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807A - 측면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측면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807A
KR20030090807A KR10-2003-7014612A KR20037014612A KR20030090807A KR 20030090807 A KR20030090807 A KR 20030090807A KR 20037014612 A KR20037014612 A KR 20037014612A KR 20030090807 A KR20030090807 A KR 20030090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ide curtain
expansion chambers
curtain airbags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726B1 (ko
Inventor
키프슐베른트
Original Assignee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9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60R2021/2615Gas guiding means, e.g. ducts for diverting the gas into a plurality of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Bag Fra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측면 커튼 에어백은 서로 이격된 2개의 팽창 챔버(2, 4)를 구비한다. 팽창 챔버는 각각 2개의 직물 층(40, 42, 48, 56, 58)을 구비한다.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의 영역은 단일 직물 층(44)을 갖는다. 자유 공간(6)은 2개의 팽창 챔버(2, 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측면 커튼 에어백{SIDE-CURTAIN AIRBAG}
차량내의 측면 커튼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측면을 따라 차량의 지붕 빔으로부터 연장한다. 측면 커튼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지붕 빔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량의 측면을 따라 차량의 A형 보(A-pillar)로부터 차량의 C형 보(C-pillar)로 연장한다. 팽창식 측면 커튼 에어백은 승객의 머리 및 상체에 대한 측방향 보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측면 커튼 에어백은 기본적으로 측면 창 또는 차량 내측에 대해 평행하게 승객과 차량 측면 창 사이로 연장한다. 측면 커튼 에어백이 차량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기 때문에, 뒷좌석뿐만 아니라 앞좌석의 승객도 보호한다.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의 영역에서, 즉 차량의 B형 보의 영역에서는 보호가 필요치 않다. 이러한 영역에서 측면 커튼 에어백은 팽창 챔버의 부피를 가능한 작게 유지하도록 턱(tucks)에 의해 팽창 챔버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면 커튼 에어백의 팽창 동안에 가스로 팽창되지 않는 비팽창 영역(dead region)이발생한다. 측면 커튼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가의 코팅된 직물로 제조된다. 또한, 측면 커튼 에어백은 그 큰 길이로 인해 다량의 직물이 요구되며, 이는 그 만큼의 측면 커튼 에어백의 비용을 가중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은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에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단일한 직물 층이 위치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그 하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좌석 영역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차량의 뒷좌석 영역에 위치되는 양쪽 팽창 챔버는 2개의 연속적인 직물 조각이 아니다. 2개의 팽창 챔버가 분리됨으로써,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직물의 단일한 직물 층은 차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폭의 직물이다. 이로써,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고가의 직물 재료의 일부가, 2개의 직물 층 사이의 영역이 턱에 의해 팽창 챔버로부터 분리된 이전 실시예에 비해 절감될 수 있다. 팽창 챔버는 측면 커튼 에어백의 영역에 대해 승객을 보호하기 때문에, 필요한 가스 용적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가스 용적은 보다 소형의 가스 발생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비용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감소된 가스 또는 공기 용적은 측면 커튼 에어백의 보다 신속한 팽창을 야기시킴으로써, 측면 커튼 에어백은 승객의 보호를 위한 소망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점유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작은 직물 표면은 전개 과정 동안에 보다 낮은 마찰을 보장함으로써, 또한 보다 신속한 전개 과정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은 전술한 특성을 갖는 측면 커튼 에어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모듈용 측면 커튼 에어백 및 대응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4개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방법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을 제조하는 변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변형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변형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방법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변형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변형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개의 팽창 챔버(2, 4)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자유 공간(6)이 위치한다. 