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624A -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624A
KR20110056624A KR1020090113022A KR20090113022A KR20110056624A KR 20110056624 A KR20110056624 A KR 20110056624A KR 1020090113022 A KR1020090113022 A KR 1020090113022A KR 20090113022 A KR20090113022 A KR 20090113022A KR 20110056624 A KR20110056624 A KR 20110056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upled
shoe
ro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157B1 (ko
Inventor
조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11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1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1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 F16D65/563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arranged adjacent to service brake actuator, e.g. on parking brake lever, and not subjected to service brake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는 상기 어저스트 조립체는 일단이 분기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갖는 결합부로 이루지고 타단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피메일로드와, 일단이 피메일로드의 중공에 결합되고 타단이 트레일링 슈에 결합되는 메일로드와, 메일로드에 결합되며 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를 신장시키는 조정너트와, 조정너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작동레버는 리딩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고정부와, 조정너트에 접촉하도록 절곡 형성된 멈춤쇠와, 고정부에 관통형성되어 피메일로드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Adjuster assembly of drum brake}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찰 마모에 따른 드럼과 라이닝 사이 간격을 보상해주는 어저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드럼 브레이크는 휠과 함께 드럼 내부에서 라이닝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는 것이다.
드럼 브레이크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 내주와 대향되도록 백플레이트에 배치되며 외주에 라이닝이 부착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와,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를 반경 방향으로 외향 작동시키도록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된 휠실린더를 구비한다.
브레이크슈는 휠실린더를 중심으로 드럼의 전진 회전 방향측에 배치된 것을 리딩슈, 그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트레일링슈라 하여 구별한다. 이러한 리딩슈와 트레일링슈는 대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동작용 시 드럼을 향해 외향 작동하게 된다. 리딩슈와 트레일링슈 사이에는 피메일로드와 메일로드를 갖춘 어저스트 조립체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조정너트가 회전되면 이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제동 작용으로 라이닝이 과마모된 경우에 드럼 내주와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보상하게 된다.
또한, 조정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는 일단이 리딩슈의 웨브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조정너트의 상부에 접하도록 절곡된 멈춤쇠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딩슈의 작동 시 작동 레버를 잡아 당기기 위한 탄성부재가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어저스트 조립체는 제품 구조가 복잡하고 탄성부재의 하중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한 어드저스팅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과 라이닝 사이 간극 조정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는 라이닝이 부착되는 리딩슈 및 트레일링슈, 상기 리딩슈 및 트레일링슈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라이닝의 마모시 상기 드럼과 상기 라이닝의 간격을 보상하는 어저스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조립체는 일단이 분기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갖는 결합부로 이루지고 타단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피메일로드와, 일단이 상기 피메일로드의 중공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트레일링 슈에 결합되는 메일로드와, 상기 메일로드에 결합되며 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를 신장시키는 조정너트 와, 상기 조정너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리딩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조정너트에 접촉하도록 절곡 형성된 멈춤쇠와, 상기 고정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로드의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리딩슈와 축결합 가능하게 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일로드의 일단은 나사산이 가공된 나선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너트에는 상기 나선축에 이물림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는 작동레버와 피메일로드가 직접 결합되어 리딩 슈의 확장 시 작동레버가 리딩슈를 따라 동시 이동하고 작동레버가 회전하여 어져스팅되므로 간극 조정이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이 삭제 가능하여 제품의 구성이 단순해 지고, 그에 따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저스트 조립체가 적용된 드럼 브레이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10)과, 백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외향 작동하여 드럼(10)의 내부면과 마찰하도록 라이닝(50)이 부착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20)와,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20)를 작동하도록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된 휠실린더(30)와, 제동작용 해제 시 브레이크슈(20)를 복원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40)과, 라이닝(50)과 드럼(10) 사이의 간격을 보상해주기 위한 어저스트 조립체(60)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슈(20)는 일단이 앵커블럭(12)에 지지되고 타단이 휠실린더(30)와 접하도록 배치되는데, 휠실린더(30)를 중심으로 드럼(10)의 전진회전 방향측의 것을 리딩슈(20a), 그 반대방향 측의 것을 트레일링슈(20b)로 구별한다.
이러한 브레이크슈(20)는 단면이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주면에 라이닝(31)이 부착되도록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림과, 림의 내주에 용접수단을 통해 결합되며 일단이 앵커블럭(12)에 지지되고 타단이 휠실린더(30)의 피스톤(미도시)과 접하는 금속 판상의 웨브(21)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휠실린더(30)에 제동유압이 전달되면, 리딩슈(20a)과 트레일링슈(20b)는 앵커블럭(12)을 중심으로 외향 작동하여 라이닝(50)이 드럼(10) 내주와 마찰하게 된다.
한편,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라이닝(50)이 과마모되면 드럼(10)과 라이닝(50)과의 간격이 커지게 되는데, 이것은 리딩슈(20a)와 트레일링슈(20b) 사이에 배치된 어저스트 조립체(60)에 의해 보상되어 이들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된다.
어저스트 조립체(60)는 리딩슈(20a)측에 결합되는 피메일로드(62)와, 일단이 피메일로드(62)에 끼워져 결합되며 타단은 트레일링슈(20b)측에 결합된 메일로드(61)와, 메일로드(61)와 결합되며 회전운동에 의해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시키는 조정너트(63)와, 조정너트(6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7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로드(62)의 일단은 분기 형성된 결합부(64)로 이루어져 리딩슈(20a)에 결합되고, 분기된 결합부(64)의 상하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63)가 형성되며, 이의 타단에는 내부가 축방향으로 텅 빈 중공부(62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메일로드(61)의 일단은 수나사가 가공된 나선축(61a)으로 이루어져 중공부(62a)에 헐겁게 삽입되며, 이의 타단은 결합부(64)가 형성되어 트레일링슈(20b)에 결합된다.
조정너트(63)는 톱니바퀴모양으로 중심부에 암나사(미도시)가 가공되어 메일로드(61)의 나선축(61a)에 이물림된다.
따라서 조정너트(6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물림위치가 가변되면, 메일로드(61)의 일단이 중공부(62a)로부터 점차 빠져나오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축길이가 신장되어 라이닝(50)과 드럼(10)과의 간격이 보상되게 된다.
조정너트(63)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70)는 일단이 리딩슈(20a)의 웨브(21)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71)와, 타단이 조정너트(63)의 상부에 접 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멈춤쇠(72)를 포함한다.
또, 작동레버(70)의 고정부(71)에는 리딩슈(20a)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도록 고정핀(80)이 관통되는 고정홀(71a)과, 피메일로드(62)의 고정돌기(63)에 결합되는 관통홀(73)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리딩슈(20a)의 동작 시 작동레버(70)는 리딩슈(20a)를 따라 이동하다가 피메일로드(62)의 고정돌기(63)와 결합된 작동레버(70)의 관통홀(73)에 걸려 고정핀(8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작동레버(70)의 멈춤쇠(72)가 조정너트(63)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이 휠실린더(30)로 전달되어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한다. 이에 따라 앵커블럭(12)을 중심으로 리딩슈(20a)와 트레일링슈(20b)가 외향 작동함으로써, 라이닝(50)이 회전하는 드럼(10)의 내주와 마찰하여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동작용으로 인해 리딩슈(20a)가 외측으로 밀릴 때, 작동레버(70)의 멈춤쇠(72)가 작동레버(70)의 관통홀(73) 및 피메일로드(62)의 고정돌기(63)에 의해 고정핀(8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레버(70)의 멈춤쇠(72)가 조정너트(63)를 회전시키고, 회전된만큼 메일로드(61)의 나선축(61a)이 중공부(62a)로부터 빠져나와 어저스트 조립체(60)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드럼(10) 내주와 라이닝(50)과의 간격이 평상 시 일정한 간극으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조립체와 작동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조립체와 작동레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 20 : 브레이크슈
30 : 휠실린더 40 : 리턴스프링
50 : 라이닝 60 : 어저스트 조립체
70 : 작동레버 80 : 고정핀

