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187A -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 Google Patents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187A
KR20030087187A KR1020020025134A KR20020025134A KR20030087187A KR 20030087187 A KR20030087187 A KR 20030087187A KR 1020020025134 A KR1020020025134 A KR 1020020025134A KR 20020025134 A KR20020025134 A KR 20020025134A KR 20030087187 A KR20030087187 A KR 20030087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level
curr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385B1 (ko
Inventor
이재연
한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385B1/ko
Priority to TW092108508A priority patent/TW583827B/zh
Priority to US10/417,680 priority patent/US6836186B2/en
Priority to NL1023300A priority patent/NL1023300C2/nl
Priority to CNB03123092XA priority patent/CN100350738C/zh
Priority to JP2003126717A priority patent/JP2003347858A/ja
Publication of KR2003008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push-pul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H03F3/3022CMOS common source output SEPP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제 1 전류 제어부 및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 소싱(sourcing) 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노드로 출력한다.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상기 AB급 버퍼 증폭기는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는 제 1 비교기와 제 2 비교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정지 전류의 양을 자유롭게 제어하면서도 증폭기의 출력단으로 흐르는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용이하게 하여 큰 전류로 외부 회로를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Class AB amplifier with controlling quiescent current}
본 발명은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지(quiescent) 전류를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B급 증폭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높은 전류를 드라이빙 할 수 있는 AB급 버퍼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박막 트랜지스터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를 모델링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140)을 구동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지는 입력 전압들(V1, V2, V3)이 전압 팔로우어(voltage follower) 형태의 증폭기들(110, 120, 130)을 통하여 액정으로 인가된다.
액정(140)은 여러 가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압 레벨로 충전 또는 방전되어야 한다. 즉, 제 1 스위치(SW1)를 턴 온 시켜 제 1 입력 전압(V1) 레벨로 액정을 구동하다가 필요할 경우 제 1 스위치(SW1)를 턴 오프 시키고 제 2 스위치(SW2)를 턴 온 시켜 제 2 입력 전압(V2) 레벨로 액정을 구동해야 한다. 이 때, 액정에 충전되어 있던 전류들이 빨리 싱킹(sinking) 되거나 소싱(sourcing) 되어야 한다. 따라서 액정(140)의 구동에 사용되는 증폭기들(110, 120, 130)은 AB급 버퍼 증폭기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AB급 버퍼 증폭기는 정지 전류(quiescent current)의 제어가 어렵고 정지 전류의 전류 량도 수십 uA 수준으로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의 드라이버와 같이 휴대용 제품에 장착되는 칩은 자체 전류 소모량이 수십 uA 수준 이내 이어야 하므로, 이러한 칩에는 AB급 버퍼 증폭기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A급 증폭기에 비교기를 추가한 A 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A 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200)은 피모스 트랜지스터(MP)와 엔모스 트랜지스터(MN1)를 구비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로 증폭기(미도시)의 입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ODA)가 인가된다. 또한 A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200)은 비교기(210)와 엔모스 트랜지스터(MN2)를 더 구비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MN2)는 출력 노드(ONODE)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비교기(210)의 출력 신호(SOUT)가 게이트로 인가된다.
도 2의 A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200)은 정지 전류의 제어가 쉬우며 피모스 트랜지스터(MO)를 턴 온 시켜 출력 노드(ONODE)를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높이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높은 경우,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류를 접지 전압(VSS)으로 흐르게 해야 한다.
이 때, 바이어스 전압(BIAS)에 의해서 엔모스 트랜지스터(MN1)가 턴 온 되어 있는 정도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류를 접지 전압(VSS) 방향으로 빠르게 싱킹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기(210)와 엔모스 트랜지스터(MN2)가 이용된다.
입력 전압(VIN)보다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높아지면, 비교기(210)는 출력 신호(SOUT)를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그러면 엔모스 트랜지스터(MN2)는 턴 온 되고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접지 전압(VSS) 방향으로 전류의 패스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A 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200)에 사용되는 비교기(210)는 오프셋 전압을 가지는 문제가 있다. 즉 비교기(210)는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레벨보다 일정한 오프셋 전압 이상 커야만 출력 신호(SOUT)를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은 입력 전압(VIN)에 오프셋 전압을 더한 전압 레벨을 최저 전압 레벨로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종래의 AB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AB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300)은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사이에 피모스 트랜지스터(MP)와 엔모스 트랜지스터(MN)가 직렬로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와 전원 전압(VDD) 사이에 다이오드형 피모스 트랜지스터(M3)가 연결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MN)의 게이트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다이오드형 엔모스 트랜지스터(M4)가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와 엔모스 트랜지스터(MN)의 게이트는 각각 제 1 전류원(IB1)과 제 2 전류원(IB2)에 연결된다.
도 3의 AB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300)의 정지 전류(IQ)는 피모스 트랜지스터(MP)와 다이오드형 피모스 트랜지스터(M3)의 사이즈의 비로 제어된다. 또한 정지 전류(IQ)는 엔모스 트랜지스터(MN)와 다이오드형 엔모스 트랜지스터(M4)의 사이즈의 비로 제어된다.
