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289U -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289U
KR20110001289U KR2020090009984U KR20090009984U KR20110001289U KR 20110001289 U KR20110001289 U KR 20110001289U KR 2020090009984 U KR2020090009984 U KR 2020090009984U KR 20090009984 U KR20090009984 U KR 20090009984U KR 20110001289 U KR20110001289 U KR 201100012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irror
vehicle
rotation
steer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이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영 filed Critical 이민영
Priority to KR2020090009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289U/ko
Publication of KR20110001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양측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회전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조향 또는 굴곡 도로 통과시 조향하는 방향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시야각이 자동으로 커지도록 조절함으로써 더욱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사고를 미련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조향, 굴곡 도로, 시야각, 조정, 사이드 미러 모듈, 거울

Description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SIDE VIEW MIRROR OF VEHICLE IN AUTOMATIC VIEWING ANGLE CONTROL IS POSSIBLE IN VEHICLE STEERING}
본 고안은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향 또는 굴곡 도로 통과시 사이드 미러를 통한 시야각을 자동으로 크게 조정할 수 있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좌/우측면에는 차량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사이드 미러가 장착되어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조향 및 굴곡 도로를 통과할 때 좌/우측 또는 후방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유무를 사이드 미러로 확인한 후 주행한다.
이처럼 사이드 미러에 보여지는 사물을 확실히 확인하고 주행을 함으로써 안정 운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미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본체(9)의 일 부분에 연장되어 형성된 받침부(5)와, 받침부(5)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7) 및 회전 축(7)과 결합될 수 있는 삽입공(3)이 구비된 사이드 미러부(1)로 구성된다.
이때, 사이드 미러부(1)는 설정 각도를 갖도록 회전축(7)에 결합되어 차량의 운전자 시야각이 일정하므로 사이드 미러부(1)로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확인하고 않고 운행시 크고 작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이드 미러 구석에 크기가 작고 동그란 형태의 사각지대 확인용 보조 미러를 부착하거나, 운전석 안쪽에 또는 룸미러에 보조 미러를 부착하여야 하는 부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차량 윗부분 또는 좌/우에 보조적으로 고가의 감시용 카메라를 구입하여 부착함으로써 비용 부담 및 설치상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조향 또는 굴곡 도로 통과시 조향하는 방향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시야각이 자동으로 커지도록 조절함으로써 더욱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사고를 미련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 결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회전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양측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 내의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회전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감지부는 엔코더(Enco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의 최대 회전각을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핸들의 조작 각도가 커짐을 감지하면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의 시야각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이 설정 각도 이상 좌우 회전하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회전 구동부는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차량 조향 또는 굴곡 도로 통과시 조향하는 방향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시야각이 자동으로 커지도록 조절함으로써 더욱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사고를 미련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 모듈(100)과, 회전 구동부(125)와, 감지부(도면에 미도시)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사이드 미러 모듈(100)은 하우징(110) 및 거울(113)로 구성되어 회전 구동부(125)의 구동축(1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 일단에 삽입공(115)이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타단에 고정되는 거울(113)이 설치된다.
회전 구동부(125)는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차량(23)의 양측 전방 도어의 선단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받침부(120)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삽입공(115)이 결합되도록 구동축(121)이 구비된 모터부(123)를 포함한다.
즉, 회전 구동부(125)는 모터부(123)가 사이드 미러 받침부(1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축(121)에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삽입공(115)이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부(123)는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등을 적용함으로써,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회전각을 자동적으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더욱이,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 및 서보 모터(Servo Motor)는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방식을 채택하는데, 이 스퀀스 제어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점차로 진행해 나가는 제어 방식이다.
한편, 사이드 미러 받침부(120)는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모터부(123)가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구비하여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감지부는 핸들(14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핸들(1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엔코더(Encoder) 등이 이에 접목된다. 