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716A -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716A
KR20030085716A KR1020020023933A KR20020023933A KR20030085716A KR 20030085716 A KR20030085716 A KR 20030085716A KR 1020020023933 A KR1020020023933 A KR 1020020023933A KR 20020023933 A KR20020023933 A KR 20020023933A KR 20030085716 A KR20030085716 A KR 20030085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amping plate
cup
flange
shap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다쓰오
구즈카와미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Priority to KR102002002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716A/ko
Priority to JP2003112151A priority patent/JP4257997B2/ja
Publication of KR2003008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2Elastic mounts, e.g. bushings having a pin or stu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elastic mou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8High viscosity, semi-solid pasti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스터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외주면(外周面)이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內周面)에 슬라이딩 하도록 접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액체 통로가 형성되는 가동 감쇠판을 구비하는 액체봉입식(液體封入式)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가요성(可撓性) 밀봉뚜껑과 컵 모양 용기를 액체가 새지 않도록 밀봉(seal)하고 또한 고정 감쇠판을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부착구멍12C을 구비하는 플랜지12B를 고정감쇠판10에 형성하고, 가요성 밀봉뚜껑7의 플랜지9B, 고정 감쇠판10의 플랜지12B 및 컵 모양 용기1의 플랜지1A를 서로 액체가 새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FLUID-FILLED MOUNT}
본 발명은 가요성(可撓性) 밀봉뚜껑과 컵 모양 용기로 이루어지는 밀봉용기의 밀봉을 확실하게 하고, 고정 감쇠판을 이 밀봉용기내에 확실하게 고정하고 또한 횡측 강성(剛性)이 강한 액체봉입식(液體封入式) 마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횡측 강성이 강하고 상하 방향의 스트로크(stroke)를 크게 잡을 수 있는 종래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는,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10807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000-249181호 공보가 제안되어 있다.
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10807호 「고점성액 봉입 마운트장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부착부가 설치되는 컵 모양 용기와, 일단에 부착부가 형성되고 이 컵 모양 용기의 축심에 배치되는 스터드와, 이 스터드의 상단부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상단부의 사이를 액체가 새지 않도록 밀봉하는 가요성 밀봉뚜껑과, 상기 컵 모양 용기와 이 가요성 밀봉뚜껑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봉실(密封室)안으로 봉입되는 고점성액과, 상기 스터드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밀봉실안에 봉입된 고점성액내에 배치되는 가동 감쇠판과,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과 이 가동 감쇠판의 사이에 고정되는 도넛 모양의 고정 감쇠판과,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가동 감쇠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모양 용수철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 감쇠판의 외주면(外周面)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內周面)에 슬라이딩 하도록 접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고점성액 통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고점성액 봉입 마운트장치는 횡측 강성이 강하고 상하 방향의 스트로크가 크고 또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000-249181호 「고점성액 봉입 마운트장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제1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를 윗면측에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 감쇠판 밑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계단부를 윗면측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컵 모양 용기와, 상단에 부착용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컵 모양 용기의 축심에 배치되는 스터드와,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만들어 지고 액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컵 모양 용기의 상단부를 상기 스터드의 상단부에 가황(加黃) 접착하여 밀봉하는 가요성 밀봉뚜껑과, 상기 컵 모양 용기와 이 가요성 밀봉뚜껑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봉실내에 봉입되는 고점성액과,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밀봉실내에 봉입되는 고점성액내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하도록 접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고점성액 통로가 형성되는 가동 감쇠판과, 컵 모양 용기의 계단부와 위치 결정용 기구의 내주측 단부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과 이 가동 감쇠판의 사이에 고정되는 도넛 모양의 고정 감쇠판과,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가동 감쇠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모양 용수철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고점성액 봉입 마운트장치는 횡측 강성이 강하고 상하 방향의 스트로크가 크며 또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특히 전자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10807호 「고점성액 봉입 마운트장치」는 가요성 밀봉뚜껑의 