팽창 챔버는 서로 일정 거리로 분리되어 있다.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의 영역에서는, 측면 커튼 에어백은 이러한 영역에서 승객을 보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폭넓은 직물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내장 상태에서, 이러한 영역은 대부분 차량의 B형 보의 영역에서 앞좌석의 바로 뒤에, 즉 승객이 위치하지 않는 곳에 위치한다. 2개의 팽창 챔버(2, 4)는 좁은 호스형 커버(8)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버는 가스를 제 1 및 제 2 팽창 챔버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한다. 가스 공급 라인은 팽창 챔버(2, 4) 및 커버(8)를 통해 연장하는 튜브 또는 호스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공급 라인은 팽창 챔버를 외부에 위치된 가스 발생기에 연결한다. 측면 커튼 에어백 모듈에서, 가스 발생기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C형 보의 영역에 위치된다. 유리하게, 커버의 영역내의 가스 공급 라인에는 개구가 위치되지 않아서, 가스는 제 1 및 제 2 팽창 챔버로만 유동한다. 따라서, 커버는 기밀할 필요가 없다. 커버는 단지 가스 공급 라인을 측면 커튼 에어백으로 안내할 목적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변형적으로, 기밀한 구조의 커버가 가능하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측면 커튼 에어백이 전개 상태에서 지붕 빔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량의 내부 측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차량내에 위치된다면, 팽창 챔버(2)는 앞좌석 승객의 보호를 위해 전방 측면 창을 따라 연장하는 전방 팽창 챔버이다. 이러한 경우에 팽창 챔버(4)는 뒷좌석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 측면 창을 따라 연장하는 후방 팽창 챔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자유 공간(6)은 차량의 앞좌석의 등받이 및 B형 보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승객이 없기 때문에 측면 커튼 에어백에 의한 보호가 필요치 않다. 예컨대, 가스 공급 라인은 차량의 C형 보로부터 시작하여 후방 팽창 챔버(4) 및 커버(8)를 통해 전방 팽창 챔버(2)내로 연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가스 공급 라인은 팽창 챔버(2, 4)의 영역에만 개구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커버(8)는 가스 공급 라인을 유지 및 안내하는 기능만 하기 때문에, 예컨대 기밀한 재료와 같은 특별한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도 1a에 도시된 측면 커튼 에어백의 전술한 배열은 단지 일 예일 뿐이다. 또한, 자유 공간(6)은 보호 기능이 요구되지 않은 측면 커튼 에어백의 다른 모든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자유 공간(6)의 배열로 인하여, 팽창 챔버(2, 4)의 부피는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로 최소화되고, 직물 재료의 양을 절감시킨다. 또한, 하나의 측면 커튼 에어백에서, 몇몇 자유 공간(6) 및 2개 이상의 팽창 챔버(2, 4)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측면 커튼 에어백이 설치되는 차량의 구조에 좌우된다. 예컨대, 3열의 좌석을 갖는 차량에서는 3개의 팽창 챔버를 갖는 측면 커튼 에어백이 예상될 수 있다.
도 1b는 기본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측면 커튼 에어백에 대응하고, 팽창 챔버(2, 4) 사이의 자유 공간(6) 하부 영역에 위치한 연결 스트립(10)을 더 포함하는 측면 커튼 에어백을 나타낸다. 연결 스트립(10)은 측면 커튼 에어백이 전개될 때팽창 챔버(2, 4)의 개선된 위치설정 및 고정 상태를 보장한다. 연결 스트립(10)은 예컨대, 재봉,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이후에 팽창 챔버에 연결되는 별개의 연결 부품일 수 있다. 연결 스트립이 직물 층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 부품의 별개의 구조는 상이한 재료의 조합에 대해 높은 호환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 스트립(10)은 팽창 챔버(2, 4)의 직물 층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연결 스트립은, 예컨대 2개의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직물 층의 영역과 함께 하나의 조각으로 직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추후의 연결 공정은 회피된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지만, 상호 교차 방식으로 팽창 챔버(2, 4) 사이의 자유 공간(6)에서 연장하는 2개의 연결 스트립(10)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연결 스트립은 팽창 챔버(2, 4)의 직물 층과 함께 단일체가 되거나 또는 개별 연결 요소로서 팽창 챔버(2, 4)에 고정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1a 및 도 1b의 구성과 일치한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팽창 챔버(2, 4) 사이의 자유 공간이 없고, 직물 층(12)이 팽창 챔버(2, 4) 사이에 위치된다. 직물 층(12)은 팽창 챔버(2, 4)의 직물 재료와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직물 층은 팽창 챔버의 직물 층중 하나와 함께 단일체로 된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직물 층(12)은 모든 특정한 요구를 충족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직물 재료를 포함한다. 