여기서, 엔코더는 회전체(140: 핸들)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일종으로, 본 고안에서는 핸들(1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하며, 제어부(130)에서 핸들(140)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회전 구동부(125)와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핸들(140)의 회전됨을 감지부에서 감지하면 이에 대응되는 핸들(140)의 회전 방향 쪽의 모터부(123)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제어부(130)는 차량(23)의 좌/우측의 신호를 지정할 수 있는 방향 지시부(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부가 작동되면 모터부(123)에 구동 신호가 출력되어 신호를 제어하여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모터부(12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최대 회전각을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서 설정 및 제어하도록 하고, 감지부에서 핸들(140)의 조작 각도가 커짐을 감지하면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시야각이 점차 커지도록 모터부(123)를 제어하도록 하며, 핸들(140)이 설정 각도 이상으로 좌우 회전하면 감지부에서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최대 회전각이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여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측방 및 후방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핸들(140)의 회전각이 점차 커짐에 따라 모터부(123)의 구동신호 역시 그에 대응되도록 하여 사이드 미러 모듈(100)의 시야각도 차량의 좌우회전 반경에 상관없이 늘 동일하도록 하며, 직선 도로에서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핸들(140)을 미세하게 좌우로 조작하여 차선 내에 차량(23)이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를 비춰볼 때 핸들(140)이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될 때에만 감지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운전자가 차량 조향 또는 굴곡 도로 주행시 핸들(140)을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하면 감지부가 핸들(14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를 통해 좌우측 회전 구동부(125)의 모터부(123) 중 핸들(140)의 회전방향 쪽에 설치한 모터부(123)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축(121) 상에 고정된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설정 각도만큼 점차 더 회전시킨다.
그 후, 핸들(140)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100)이 회전하여 운전자의 시야각이 커짐에 따라 조향 도로 또는 굴곡 도로의 후방 및 측방에 대해 상황을 확인하고 통과한다.
다음으로, 차량 조향이 완료되거나 굴곡 도로를 통과하여 핸들(140)을 원위치시키면 이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에서 제어부(130)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30)에서 구동된 모터부(123)에 신호를 출력하여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원위치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 조향시 또는 굴곡 도로 통과시 사이드 미러 모듈(100)로 확보할 수 있는 시야의 정도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는 차량 직진 주행시 운전석에서 보여지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통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시야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직진시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야 범위인 (A) 부분의 시야각은 "α" 만큼의 영역이다.
이처럼 운전자에게 보여지는 시야 범위가 실제로 (C)만큼 일부분만 형성됨으 로써 차량이 좌/우측 조향 및 굴곡 도로를 통과시 사이드 미러 모듈(100)로 확인할 수 있는 범위가 협소하기 때문에 확인할 수 없는 영역(사각지대)에서 출몰하는 어떠한 물체를 미리 인지할 수 없어 사고가 유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지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좌/우측 조향 및 굴곡 도로를 통과시 핸들(140)의 회전 방향 쪽에 위치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100)이 모터부(123)에 의해 설정 각도만큼 더 회전하도록 하여 더욱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최초 차량 직진시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통한 시야 범위인 (A) 부분에 대해 시야각이 "α" 만큼 확보된 상태에서 차량의 좌/우측 조향 및 굴곡 도로 통과시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통한 시야 범위인 (A') 부분에 대해 시야각이 "β" 만큼 확대되어 짐으로써 차량의 좌/우측 조향 및 굴곡 도로 통과시 시야 범위(A+A') 내에 (C)에 해당되는 시야 범위가 포함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 모듈(200)과, 회전 구동부(225)와, 감지부(도면에 미도시)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며, 감지부(도면에 미도시) 및 제어부(230)는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의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앞선 실시 예에서 사이드 미러 모듈(100)을 회전시켜 시야각을 크게 하는 것과는 달리 사이드 미러 모듈(200)의 위치는 정지된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 모듈(200) 내부에 위치된 거울(113)을 회전시켜 시야각을 크게 하는 것이다.
사이드 미러 모듈(200)은 하우징(210), 거울(213) 및 회전 구동부(225)로 구성되어 사이드 미러 받침부(220)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210) 일단에 삽입공(215)이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타단에 거울(213)이 회전 구동부(225)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거울(213)은 후면이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회전 구동부(225)의 구동축(221)에 고정구(217)를 매개로 결합되어 모터부(223)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210) 내에서 설정 각도로 회전된다.
회전 구동부(225)는 거울(2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구동축(221) 및 모터부(223)를 포함한다.
즉, 회전 구동부(225)는 모터부(223)가 하우징(210)의 내부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축(221)에 고정구(217)를 통해 거울(213)의 후면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부(223)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등을 적용함으로써, 거울(213)의 회전각을 자동적으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감지부는 핸들(14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핸들(2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엔코더(Encoder) 등이 이에 접목된다. 여기서, 엔코더는 회전체(240: 핸들)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일종으로, 본 고안에서는 핸들(2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를 제어부(230)로 출력하며, 제어부(230) 에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회전 구동부(225)와 연결된다.
제어부(230)는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핸들(240)의 회전됨을 감지부에서 감지하면 이에 대응되는 핸들(240)의 회전 방향 쪽의 모터부(223)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제어부(230)는 차량(23)의 좌/우측의 신호를 지정할 수 있는 방향 지시부(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부가 작동되면 모터부(223)에 구동 신호가 출력되어 신호를 제어하여 사이드 미러 모듈(20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모터부(22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유리(213)의 최대 회전각을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서 설정 및 제어하도록 하고, 감지부에서 핸들(240)의 조작 각도가 커짐을 감지하면 유리(213)의 시야각이 점차 커지도록 모터부(213)를 제어하도록 하며, 핸들(240)이 설정 각도 이상으로 좌우 회전하면 감지부에서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유리(213)의 최대 회전각이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여 유리(213)를 통해 운전자가 쉽게 측방 및 후방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핸들(240)의 회전각이 점차 커짐에 따라 모터부(223)의 구동신호 역시 그에 대응되도록 하여 유리(213)의 시야각도 차량의 좌우회전 반경에 상관없이 늘 동일하도록 하며, 직선 도로에서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핸들(240)을 미세하게 좌우로 조작하여 차선 내에 차량(23)이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를 비춰볼 때 핸들(240)이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될 때에만 감지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미러의 일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 예의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작동 전후에 대한 시야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의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사이드 미러 모듈 115, 215: 삽입공
120, 220: 사이드 미러 받침부 121, 221: 구동축
123, 223: 모터부 125, 225: 회전 구동부
130, 230: 제어부 213: 거울