Claims (3)

  1.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는 라이닝이 부착되는 리딩슈 및 트레일링슈, 상기 리딩슈 및 트레일링슈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라이닝의 마모시 상기 드럼과 상기 라이닝의 간격을 보상하는 어저스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조립체는 일단이 분기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갖는 결합부로 이루지고 타단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피메일로드와, 일단이 상기 피메일로드의 중공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트레일링 슈에 결합되는 메일로드와, 상기 메일로드에 결합되며 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를 신장시키는 조정너트와, 상기 조정너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리딩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조정너트에 접촉하도록 절곡 형성된 멈춤쇠와, 상기 고정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로드의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리딩슈와 축결합 가능하게 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로드의 일단은 나사산이 가공된 나선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너트에는 상기 나선축에 이물림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KR1020090113022A 2009-11-23 2009-11-23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KR10124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022A KR101244157B1 (ko) 2009-11-23 2009-11-23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022A KR101244157B1 (ko) 2009-11-23 2009-11-23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624A true KR20110056624A (ko) 2011-05-31
KR101244157B1 KR101244157B1 (ko) 2013-03-25

Family

ID=4436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022A KR101244157B1 (ko) 2009-11-23 2009-11-23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97B1 (ko) * 2011-06-15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
KR20170041028A (ko) 2015-10-06 2017-04-14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KR20170041029A (ko) 2015-10-06 2017-04-14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833U (ja) * 1992-11-19 1993-09-10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のシュー間隙自動調整装置
JP3351909B2 (ja) * 1994-08-31 2002-12-03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の間隙自動調整装置
FR2783582B1 (fr) * 1998-09-23 2000-11-17 Bosch Syst Freinage Frein a tambour utilisant un rattrapage automatique de jeu a inhibition selective
JP4746495B2 (ja) 2006-08-21 2011-08-10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シュー間隙自動調節機構を備えたドラムブレー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97B1 (ko) * 2011-06-15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
KR20170041028A (ko) 2015-10-06 2017-04-14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KR20170041029A (ko) 2015-10-06 2017-04-14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157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2256B (zh) 盘式制动设备
JP6543149B2 (ja) ブレーキ装置
KR101244157B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US8839917B2 (en) Disc brake apparatus
WO2019112828A1 (en) Slack adjuster for a drum brake of a vehicle air braking system
KR20170026587A (ko) 파킹 브레이크 유닛
US3548976A (en) Brake shoe bearing means
US8322496B2 (en) Mechanical drum brake
JP2020051519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US2484410A (en) Floating brake shoe mounting
JP2014084937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00349541B1 (ko) 드럼 브레이크
KR100452762B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드저스트 조립체
KR101272497B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
US8281909B2 (en) Vehicle drum brake
KR20120088340A (ko) 기계식 드럼 브레이크
KR100931490B1 (ko) 드럼 브레이크
KR100413393B1 (ko) 드럼 브레이크
WO2014162355A1 (ja) ドラムブレーキ
JPH0312990Y2 (ko)
KR200281976Y1 (ko)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US2283673A (en) Friction coupling
KR200296181Y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US3077955A (en) Brake adjustment link
KR20040098445A (ko) 드럼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