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823A - 답면 제동 유니트 - Google Patents

답면 제동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823A
KR20030090823A KR1020020028409A KR20020028409A KR20030090823A KR 20030090823 A KR20030090823 A KR 20030090823A KR 1020020028409 A KR1020020028409 A KR 1020020028409A KR 20020028409 A KR20020028409 A KR 20020028409A KR 20030090823 A KR20030090823 A KR 2003009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hoe
reset
whee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095B1 (ko
Inventor
재 영 이
강성웅
Original Assignee
재 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영 이 filed Critical 재 영 이
Priority to KR10-2002-002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0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답면제동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차륜에 접촉 제동하는 답면제동 유니트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 상기 피스톤의 쐐기면에 경사면에 대응하여 요크의 요크 베어링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와 조정너트 및 조정스크류를 일방향으로 자유 이동시켜 제동마찰에 기인한 제동슈의 마모량을 보정하여 차륜의 답면과 항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구;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의 조정스크류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는, 슈조립체의 제동슈의 마모에 기인한 제동슈 교환 시, 상기 조정스크류와 개별 나사결합된 리더너트 및 조정너트와, 가이드부시 및 스프링 슬리브와의 개별 맞물림 상태를 동시 해제하도록 차륜 방향으로 압압하여, 상기 슈조립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슈조립체와 함께, 제동을 위해 차륜 방향으로 이동된 조정스크류가 리더너트 및 조정너트에 대하여 차륜 외방으로 복원 이동됨으로써, 차륜의 답면과 제동슈 사이에 제동슈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일정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리셋팅수단을 포함하여, 제동슈의 교환을 위한 작업의 공정수가 줄어들고, 제동슈 교체작업의 편리성이 증가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답면 제동 유니트{Tread Brake Unit}
본 발명은 답면제동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답면제동 유니트의 일측에 리셋팅수단이 설치되어 슈조립체의 일부 운동에 관여함으로써, 제동슈의 간격 재조정 및 교환작업에 편의성이 제공된 답면제동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답면제동 유니트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147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로, 차륜의 답면에 제동슈가 압착되어 그 마찰력으로 차량에 제동을 거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4은 일반적인 답면제동장치의 전체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답면제동장치는, 하우징(11)상부의 실린더실(12)에 쐐기면(13)을 갖는 피스톤(14)이 설치되어 실린더 콘트롤 소켓(15)측의 공기인입구(16)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피스톤 스프링(17)에 의해 다시 원래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10)과,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상기 피스톤(14)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14)이 하강하면 피스톤(14)의 쐐기면(13)에 요크(21)의 요크 베어링(22)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23)와 조정 너트(24) 및 조정스크류(25)를 일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구(20)와, 상기 조정스크류(25)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조립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통(10)에 있어서, 피스톤(14)의 쐐기면(13)은 다양한 각도로 형성시킨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광범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데, 상용 제동력은 3.88kgf/㎠(≒380kPa=3.8bar)에서 1326.5kgf(≒13KN)부터 3571.4kgf(35KN)까지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답면 제동력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부호 26, 26a는 각각 리어 베어링과 베어링 핀으로서, 쐐기면(13)을 사이에 두고 요크 베어링(22)과 병렬배열되고, 27은 스프링 슬리브이며, 28, 29는 각각 콘트롤 소켓과 조정 너트(24)이고, 31, 32는 클러치 스프링, 로크 와셔이며, 33, 34는 압축링과 가이드부시이고, 35, 36, 37은 압축 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자동간격조정기구(20)의 작동에서, 과도한 간격의 제동시 자동간격조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푸시 슬리브(23)가 정상적인 클리어런스(도 5b에 'A'로 표시됨, 제동 및 완해 작동 시의 클러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한 통상의 간격에 해당) 값과 같은 간격으로 이동하였을 때, 스프링 슬리브(27)의 플랜지(27a)는 콘트롤 소켓(28)에 의해 정지되며, 푸시 슬리브(23)의 계속적인 움직임에서, 스프링 슬리브(27)와 리더 너트(29) 사이의 밀착상태는 풀리고 리더 너트(29)는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은 슈조립체(40)가 차륜에 접촉하고 제동력이 생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여기에서, 제동력이 얻어지는 때, 클러치 스프링(31)은 압축되고, 로크 와셔(32)와 압축링(33)과 리어 가이드부시(34)사이에서 조여진다. 로크 와셔(32)와 리더 너트(29) 간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리더 너트(29)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다. 탄성과 마모에 의해 푸시 슬리브(23)의 계속적인 움직임에서 조정스프링(35)은 압축된다.
