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86Y1 -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86Y1
KR200218786Y1 KR2019980028058U KR19980028058U KR200218786Y1 KR 200218786 Y1 KR200218786 Y1 KR 200218786Y1 KR 2019980028058 U KR2019980028058 U KR 2019980028058U KR 19980028058 U KR19980028058 U KR 19980028058U KR 200218786 Y1 KR200218786 Y1 KR 200218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ing
cylinder
lowered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730U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김정자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자,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자
Priority to KR2019980028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8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86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상부의 실린더실(12)에 쐐기면(13)을 갖는 피스톤(14)이 설치되어 실린더 커버(15)측의 공기인입구(16)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피스톤 스프링(17)에 의해 다시 원래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10)과, 상기 하우징(11)내부에 상기 피스톤(14)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14)이 하강하면 피스톤(14)의 쐐기면(13)에 요크(21)의 요크 베어링(22)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23)와 조정너트(24)및 스핀들(25)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20)와, 상기 스핀들(25)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 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며 쐐기면을 갖는 피스톤이 설치된 제동통과 나사와 너트의 원리로 작용하여 일정한 설정간격을 유지하는 자동간격조정기의 콤팩트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매우 작은 공간에서도 철도차량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는 대부분 공기압을 이용한 방식이며,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한 제동장치는 이미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철도차량용 제동장치는 그 부피가 큰 중량물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에의 취부 및 이의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제동력에 비해 대체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경량으로 이루어져 철도차량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광범위한 출력, 즉 넓은 범위의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며 쐐기면을 갖는 피스톤이 설치된 제동통과, 나사와 너트의 원리로 작용하여 일정한 설정간격을 유지하는 자동간격조정기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차륜과 슈를 일직선에 있게 자동으로 정렬되어 라이너의 균일한 마모을 확보해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정렬 슈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용 답면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답면제동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답면제동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답면제동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답면제동장치의 자동간격조정기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자동간격조정기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 내지 도 5c는 간격조정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로,
도 5a는 이완상태,
도 5b는 가벼운 제동상태,
도 5c는 완전한 제동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d 및 도 5e는 슈의 마모로 간격이 벌어졌을때 자동으로 간격조정이 이루
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동통 11 : 하우징
12 : 실린더실 13 : 쐐기면
14 : 피스톤 15 : 실린더 커버
16 : 공기인입구 17 : 피스톤 스프링
20 : 자동간격조정기 21 : 요크
22 : 요크 베어링 23 : 푸시 슬리브
24 : 조정너트 25 : 스핀들
30 : 슈 조립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답면제동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답면제동장치는, 하우징(11)상부의 실린더실(12)에 쐐기면(13)을 갖는 피스톤(14)이 설치되어 실린더 커버(15)측의 공기인입구(16)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피스톤 스프링(17)에 의해 다시 원래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10)과, 상기 하우징(11)내부에 상기 피스톤(14)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14)이 하강하면 피스톤(14)의 쐐기면(13)에 요크(21)의 요크 베어링(22)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23)와 조정너트(24)및 스핀들(25)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20)와, 상기 스핀들(25)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 조립체(30)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상기 제동통(10)에 있어서, 피스톤(14)의 쐐기면(13)은 다양한 각도로 형성시킨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므로써 광범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데, 상용 제동력은 3.88kgf/㎠(≒380kPa=3.8bar)에서 1326.5kgf(≒13KN)부터 3571.4kgf(35KN)까지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답면 제동력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중 부호 26,26a는 각각 리어 베어링과 베어링 핀이고, 27은 스프링 슬리브이며, 28,29는 각각 콘트롤 소켓과 리더 너트이고, 31,32는 클러치 스프링, 제동 디스크이며, 33,34는 압축링과 가이드 부시이고, 36은 리턴 스프링이다.
상기 자동간격조정기(20)의 구조 및 작용을 도 4 및 도 5의 작동상태도를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의 이완상태에서 압축공기가 하우징(11)내의 실린더실(12)에 충기되면 피스톤(14)이 하강하므로써 쐐기면(13)의 작용에 의해 푸시 슬리브(23)가 도 5b의 과정을 거쳐 도 5c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된다. 이때의 힘은 요크 베어링(22)과 요크(21), 푸시 슬리브(23), 조정너트(24), 푸시 스핀들(25)를 통해 슈 조립체(30)로 전달되며, 반력은 리어 베어링(26)과 베어링 핀(26a)을 통해 하우징(11)에서 흡수된다.