외주면과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의 사이를 밀봉하는 것이 불충분하고, 고점성액이 새기 쉽다는 점, 고정 감쇠판의 고정이 불충분 하고 빠지기 쉽다는 점, 고정 감쇠판이 판자 모양이기 때문에 충분한 감쇠를 얻을 수 없다는 점, 가동 감쇠판의 외주면과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서 횡측 강성을 얻고 있으나 횡측 강성이 불충분한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000-249181호 「고점성액 봉입 마운트장치」는 고정 감쇠판의 고정이 불충분하고 빠지기 쉽다는 점, 가동 감쇠판의 외주면과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서 횡측 강성을 얻고 있으나 횡측 강성이 불충분한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밀봉뚜껑과 컵 모양 용기 사이의 밀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고점성액이 새지 않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 감쇠판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여 쉽게빠지지 않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감쇠판에 의한 감쇠를 크게 할 수 있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횡측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가로방향의 기울어진 입력에 의해 스터드가 경사진 방향의 부하를 받아 기울어져도, 감쇠가 저하되지 않고 큰 감쇠가 얻어질 수 있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제공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도1의 A1-A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도4의 B1-B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컵 모양 용기 1A : 플랜지부
1B : 코킹(caulking) 부 1C : 주입구멍
1D : 부착구멍 2 : 고점성액(高粘性液)
3 : 스터드(stud) 4 : 가동 감쇠판
4A : 홈 5 : 스프링 와셔
6 : 너트 7 : 가요성(可撓性) 밀봉뚜껑
8 : 뚜껑부재 9 : 부착부
9A : 원통부 9B : 플랜지부
10 : 고정 감쇠판 10A : 투과구멍
11 : 감쇠부 12 : 부착부
12A : 원통부 12B : 플랜지부
13 : 코일 스프링 14 : 마개체
20 : 가요성 밀봉뚜껑 21 : 적층뚜껑부
21A ∼ 21C : 원통고무 21D, 21E : 원통 플레이트
22 : 부착부 22A : 원통부
22B : 플랜지부 22C : 부착용 투과구멍
25 : 슬라이딩식 고정 감쇠판 26 : 감쇠부
26A : 홈 27 : 부착부
28 : 횡측 강성용(剛性用) 고정 감쇠판 29 : 감쇠부
29A : 윗부분이 없는 원추 구멍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는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가 윗면측에 형성되는 컵 모양 용기와, 상단에 부착용의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컵 모양 용기의 축심에 배치되어 하기(下記) 고정 감쇠판의 투과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스터드와,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의 상단부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상단부 사이를 밀봉하는 가요성 밀봉뚜껑과, 상기 컵 모양 용기와 이 가요성 밀봉뚜껑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봉실내에 봉입되는 고점성액과,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점성액내에 배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접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액체 통로가 형성되는 가동 감쇠판과,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과 이 가동감쇠판의 사이에 장착되고 중심부에 투과구멍이 형성되는 고정 감쇠판과,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가동 감쇠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용수철 부재로 구성되고,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를 상기 고정 감쇠판에 형성하고 액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컵 모양 용기의 플랜지, 상기 고정 감쇠판의 플랜지 및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의 플랜지를 서로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은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도넛 모양으로 성형하는 뚜껑부재와, 플랜지부 및 원통부로 구성되는 부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부착부재의 원통부를 가황 접착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은 적층뚜껑부와 플랜지부 및 원통부로 구성되는 부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적층뚜껑부의 외주측에 상기 부착부재의 원통부를 가황 접착하고, 상기 적층뚜껑부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원통 모양으로 성형하는 N개의 부재와 N-1개의 원통 플레이트를 교대로 적층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쇠판은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소정의 두께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쇠판의 투과구멍의 면에 적어도 한 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과구멍의 홈을 제외한 원주면이 상기 스터드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쇠판의 투과구멍의 형상은 윗부분이 없는 원추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부재는 스프링부재, 고무 등의 고분자 탄성부재로 구성한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컵 모양 용기로서 이 컵 모양 용기1은 그 상단부에 플랜지부1A 및 코킹 부1B을 구비하고, 그 바닥에는 고점성액2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멍1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1D는 상기 플랜지부1A에 형성되는 부착구멍이다. 3는 스터드로서 이 스터드3는 상기 컵 모양 용기1의 축선(軸線)에 배치되고 그 상단에는 부착용 나사구멍3A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가동 감쇠판4이 스프링와셔5 및 너트6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이 가동 감쇠판4은 상기 고점성액2내에 배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컵 모양 용기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하도록 접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점성액2이 통과하는 18개의 제1액체 통로4A를 형성한다. 또한 이 가동 감쇠판4의 외주부는 일례로서 고무 등의 고분자 재료로 구성한다.
