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520A -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520A
KR20030091520A KR1020020029600A KR20020029600A KR20030091520A KR 20030091520 A KR20030091520 A KR 20030091520A KR 1020020029600 A KR1020020029600 A KR 1020020029600A KR 20020029600 A KR20020029600 A KR 20020029600A KR 20030091520 A KR20030091520 A KR 2003009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ross beam
concrete
preflex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487B1 (ko
Inventor
이형훈
Original Assignee
이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02-002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4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46Axially movable r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07R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Abstract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플렉스 빔과 같은 주형의 하부플랜지의 효율적인 이용에 의해 휨강성이 증대되고, 하부플랜지를 거푸집대용으로 이용함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장지간의 연속교 방식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고, 주형(프리플렉스빔)의 지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량의 부모멘트가 증대되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점부에 횡방향으로 별도의 가로보를 상기 지점부에 설치하고, 이를 주형과 간단한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주형인 프리플렉스빔을 간단하게 연속화 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의 부모멘트부 슬래브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한 반력대로 상기 가로보를 유용(jack-up,down 의 용이)의 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lateral beam and preflex-girder}
본 발명은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플렉스 빔과 같은 주형의 하부플랜지의 효율적인 이용에 의해 휨강성이 증대되고, 하부플랜지를 거푸집대용으로 이용함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장지간의 연속교 방식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고, 주형(프리플렉스빔)의 지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량의 부모멘트가 증대되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점부에 횡방향으로 별도의 가로보를 상기 지점부에 설치하고, 이를 주형과 간단한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주형인 프리플렉스빔을 간단하게 연속화 할 수 있는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량용 거더의 한 형태인 프리플렉스 빔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도1a이다. 즉 상기 프리플렉스 빔은 상부(11),하부 플랜지(13) 및 복부(12,웨브)를 포함하는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일정형상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4)를 타설하되, 미리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제작함으로서 별도의 인장재를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며, 공장제작이 가능하여 품질관리 및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비교적 짧은 지간(25-30M)의 단순교 교량시공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프리플렉스 빔을 연속화 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 교각과 같은 지점부에서 양 프리플렉스빔을 연결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한 종래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이 도1b이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교각과 같은 지점부에 설치된 양 프리플렉스 빔의 연결부에 연결판(20)을 각각 설치하고, 다수의 인장재(10, 강연선)를 긴장, 정착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교량의 지간의 길이가 커질수록 상기 지점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고가의 인장재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인장재를 긴장시키기 위한 작업이 고공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관리 측면에서도 불리하여 별도의 장치 및 설비 없이도 용이하게 교량을 연속하여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같은 보다 큰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주형(프리플렉스빔) 및 가로보를 이용하여 프리플렉스 빔을 연속화하여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플렉스 빔을 가로보와 연결하는데 있어 별도의 장비 없이도 연결이 용이하며, 보다 장지간의 연속교 시공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가로보를 설치함으로서, 교량의 부모멘트에 지지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나아가 교량의 상부 슬래브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의 지지를 위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반력대(별도의 고가인 강연선, 강봉 등을 이용하지 않는다)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프리플렉스 빔 및 그 연결장치의 구체예이다.
도2a, 도2b,도2c,도2d 및 도2e는 본 발명의 주형(프리플렉스빔)의 구체예 및 변형례이다.
도3a 및 도3b는 상기 도2c 및 도2e의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세그먼트부재로 형성시킨 구체예이다.
도4a,도4b,도4c 및 도4d는 본 발명의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의 순서도의 구체예이다.
도5a, 도5b 및 도5c는 가로보에 형성된 블록아웃의 구체예이다.
도6은 가로보와 주형(프리플렉스빔)의 연결부의 부분상세도이다.