한편, 제동완해 시에는, 푸시 슬리브(23)는 탄성력과 일치하는 간격만큼 뒤로 움직이고, 이러한 움직임동안 로크 와셔(32)는 물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자동간격조정기구(20)측에는 아무런 회전도 없다. 스프링 슬리브(27)는 콘트롤 소켓(28)에 대하여 본래의 위치로 'A'의 간격만큼 뒤로 움직인다.
여기서, 푸시 조정스크류(25)는 리더 너트(29)에 의해 정지하고 더 이상 뒤로 가지 못할 때, 그것은 계속되는 완해 움직임동안 조정 너트(24)를 강제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힘은 리턴 스프링(36)에 의해 공급되어 항시 정확한 간격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답면제동 유니트의 제동슈는 마찰로 인해 마모되므로, 이는 점검을 통해 제동슈의 교환 또는 제동슈와 차륜과의 간격을 재조정해야 했으며, 또한, 제동슈의 교환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차륜과 제동슈가 부착된 슈조립체(4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한 후, 제동슈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작업의 비효율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제동슈의 교환 시, 차륜과 제동슈 붙이 슈조립체(40) 사이에 일정 공간을 마련하여 제동슈의 탈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조정스크류(25)를 별도의 체결기구를 이용하여 강제 회전시켜야 하는 바, 이때, 조정스크류를 회전시키기가 어려운 구조로 됨과 아울러, 조정스크류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해, 제동슈의 탈교환이 그만큼 어려워진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슈조립체(40)가 이동되어 슈조립체(40)와 차륜과의 간격이 제동슈의 교환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마모량에 따라 차륜 방향으로 이동된 슈조립체(40)의 제동슈를 복원시키기 위한 리셋팅수단을 자동간격조정기구에 구비시켜, 제동슈의 교환을 위한 작업의 공정수가 줄어들고, 작업의 편리성이 증가하도록 된 답면제동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답면제동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라 답면제동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에서 바라보아 온전한 제동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 1의 자동간격조절기구의 통상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자동간격조절기구의 제동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점선으로 구획한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a의 선 C-C에 따라 본 발명의 답면제동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답면제동 유니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선 C-C에 따라 과도 간격 발생시 자동간격조정기 작동을 도시한 상태 단면도, 및
도 9는 도 8에서 완해 작동 시 자동간격조정기 작동을 도시한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2 : 실린더실
14 : 피스톤 21 : 요크
22 : 요크베어링 23 : 푸시슬리브
24 : 조정너트 25 : 조정스크류
40 : 슈조립체 46 : 제동슈
48 : 토션스프링 50 : 리셋팅수단
53a : 캠형부 60 : 압압력 전달부
61 : 소켓부 61a : 걸림돌기
63 : 리셋링 63a : 격벽
70 : 압압력 인가부 71 : 리셋 플런저
73 : 리셋부재 75 : 리셋하우징
77 : 복원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차륜에 접촉 제동하는 답면제동 유니트에 있어서,
하우징 상부의 실린더실에 쐐기면을 갖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실린더 콘트롤 소켓측의 공기인입구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피스톤이 하강하면 피스톤의 쐐기면에 요크의 요크 베어링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와 조정 너트(24) 및 조정스크류를 일방향으로 자유 이동시켜 제동마찰에 기인한 제동슈의 마모량을 보정하여 차륜의 답면과 항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구;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의 조정스크류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조립체(4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는,