팽창 챔버(2, 4)의 직물 재료의 재료 특성을 가질 필요가 없는 저렴한 재료가 이러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가의 직물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저렴한 측면 커튼 에어백이 달성된다. 팽창 챔버(2, 4) 뿐만 아니라 커튼(8) 및 연결 스트립(10)도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일체의 직물 층으로서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직물 층(12)은 마찰이 적은, 즉 부드러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 커튼 에어백의 신속하고 균일한 전개에 유리하다. 도 1d의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구조 및 기능의 다른 특징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일치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트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서, 우선 직물 재료의 절단부(14)가 펼쳐진다. 직물 재료는 측면 커튼 에어백으로서의 잘 공지된 필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직물은 기밀하고 사용된 팽창 가스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 직물 재료는, 예컨대 적절한 합성물로 코팅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절단부(14)의 상부 섹션은 이후에 에어백의 내부 측면인 팽창 챔버를 각각 형성한다. 절단부(14)의 하부 섹션(14a)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합한 방식으로 접힘선(16)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접혀서 상부 섹션(14b)상에 위치된다. 절개 자국(incision)(18)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절단부(14)내에 형성된다. 절개 자국(18)은 접힘 절단부(14)의 중첩된 섹션(14a, 14b)을 통해 연장한다. 절개 자국(18)은 기본적으로 U자형으로써, U자 형상부가 절단부(14)의 측방향 에지쪽으로 개방된다. 절개 자국(18)의 자유 단부는 절단부(14)의 측방향 에지(2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도 2d에서, 절개 자국(18)에 의해 형성된 절단 섹션(22)은 측방향 에지방향에서 외측으로 접힌다.이러한 경우에 섹션(22)도 또한 2개의 층이다. 섹션(22)은 이후에 제 2 팽창 챔버(4)를 형성하고, 절단부(14)의 나머지 섹션(24)은 이후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팽창 챔버(2)를 형성한다. 자유 공간(6)이 섹션(24, 22) 사이에 형성된다. 2개 구간(14a, 14b)의 직물 스트립(26)이 남아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하방으로 접혀서 가스 공급 라인용 커버(8)를 형성한다. 효과적이 되도록, 섹션(22)의 좌측 에지의 상단부상에, 가스 공급 라인이 이후에 통과하여 제 1 팽창 챔버(4)로 연장하는 작은 절개 자국 또는 작은 개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절단부(14)의 하부 영역에서, 직물 스트립의 나머지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스트립(10)을 형성한다. 직물의 접힌 부분은, 예컨대 용접, 재봉 및 접착에 의해 그 주연 에지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b에 도시된 에어백과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도 2e에 도시된 에어백이 제조된다. 변형적으로, 양 직물 층 섹션은 하나의 측면에 대해 각 직물 층으로부터 멀어지게, 즉 서로 대향하게 접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직물 층의 최초 내부 측면은 제 2 팽창 챔버의 외부 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행 단계는 양 측면이 동일한 특성을 갖는 직물에 대해서만 적합하다. 양자의 변형 진행 단계에서, 절단 섹션은 직물 층의 최초 표면의 외측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팽창 챔버는 중간 자유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양 팽창 챔버는 절단선의 측면부를 남기고 2개의 웨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부 웨브는 가스 공급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를 형성하는 데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a에 도시된 측면 커튼 에어백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결 웨브(10)가 제외될 수 있다. 이는 접힘 절단부(14)의 바닥 에지(28), 즉 절단부(14)의 중심선(16)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도 2c에 도시된 절개 자국을 설계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절개 자국(18)은 L자형이다. 이후에 나머지 직물 층과 절단 섹션을 연결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유연한 측면 커튼 에어백이 형성된다. 예컨대, 절단 영역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하기 위해 직물 층의 가장자리 영역이 절단될 필요는 없다. 절단 섹션 및 나머지 직물 층은, 예컨대 재봉,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로 설명된 방법의 변형을 나타낸다. 절단부(14)가 도 2b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우선 접힌다. 그 후, 절개 자국(30)이 도 2c와는 대조적으로 연속적인 선으로 형성된다. 도 3a에서, 절개 자국(30)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단부(14)의 2개의 중첩 직물 층이 섹션(32)이 절단부(14)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최종적으로 제거된 섹션(3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4)의 나머지 부분에 다시 한번 연결된다. 제거된 섹션(32)은 절단부(14)의 측방향 에지(20)에 부착된다. 도 3b에 도시된 배열은 기본적으로 도 2d에 따른 배열과 일치한다. 나머지 방법은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실행된다.