즉, 정지 전류(IQ) = 바이어스 전류(IB1) * (MP/M3) = 바이어스 전류 (IB1) * (MN/M4)
로 표시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들(MP, M3, MN, M4)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정지 전류(IQ)가 적게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들(M3, M4)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들(M1, M2)의 부하로서 동작된다. 따라서 부하로 동작하는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들(M3, M4)은 출력단의 이득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AB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300)의 출력이 풀 스윙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A 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은 오프셋 전압에 의하여 출력 신호가 풀 스윙을 하지 못하며 도 3에 도시된 AB 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은 부하로 동작되는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들에 의하여 출력이 풀 스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정지 전류(IQ)가 적게 흐르도록 제어하면서도 출력단으로 흐르는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용이하게 하여 증폭기 외부에 부착되는 외부 회로를 큰 전류로 구동할 수 있는 AB급 버퍼 증폭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지 전류의 양을 자유롭게 제어하면서도 증폭기의 출력단으로 흐르는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용이하게 하여 큰 전류로 외부 회로를 구동할 수 있는 AB급 버퍼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박막 트랜지스터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를 모델링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A급 증폭기에 비교기를 추가한 A 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AB급 버퍼 증폭기의 출력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제 1 전류 제어부 및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 소싱(sourcing) 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노드로 출력한다.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상기 AB급 버퍼 증폭기는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부를 더 구비할 수있다. 상기 비교부는 제 1 비교기와 제 2 비교기를 구비한다.
제 1 비교기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비교기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3 트랜지스터와 제 1 전류원을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전류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류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4 트랜지스터 내지 제 6 트랜지스터와 제 2 전류원을 구비한다.
제 4 트랜지스터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5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6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지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전류원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전류원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상기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2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제 1 전류 제어부 및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전류를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한다.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한다.
상기 AB급 버퍼 증폭기는 차동 증폭기 및 비교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는 상기 입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한다.
비교기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그 결과를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한다.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 1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2 트랜지스터 내지 제 4 트랜지스터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지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제 1 전류 제어부 및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전류를 출력 노드로부터 싱킹(sinking)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된다.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상기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한다.
상기 AB급 버퍼 증폭기는 차동 증폭기와 비교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는 상기 입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한다.
비교기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한다.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 1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2 트랜지스터 내지 제 4 트랜지스터 및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제 1 전류 제어부, 제 2 전류 제어부 및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 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노드로 출력한다.
제 2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한다.
비교부는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한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3 트랜지스터와 제 1 전류원을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전류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1 전류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제 4 트랜지스터 내지 제 6 트랜지스터와 제 2 전류원을 구비한다.
제 4 트랜지스터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5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6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지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전류원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2 전류원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상기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2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400)는 제 1 전류 제어부(410) 및 제 2 전류 제어부(420)를 구비한다.
제 1 전류 제어부(410)는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 소싱(sourcing) 하고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버퍼링하여 출력노드(ONODE)로 출력한다.
좀더 설명하면, 제 1 전류 제어부(410)는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3 트랜지스터(MP1, MP2, MP3)와 제 1 전류원(ICS1)을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MP1)는 전원 전압(VDD)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MP2)는 제 1 트랜지스터(MP1)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제 1 신호(S1)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 1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MP3)는 전원 전압(VDD)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전류원(ICS1)은 제 2 트랜지스터(MP2)의 제 2 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바이어스 전류(IB1)를 발생한다.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MP1, MP2, MP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전류원(ICS1)은 제 2 트랜지스터(MP2)의 제 2 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일 수 있다.
제 2 전류 제어부(420)는 제 2 신호(S2)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제 2 신호(S2)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버퍼링하여 출력 노드(ONODE)로 출력한다.
제 1 및 제 2 신호(S1, S2)는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제 2 전류 제어부(420)는 제 4 트랜지스터 내지 제 6 트랜지스터(MN4, MN5, MN6)와 제 2 전류원(ICS2)을 구비한다.
제 4 트랜지스터(MN4)는 접지 전압(VSS)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5 트랜지스터(MN5)는 제 4 트랜지스터(MN4)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제 2 신호(S2)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 4 트랜지스터(MN4)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6 트랜지스터(MN6)는 접지 전압(VSS)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트랜지스터(MN4)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전류원(ICS2)은 제 5 트랜지스터(MN5)의 제 2 단과 전원 전압(VDD)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바이어스 전류(IB2)를 발생한다.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MN4, MN5, MN6)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전류원(ICS2)은 제 5 트랜지스터(MN5)의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2 바이어스 전압(BIAS)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AB급 버퍼 증폭기(400)는 입력 전압(VIN) 및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제 1 및 제 2 신호(S1, S2)로서 발생하는 비교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비교부(430)는 제 1 비교기(431)와 제 2 비교기(433)를 구비한다.
제 1 비교기(431)는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신호(S1)를 발생한다.