7는 가요성 밀봉뚜껑으로서 이 가요성 밀봉뚜껑7은 뚜껑부재8 및 부착부9로 구성한다. 이 뚜껑부재8는 일례로서 고무재료를 도넛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구멍은 액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스터드3의 상단부에 가황 접착한다. 또한 상기 부착부9는 원통부9A 및 플랜지부9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원통부9A는 액체가 새지 않도록 이 뚜껑부재8의 외주측에 가황 접착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9B에는 부착용 투과구멍9C을 형성한다.
10는 고정 감쇠판으로서 이 고정 감쇠판10은 그 중심에 투과구멍10A를 형성하고 감쇠부11 및 부착부12로 구성되며 이 투과구멍10A의 면과 상기 스터드3의 외주면의 사이가 제2액체 통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감쇠부11는 일례로서 고무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두께로 제조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에 상기 투과구멍10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착부12는 원통부12A 및 플랜지부12B로 구성되며 이 원통부12A에 상기 감쇠부11를 가황 접착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B에 부착용 투과구멍12C을 형성한다.
13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 코일 스프링13은 상기 컵 모양 용기1의 바닥과 상기 가동 감쇠판4의 사이에 설치한다. 14는 마개체로서 이 마개체14는 액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바닥에 형성되는 주입구멍1C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컵 모양 용기1 및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7에 의해 밀봉용기를 구성하고, 이 밀봉용기내에 상기 고점성액2이 수용된다. 그리고 이고점성액2를 상기 밀봉용기에 수용하는 경우에 컵 모양 용기1의 바닥에 형성되는 주입구멍1C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감쇠동작은, 상기 가동 감쇠판4이 상기 컵 모양 용기1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 이 가동 감쇠판4의 제1액체 통로를 상기 고점성액2이 통과하는 것에 의한 감쇠와, 상기 고정 감쇠판10의 투과구멍10A의 면과 상기 스터드3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액체 통로를 상기 고점성액2이 통과하는 것에 의한 감쇠를 더한 것이 되어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감쇠판4의 상하 방향의 스트로크는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7과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감쇠판10의 두께(상하 방향의 높이)를 크게 하였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고정 감쇠판, 바꾸어 말하면 판두께만의 고정 감쇠판(종래)에 의한 감쇠보다도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7 부착부9의 원통부9A 및 이 원통부9A 상의 뚜껑부재8 고무부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방진부(防振部)의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점성액2이 통과하는 18개의 제1액체 통로4A를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한 개의 액체 통로A라도 좋고 복수 개를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0는 가요성 밀봉뚜껑으로서 이 가요성 밀봉뚜껑20은 적층뚜껑부21 및 부착부22로 구성된다. 이 적층뚜껑부21는 일례로서 고무재료를 원통 모양으로 성형하는 세 개의 원통고무21A∼21C 및 두 개의 원통 플레이트21D, 21E를 교대로 가황 접착하여 구성한다. 또한 이 원통고무21A의 내주면은 상기 스터드3의 상단에 가황 접착된다.
