-29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82A KR100448336B1 (ko) 2002-05-29 2002-05-29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391A true KR20030093391A (ko) 2003-12-11
KR100448336B1 KR100448336B1 (ko) 2004-09-13

Family

ID=3238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82A KR100448336B1 (ko) 2002-05-29 2002-05-29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3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056B1 (ko) * 2008-05-09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래스 마운팅 어셈블리
US8943750B2 (en) 2012-06-22 2015-02-0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lift plate
CN112267780A (zh) * 2020-10-13 2021-01-26 力野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在四角设置凸起加强筋的汽车门铰链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056B1 (ko) * 2008-05-09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래스 마운팅 어셈블리
US8943750B2 (en) 2012-06-22 2015-02-0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lift plate
CN112267780A (zh) * 2020-10-13 2021-01-26 力野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在四角设置凸起加强筋的汽车门铰链
CN112267780B (zh) * 2020-10-13 2021-04-30 力野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门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336B1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908B2 (en) Engaging piece for window regulator
KR100448336B1 (ko)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US47887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ment of a handle to screen doors and the like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2003221968A (ja) 車両窓ガラス用ホルダ
JP4048839B2 (ja) 後付け手摺りの取付構造
KR0121020Y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GB2327401A (en) Mudflaps for vehicles
KR100205896B1 (ko) 차량용 클립 구조물
JP2844434B2 (ja) がいし等の取り付け構造
KR100383940B1 (ko) 차량의 윈도우글래스 홀더
JP5212728B2 (ja) 外壁パネル取付構造
KR200242638Y1 (ko) 창호고정용 분리형 클립
JP4955494B2 (ja) パネルへのスイッチ取付具
KR0122082Y1 (ko) 라미네이트 힌지
KR200260379Y1 (ko) 탈부착이 간편한 도어고정구,
KR10032671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분해장치
KR100550043B1 (ko) 윈도우 글라스 마운팅용 그립구조
JP2698322B2 (ja) 自動ドアの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100428093B1 (ko) 자동차 도어글래스의 장착구조
JP3293429B2 (ja) ガラスのストッパー構造
KR200230595Y1 (ko) 프레스 금형 고정용 클램프
KR200183517Y1 (ko) 어시스트 핸들 커버 고정구조
KR200247106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 토션바아의 비틀림토크 조정구조
KR20050032380A (ko)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