제 2 비교기(433)는 입력 전압(VIN)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신호(S2)를 발생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변화될 필요가 없고,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레벨과 동일하게 출력되는 경우의 AB급 버퍼 증폭기(4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AB급 버퍼 증폭기(400)는 버퍼로서 동작되며, 정지 전류(IQ)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제 1 신호(S1)와 제 2 신호(S2)는 각각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를 모두 포화(saturation) 상태에 있게 만든다.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가 모두 포화 상태에 있게 되면 제 1 전류 제어부(410) 및 제 2 전류 제어부(420)는 전류 미러(current mirror)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정지 전류(IQ)는 트랜지스터들(MP1, MP3, MN4, MN6)의 사이즈 비와 제 1 전류원(ICS1) 및 제 2 전류원(ICS2)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 1 및 제 2 바이어스 전류(IB1, IB2)에 의하여 제어된다. 트랜지스터들(MP1, MP3, MN4, MN6)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정지 전류(IQ)의 양을 적게 만들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3 트랜지스터(MP1, MP3)의 사이즈의 비와 제 4 및 제 6 트랜지스터(MN4, MN6)의 사이즈의 비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면,
MP1 : MP3 = MN4 ; MN6
의 관계가 성립되고, 따라서,
정지 전류(IQ) = 제 1 바이어스 전류(IB1) *(MP3/MP1) = 제 2 바이어스 전류(IB2) * (MN6/MN4)
이다. 여기서, 제 1 바이어스 전류(IB1)와 제 2 바이어스 전류(IB2)는 동일한 값으로 가정한다.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P5)가 동시에 턴 온 되기 위해서, 제 1 비교기(431)가 출력하는 제 1 신호(S1)의 전압 레벨과 제 2 비교기(433)가 출력하는 제 2 신호(S2)의 전압 레벨은 서로 다르다. 제 1 신호(S1) 및 제 2 신호(S2)의 전압 레벨은 각각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를 포화상태로 만들 수 있는 레벨이다.
제 1 비교기(431)와 제 2 비교기(433)는 제 1 비교기(431)와 제 2 비교기(433)의 음의 단자로 출력 전압(VOUT)이 연결되는 음의 피드백(negative feedback)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전압(VOUT)의 레벨과 동일해 질 수 있고 제 1 신호(S1)의 레벨과 제 2 신호(S2)의 레벨은 각각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를 포화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 1 비교기(431)는 피드백 되는 출력 전압(VOUT)을 엔모스 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비교기(433)는 피드백 되는 출력 전압(VOUT)을 피모스 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로 수신한다.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가 동시에 포화 될 수 있도록 제 1 신호(S1) 및 제 2 신호(S2)의 전압 레벨 다르게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비교기(431, 433)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현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비교기(431) 및 제 2 비교기(433)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즉,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의 AB급 버퍼 증폭기(4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제 1 비교기(431)는 제 1 신호(S1)를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제 2 비교기(433)는 제 2 신호(S2)를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 2 트랜지스터(MP2)는 계속 포화 상태에 있고 제 5 트랜지스터(MN5)는 턴 오프 된다. 여기서 제 2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에 가까운 레벨이다. 즉, 제 2 논리 레벨은 제 2 트랜지스터(MP2)는 포화시킬 수 있지만 제 5 트랜지스터(MN5)는 턴 오프 시키는 레벨이다.
제 1 전류 제어부(410)는 계속 전류 미러의 형태를 유지하지만 제 2 전류 제어부(420)는 제 5 트랜지스터(MN5)가 턴 오프 되므로 더 이상 전류 미러의 형태가 아니다.
제 2 전류원(ICS2)은 제 2 바이어스 전류(IB2)를 제 4 트랜지스터(MN4)와 제 6 트랜지스터(MN6)의 게이트로 인가한다. 그러면 제 4 트랜지스터(MN4)와 제 6 트랜지스터(MN6)가 모두 포화된다.
제 2 전류 제어부(420)가 전류 미러의 형태일 경우 제 4 트랜지스터(MN4)와 제 6 트랜지스터(MN6)는 포화 상태이며 제 4 트랜지스터(MN4)와 제 6 트랜지스터 (MN6)의 사이즈 비에 따라 정지 전류(IQ)의 양이 제어된다. 따라서 제 2 전류원 (ICS2)의 제 2 바이어스 전류(IB2)를 적게 하면 정지 전류(IQ)의 양도 적어진다.
제 2 전류 제어부(420)가 전류 미러의 형태가 아닐 경우, 제 4 트랜지스터(MN4) 및 제 6 트랜지스터(MN6)는 게이트 전압이 제 2 전류 제어부(420) 가 전류 미러의 형태일 경우보다 상승되기 때문에 더 큰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 6 트랜지스터(MN6)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됨에 따라, 출력 노드(ONODE)에서 접지 전압(VSS)으로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류가 출력 노드(ONODE)에서 접지 전압(VSS)으로 싱킹(sinking) 된다. 그러면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은 빠른 속도로 낮아질 수 있다.