상기 슈조립체(40)의 제동슈의 마모에 기인한 제동슈 교환 시, 상기 조정스크류와 개별 나사결합된 리더 너트(29) 및 조정 너트(24)와, 가이드부시 및 스프링 슬리브와의 개별 맞물림 상태를 동시 해제하도록 차륜 방향으로 압압하여, 상기 슈조립체(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슈조립체(40)와 함께, 제동을 위해 차륜 방향으로 이동된 조정스크류가 리더 너트(29) 및 조정 너트(24)에 대하여 차륜 외방으로 복원 이동됨으로써, 차륜의 답면과 제동슈 사이에 제동슈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일정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리셋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답면제동 유니트는 하우징 일측부에 장착되는 콘트롤 소켓과, 소정의 움직임으로 자동간격 조절기구의 이동을 유도하여 슈조립체(40)와 차륜 간의 소정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콘트롤 소켓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는 리셋부재가 구성요소인 리셋팅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셋팅수단은 리셋부재의 일측선단에 장착되는 리셋샤프트, 이 리셋샤프트의 움직임으로 이동되는 리셋플런저, 리셋플런저와 베어링을 통해 접촉되어 동일 이동을 갖으면서 선단이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자동간격 조절기구의 조정 너트(24)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리셋링, 리셋링의 초기 위치를 확보하도록 굴곡된 외주부와 자동간격 조절기구 사이에 장착되는 리셋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답면제동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답면제동 유니트가 차륜과 함께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답면제동 유니트의 사시도이며, 도 8은 과도 간격 발생시 자동간격조정기 작동을 도시한 상태 단면도이며, 도 9는 완해 작동 시 자동간격조정기 작동을 도시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 중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답면제동 유니트(100)는 하우징(11) 상부의 실린더실(12)에 쐐기면(13)을 갖는 피스톤(14)이 설치되어 공기인입구(25)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피스톤 스프링(26)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10)과, 상기 하우징(11)내부에 상기 피스톤(14)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4)의 하강으로 푸시슬리브(23)와 리더 너트(29) 및 조정스크류(25)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절기(20)및, 상기 조정스크류(25)의 선단에 후부가 장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W)의 답면(W1)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조립체(40)가 포함되어 이루어져서,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차륜의 답면부(W1)에 접촉 제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20)는, 슈조립체(40)의 제동슈(46)의 마모에 기인한 제동슈(46) 교환 시, 상기 조정스크류와 개별 나사결합된 리더 너트(29) 및 조정 너트(24)와, 가이드부시 및 스프링 슬리브와의 개별 맞물림 상태를 동시 해제하도록 차륜 방향으로 압압하여, 상기 슈조립체(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슈조립체(40)와 함께, 제동을 위해 차륜 방향으로 이동된 조정스크류가 리더 너트(29) 및 조정 너트(24)에 대하여 차륜 외방으로 복원 이동됨으로써, 차륜의 답면과 제동슈(46) 사이에 제동슈(46)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일정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리셋팅수단(5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리셋팅수단(50)은, 반자동식으로 작동되어, 상기한 제동슈(46)를 퇴진 이동시켜 제동슈(46)의 교환 설치를 위한 제동슈(46)의 교체 설정기구의 일환으로서, 제동슈(46)를 제동 유니트측을 향해 항상 탄력적으로 견인하도록 제동슈(46)의 일측 힌지부에 탄지된 제동슈(46)의 토션스프링(48)에 의해 가해지는 제동슈(46)의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동슈(46)의 리셋팅을 위한 가동력 공급원으로 하여, 상기 제동슈(46)의 토션스프링(48)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리더 너트(29)의 단부면과 동축으로 배열된 소켓부를 진퇴이동시키는 캠형부(53a)를 갖는 리셋부재를 회동시켜, 이 소켓부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리더 너트(29)가제동슈(46)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스프링 슬리브(27)와의 제1 스플라인 연결부(10a)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동슈(46)가 그의 선단에 장착된 조정 스크류(25)가 상기 제동슈(46)의 토션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동슈(46)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끔 하여, 상기 조정 스크류(25)를 퇴진시켜 제동슈(46)와 차륜의 답면부(W1)와의 거리를 확장시켜 제동슈(46) 또는 라이닝의 교체 및 보수를 조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크와셔(3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리더 너트(29)와 가이드 부시(34)가 당접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조정 너트(24)도 상기 리더 너트(29)와 별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조정 스크류(25)가 상기 제동슈(46)의 반대방향으로 퇴진됨은 물론이다.
