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095A -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095A
KR20030088095A KR1020020026017A KR20020026017A KR20030088095A KR 20030088095 A KR20030088095 A KR 20030088095A KR 1020020026017 A KR1020020026017 A KR 1020020026017A KR 20020026017 A KR20020026017 A KR 20020026017A KR 20030088095 A KR20030088095 A KR 2003008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indicator
rotation angle
ti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8095A/ko
Publication of KR2003008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05Mechanical indicators, e.g. in or near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 정면부의 메터 세트나 칼럼 커버 상단부에 표시기를 설치하되, 이 표시기와 스티어링 칼럼 로드 사이에는 스티어링 컬럼 로드의 회전각도에 부응하여 표시기가 회전되도록 벨트를 설치하거나, 캔슬 캠과 스티어링 휠 매칭부에 회전각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 각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내에서도 타이어의 각도를 쉽게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어 타이어 방향을 모르고 차량을 출발시키므로 인한 당황이나,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Tire Covering Direction Indicator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운전석 정면부의 메터 세트나 칼럼 커버 상단부에 화살표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부응하여 회전되는 표시기를 표시기를 설치하여 차량내에서 운전자가 타이어의 각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차시 스티어링 휠을 락이 될때까지 회전시킨 후 휠을 풀 경우 스티어링 휠이 한쪽으로 대략 1.5회 이상 회전되므로(즉, 보통 스티어링 휠의 락에서 락은 3회전 이상이므로 한쪽으로는 1.5화전 이상 회전함) 도 1의 (a)-(c)에서 보듯이 타이어의 다음 3방향(즉, 우로 1회전시, 직진시, 좌로 1회전시)에 대해 스티어링 휠의 방향(각도)는 동일하다.
그런데, 종래 모든 자동차에는 타이어의 각도를 표시하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실내에 있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방향(각도)만을 보고 타이어의 실제 방향(각도)을 전혀 알수 없어 자동차의 출발시 당황하게 됨은 물론, 때에 따라서는 그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타이어가 어느 일측으로 회전되어 있으나 스티어링 휠 자체는 전방을 향하는 경우(도 1의 (a)(c)와 같이 좌 1회전 또는 우 1회전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차량이 출발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당황하게 됨은 물론, 그와 같은 상태에서 급출발이 이루어질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차량내에서도 타이어의 각도를 쉽게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 방향을 모르고 출발하므로 인해 당황하거나,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 정면부의 메터 세트나 칼럼 커버 상단부에 표시기를 설치하되, 이 표시기와 스티어링 칼럼 로드 사이에는 스티어링 컬럼 로드의 회전각도에 부응하여 표시기가 회전되도록 벨트를 설치하거나, 캔슬 캠과 스티어링 휠 매칭부에 회전각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 각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내에서도 타이어의 각도를 쉽게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어 타이어 방향을 모르고 차량을 출발시키므로 인한 당황이나,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의 (a)-(c)는 종래 자동차에서의 스티어링 휠 각도에 따른 타이어의 각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의 (a)-(c)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9 : 표시기2 : 스티어링 휠
3 : 스티어링 휠 칼럼 커버4 : 스티어링 칼럼 로드
5 : 벨트6 : 캔슬 캠
7 : 회전각 측정센서8 : 제어부
10 : 타이어11 : 화살표
12 : 벨트 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a)-(c)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면부에는 화살표(11)가 표기되고 주연부에는 벨트 홈(12)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스티어링 휠(2)의 칼럼 커버(3) 상단부에 축설되는 기계식 표시기(1)와;
상기 기계식 표시기(1)의 벨트 홈(12)와 스티어링 칼럼 로드(4)의 외주연 사이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2)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 로드(4)의 회전력을 표시기(1)로 전달하는 벨트(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시기(1)의 지름은 스티어링 컬럼 로드(4)의 지름 보다 약 4배의 크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티어링 휠 매칭부의 캔슬 캠(6)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2)의 회전각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회전각 측정센서(7)와;
상기 회전각 측정센서(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 휠(2)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10)의 회전각을 산출한 후 그 결과값을 표시기(9)로 출력하는 제어부(8)와;
메터 세트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의 제어를 받아 스티어링 휠(2)의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10)의 회전각을 기호로 표기하는 전자식 표시기(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구별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기계식의 경우는 도 2와 같이 정면부에는 화살표(11)가 표기되고 주연부에는 벨트 홈(12)이 형성된 기계식 표시기(1)를 스티어링 휠(2)의 칼럼 커버(3)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하되, 상기 기계식 표시기(1)의 벨트 홈(12)와 스티어링 칼럼 로드(4)의 외주연 사이에는 벨트(5)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상기 스티어링 휠(2)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 로드(4)가 회전될시 이 회전력이 벨트(5)를 통해 표시기(1)로 전달되므로 상기 표시기(1)의 정면에 표기된 화살표(11)가 타이어의 현재 방향(각도)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기(1)의 지름은 스티어링 컬럼 로드(4)의 지름(대략 20Φ) 보다 약 4배의 크기(즉, 대략 80Φ)를 갖도록 하므로써, 스티어링 휠(2)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1회전(즉, 360도)시 기계식 표시기(1)와 그에 표기된 화살표(11)가 도 3의 (a)(c)와 같이 각각 90도씩 회전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내에서 스티어링 휠(2)의 조작시 또는 그의 조작에 앞서 스티어링 휠(2)의 칼럼 커버(3)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상기 기계식 표시기(1)의 화살표(11)의 각도를 통해 타이어(10)의 방향(각도)를 정확히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2)을 