제 2 전류원(ICS2)은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로 대체될 수 있다.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즉,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보다 낮은 경우의 AB급 버퍼 증폭기(4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레벨보다 낮은 경우, 제 1 비교기(431)는 제 1 신호(S1)를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제 2 비교기(433)는 제 2 신호(S2)를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 2 트랜지스터(MP2)는 턴 오프 되고 제 5 트랜지스터(MN5)는 포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 1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에 가까운 레벨이다. 즉, 제 1 논리 레벨은 제 2 트랜지스터(MP2)는 턴 오프 시킬 수 있지만 제 5 트랜지스터(MN5)는 포화시키는 레벨이다.
제 2 전류 제어부(420)는 계속 전류 미러의 형태를 유지하지만 제 1 전류 제어부(410)는 제 2 트랜지스터(MP2)가 턴 오프 되므로 더 이상 전류 미러의 형태가 아니다. 제 1 전류원(ICS1)은 제 1 바이어스 전류(IB1)를 접지 전압(VSS) 방향으로 계속 흐르게 한다.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MP1)와 제 3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그러면 제 1 트랜지스터(MP1)와 제 3 트랜지스터(MP3)가 모두 포화 상태가 된다.
제 1 전류 제어부(410)가 전류 미러의 형태일 경우 제 1 트랜지스터(MP1)와 제 3 트랜지스터(MP3)는 포화 상태이며 제 1 트랜지스터(MP1)와 제 3 트랜지스터(MP3)의 사이즈 비에 따라 정지 전류(IQ)의 양이 제어된다.
따라서 제 1 전류원(ICS1)의 제 1 바이어스 전류(IB1)를 적게 하면 정지 전류(IQ)의 양도 적어진다.
제 1 전류 제어부(410)가 전류 미러의 형태가 아닐 경우, 제 1 트랜지스터(MP1) 및 제 3 트랜지스터(MP3)는 게이트 전압이 제 1 전류 제어부(410)가 전류 미러의 형태일 경우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더 큰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 6 트랜지스터(MN6)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됨에 따라, 제 3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 전압이 낮아지므로 전원 전압(VDD)에서 출력 노드(ONODE)로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류가 전원 전압(VDD)에서 출력 노드(ONODE)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은 높아진다.
제 1 전류원(ICS1)은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400)에 의하여 정지 전류(IQ)의 양을 자유롭게 제어하면서도 출력 노드(ONODE)로 흐르는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용이하게 하여 큰 전류로 외부 회로를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500)는 제 1 전류 제어부(510) 및 제 2 전류 제어부(520)를 구비한다.
제 1 전류 제어부(510)는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고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 소싱(sourcing)한다.
제 1 신호(S1)는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크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좀더 설명하면, 제 1 전류 제어부(510)는 전원 전압(VDD)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되고 제 1 신호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 1 트랜지스터(MP1)이다.
제 2 전류 제어부(520)는 제 2 신호(S2)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제 2 신호(S2)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버퍼링하여 출력 노드(ONODE)로 출력한다.
제 2 신호(S2)는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좀더 설명하면 제 2 전류 제어부(520)는 제 2 트랜지스터 내지 제 4 트랜지스터(MN2, MN3, MN4)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B)를 구비한다.
제 2 트랜지스터(MN2)는 접지 전압(VSS)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MN3)는 제 2 트랜지스터(MN2)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제 2 신호(S2)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 2 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MN4)는 접지 전압(VSS)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B)는 제 3 트랜지스터(MN3)의 제 2 단과 전원 전압(VDD)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BIAS)이 인가된다.
제 1 트랜지스터(MP1) 및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B)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제 2 내지 제 4 트랜지스터(MN2, MN3, MN4)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다.
AB급 버퍼 증폭기(500)는 차동 증폭기(530) 및 비교기(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530)는 입력 전압(VIN)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 1 신호(S1)로서 발생한다.
비교기(540)는 입력 전압(VIN)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 2 신호(S2)로서 발생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50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전류 제어부(510)는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된다. 여기서 제 1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에 가까운 레벨이다. 제 1 논리 레벨은 후술하는 제 3 트랜지스터(MN3)를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이기도 하다.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은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을 경우에 발생된다.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을 경우, 제 2 신호(S2)는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여기서, 제 2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에 가까운 레벨이다. 제 2 논리 레벨은 제 1 트랜지스터(MP1)를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MN3)는 턴 오프 된다.
바이어스 전압(BIAS)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B)를 턴 온 시키는 전압 레벨을 가진다. 즉,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B)는 바이어스 전압(BIAS)에 의하여 계속 턴 온 된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MN3)가 턴 오프 되는 경우,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MN2, MN4)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된다. 그러면 많은 양의 전류가 출력 노드(ONODE)를 통하여 접지 전압(VSS)으로 흐르게 되고,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낮아진다. 즉,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높기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낮출 필요가 있을 경우, 도 5의 AB급 버퍼 증폭기(500)는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접지 전압(VSS)으로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빠른 속도로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클 경우, 제 1 신호(S1)는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되고 제 2 신호(S2)는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된다.
