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976Y1 -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 Google Patents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976Y1
KR200281976Y1 KR2019980006518U KR19980006518U KR200281976Y1 KR 200281976 Y1 KR200281976 Y1 KR 200281976Y1 KR 2019980006518 U KR2019980006518 U KR 2019980006518U KR 19980006518 U KR19980006518 U KR 19980006518U KR 200281976 Y1 KR200281976 Y1 KR 200281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operating lever
drum
leve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024U (ko
Inventor
병 덕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06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9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976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에 관한 것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작동레버의 일단부위를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작동레버 두께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700)는 일단부가 세컨다리슈(300a)에 축(710)결합되며 일단부위와 프라이머리슈(300) 사이에 스트럿(500)을 개재하여서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를 외향작동시키는데,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구성하고 응력이 집중되는 일단부위에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740)을 스폿용접을 통해 부착하였다.
따라서 작동레버(700) 제조시 원재료가 줄어들게 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됨으로써, 이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본 고안은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를 외향작동시켜 주차 제동을 수행시키는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드럼 브레이크는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과 운전자의 일측에 마련된 주차 브레이크레버를 이용하는 기계식 등이 있는데, 이 기계식 드럼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레버와 연계된 파킹케이블을 이용하여 라이닝이 부착된 브레이크슈를 드럼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기계식 드럼브레이크는 고급 승용차의 파킹 브레이크로 사용되는 경우, 유압에 의한 후륜 제동용으로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와 함께 결합되어 사용되며, 이와 같은 형을 D. I. H(Drum In Hat) 타입이라 하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기계식 드럼브레이크는 차체에 볼트 체결되는 백플레이트, 백플레이트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작동레버에 의해 외향 작동하는 한쌍의 브레이크슈가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슈는 외주면에 라이닝이 부착되어 제동시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 제동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브레이트슈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선단부가 백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앵커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열간리벳팅 작업에 의해 고정된다.
브레이크슈는 이러한 앵커핀을 중심으로 드럼의 전진 회전방향 측의 것을 프라이머리슈, 그 반대측에 마련된 것을 세컨다리슈라 하여 구별하는데, 이것은 라이닝이 부착되는 반원형상의 림, 림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그 일단부는 앵커핀과 접촉 지지되어 있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어저스트의 단부와 접촉되는 웨브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동시 라이닝이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도록 외향 작동한다.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 웨브의 타단부 사이에는 어저스트가 개재되어 서로 연계되는데, 이것은 계속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라이닝이 마모되어 드럼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커지는 것을 보상하는 역할도 병행한다.
그리고 세컨다리슈 웨브의 일단부위 하면에는 주차용 작동레버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작동레버의 타단부에는 파킹케이블이 결합된다. 또한, 제동작용이 해제되면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데, 각 복원스프링은 일단부가 앵커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각각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에 고정되어 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슈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작동레버에 의해 연동하여 세컨다리슈를 외향 작동시키는 스트럿(strut)이 세컨다리슈의 일단부위와 작동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좌측단이 프라이머리슈의 웨브와 결합되며 우측단은 세컨다리슈와 축결합된 주차용 작동레버의 일단부위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계식 드럼브레이크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석 일측에 마련된 주차브레이크레버를 당기게 되면, 파킹케이블에 의해 작동레버의 타단부가 연동하여 스트럿이 밀리게 되고, 동시에 프라이머리슈의 웨브 일단부가 앵커핀에서 분리되어 드럼 측으로 밀려 제동력을 발생한다. 계속하여 프라이머리슈가 타단부에 접촉된 어저스트를 밀어주면서 반력을 가하게 되고, 어저스트는 이 반력을 세컨다리슈에 전달함으로써, 세컨다리슈의 라이닝이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휘한다. 이 때, 세컨다리슈는 전달되는 반력으로 인해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는데, 이러한 것은 일단부가 앵커핀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식 드럼브레이크는 파킹케이블과 연계된 작동레버가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당겨져 제동작용을 수행하는데, 종래 작동레버는 응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그 두께가 설계되어 있어서 원재료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강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단에 축결합공(11)이 천공되며 타단부에 파킹케이블(미도시)이 고정되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레버(10)의 일단부위에는 스트럿(미도시)의 단부가 결합되기 때문에 작동레버(10)의 작동시 일단부위가 가장 많은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종래 작동레버(10)는 일단부위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를 기준으로 전면에 걸쳐 동일한 두께로 설계되어 있다. 실제로 작동레버(10)의 두께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는 부분까지 동일하게 약 4.5t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한 원재료가 낭비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레버의 일단부가 세컨다리슈에 축결합되며 일단부위와 프라이머리슈 사이에 스트럿을 개재하여서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를 외향 작동시키는데,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구성하고 응력이 집중되는 일단부위에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을 스폿용접을 통해 부착함으로써, 작동레버 제조시 원재료가 줄어들게 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되는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기계식 드럼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판이 부착된 작동레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프라이머리슈 300a..세컨다리슈 500..스트럿
700..작동레버 711..축결합공 720..결합부
730..파킹케이블 740..보강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제동작용을 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된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 일단부가 세컨다리슈에 축결합되며 타단부에 파킹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어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 프라이머리슈와 작동레버의 일단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레버의 연동시 프라이머리슈를 외향 작동시키는 스트럿을 갖춘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스트럿의 단부가 결합되어 응력이 집중되는 작동레버의 일단부위에는 용접수단을 통해 부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기계식 드럼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레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기계식 드럼브레이크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상의 드럼(100)이 구성되어 있으며, 드럼(100)과 상응하도록 차체의 피체결부(미도시)에 볼트체결되는 백플레이트(200), 백플레이트(2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라이닝(330,330a)이 부착된 한쌍의 브레이크슈(300,300a)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제동작용시 라이닝(330,330a)이 드럼(100)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브레이크슈(300,300a)는 드럼(100)의 전진 회전방향 측에 마련된 프라이머리슈(300), 그 반대방향 측에 설치된 세컨다리슈(300a)로 구별되는데, 이것들은 외주면에 라이닝(330,330a)이 부착되도록 소정곡률로 이루어진 림(320,320a)과 이의 내주면에 일체로 결합된 판상의 웨브(310,310a)로 구성된다.