한편, 과도한 간격의 제동시 자동간격조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푸시 슬리브(23)가 정상적인 클리어런스(도 5b에 ″A″로 표시됨)값과 같은 간격으로 이동하였을 때, 스프링 슬리브(27)의 플랜지(27a)는 콘트롤 소켓(28)에 의해 정지되며, 푸시 슬리브(23)의 계속적인 움직임에서, 스프링 슬리브(27)와 리더 너트(29)사이의 밀착상태는 풀리고 리더 너트(29)는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은 슈 조립체(30)가 차륜에 접촉하고 제동력이 생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제동력이 얻어지는때, 클러치 스프링(31)은 압축되고, 제동 디스크(32)와 압축링(33)과 리어 가이드 부시(34)사이에서 조여진다. 제동 디스크(32)와 리더 너트(29)사이의 스플라인 연결에 의해 리더 너트(29)는 더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다. 탄성과 마모에 의해 푸시 슬리브(23)의 계속적인 움직임에서 리더 스프링(35)은 압축된다.
한편, 제동완해시에는 푸시 슬리브(23)는 탄성력과 일치하는 간격만큼 뒤로 움직이고, 이러한 움직임동안 제동 디스크(32)는 물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자동간격조정기(20)측에는 아무런 회전도 없다. 스프링 슬리브(27)는 콘트롤 소켓(28)에 대하여 본래의 위치로 ″A″의 간격만큼 뒤로 움직인다.
푸시 스핀들(25)은 리더 너트(29)에 의해 정지하고 더이상 뒤로 가지 못할 때, 그것은 계속되는 완해 움직임동안 조정너트(24)를 강제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힘은 리턴 스프링(36)에 의해 공급되어 정확한 간격으로 복귀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쐐기면을 갖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제동통과 자동간격조정기 및 슈 조립체의 3부분이 콤팩트하게 결합된 답면제동장치로서, 본 고안의 답면제동장치는 소형경량으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에 의 취부가 용이하고 이의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동통은 피스톤의 쐐기면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므써 광범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자동간격조정기에 의해 브레이크 슈의 마모간격을 보상해주므로써 운행중 원하는 제동력을 기히 발휘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하우징(11)상부의 실린더실(12)에 쐐기면(13)을 갖는 피스톤(14)이 설치되어 실린더 커버(15)측의 공기인입구(16)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피스톤 스프링(17)에 의해 다시 원래위치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제동통(10)과, 상기 하우징(11)내부에 상기 피스톤(14)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14)이 하강하면 피스톤(14)의 쐐기면(13)에 요크(21)의 요크 베어링(22)이 접촉하여 푸시 슬리브(23)와 조정너트(24)및 스핀들(25)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자동간격조정기(20)와, 상기 스핀들(25)의 선단에 후부가 밀착되고 그 선단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슈 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KR2019980028058U 1998-12-30 1998-12-30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KR200218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058U KR200218786Y1 (ko) 1998-12-30 1998-12-30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058U KR200218786Y1 (ko) 1998-12-30 1998-12-30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30U KR20000014730U (ko) 2000-07-25
KR200218786Y1 true KR200218786Y1 (ko) 2001-04-02

Family

ID=6950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058U KR200218786Y1 (ko) 1998-12-30 1998-12-30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74B1 (ko) 2009-05-06 2011-10-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제동 마찰재의 냉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16B1 (ko) * 2001-06-20 2007-11-16 재 영 이 답면제동 유니트
KR100481095B1 (ko) * 2002-05-22 2005-04-07 재 영 이 답면 제동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74B1 (ko) 2009-05-06 2011-10-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제동 마찰재의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30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9765A (en) 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WO1998027355A1 (en) Push-pull caliper disc brake
CN110541897A (zh) 一种具有夹紧力保持功能的商用车电子机械制动器
KR200218786Y1 (ko) 철도차량용 콤팩트형 답면제동장치
US6161658A (en) Disc brake
JPH0726584Y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4222464A (en) Disc brake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4181199A (en) Caliper type disc brake
GB1448313A (en) Disc brake with a mechanical actuator
JPH09112604A (ja) 湿式ディスクブレーキの隙間調整機構
US1718526A (en) Vehicle-brake mechanism
KR100481095B1 (ko) 답면 제동 유니트
KR100775416B1 (ko) 답면제동 유니트
KR2003883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US3133614A (en) Self-energizing disc brake
KR100269958B1 (ko) 1 휠 실린더 적용 2-리딩식 드럼 브레이크
KR100257012B1 (ko)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캠 구동장치
JPH0324447Y2 (ko)
KR10075988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337554B1 (ko) 자동차의 디스크형 브레이크 장치
KR2004007189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53508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푸쉬로드 설치구조
KR200145059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구조
GB908661A (en) Improvements in disc brakes for vehicles
JP2505786Y2 (ja) ブレ―キバルブのマウンティングプレ―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