도7a,도7b,도7c,도7d 및 도7e는 본 발명의 중간지점부의 상부플랜지에 부착되는 보강판의 구체예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가로보와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접합시키기 위해 교각에 설치되는 자립식 브래킷의 구체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형(프리플렉스빔)200:가로보
250:연결판300:접합수단
400a:연결부콘크리트500:슬래브콘크리트
600:교대700:교각
800:자립식브래킷
본 발명은 건설용 빔의 하부플랜지의 단면구성을 최적의 구성으로 배치, 형성시키고 있는데 이는 동일단면 크기라도 하부플랜지의 형성위치를 최대한 단면의 중립축으로부터 멀리 형성되도록 하거나, 하부플랜지의 형상자체를 변경시켜 최종적으로 하부플랜지의 형성위치가 중립축으로부터 커지는 효과를 가지게 하여 특히 휨강성에 있어 매우 유리하며, 나아가 하부플랜지 자체로서 거푸집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교량의 주형에 이용하여 보다 장지간의 빔 시공이 가능하고, 특히 주형과 주형의 연결을 가로보를 이용하여 연결하되, 별도의 설비 및 장치없이 통상적인 볼트 및 용접에 의하여 가로보와 주형과의 연결시공이 가능하여 연속화에 유리하고, 시공성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를 도2내지 도8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주형인 프리플렉스 빔을 먼저 설명하고, 이를 연속화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형(프리플렉스 빔)>
본 발명은 주형(100)으로서 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다. 이러한 주형은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프리플렉스 빔(100a) 및 4가지의 변형예(100b,100c,100d,100e)로 구분된다.
상기 프리플렉스 빔(100a)은 도2a와 같이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40)에 프리플렉션 하중의 복원력에 의한 압축력이 부여된 것으로서 단순교용 주형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변형례(100b)로서 도2b와 같이 복부의 길이를 약간 증가시켜 하부플랜지(130)가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40) 하부면에 일치시켜 형성시키되, 상기 하부플랜지를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하부면 거푸집으로하고, 그 위에 측면 거푸집만을 이용하여 하부플랜지 콘크리트를 형성시킨 것이며, 프리플렉션 하중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된 것은 통상의 프리플렉션 빔과 동일하다. 이러한 프리플렉스 빔(100b)은 도1a의 통상의 프리플렉스 빔보다 강성이 매우 커져 보다 장지간의 주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다른 변형예(100c)로서 도2c와 같이 하부플랜지를 사각관 형상의 폐쇄형 관으로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하부플랜지 콘크리트를 충진시킨 것이다. 이러한 프리플렉스 빔(100c)은 하부프랜지 자체가 거푸집을 역할을 하여 거푸집 제작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고, 강성이 상기 변형예(100b)와 같이 매우 큰 프리플렉스 빔이다. 역시 프리플렉션 하중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된다.
나아가 도2d와 같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철근과 같은 인장재를 더 형성시킨 프리플렉스빔(100d)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또 다른 변형예(100e)로서 도2e와 같이 상부 및 하부플랜지를 사각관 형상의 폐쇄형 관으로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상부 및 하부플랜지 콘크리트를 각각 충진시킨 것이다. 이러한 프리플렉스빔(100e)은 하부프랜지 자체가 거푸집을 역할을 하여 거푸집 제작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고, 강성이 상기 변형예들과 같이 매우 큰 프리플렉스 빔이다. 역시 프리플렉션 하중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된다. 상부플랜지 자체도 사각관 형상의 폐쇄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내부에는 인장재를 설치하여 긴장, 정착시키면 부모멘트 지지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도2c 및 도2e를 이용하여 주형을 제작하되 세그먼트 화하여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뒤, 여려 부재로 분할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데, 도3a는 도2c의 프리플렉스 빔(100c, 하부플랜지가 사각관 형상인 프리플렉스 빔)을 3등분하여 세그먼트 부재로 나누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도2e의 프리플렉스 빔(하부 및 상부플랜지가 사각관 형상인 프리플렉스 빔)을 3등분하여 세그먼트 부재로 나누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여러 세그먼트 부재로 분할하여 주형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경우, 주형의 거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은