그리고 앵커핀(400)이 프라이머리슈(300) 웨브(310)의 일단부와 세컨다리슈(300a) 웨브(310a)의 일단 사이에 선단부위가 위치되도록 백플레이트(200)의 상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의 타단부 사이에는 어저스트(600)가 개재되어 서로 연계된다. 또한,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는 복원스프링(8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복원된다.
세컨다리슈(300a)의 일단부위에는 작동레버(70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710)결합되며, 프라이머리슈(300)와 작동레버(700)는 스트럿(500)으로 연계 지지되어 있다.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70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운전석 일측에 마련된 주차브레이크레버(미도시)와 파킹케이블(730,PARKING CABLE)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레버(700)의 일단에는 축결합공(711)이 형성되어 세컨다리슈(300a)와 축(710)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사이틈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부(720)가 일체로 구성되어 파킹케이블(730)이 고정된다. 그리고 작동레버(700)의 일단부위에는 스트럿(50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가 외향 작동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작동레버(700)는 그 두께가 종래에 비해 월등히 얇게 구성되어 있는데, 실제로 약 3.0t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스트렛(500)의 단부가 결합되어 작동 응력이 집중되는 일단부위 하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용접수단을 통해 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740)이 부착되어 있다. 보강판(740) 두께 역시 약 3.0t로써 스폿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레버(7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져 중량이 감소되며 제조시 상당한 원재료가 절감되는데, 응력이 집중되는 일단부위는 보강판(740)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어 작동중에 손상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기계식 드럼브레이크의 제동작용과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레버(미도시)를 당기게 되면, 파킹케이블(730)과 함께 작동레버(700)의 타단부가 화살표 F방향으로 연동하며 지렛대 원리에 의해 스트럿(500) 역시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프라이머리슈(300)의 일단부가 앵커핀(400)의 선단부에서 분리되어 라이닝(330)이 드럼(100)의 내주면과 마찰함으로써 제동력이 발휘된다. 계속하여 반력이 어저스트(600)를 통해 세컨다리슈(300a)로 전달되고 여기에서도 라이닝(330a)이 드럼(10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역시 제동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레버(미도시)를 풀게 되면, 파킹케이블(730)의 장력이 해제되어 작동레버(700)가 복원되며, 복원스프링(8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 역시 다시 원위치로 가게 된다.
이러한 제동작용을 수행하는 작동레버(7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력이 집중되는 일단부위에만 보강판(740)을 부착하고 이외의 부분은 얇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드럼브레이크의 중량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작동레버(700)의 원재료가 절감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는 일단부가 세컨다리슈에 축결합되며 일단부위와 프라이머리슈 사이에 스트럿을 개재하여서 프라이머리슈와 세컨다리슈를 외향작동시키는데,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구성하고 응력이 집중되는 일단부위에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을 스폿용접을 통해 부착하였다.
따라서 작동레버 제조시 원재료가 줄어들게 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됨으로써, 이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00), 상기 드럼(10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제동작용을 하도록 라이닝(330,330a)이 부착된 프라이머리슈(300)와 세컨다리슈(300a), 일단부가 상기 세컨다리슈(300a)에 축(710)결합되며 타단부에 파킹케이블(730)의 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프라이머리슈(300)와 상기 세컨다리슈(300a)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700), 상기 프라이머리슈(300)와 상기 작동레버(700)의 일단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레버(700)의 연동시 상기 프라이머리슈(300)를 외향 작동시키는 스트럿(500)을 갖춘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500)의 단부가 결합되어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작동레버(700)의 일단부위에는 용접수단을 통해 부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74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KR2019980006518U 1998-04-23 1998-04-23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KR200281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18U KR200281976Y1 (ko) 1998-04-23 1998-04-23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18U KR200281976Y1 (ko) 1998-04-23 1998-04-23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24U KR19990040024U (ko) 1999-11-25
KR200281976Y1 true KR200281976Y1 (ko) 2002-09-19

Family

ID=6951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518U KR200281976Y1 (ko) 1998-04-23 1998-04-23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9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24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486A (en) Mechanical actuation device for drum brake
KR20110060245A (ko) 기계식 드럼 브레이크
KR200281976Y1 (ko)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KR100435197B1 (ko) 드럼브레이크
JP2020051519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GB2153462A (en) Drum brake
KR101244157B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US6390248B1 (en) Dual mode drum brake device
KR20026745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KR100771040B1 (ko) 드럼브레이크
KR200281980Y1 (ko) 기계식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KR200276253Y1 (ko) 드럼 브레이크
KR200276250Y1 (ko) 드럼 브레이크의 주차용 작동레버
KR100784815B1 (ko) 앵커핀을 갖춘 기계식 드럼브레이크
KR19980054784A (ko) 드럼 브레이크
KR100760852B1 (ko) 주차 브레이크
KR100759885B1 (ko) 기계식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 레버
KR20120088340A (ko) 기계식 드럼 브레이크
KR200293357Y1 (ko)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KR100344467B1 (ko) 주차용 제동장치를 갖춘 드럼브레이크
KR20070045026A (ko) 드럼브레이크
KR100455672B1 (ko) 기계식 드럼브레이크
KR20050105332A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시스템
JPH066297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付き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
KR20050105331A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