도 2a 내지 도 2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은 제조될 에어백의 구조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절단 및 접힘 과정은 팽창 챔버의 수가 얼마나 많은가 그리고 팽창되지 않은 에어백 영역이 얼마나 많은가에 따라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절단 영역은 그 형상이 직사각형이 될 필요는 없으며, 에어백의 소망 실시예에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측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따라서 상이한 형성의 에어백을 제조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고가의 직물 재료가 절감될 수 있다. 직물 층의 절단 섹션은 직물 층의 최초 표면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 1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이러한 직물층에 바람직하게 연결되어, 2개의 팽창 챔버를 갖는 단일체 측면 커튼 에어백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 커튼 에어백에서의 자유 공간은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에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측면 커튼 에어백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2개의 직물 섹션(34)이 준비되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챔버(2, 4)를 형성한다. 각각의 경우에, 직물 섹션(34)이 적어도 2개의 층을 갖는 팽창 챔버를 형성한다. 2개 층의 형상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개시된 과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직물 층을 접어서 이뤄진다. 또한, 각 경우에서 2개의 개별 직물 층을 중첩시키고, 그 서로의 외주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일체인 2개의 중첩된 직물 층을 직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직물 섹션(34)은 2개의 연결 스트립(3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스트립(36)은 팽창 챔버의 재료와 같이 기밀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다. 연결 스트립(36)은 재봉, 스테이플링, 접착, 용접 및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직물 섹션(34)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에어백과 일치하는 도 4b에 도시된 에어백이 형성된다. 팽창 챔버(2, 4) 사이에는 2개의 연결 스트립(36) 사이에 자유 공간(6)이 형성된다. 상부 연결 스트립(36)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라인용 커버(18)로서 유리하게 형성된다. 변형적으로, 연결 스트립(36)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방향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5는 도 1b를 참조하여 개시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는 단일체로 직조된 직물 층중의 적어도 하나와 다르다. 에어백은 완성된 에어백의 형상 또는 외형을 갖는, 2개의 일치하는 중첩된 직물 층(8)을 포함한다. 2개의 팽창 챔버(2, 4)가 중간 자유 공간(6)을 갖게 형성된다. 에어백은 도 5에 도시된 형상으로 직조되고 그 주연 에지가 서로 연결된 2개의 일치된 직물 층(38)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직물 층(38)은 동시에 단일한 조각으로 직조되어 더 이상의 연결 공정이 필요치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직물 층(38)은 그 주연 에지가 합쳐서 직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 층의 단일체로 직조된 구조체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은 다른 연결 공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에어백의 나머지 형상은 도 1b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와 일치한다. 도 5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은 도 1b,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측면 커튼 에어백 모듈의 측면 커튼 에어백의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직물 층(40)은 제조될 측면 커튼 에어백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직물 층(40)은 측면 커튼 에어백으로서의 적합한 특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기밀성, 인열에 대한 저항성 및 중량 등에 관련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직물 층(40)의 2개의 단부 섹션(42)은 서로를 향해 내층으로 접혀 직물 층(40)상의 편평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중 층의 영역이 형성된다. 단부 영역(42)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이중 층의 영역 사이에는 단일 층의 중간 영역(44)이 형성된다. 완전히 접힌 단부 섹션(42)은, 예컨대 재봉,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그 외부 에지가 하부에 놓인 직물 층(40)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면 커튼 에어백은 기본적으로 도 1d를 참조하여 개시한 형상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그러나, 도 6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중간 영역(44)이 팽창 챔버(2, 4)를 형성하는 직물 층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는 직물 층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종래의 측면 커튼 에어백 노즐의 측면 커튼 에어백과 반대로 중간 영역(44)내의 직물 층이 절감된다. 