또, 상기 리셋팅 수단(50)은, 상기 리더 너트(29)의 회전에 연동하여 조정스크류(25)가 퇴진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정스크류(25)의 후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셋팅수단(50)은, 상기 조정 스크류(25)를 간헐 파지하는 리더 너트(29)를 제동슈(46)의 토션스프링(48)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압력 전달부(60)와, 상기 압압력 전달부(60)에 압압력을 가하도록 그의 회전 중심을 기점으로 그의 외주를 따르는 높이가 가변되는 부위를 갖는 압압력 인가부(7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리셋팅수단(50)에 있어서,
상기 압압력 전달부(60)는,
그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 슬리브(27)의 외주연 즉, 그의 플랜지(27a)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61a)가 외주연을 따라 내방 돌출형성되고, 그의 타측은 상기 슈조립체(40)의 후단에 고정된 소켓부(61)와, 이 소켓부(61)와 리셋스프링(5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프링 슬리브(27)의 후위 내경부에 탄지 접속되어 그 선단이 상기 리더 너트(29)의 후단면부에 접촉하고 그 후단 내측에는 격벽(63a)이 형성된 리셋링(63)을 구비하고,
또, 상기 압압력 인가부(70)는,
상기 리셋링(63)의 격벽(63a)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이 격벽(63a)에 대하여 미끄럼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셋 플런저(71)와, 상기 리셋 플런저(71)를 압압하도록 캠형부(73a)를 가지고, 리셋하우징(75) 내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봉상의 손잡이-구비 리셋부재(7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압압력 인가부(70)는, 상기 리셋부재(53)의 회전이동을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리셋하우징(75)의 일단 내측벽에 그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의 타단은 리셋부재(53)에 고정된 복원스프링(77)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져도 된다.
또, 상기 리셋부재(53)는, 상기 슈조립체(40)의 후단에 체결고정된 리셋하우징(75)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셋하우징(75)과, 리셋부재(53)의 장착부로서의 개구부와 리셋부재(53)의 외주면은 벨로우즈 등의 패킹부재(P)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동슈(46)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교환 작업은, 다줄 나사와 너트의 원리로 작동하여 제동슈(46)와 차륜 답면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제동슈(46)의 교환 시, 조정 스크류를 차륜 외방향으로 밀어내어, 제동슈(46)와 차륜 답면부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23a)는, 제동 시, 상기 조정 스크류, 상기 가이드 부시 및 조정 너트(24)와 함께 제동슈(46)를 향해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 부시(34)의 선단에 그의 말단이 접촉 결합되고, 또 그의 선단은 제동슈(46)와 조정 스크류와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푸시링이고, 부호(O)는 작동 메커니즘의 기밀을 위한 O-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답면제동 유니트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브레이크의 이완상태에서 압축공기가 실린더실(12)에 충기되어 피스톤(14)이 하강하게 되고, 이 때 발생되는 힘은 동력분배장치(33)에 의해 푸시슬리브(23)와 푸시조정스크류(25)가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슈조립체(40)가 초기 설정된 적용 스트로크 "A(Application stroke)"만큼 차륜의 답면 측으로 이동되어 차량에 제동이 시작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푸시슬리브(23)와 조정스크류(25)의 움직임이 지속되고, 가이드 부시(38)의 부동(不動)이 잠김워셔(35)를 통해 리더 너트(29)의 회전방지를 간섭하게 된다. 이로 인해 조정스크류(25)는 회전 없이 이동되어 슈조립체(40)가 차륜과 접촉시 발생되는 탄성변형 스트로크 "E(Elastic deformation stroke)"가 보상되면서 제동력은 최대가 된다.
이 때, 조정스크류(25)의 스트로크는 A+E가 된다.
또한, 브레이크의 잦은 작동에 의한 마모나 기타 원인으로 인한 과대 간격 "Z"가 발생되면, 상기 조정스크류(25)는 슈조립체(40)가 차륜의 답면부와 접촉되어 제동력이 발생될 때까지 상기 조정 너트(24)와의 회전은 계속되는데, 이때 조정스크류(25)의 이동 스트로크는 "A+E+Z"가 된다.