Claims (7)

  1. 양측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회전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2. 양측 사이드 미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이드 미러 모듈;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 내의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회전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엔코더(Enco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 또는 상기 거울의 최대 회전각을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핸들의 조작 각도가 커짐을 감지하면 상기 사이드 미러 모듈 또는 상기 거울의 시야각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이 설정 각도 이상 좌우 회전하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20090009984U 2009-07-30 2009-07-30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1100012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84U KR20110001289U (ko) 2009-07-30 2009-07-30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84U KR20110001289U (ko) 2009-07-30 2009-07-30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89U true KR20110001289U (ko) 2011-02-09

Family

ID=4420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984U KR20110001289U (ko) 2009-07-30 2009-07-30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28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1096A (zh) * 2018-08-29 2019-01-04 西安工业大学 一种可消除弯道盲区的随动后视镜
KR20230172870A (ko) 2022-06-16 2023-12-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1096A (zh) * 2018-08-29 2019-01-04 西安工业大学 一种可消除弯道盲区的随动后视镜
KR20230172870A (ko) 2022-06-16 2023-12-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9770A1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US8265827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JP4519957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KR20110001289U (ko)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JPH0826129A (ja) 自動操舵装置の制御方法
US7476011B2 (en)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KR20080052028A (ko) 차량의 지능형 시야 확보 시스템
JPH08253078A (ja) サイドミラー装置及びサイドミラーのミラー角制御方法
US20100211265A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JP2001310679A (ja) バックミラー装置
JP2010254209A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自動調整装置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382889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축방향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US20180244299A1 (en) Optimizing alignment of steering column and steering wheel during vehicle production
KR19980022581U (ko) 조향휘일의 회전량에 따른 사이드미러 자동조절장치
KR20040098268A (ko)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9980035409A (ko) 조향각 신호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거울각도 조절방법
KR19980047988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100568138B1 (ko)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KR20040042599A (ko) 트레일러의 자동 히치볼 장치
KR100394843B1 (ko) 자동차의 주행방향변경에 따른 룸미러의 방향조정장치
KR100212797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자동조절장치
KR20050116473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확인용 사이드미러
KR20000016243U (ko) 조향 변화에 따라 반사각이 변화하는 사이드미러
JP2001039224A (ja) 前遠方の死角を解消する車両用車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