또한, 도 6b의 팽창 챔버(2, 4)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에 의해 연결되어 가스 공급 라인용 수용부를 형성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 측면 커튼 에어백을 제조하는 방법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직물 층(40)은 늘어지지 않고, 단부 영역(42)이 직물 층(40)의 하나의 측방향 에지(46)로부터 측방향 연장하여, 즉 직물 층이 U자형이 된다. 단부 영역(42)은 직물 층(40)의 나머지 부분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접혀서, 단부 영역(42)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놓인 직물 층을 따라 2개의 팽창 챔버(2, 4)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측방향 에지(46)의 영역내의 2개의 단부 영역(42) 사이에서는, 직물 층(40)의 작은 스트립이 완전히 접혀서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 4) 사이에 커버(8)를 형성한다. 커버(8)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개시된 가스 공급 라인을 수용하는기능을 한다.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팽창 챔버(2, 4) 사이의 영역 또한 직물 층(40)의 중간 영역(44)을 관통하는 단일 층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측면 커튼 에어백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8a에서, 측면 커튼 에어백은 3개의 직물 섹션으로 형성된다. 2개의 직물 섹션(48)은 도 1b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챔버(2, 4)를 형성된다. 직물 섹션(50)은 상이한 직물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직물 섹션(48)을 연결시키고 이후에 팽창 챔버(2, 4)를 서로 연결시킨다. 직물 섹션(48)은 팽창 챔버에 대해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다. 직물 섹션(50)은 다른 직물 섹션(48)보다 적은 필요 조건이 적용되는 보다 단순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 섹션(50)의 재료는 가능한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즉 미끄러워서 측면 커튼 에어백의 전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직물 섹션(50)은 직물 섹션(48)에 비해 저렴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전복 추락의 경우 양 팽창 챔버를 고정시키고, 특히 충돌 전복 사고시에 승객에 대한 개선된 보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 팽창 챔버의 정밀하게 규정된 위치 설정이 보장된다. 2개의 팽창 챔버를 연결하기 위해서, 특히 저가의 재료가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의 영역에 바람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저가의 재료는 단순한 직물 또는 단순 포일일 수 있다. 이러한 재료에는 팽창 챔버의 재료에서와 같은 높은 필요 조건이 적용되지 않는다.
직물 섹션(48)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져서 제 3 직물 섹션(5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용접, 재봉, 접착 또는 다른 적합한 처리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직물 섹션(48)은 2개의 중첩 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선(52)을 중심으로 접힌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2개의 층 사이에 팽창 챔버(2, 4)가 형성된다. 2개의 직물 섹션(48) 사이의 직물 섹션(50) 또한 좁은 스트립(54)이 완전히 접히도록 그 상부 영역이 접혀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라인(8)용 커버를 형성한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달리, 직물 섹션(48)이 2개 층의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방법으로 접힐 수 있다. 예컨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접힘이 가능하다. 도 8c는 그 완료된 상태의 접혀진 층면 커튼 에어백을 도시한다. 직물 섹션(48)은 2개의 팽창 챔버(2, 4)를 형성한다. 직물 섹션(50)은 단일 층의 중간 연결 섹션을 형성한다. 그 상부 영역에서, 직물 섹션(50) 또한 완전히 접혀서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라인용 커버(8)를 형성한다. 접힌 섹션은 그 주연 에지가 서로 연결되어 기밀한 팽창 챔버(2, 4)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 공정에 의해서, 직물 섹션(48 ,50)의 연결이 동시적으로 실행되어 부가적인 단계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8)는 직물 재료(50)의 스트립(54)을 완전히 접는 것 대신 개별 직물 스트립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9a는 승객으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측면 커튼 에어백의 측면을 이후에 형성하는 비코팅 단순 직물의 제 1 직물 섹션(56)을 도시한다. 도 9b는 팽창 챔버 (2, 4)를 형성하는 2개의 다른 직물 층(58)을 도시한다. 직물 층(48)은 직물 스트립(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직물 층(58)의 외경 및 중간 직물 스트립(60)은 직물 층(56)의 외경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도 9c에서, 도 9b와 일치하는 직물 층은 도 9a와 일치하는 직물 층(56)상에 위치한다. 