교대(600) 또는 교각(700)에, 가로보(200)를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대와 교각사이에, 주형(100)을 종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 및 주형의 연결부를 접합수단(300)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가로보 및 주형의 연결부콘크리트(400a), 주형의 복부(400b) 및 지점부 콘크리트(400c)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가로보 및 주형 상부면에 슬래브 콘크리트(500)를 타설,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교량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구조물인 교대(600) 및 교각(700)을 설치하고, 상기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인 교각 위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가로보(200)를 도4a와 같이 횡방향으로 설치한다. 도4a에는 교각에만 설치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서는 교대에도 가로보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는 I형강재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가 형성되되, 별도의 프리플렉션 하중에 의한 압축력이도입되지 않은 것을 이용한다. 단지 주형의 간격 즉 지간이 매우 커서 부모멘트가 지점부인 교각에 매우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응력도에 의해 별도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가로보(200)가 설치된 이후에는 프리플렉스 빔으로 제작된 도2a 내지 도2e 중 어느 하나인 주형(100)을 가로보(200)의 양쪽, 즉 교대 와 교각 사이에 역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4b와 같이 일단 미 결합상태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주형(100)은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된 상태이므로, 다소 변형된 상태가 될 수 있어 가로보 와 주형의 연결부 즉, 상부플랜지 와 하부플랜지가 서로 정확하게 맞닿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시공오차는 가로보 제작시 미리 이를 감안하여 제작하는 방법 또는 가로보와 주형과의 접합 시 부등변삼각판 등을 이용함으로서 그 시공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보(200)를 주형의 연속화에 이용함으로서, 두가지 장점이 생긴다. 즉, 가로보 및 주형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브에 발생되는 부모멘트 지지를 위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잭의 반력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형 하단부를 지지하는 슈의 소수화로 인한 부모멘트 슈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4에서는 가로보(200)으로서 통상의 프리플렉스 빔의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주형의 구체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주형들의 구체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형과의 연결부에 만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주형과 가로보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주형과 가로보를 서로 접합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프리플렉스 빔인 주형과 주형을 연속하여 연결할 때, 도1b와 같이 다수의 강연선 등을 이용하여 긴장, 정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교각과 같이 지면에서 높은 장소에 긴장장치를 설치하고, 강연선 등의 수가 많아 질 경우 작업자체가 매우 까다로워 시공성이 매우 떨어지며, 상기 강연선은 고가이므로 품질관리 및 공사비 절감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에서는 가로보와 주형을 별도의 장비 또는 시공기술 없이 간단한 연결판(250), 볼트 등과 같은 접합수단(300)만으로 해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주형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를 가로보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서로 맞대어 놓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서, 간단하게 주형 과 주형을 연속화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의 상세도가 도6이다. 즉 가로보(200)의 상부플랜지(210)와 주형의 상부플랜지(110) 및 가로보의 하부플랜지(220) 와 주형의 하부플랜지(120)를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여러 접합수단(300)을 이용하여 체결시킨다.
이러한 체결수단(300)은 플랜지끼리의 용접에 의한 접합일 수 있고, 도6의 하부플랜지와 같이 볼트(310) 및 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를 관통하여 체결시킬 수 있으며, 도6의 상부플랜지와 같이 전단키 겸용 볼트(320) 및 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르 관통하여 체결시킬 수 있다. 특히 전단키 겸용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와의 전단력을 지지할 수 있어 별도의 전단재를 사용하지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6에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와의 연결만을 도시하였으나 가로보와 주형의 복부도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주형과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와 하부플랜지를 서로 연결할 때, 플랜지 끼리의 연결의 용이성을 위해 연결판(250)을 가로보와 주형의 플랜지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시공 상 유리하다.