그러면 제 1 트랜지스터(MP1)는 포화 상태로 되고 제 3 트랜지스터(MN3)도 포화 상태로 된다. 제 3 트랜지스터(MN3)가 포화 상태로 됨으로써 제 2 전류 제어부(520)는 전류 미러의 형태가 된다. 제 2 트랜지스터(MN2)와 제 4 트랜지스터(MN4)의 사이즈의 비를 조절하여 정지 전류(IQ)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포화 상태로 된 제 1 트랜지스터(MP1)에 의하여 전원 전압(VDD)에서 출력 노드(ONODE)로 전류 패스가 형성되고 전류가 출력 노드(ONODE)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높아진다.
정리해보면, 출력 전압(VOUT)레벨이 입력 전압(VIN)보다 높을 경우, 제 1 신호(S1)는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되어 제 1 트랜지스터(MP1)가 턴 오프 되고, 제 2 신호(S2)는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되어 제 3 트랜지스터(MN3)가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전류의 싱킹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반대로, 출력 전압(VOUT)레벨이 입력 전압(VIN)보다 낮을 경우, 제 1 신호(S1)는 제 2 레벨로 출력되어 제 1 트랜지스터(MP1)가 포화 상태로 되고, 제 2 신호(S2)는 제 1 레벨로 출력되어 제 3 트랜지스터(MN3)가 포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 2 전류 제어부(520)는 전류 미러 형태가 되며 정지 전류(IQ)의 양을 작게 만든다. 그리고 제 1 트랜지스터(MP1)를 통하여 전류의 소싱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500)는 정지 전류(IQ)의 양을 트랜지스터들(MN2, MN4)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어하면서도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빨리 하여 출력 전압(VOUT)의 레벨 전환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600)는 제 1 전류 제어부(610) 및 제 2 전류 제어부(620)를 구비한다.
제 1 전류 제어부(610)는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싱킹(sinking)하고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된다.
제 1 신호(S1)는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크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좀더 설명하면, 제 1 전류 제어부(610)는 접지 전압(VSS)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되며 제 1 신호(S1)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 1 트랜지스터(MN1)이다.
제 2 전류 제어부(620)는 제 2 신호(S2)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 소싱(sourcing) 하고 제 2 신호(S2)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버퍼링하여 출력 노드(ONODE)로 출력한다.
제 2 신호(S2)는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제 2 전류 제어부(620)는 제 2 트랜지스터 내지 제 4 트랜지스터(MP2, MP3, MP4) 및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B)를 구비한다.
제 2 트랜지스터(MP2)는 전원 전압(VDD)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MP3)는 제 2 트랜지스터(MP2)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제 2 신호(S2)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 2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MP4)는 전원 전압(VDD)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B)는 제 3 트랜지스터(MP3)의 제 2 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BIAS)이 인가된다.
제 1 트랜지스터(MN1) 및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B)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제 2 내지 제 4 트랜지스터(MP2, MP3, MP4)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다.
AB급 버퍼 증폭기(600)는 차동 증폭기(630)와 비교기(6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630)는 입력 전압(VIN)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 1 신호(S1)로서 발생한다.
비교기(640)는 입력 전압(VIN)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 2 신호(S2)로서 발생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60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전류 제어부(610)는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된다. 여기서 제 2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에 가까운 레벨이다. 제 2 논리 레벨은 후술하는 제 3 트랜지스터(MP3)를 포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레벨이기도 하다.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은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클 경우에 발생된다.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클 경우, 제 2 신호(S2)는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여기서, 제 1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에 가까운 레벨이다. 제 1 논리 레벨은 제 1 트랜지스터(MN1)를 포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레벨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MP3)는 턴 오프 된다.
바이어스 전압(BIAS)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B)를 턴 온 시키는 전압 레벨을 가진다. 즉,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B)는 바이어스 전압(BIAS)에 의하여 계속 턴 온 된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MP3)가 턴 오프 되는 경우,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MP2, MP4)의 게이트의 전압 레벨은 낮아진다.
그러면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많은 양의 전류가 출력 노드(ONODE)쪽으로 흐르게 되고,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높아진다.
즉,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낮기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경우, 도 6의 AB급 버퍼 증폭기(600)는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출력 노드(ONODE)로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빠른 속도로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낮을 경우, 제 1 신호(S1)는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되고 제 2 신호(S2)는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된다.
그러면 제 1 트랜지스터(MN1)는 포화 상태로 되고 제 3 트랜지스터(MP3)도 포화 상태로 된다. 제 3 트랜지스터(MP3)가 포화 상태로 됨으로써 제 2 전류 제어부(620)는 전류 미러의 형태가 되고 정지 전류(IQ)의 양을 작게 만든다. 즉,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4 트랜지스터(MP4)의 사이즈의 비를 조절하여 정지 전류(IQ)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게이트 전압이 상승된 제 1 트랜지스터(MN1)에 의하여 출력 노드(ONODE)에서 접지 전압(VSS)으로 전류 패스가 형성되고 전류가 접지 전압(VSS)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정리해보면, 출력 전압(VOUT)레벨이 입력 전압(VIN)보다 높을 경우, 제 1 신호(S1)는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되어 제 1 트랜지스터(MN1)가 포화 상태로 되고, 제 2 신호(S2)는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되어 제 3 트랜지스터(MP3)가 포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류의 싱킹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반대로, 출력 전압(VOUT)레벨이 입력 전압(VIN)보다 낮을 경우, 제 1 신호(S1)는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되어 제 1 트랜지스터(MN1)가 턴 오프 되고, 제 2 신호(S2)는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되어 제 3 트랜지스터(MP3)가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전류의 소싱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600)는 정지 전류(IQ)의 양을 트랜지스터들(MP2, MP4)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어하면서도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빨리 하여 출력 전압(VOUT)의 레벨 전환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700)는 제 1 전류 제어부(710), 제 2 전류 제어부(720) 및 비교부(730)를 구비한다.