그 후, 직물 층(58) 및 연결 스트립(60)은 그 주연 에지가 하부에 위치한 직물 층(56)에 연결된다. 이로써, 2개의 팽창 챔버(2, 4)는 직물 재료(58)에 의해 하부에 위치한 직물 층(56)을 따라 함께 형성된다. 팽창 챔버(2, 4) 사이에 중간 영역(62)이 형성되며, 이는 하부 직물 층(56)으로만 형성된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개시한 바와 같이, 연결 스트립(60)은 하부에 놓인 직물 층(56)과 함께 가스 공급 라인용 커버(8)를 형성한다. 도 9c의 측면 커튼 에어백은 도 8c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과 기본적으로 외부 구조가 일치함으로써, 팽창 챔버(2, 4)의 단지 하나의 직물 층만이 코팅된 기밀한 직물로 형성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하부에 위치된 층뿐만 아니라 팽창 챔버(2, 4) 사이의 중간 영역(62)은 코팅되지 않은 단순한 직물(56)로만 형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측면 커튼 에어백은 승객을 향해 만곡되는 영역이 기밀한 것을 보장한다. 승객으로부터 멀어지게 만곡된 측면 커튼 에어백의 부분 및 보호 기능이 필요치 않은 에어백의 영역은 전체 측면 커튼 에어백은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보다 단순하고 저가인 직물 재료로 제조된다.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직물 재료의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예컨대 전방 팽창 챔버의 전방부 또는 전방의 일부가 기밀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팽창 챔버가 코팅되고 다른 것에 대해서는 코팅되지 않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는 보호 기능이 필요치 않은 팽창 챔버 사이의 영역이 대부분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동일 직물의 단일 층을 포함하는 장점을 공유한다. 결과적으로, 그로부터 팽창 챔버가 형성되는 상당히 고가의 직물 재료 부분이 절감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단지 2개의 팽창 챔버만이 설명되었지만, 2개 이상의 팽창 챔버가 예상되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측면 커튼 에어백이 설치될 차량의 구조에 특히 의존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비팽창 공간 또한 예상될 수 있다. 팽창 챔버 사이의 전술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비팽창 공간은 대부분 팽창 챔버를 형성하는 동일 직물의 단일 층으로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커튼 에어백을 갖는 측면 커튼 에어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측면 커튼 에어백은 기본적으로 도 2e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한다. 그러나, 커버(8) 대신에 강성 또는 가요성의 T자형 튜브 또는 T자형 호스(64)가 팽창 가스의 도입되도록 팽창 챔버(2, 4) 사이에 위치된다. T자형 튜브(64)는 금속 또는 합성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T자형 튜브(64)는 일 단부가 가요성 돌출 조각(66)에 의해 챔버(2, 4)에 연결된다. 가요성 돌출 조각(66)은 직물 재료 또는 호스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T자형 튜브(64)의 제 3 단부에 가스 발생기(68)가 연결된다. 따라서, 가스 발생기(68)는 팽창 챔버(2, 4) 사이의 자유 공간(6)내에 위치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팽창 챔버(2, 4)까지 동일 길이의 가스용 공급 경로를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팽창 챔버(2, 4)는 가스 발생기의 점화 동안에 기본적으로 동시에 가스로 팽창된다. 또한, 가스 발생기(68)는 공간 효율적인 방식으로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Claims (10)

  1. 측면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직물 층(40, 42, 48, 56, 58) 사이에 있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 적어도 2개의 팽창 챔버(2, 4)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의 영역에는 동일한 직물로 형성된 단일 층(44)이 위치되는
    측면 커튼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유 공간(6)이 상기 2개의 팽창 챔버(2, 4) 사이에 위치되는
    측면 커튼 에어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팽창 챔버(2, 4)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스트립(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측면 커튼 에어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트립(10)은 상기 2개의 직물 층(40, 42, 48, 56, 58)중 적어도 하나와 단일체를 이루는
    측면 커튼 에어백.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트립(10)은 별개의 연결 부품인
    측면 커튼 에어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팽창 챔버(4)는, 상기 제 1 팽창 챔버(2)를 형성하는 상기 직물 층의 절단부인 직물 층 섹션(22)으로 형성되는
    측면 커튼 에어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팽창 챔버(4)의 직물 층 섹션(22)은, 바람직하게 기본적으로 U자형 절단 라인(18)을 따라 절단된 상기 제 1 팽창 챔버(2)의 직물 층(14)의 절단부이고, 상기 제 1 팽창 챔버(2)의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14)과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연결되는
    측면 커튼 에어백.