도6에는 가로보로서 통상의 프리플렉스 빔을 사용하고, 주형의 경우에도 통상의 프리플렉스빔을 사용하는 경우의 연결상세도를 도시하였지만, 가로보도 상술한 주형의 구체예 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주형도 상술한 여러 구체예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가로보로서 하부플랜지가 사각관으로 형성된 빔을 이용할 수 도 있고, 이에 주형도 가로보의 연결을 위해 하부플랜지가 사각관으로 형성된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각관인 하부플랜지를 연결판(250)을 이용하여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5는 가로보의 하부플랜지 부분에 형성된 블록아웃의 구체예이다. 즉 가로보도 하부플랜지 콘크리트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는 하부플랜지가 내부에 매입되기 때문에 도6과 같이 주형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5a와 같이 주형과의 연결부위만 일정부위를 블록아웃(하부플랜지 콘크리트를 형성시키지 않은 방법)시킬 수 있고, 도5b와 같이 연결부위인 하부플랜지 모두를 블록아웃 시킬 수 있다. 상기 도5a 및 도b에서는 정면도로서 1개의 블록아웃된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주형이 다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역시 가로보와의 연결부위도 다수개가 형성되므로 상기 블록아웃의 형성개수 및 위치는 복수화 될 수있다.
또한 도5c와 같이 하부플랜지 모두를 블록 아웃시킬 경우 주형과 최종결합시 까지 가로보의 응력보강을 위해 다수의 보강재를 블록아웃 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사이에 삽입, 설치 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270)는 설치후 제거할 수 도 있고, 설치후 계속 잔존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등에 의해 매입되도록 할 수 있다.
주형(100) 및 가로보(20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 등과 같은 연결부를 서로 접합수단(300)을 이용하여 접합시킨 후에는 콘크리트(400a)를 도4c와 같이 타설하고, 주형의 지점부도 콘크리트(400b)를 타설하며, 나아가 주형의 가로빔 등에도 콘크리트(400c)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400a,400b,400c)의 타설 및 주형과 가로보의 접합을 위한 공간에 제약이 있을 때는 도9와 같이 자립식브래킷(800)을 교각에 설치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상부면에는 도8과 같이 다양한 부모멘트 지지용보강판(260)이 형성된다. 즉 도7a와 같이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상부면에 수평판(261)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7b와 같이 수평판(261)을 상부플랜지 상부면에 부착시킨 후, 수직판(262)을 일정간격으로 수평판(261) 위에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7c와 같이 상부플랜지 위에 수직판(262)을 부착시키고 수직판 위에 수평판(261)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7d와 같이 간격재(263)를 상부플랜지 위에 부착시키고, 간격재(263) 위에 수평판(241)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7e와 같이 상부플랜지 위에 수직판(242)을 형성시키고 수평판(241)을 이용하여 폐쇄공간을 형성시키고 그 공간 내에 텐던 및 강연선 등을 설치하고 추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부모멘트 지지능력을 더더욱 증진 시킬 수 있다.