제 1 전류 제어부(710)는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ONODE)로 소싱(sourcing) 하고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버퍼링하여 출력 노드(ONODE)로 출력한다.
제 1 신호(S1)는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이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된다.
좀더 설명하면, 제 1 전류 제어부(710)는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3 트랜지스터(MP1, MP2, MP3)와 제 1 전류원(ICS1)을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MP1)는 전원 전압(VDD)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MP2)는 제 1 트랜지스터(MP1)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제 1 신호(S1)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 1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MP3)는 전원 전압(VDD)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전류원(ICS1)은 제 2 트랜지스터(MP2)의 제 2 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바이어스 전류(IB1)를 발생한다.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MP1, MP2, MP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제 1 전류원(ICS1)은 제 2 트랜지스터(MP2)의 제 2 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1 바이어스 전압(BIAS)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 2 전류 제어부(720)는 제 1 신호(S1)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버퍼링하여 출력 노드(ONODE)로 출력하고 제 1 신호(S1)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한다.
제 2 전류 제어부(720)는 제 4 트랜지스터 내지 제 6 트랜지스터(MN4, MN5, MN6)와 제 2 전류원(ICS2)을 구비한다.
제 4 트랜지스터(MN4)는 접지 전압(VSS)에 제 1단이 연결된다. 제 5 트랜지스터(MN5)는 제 4 트랜지스터(MN4)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제 1 신호(S1)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 4 트랜지스터(MN4)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된다.
제 6 트랜지스터(MN6)는 접지 전압(VSS)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트랜지스터(MN4)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출력 노드(ONODE)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전류원(ICS2)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MN5)의 제 2 단과 전원 전압(VDD)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바이어스 전류(IB2)를 발생한다.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MN4, MN5, MN6)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제 2 전류원(ICS2)은 제 5 트랜지스터(MN5)의 제 2 단과 전원 전압(VDD)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2 바이어스 전압(BIAS)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비교부(730)는 입력 전압(VIN) 및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제 1 신호(S1)로서 발생한다. 비교부(730)는 입력 전압(VIN)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출력 노드(ONODE)의 출력 전압(VOUT)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입력 전압(VIN)의 레벨과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 1 신호(S1)로서 발생하는 비교기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70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700)의 제 1 전류 제어부(710) 및 제 2 전류 제어부(7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400)의 제 1 전류 제어부(410) 및 제 2 전류 제어부(42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비교부(730)의 구성만이 다르다. 즉, 제 1 실시예(400)의 비교부(430)는 제 1 및 제 2 비교기(431, 432)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제 4 실시예(700)에 따른 비교부(730)는 하나의 비교기로 구성된다.
비교부(730)는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전압 레벨보다 높으면 제 1 신호(S1)를 제 2 논리 레벨로 출력한다. 제 2 논리 레벨은 제 2 트랜지스터(MP2)는 포화 상태로 만들고 제 5 트랜지스터(MN5)는 턴 오프 시키는 레벨이다.
제 2 트랜지스터(MP2)가 포화 상태로 되면 제 1 전류 제어부(710)는 전류 미러의 형태가 되어 제 1 트랜지스터(MP1) 및 제 3 트랜지스터(MP3)의 사이즈 비에 의하여 정지 전류(IQ)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5 트랜지스터(MN5)가 턴 오프 되면 제 2 전류 제어부(720)의 제 4 및 제6 트랜지스터(MN4, MN6)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되고 출력 노드(ONODE)로부터 접지 전압(VSS)으로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류의 빠른 싱킹이 가능해지고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낮아진다.
반대로, 비교부(730)는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전압 레벨보다 낮으면 제 1 신호(S1)를 제 1 논리 레벨로 출력한다. 제 1 논리 레벨은 제 2 트랜지스터(MP2)는 턴 오프 시키고 제 5 트랜지스터(MN5)는 포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레벨이다.
제 5 트랜지스터(MN5)가 포화 상태로 되면 제 2 전류 제어부(720)는 전류 미러의 형태가 되어 제 4 트랜지스터(MN4) 및 제 6 트랜지스터(MN6)의 사이즈 비에 의하여 정지 전류(IQ)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MP2)가 턴 오프 되면 제 1 전류 제어부(710)의 제 1 및 제 3 트랜지스터(MP1, MP3)의 게이트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출력 노드(ONODE)로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류의 빠른 소싱이 가능해지고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높아진다.