  8. 제 1 항에 있어서,
    기밀하지 않은 직물 재료가 상기 2개의 팽창 챔버(2, 4) 사이에 사용되는
    측면 커튼 에어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팽창 챔버(2, 4) 사이에 연장하는 튜브 형상의 커버(8)를 더 포함하는
    측면 커튼 에어백.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챔버(2, 4)의 직물 층(58)중 단지 하나만이 기밀하며, 상기 단일 층은 상기 2개의 팽창 챔버 사이의 영역에서 동일한 기밀 직물을 포함하는
    측면 커튼 에어백.
KR1020037014612A 2001-05-11 2002-02-12 측면 커튼 에어백 KR100550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2838.4 2001-05-11
DE10122838A DE10122838B4 (de) 2001-05-11 2001-05-11 Luftsack für ein Curtain-Airbag Modul
PCT/US2002/003998 WO2002092335A1 (en) 2001-05-11 2002-02-12 Side-curtain air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07A true KR20030090807A (ko) 2003-11-28
KR100550726B1 KR100550726B1 (ko) 2006-02-08

Family

ID=76843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612A KR100550726B1 (ko) 2001-05-11 2002-02-12 측면 커튼 에어백
KR10-2003-7014614A KR20030090808A (ko) 2001-05-11 2002-02-12 측면 커튼 에어백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614A KR20030090808A (ko) 2001-05-11 2002-02-12 측면 커튼 에어백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6475B2 (ko)
EP (2) EP1397240B1 (ko)
KR (2) KR100550726B1 (ko)
AT (1) ATE325705T1 (ko)
DE (2) DE10122838B4 (ko)
WO (2) WO2002092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1255B2 (en) * 2002-06-25 2006-01-31 Autoliv Asp, Inc. Interconnectable inflatable airbag cushion module
DE10306343B4 (de) * 2003-02-10 2005-07-28 Takata Corp. Insassenschutzeinrichtung
JP2005029036A (ja) * 2003-07-07 2005-02-03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144038B2 (en) * 2003-07-30 2006-12-05 Milliken & Company Side protection airbags and method of making side protection airbags
US20050116451A1 (en) * 2003-11-25 2005-06-02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US20050134025A1 (en) * 2003-12-19 2005-06-2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7354063B2 (en) * 2004-03-09 2008-04-08 Milliken & Company Airbag structure
JP2008507455A (ja) 2004-07-26 2008-03-13 ニクスジェン・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US7350804B2 (en) * 2004-11-08 2008-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with thorax protection
ES2259569B1 (es) * 2005-09-28 2007-06-16 Loncar, S.L. Soporte laminar para absorcion de impactos por choques de humanos.