한편, 제동 완해시에는 실린더실(12)의 공기가 완해되면 조정슬리브(36)가 조정링(39)과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이동되고, 리더 너트(29)와 가이드 부시(38)의 접촉이 회피되면, 조정조정스크류(25)의 회전하고자 하는 힘에 의해 리더 너트(29)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조정스크류(25)가 유니트(10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과대간격 "Z"가 보상되고, 상기 "Z"가 충분히 보상되면 상기 리더 너트(29)와 가이드 부시(38)는 밀착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고, 슈조립체(40)와 차륜 간의 간격은 초기설정 간격인 "A"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제동슈(46)의 교환에 대해 서술하자면, 슈조립체(40)의 제동슈(46)의 교환은 반자동 리셋팅수단(50)의 손잡이(H)가 회동되어 이에 연동하는 리셋부재(53)가 회동되면서 발생되는 힘이 캠형부(53a)를 통해 리셋 플런저(54)와 리셋링(56)에 전달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리셋링(56)의 선단과 접촉된 조정 너트(24) 역시 이동된다.
또, 상기 리셋부재(53)가 원위치되면 리셋플런저(54)와 리셋링(56)은 리셋링(56)의 굴곡된 외주부와 자동간격 조절기구 사이에 장착된 리셋스프링(55)에 의해 원상 복귀되고, 동시에 슈조립체(40) 역시 원위치된다.
상기 조정 너트(24)와 조정슬리브(36), 가이드 부시(38)와 리더 너트(29) 간의 접촉이 회피되면서 조정 너트(24)와 조정 너트(24)가 회전 가능하게 되면, 슈조립체(40)의 토션스프링(48)에 의해 조정스크류(25)가 회전되면서 유니트(100)의 후미로 이동되고, 이 후퇴로 몸체(42)를 제외한 슈홀더(44), 제동슈(46) 등이 포함된 슈조립체(40) 역시 후미로 이동되어 차륜과 제동슈(46) 간에 소정의 간격이 확보된 후 제동슈(46)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셋팅수단(50)은, 상기 스프링 슬리브(27)의 플랜지(27a)의 외방 이동을 규제하는 소켓부(61)와, 상기 소켓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형부 구비 리셋부재(73)와, 상기 리셋부재(73)와 니들 베어링(B)을 통해 접촉되어 동일 이동을 가지면서 선단이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자동간격 조절기구(20)의 조정 너트(24)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리셋링(63)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스크류와 너트의 원리로 작동하여 제동슈(46)와 차륜 답면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제동슈(46)의 교환 시, 조정스크류(25)를 차륜 외방향으로 밀어내어, 제동슈(46)와 차륜의 답면부(W1)와의 거리를 이격 조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리셋하우징(51)와 자동간격 조절기구(20) 간의 결합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되어 일체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슈조립체(40)가 리셋부재(73)의 작동으로 움직임을 가지도록 리셋팅수단(50)이 자동간격 조절기구(20)의 후위에 설치되어, 제동슈(46)를 교환하기 위한 작업의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동슈(46)의 교체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 작업공수가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차륜에 접촉 제동하는 답면제동 유니트에 있어서,
    하우징 상부의 실린더실에 쐐기면을 갖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실린더측의 공기인입구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피스톤이 하강하면 피스톤의 쐐기면에 요크의 요크 베어링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와 조정 너트(24) 및 조정스크류를 일방향으로 자유 이동시켜 제동마찰에 기인한 제동슈(46)의 마모량을 보정하여 차륜의 답면과 항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구;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의 조정스크류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조립체(4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간격조정기구는,
    슈조립체(40)의 제동슈(46)의 마모에 기인한 제동슈(46) 교환 시, 상기 조정스크류와 개별 나사결합된 리더 너트(29) 및 조정 너트(24)와, 가이드부시 및 스프링 슬리브와의 개별 맞물림 상태를 동시 해제하도록 차륜 방향으로 압압하여, 상기 슈조립체(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슈조립체(40)와 함께, 제동을 위해 차륜 방향으로 이동된 조정스크류가 리더 너트(29) 및 조정 너트(24)에 대하여 차륜 외방으로 복원 이동됨으로써, 차륜의 답면과 제동슈(46) 사이에 제동슈(46)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일정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리셋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셋팅수단은, 상기 조정 스크류를 간헐 파지하는 리더 너트(29)를 제동슈(46)의 토션스프링(48)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압력 전달부와, 상기 압압력 전달부에 압압력을 가하도록 그의 회전 중심을 기점으로 그의 외주를 따르는 높이가 가변되는 부위를 갖는 압압력 인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면 제동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력 전달부는,
    그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 슬리브(27)의 외주연 즉, 그의 플랜지(27a)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외주연을 따라 내방 돌출형성되고, 그의 타측은 상기 슈조립체(40)의 후단에 고정된 소켓부(60)와, 이 소켓부(60)와 리셋스프링(5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프링 슬리브(27)의 후위 내경부에 탄지 접속되어 그 선단이 상기 리더 너트(29)의 후단면부에 접촉하고 그 후단 내측에는 격벽이 형성된 리셋링을 구비하고,