AB급 버퍼 증폭기(700)가 버퍼로서 동작할 경우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이 입력 전압(VIN)의 레벨과 동일하게 발생된다. 이때에는 정지 전류(IQ)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비교부(730)는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를 모두 포화시킬 수 있는 레벨로 제 1 신호(S1)를 발생한다.
제 2 트랜지스터(MP2)와 제 5 트랜지스터(MN5)가 동시에 포화 될 수 있는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제 1 신호(S1)를 출력하는 비교부(73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현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7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400)와 비교부(730)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회로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전체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B급 버퍼 증폭기는 정지 전류의 양을 자유롭게 제어하면서도 증폭기의 출력단으로 흐르는 전류의 소싱과 싱킹을 용이하게 하여 큰 전류로 외부 회로를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9)

  1.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 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노드로 출력하는 제 1 전류 제어부 ; 및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비교기 ; 및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 ;
    상기 전원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 ;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 ;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되는 제 5 트랜지스터 ;
    상기 접지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6 트랜지스터 ;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원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상기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2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1.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전류를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 하는 제 1 전류 제어부 ; 및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하는 차동 증폭기 ; 및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 1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 ;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 ;
    상기 접지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 ; 및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6.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전류를 출력 노드로부터 싱킹(sinking)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는 제 1 전류 제어부 ; 및
    제 2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상기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 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 2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하는 차동 증폭기 ; 및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 1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 ;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 ;
    상기 전원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 ; 및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1.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를 출력 노드로 소싱(sourcing)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노드로 출력하는 제 1 전류 제어부 ; 및
    상기 제 1 신호의 제 1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제 2 논리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로부터 전류를 싱킹(sinking) 하는 제 2 전류 제어부 ; 및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 전압을 양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을 음의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과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 1 신호로서 발생하는 비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크면 제 1 논리 레벨로 발생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논리 레벨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제어부는,
    전원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 ;
    상기 전원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 ;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제어부는,
    접지 전압에 제 1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 ;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제 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2단이 연결되는 제 5 트랜지스터 ;
    상기 접지 전압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6 트랜지스터 ;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원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단과 상기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소정의 제 2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quiescent)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KR10-2002-0025134A 2002-05-07 2002-05-07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KR10045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134A KR100455385B1 (ko) 2002-05-07 2002-05-07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TW092108508A TW583827B (en) 2002-05-07 2003-04-14 AB class amplifier for controlling quiescent current
US10/417,680 US6836186B2 (en) 2002-05-07 2003-04-17 AB class amplifier for controlling quiescent current
NL1023300A NL1023300C2 (nl) 2002-05-07 2003-04-29 AB-klasseversterker voor besturing van een ruststroom.
CNB03123092XA CN100350738C (zh) 2002-05-07 2003-04-30 控制静态电流的ab类放大器
JP2003126717A JP2003347858A (ja) 2002-05-07 2003-05-01 静止電流の制御が可能なab級バッファ増幅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134A KR100455385B1 (ko) 2002-05-07 2002-05-07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87A true KR20030087187A (ko) 2003-11-14
KR100455385B1 KR100455385B1 (ko) 2004-11-06

Family

ID=2939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134A KR100455385B1 (ko) 2002-05-07 2002-05-07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36186B2 (ko)
JP (1) JP2003347858A (ko)
KR (1) KR100455385B1 (ko)
CN (1) CN100350738C (ko)
NL (1) NL1023300C2 (ko)
TW (1) TW58382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859B1 (ko) * 2004-07-13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 제어가 용이한 증폭 회로
KR101379937B1 (ko) * 2012-02-27 2014-04-03 한국과학기술원 Lcd 구동을 위한 저전력-고속 버퍼 증폭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0353B2 (en) * 2003-10-16 2005-09-06 Micrel, Incorporated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US7839994B1 (en) 2005-03-01 2010-11-23 Marvell International Ltd. Class A-B line driver for gigabit Ethernet