US7731224B2 (en) * 2006-03-01 2010-06-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20090058051A1 (en) * 2007-09-04 2009-03-05 Mark Hatfield Curtain Airbag
DE202007015431U1 (de) * 2007-10-30 2008-12-24 Takata-Petri Ag Airbageinrichtung zum Schutz eines Fahrzeuginsassen
JP5514758B2 (ja) * 2011-03-17 2014-06-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EP2704924A4 (en) 2011-05-02 2014-11-26 Nxgen Technologies Llc SIDE INFLATABLE SAFETY CUSH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CH CUSHION
CN103373311B (zh) * 2012-04-12 2016-08-03 奥托立夫开发公司 汽车安全气囊及相关加强层制作方法
DE102017210660A1 (de) 2017-06-23 2018-12-2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assack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2658A1 (de) * 1992-09-29 1994-03-31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ür ein 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DE29616904U1 (de) 1996-09-27 1997-01-30 Trw Repa Gmbh Schutzein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KR100245073B1 (ko) * 1996-12-26 2000-03-02 구광시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GB2327066B (en) * 1997-07-09 2001-03-07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US6042141A (en) * 1997-08-26 2000-03-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de restraint assembly
DE29802507U1 (de) 1998-02-13 1998-06-10 Trw Repa Gmbh Rückhaltevorrichtung mit Spanneinrichtung
DE19823492A1 (de) 1998-05-26 1999-12-02 Takata Europ Gmbh Seiten-Luftsack
US6095551A (en) * 1999-08-02 2000-08-01 Trw Inc. Non-inflatable curtain with inflatable device
DE29918198U1 (de) * 1999-10-15 2000-03-16 Trw Repa Gmbh Aufblasbares Schutzkissen für den Insassenschutz in Fahrzeugen
US6299965B1 (en) 1999-11-17 2001-10-09 Milliken & Company Inflatable fabrics comprising peel seams which become shear seams upon inflation
US6460877B2 (en) * 2000-03-23 2002-10-08 Toyoda Goseki Co., Ltd. Airbag
US6273458B1 (en) * 2000-05-31 2001-08-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DE20014706U1 (de) * 2000-08-25 2001-01-04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Schutzvorrichtung mit Seitengassack
DE20014705U1 (de) * 2000-08-25 2000-12-28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mit Gassack
US6237943B1 (en) 2000-10-07 2001-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rollover curtain with improved deployment
US6805374B2 (en) * 2001-02-08 2004-10-19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cush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2335A1 (en) 2002-11-21
EP1385720A1 (en) 2004-02-04
EP1397240A1 (en) 2004-03-17
WO2002092399A1 (en) 2002-11-21
DE10122838A1 (de) 2002-12-12
KR20030090808A (ko) 2003-11-28
DE60211334D1 (de) 2006-06-14
EP1397240A4 (en) 2005-03-30
EP1397240B1 (en) 2006-05-10
US6666475B2 (en) 2003-12-23
ATE325705T1 (de) 2006-06-15
DE10122838B4 (de) 2005-08-04
KR100550726B1 (ko) 2006-02-08
US20020167153A1 (en)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726B1 (ko) 측면 커튼 에어백
US6969086B2 (en) Airbag and airbag device
US7316416B2 (en) Airbag and airbag device
US7980585B2 (en) Airbag mounting assemblies with double-locking wrappers
US6883826B2 (en) Cushion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s head
US9205801B2 (en) Airbag module including airbag with diffuser
US20090212540A1 (en) Curtain air ba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7106376A (ja) エアバッグ装置
JP6131827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424387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
US7654560B2 (en) Air bag for vehicle
EP1577171B1 (en) Airbag device
JP6267220B2 (ja) 強化された気体ディフューザを備える改良されたエアバッグ
EP1612110B1 (en) Curtain airbag device
JP682592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5959379B2 (ja)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取り付け構造
JP546511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918551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321588A (ja) 車両用エアバッグ
WO2020129590A1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7145172B2 (ja) ニー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及びニーエアバッグをハウジングの中にパッキングする方法
JP200418202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5989788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GB2383305A (en) Air bag with adjacent asymmetrical chambers
WO2014106071A1 (en) Knee air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