도7a 내지 도7e에서 확인되는 수평판, 수직판은 모두 상부플랜지 상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강재의 휨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형상이 아니더라도 가능하며, 상기 보강판(260)은 교각 설치 후 가로보(주형)의 상부플랜지 접합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주형(100) 및 가로보(200)를 설치한 후에는 상부면에 도7d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500)를 타설, 양생하여 교량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건설용 빔의 경우 건축용 빔 및 교량용 거더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강성이 큰 빔을 공장에서 제작할 수 있어 장지간의 빔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접합이 용이하여 세그먼트화 함으로서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 특히 연속화된 교량의 경우 현장에서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여 고가인 강연선 및 텐던의 설치작업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교대 또는 교각에, 가로보를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대와 교각사이에, 주형을 종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 및 주형의 연결부를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가로보 및 주형의 연결부콘크리트, 주형의 복부 및 지점부 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가로보 및 주형 상부면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주형 및 가로보는
    통상의 프리플렉스 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하부면에 하부플랜지가 형성된 프리플렉스빔;
    하부플랜지가 사각관 같은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 하부플랜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프리플렉스빔; 또는
    하부플랜지가 사각관 같은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 하부플랜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고, 콘크리트 내부에 인장재가 형성된 프리플렉스빔;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가로보 및 주형의 상부, 하부 플랜지의 연결을 위해 가로보 및 주형에 블록아웃 또는 연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가로보의 상부면에 교량부모멘트 지지용 보강판을 더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보강판은 가로보가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상부면에 부착된 수평판;
    가로보의 상부플래지 상부면에 부착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상부면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판;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상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 상부면에 형성된 수평판;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상부면에 형성된 간격재 및 상기 수직판 상부면에 형성된 수평판; 또는
    가로보의 상부플랜지 상부면의 양쪽에 형성된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 상부면에 폐쇄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수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폐쇄공간에 인장재가 포함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가로보 및 주형의 연결부의 연결수단은 상부플래지, 하부플래지 및 복부 각각의 단부를 용접하거나 통상의 볼트 또는 전단키 겸용볼트로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결부콘크리트는 팽창성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2002-0029600A 2002-05-28 2002-05-28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50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600A KR100501487B1 (ko) 2002-05-28 2002-05-28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600A KR100501487B1 (ko) 2002-05-28 2002-05-28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520A true KR20030091520A (ko) 2003-12-03
KR100501487B1 KR100501487B1 (ko) 2005-07-18

Family

ID=3238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600A KR100501487B1 (ko) 2002-05-28 2002-05-28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009B1 (ko) * 2002-05-28 2005-10-10 이형훈 강성이 증대된 건설용 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8475B2 (ja) * 1995-09-05 1999-08-03 株式会社ピー・エス 合成床版橋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
IT1283189B1 (it) * 1996-03-05 1998-04-16 Italcementi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trave composita e trave cosi' realizzata
JP3583313B2 (ja) * 1999-06-17 2004-11-04 ドーピー建設工業株式会社 波形鋼板ウェブpc箱桁橋における波形鋼板と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部構造
JP2001064916A (ja) * 1999-08-31 2001-03-13 Kyobashi Kogyo Kk 継手を含む橋梁の補強方法
KR100379152B1 (ko) * 2000-07-20 2003-04-08 장석윤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복합프리스트레스 합성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합성빔
KR100403988B1 (ko) * 2000-07-27 2003-11-01 김진수 강재 연결장치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연속화공법 및 그 장치
KR200253563Y1 (ko) * 2001-07-31 2001-11-22 최희수 플레이트거더 설치방식을 이용한 프리플렉스교량구조
KR20030019804A (ko) * 2001-08-31 2003-03-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리스트레스 플레이트 거더
KR100520009B1 (ko) * 2002-05-28 2005-10-10 이형훈 강성이 증대된 건설용 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009B1 (ko) * 2002-05-28 2005-10-10 이형훈 강성이 증대된 건설용 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487B1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342B1 (ko)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60930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KR100986207B1 (ko) 티형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93256B1 (ko)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KR101270733B1 (ko)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040006564A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KR100727114B1 (ko) 하로교 제작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이를 이용한 하로교제작방법
KR20110067942A (ko) 연속경간의 아치형상 복합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20100007300A (ko)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JP2006009449A (ja) トラスパネル桁およびプレキャストトラスパネル
KR101664997B1 (ko) 프리캐스트 t 타입 모듈형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합성 라멘교, 그리고 그 합성 라멘교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522298B1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327700B1 (ko)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KR100501487B1 (ko) 가로보 및 주형(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1038714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이용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17949A (ko)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046940B1 (ko) 피에스씨 거더와 강재 플레이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20210077874A (ko) 긴장력이 도입된 강박스 거더교의 하부플랜지에 종방향으로 강재를 일체화 방법
KR100555246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73001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형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