CN100461625C (zh) * 2005-09-02 2009-0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b类放大器
US7474153B1 (en) * 2006-05-23 2009-01-06 Marvell International Ltd. Dual stage source/sink amplifier circuit with quiescent current determination
US20070290979A1 (en) * 2006-06-15 2007-12-20 Solomon Systech Limited Source drive amplifier for flat panel display
CN101340176B (zh) * 2007-07-02 2011-04-13 矽创电子股份有限公司 增加运算放大器回转率的装置
JP5488171B2 (ja) * 2010-04-27 2014-05-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バイアス回路、電力増幅器及びカレントミラー回路
TWI405403B (zh) * 2010-07-14 2013-08-11 Anpec Electronics Corp 電流控制電路、ab類運算放大器系統及電流控制方法
JP2012243891A (ja) * 2011-05-18 2012-12-10 Sony Corp 半導体レーザー駆動回路及び半導体レーザー装置
CN103618525B (zh) * 2013-12-06 2016-08-17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电流模比较器
CN104333337B (zh) * 2014-11-10 2017-08-25 锐迪科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Ab类运算放大器的静态电流控制电路
TWI560686B (en) * 2014-11-28 2016-12-01 Tenx Shenzhen Technology Ltd Voltage follower and driving apparatus
US10038378B2 (en) * 2016-09-21 2018-07-3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to stabilize a supply voltage
CN113131881B (zh) * 2019-12-31 2022-10-14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输出级电路和ab类放大器
CN113192452A (zh) * 2021-04-29 2021-07-30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驱动电路、数据驱动方法以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3112A (en) * 1980-09-16 1982-03-30 Toshiba Corp Sepp power amplifier
US5083051A (en) * 1990-02-26 1992-01-21 Motorola, Inc. Output driver circuit with improved output stage biasing
JPH0522113A (ja) 1991-07-11 1993-01-29 Nec Corp 出力バツフア回路
US5361041A (en) * 1993-06-17 1994-11-01 Unitrode Corporation Push-pull amplifier
DE69414820T2 (de) * 1994-02-28 1999-04-15 St Microelectronics Srl Ausgangsstufe insbesondere für integrierte Verstärker mit aussen verbundenen Ausgangsleistungsvorrichtungen
JPH08148985A (ja) 1994-11-17 1996-06-07 Toshiba Microelectron Corp 出力バッファ回路
US5537079A (en) * 1994-12-05 1996-07-16 Analog Devices, Inc. Integrated-circuit (IC) amplifier with plural complementary stages
JPH0918253A (ja) * 1995-06-30 1997-01-17 Texas Instr Japan Ltd 演算増幅回路
JPH09270684A (ja) 1996-03-29 1997-10-14 Nec Kansai Ltd 比較器
US5786731A (en) * 1996-03-29 1998-07-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lass AB complementary transistor output stage having large output swing and large output drive
JPH1084272A (ja) 1996-09-06 1998-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出力バッファ回路
JPH1188141A (ja) 1997-09-11 1999-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ッファ回路
US5973563A (en) * 1997-12-10 1999-10-2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power output stage with temperature stable precisely controlled quiescent current and inherent short circuit protection
US5939904A (en) 1998-02-19 1999-08-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mmon-mode output voltage of a differential buffer
KR100307634B1 (ko) 1998-11-04 2001-11-07 윤종용 전류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패킷 방식 반도체 메모리장치
US6188284B1 (en) * 1999-04-23 2001-02-13 Lucent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gain line driver amplifier including improved linearity
US6369653B1 (en) * 2000-05-09 2002-04-09 Conexant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control of quiescent state of output transistors in a class AB amplifier
US6255909B1 (en) * 2000-11-02 2001-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ltra low voltage CMOS class AB power amplifier with parasitic capacitance internal compens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859B1 (ko) * 2004-07-13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 제어가 용이한 증폭 회로
KR101379937B1 (ko) * 2012-02-27 2014-04-03 한국과학기술원 Lcd 구동을 위한 저전력-고속 버퍼 증폭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47858A (ja) 2003-12-05
CN100350738C (zh) 2007-11-21
NL1023300A1 (nl) 2003-11-27
CN1457146A (zh) 2003-11-19
TW200306699A (en) 2003-11-16
TW583827B (en) 2004-04-11
US6836186B2 (en) 2004-12-28
NL1023300C2 (nl) 2004-11-18
US20030210094A1 (en) 2003-11-13
KR100455385B1 (ko) 200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385B1 (ko) 정지 전류의 제어가 가능한 ab급 버퍼 증폭기
US7391825B2 (en) Comparator circuit having reduced pulse width distortion
US5841317A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with a high through put rate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US5673002A (en) Operational amplifier having stable operations for a wide range of source voltage, and current detector circuit employing a small number of elements
KR100542685B1 (ko) 출력버퍼용 연산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
JP4407881B2 (ja) バッファ回路及びドライバic
US7382160B2 (en) Differential output circuit with reduced differential output variation
KR100753151B1 (ko) 출력 버퍼용 연산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처리 회로
EP1980017B1 (en) Amplifier circuit
US7652534B1 (en) Rail-to-rail operational amplifier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JP2004248014A (ja) 電流源および増幅器
US6559687B1 (en) Rail-to-rail CMOS comparator
JP2013192110A (ja) バイアス電圧生成回路及び差動回路
KR20090012811A (ko) 빠른 슬루율을 가지는 레일-투-레일 연산 증폭기 및 이를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회로
KR20060004260A (ko) 자체 바이어스 차동 증폭기
JP2004072700A (ja) スルーレート増加装置
US7479833B2 (en) Dynamic biasing amplifier apparatus, dynamic biasing apparatus and method
US7816989B2 (en) Differential amplifier
US6429702B2 (en) CMOS buffer for driving a large capacitive load
KR100668455B1 (ko) 가변 이득 증폭기
US11848649B2 (en) Low power VB class AB amplifier with local common mode feedback
US7906954B2 (en) Bias circuit
KR20070058780A (ko) 평판 디스플레이 구동용 저소비전력 고슬루율 증폭기
KR100218354B1 (ko) 차동 증폭기
JP2002185269A (ja) バッファア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