    상기 압압력 인가부는,
    상기 리셋링의 격벽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이 격벽에 대하여 미끄럼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셋 플런저와, 상기 리셋 플런저를 압압하도록 캠형부(53a)를 가지고, 리셋하우징 내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봉상의 손잡이-구비 리셋부재(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면 제동 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력 인가부는, 상기 리셋부재(53)의 회전이동을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리셋하우징의 일단 내측벽에 그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의 타단은 리셋부재(53)에 고정된 복원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면 제동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리셋부재(53)의 장착부로서의 개구부와 리셋부재(53)의 외주면은 벨로우즈 등의 패킹부재에 의해 밀봉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면 제동 유니트.
KR10-2002-0028409A 2002-05-22 2002-05-22 답면 제동 유니트 KR10048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09A KR100481095B1 (ko) 2002-05-22 2002-05-22 답면 제동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09A KR100481095B1 (ko) 2002-05-22 2002-05-22 답면 제동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23A true KR20030090823A (ko) 2003-12-01
KR100481095B1 KR100481095B1 (ko) 2005-04-07

Family

ID=3238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409A KR100481095B1 (ko) 2002-05-22 2002-05-22 답면 제동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4581A (zh) * 2014-11-12 2016-06-08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轨道车辆的踏面制动器
CN109969217A (zh) * 2019-04-26 2019-07-05 四川江山轨道交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踏面制动单元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12A (en) * 1975-07-08 1977-01-20 Sankosha:Kk Automatic gap adjustment appratus in railway coarch brake apparatus
KR870003214Y1 (ko) * 1985-05-31 1987-09-26 배성완 궤도 차량의 제동 자동 조정기
US4936634A (en) * 1988-08-25 1990-06-26 Deere & Company Removable wheel tread adjusting device
DE4119391A1 (de) * 1991-06-12 1992-12-17 Knorr Bremse Ag Klotzbremseinheit fuer schienenfahrzeuge
KR200218786Y1 (ko) * 1998-12-30 2001-04-02 김정자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4581A (zh) * 2014-11-12 2016-06-08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轨道车辆的踏面制动器
CN105644581B (zh) * 2014-11-12 2019-07-23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轨道车辆的踏面制动器
CN109969217A (zh) * 2019-04-26 2019-07-05 四川江山轨道交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踏面制动单元
CN109969217B (zh) * 2019-04-26 2023-12-26 四川江山轨道交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踏面制动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1095B1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46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761593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10124599A (ko) 주차 브레이크
US3954160A (en) 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assembly
KR101904681B1 (ko) 파킹 브레이크 유닛
KR100481095B1 (ko) 답면 제동 유니트
KR20110136419A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S6073141A (ja) デイスクブレ−キ用の制動ピストン成形方法
JP7399002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10236655A (ja) 機械式ディスクブレーキ
KR100775416B1 (ko) 답면제동 유니트
US5870814A (en) Method for replacing a vehicular wheel cylinder
KR20110056624A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KR1007710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0413824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WO2002096736A1 (en) Tread brake unit
KR200316275Y1 (ko) 답면제동 유니트
JPS6130427Y2 (ko)
JPS643855Y2 (ko)
JPH0440032Y2 (ko)
KR100552786B1 (ko) 드럼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 장착구조
JPH0356661Y2 (ko)
KR100759884B1 (ko) 드럼 브레이크
JPH0223875Y2 (ko)
CN110608244A (zh) 鼓式制动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