조작할 수 있어 타이어 방향을 모르고 차량을 출발하게 되므로 인한 당황 또는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자식의 경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 매칭부의 캔슬 캠(6)에는 회전각 측정센서(7)를 설치하고, 메터 세트내에는 전자식 표시기(9)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각 측정센서(7)와 전자식 표시기(9) 사이에는 제어부(8)를설치하여 제어부(8)로 하여금 상기 회전각 측정센서(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 휠(2)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10)의 회전각을 산출한 후 그 결과값을 표시기(9)로 출력하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상기 전자식 표시기(9)에 나타나는 기호를 보고 현재의 타이어 각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자동차내에서 스티어링 휠(2)의 조작시 스티어링 휠 매칭부의 캔슬 캠(6)에 설치된 회전각 측정센서(7)에서 그의 회전각(a)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8)로 입력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8)에서 현재 스티어링 휠(2)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10)의 회전각(c)을 산출한 후 표시기(9)에 지침이나 회살표로 표시할 각도를 검출(b=a/c)하여 전자식 표시기(9)로 출력하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상기 전자식 표시기(9)에 나타나는 기호의 각도를 보고 현재의 타이어 방향(각도)을 정확히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2)을 조작할 수 있어 타이어 방향을 모르고 차량을 출발하게 되므로 인한 당황 또는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스티어링 휠(2)의 편측 락이 될때 까지 거리는 차종에 따라 다르므로 차종별로 별도로 입력하면 되나, 대개의 경우 1.5회전(즉 540도)이고, 휠이 락이 되었을 때 표시기(9)의 화살표 작동각을 편측으로 45도 정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따른 타이어 방향(각도)이 차량내에 설치된 기계식 또는 전자식 표시기에 항상 나타나게되므로 운전자가 차량내에서도 타이어의 각도를 쉽게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어 타이어 방향을 모르고 차량을 출발시키므로 인한 당황이나,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정면부에는 화살표(11)가 표기되고 주연부에는 벨트 홈(12)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스티어링 휠(2)의 칼럼 커버(3) 상단부에 축설되는 기계식 표시기(1)와;
    상기 기계식 표시기(1)의 벨트 홈(12)와 스티어링 칼럼 로드(4)의 외주연 사이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2)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 로드(4)의 회전력을 표시기(1)로 전달하는 벨트(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1)의 지름은 스티어링 컬럼 로드(4)의 지름 보다 약 4배의 크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3. 스티어링 휠 매칭부의 캔슬 캠(6)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2)의 회전각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회전각 측정센서(7)와;
    상기 회전각 측정센서(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 휠(2)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10)의 회전각을 산출한 후 그 결과값을 표시기(9)로 출력하는 제어부(8)와;
    메터 세트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의 제어를 받아 스티어링 휠(2)의 회전각에 부응하는 타이어(10)의 회전각을 기호로 표기하는 전자식 표시기(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KR1020020026017A 2002-05-11 2002-05-11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KR20030088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017A KR20030088095A (ko) 2002-05-11 2002-05-11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017A KR20030088095A (ko) 2002-05-11 2002-05-11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095A true KR20030088095A (ko) 2003-11-17

Family

ID=3238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017A KR20030088095A (ko) 2002-05-11 2002-05-11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80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2580A (ja) * 1995-08-11 1997-02-25 Tetsuya Momii 自動車の前輪の方向と角度表示器
KR980008715A (ko) * 1996-07-31 1998-04-30 김영귀 자동차의 바퀴정렬상태 표시장치
KR19980037220A (ko) * 1996-11-15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조향핸들 각도 표시장치
KR100382268B1 (ko) * 1999-09-14 2003-05-01 송승희 차량의 조향 자동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2580A (ja) * 1995-08-11 1997-02-25 Tetsuya Momii 自動車の前輪の方向と角度表示器
KR980008715A (ko) * 1996-07-31 1998-04-30 김영귀 자동차의 바퀴정렬상태 표시장치
KR19980037220A (ko) * 1996-11-15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조향핸들 각도 표시장치
KR100382268B1 (ko) * 1999-09-14 2003-05-01 송승희 차량의 조향 자동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8095A (ko) 자동차의 타이어 주행방향 표시장치
WO2017057007A1 (ja) 車両用画像処理装置
KR20140086122A (ko) 자동차의 조향각 센서
TWI588044B (zh) 車輛用安全指示裝置
JP2006335305A (ja) メータ内転舵状態表示装置
KR20050030039A (ko) 스티어링 원격 제어장치
KR200211062Y1 (ko) 트레일러 구동장치
KR0134020B1 (ko) 자동차의 차륜 표시장치
KR20110001289U (ko)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0178687B1 (ko) 차량의 앞 바퀴 위치 표시장치
KR0138344Y1 (ko) 자동차 조향각도 표시 장치
KR100312742B1 (ko) 자동차용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KR20050064840A (ko) 듀얼모터 타입 전동지게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KR100507647B1 (ko) 자기장센서를 이용한 사각지대 내 충돌 방지장치
KR19990020718A (ko) 차량의 앞바퀴 자동 정렬장치
KR19980050874U (ko) 차량의 조향각 표시 장치
KR20010027624A (ko) 차량의 조향 자동감지장치
KR0168532B1 (ko) 커브길 안개등 점등장치
KR19990056836A (ko) 차량의 조향장치
KR100197514B1 (ko) 차량바퀴의 정렬상태 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70052938A (ko)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22339U (ko) 자동차의 전륜 조향각 표시장치
JP2000318638A (ja) ステアリングガイド
KR19990027261A (ko) 차량 바퀴 방향 인식장치
KR19980058729A (ko) 스티어링(Steering) 휠의 조향 각도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