또한 상기 부착부22는 원통부22A 및 플랜지부22B을 구비하고 있고 이 원통부22A는 상기 원통고무21C에 가황 접착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2B에는 부착용 투과구멍22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가요성 밀봉뚜껑20을 액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컵 모양 용기1의 윗부분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1에서 설명하는 바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감쇠에 관해서는 도1의 구성에 의한 감쇠와 같이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밀봉뚜껑20 (특히 적층뚜껑부21)와 상기 가동 감쇠판4에 의해, 스터드3는 간격을 둔 2점 지지가 되기 때문에 횡측 강성이 또한 강하게 되어 상기 스터드3가 경사 방향의 부하를 받더라도 기울어 지지 않기 때문에 감쇠의 저하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적층뚜껑부21는 세 개의 원통고무와 두 개의 원통 플레이트가 교대로 적층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N개의 원통고무와 N-1개의 원통 플레이트를 교대로 적층하여도 무방하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는 도4의 B1-B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25는 슬라이딩식 고정 감쇠판으로서 이 슬라이딩식 고정 감쇠판25은 감쇠부26 및 부착부27로 구성되고,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투과구멍의 일부는 상기 스터드3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특히 감쇠부26는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6개의 홈26A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홈26A를 제외한 면이 상기 스터드3에 접촉하여 이 스터드3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홈26A는 제2액체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는, 상기 한 바와 같이 큰 감쇠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 감쇠판4과 고정 감쇠판25에 의하여, 간격을 둔 2점 지지가 되기 때문에 횡측 강성이 강하게 되어 상기 스터드3가 경사 방향 부하를 받더라도 기울어 지지 않기 때문에 감쇠의 저하가 없고 횡측 강성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27는 도1과 같이 원통부 및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이 플랜지부에는 부착용 투과구멍이 형성된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8는 횡측 강성용 고정 감쇠판으로서 이 횡측 강성용 고정 감쇠판28은 감쇠부29 및 상기 부착부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쇠부29는 일례로서 고무재료로 제작되고 그 중심부에는윗부분이 없는 원추구멍29A이 형성된다. 또한 부착부12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12A 및 플랜지부12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윗부분이 없는 원추구멍29A의 면과 스터드3의 외주면의 사이는 제2액체 통로를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동작 특히 스터드3에 수평방향의 부하가 증가하여 스터드3가 경사지는 경우의 감쇠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평방향 부하가 스터드3에 증가하여 이 스터드3가 기울어 지면 가동 감쇠판4도 기울어 진다. 이 때문에 이 가동 감쇠판4에 의한 제1액체 통로가 변형되어 그 감쇠가 저하된다.
한편 스터드3의 경사에 의해 횡측 강성용 고정 감쇠판28의 윗부분이 없는 원추구멍29A와 스터드3 사이의 제2액체 통로는 확보되어 소정의 감쇠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2액체 통로에 의한 감쇠가 저하되지 않아서 종합적인 감쇠는 저하되는 일이 없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특히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20의 상기 적층뚜껑부21 및 상기 횡측 강성용 고정 감쇠판28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는 큰 감쇠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측 강성을 또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감쇠판의 감쇠부를 고무재료로 제조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컵 모양 용기의 하부측면을 좁혀 용적을 적게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 감쇠판을 두꺼운 판자 모양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거꾸로 세운 컵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거꾸로 세운 컵 모양의 내부에 넣는다.
또한 이 거꾸로 세운 컵 모양의 가동 감쇠판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긴 홈을 설치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수철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원추 코일 스프링 등 또는 고무 등의 고분자 탄성재료를 원통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 등, 여러가지 형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선재(線材)의 단면형상은 원 모양을 나타내었지만(도1참조)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위치 결정은 오목부를 나타내지만(도1참조) 볼록부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밀봉뚜껑은 고점성액의 액압상승(液壓上昇)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직물 등을 넣어 변형에 대하여 강하게 할 수 있다. 이 직물을 넣은 경우 고무재료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뚜껑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컵 모양 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코킹 부를 구부리게 함으로써 상기 컵 모양 용기의 플랜지부, 고정 감쇠판 부착부의 플랜지부 및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 부착부의 플랜지부를 액체가 새지 않도록 일체화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 코킹 부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서 액체가 새지 않도록 일체화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점성액을 상기 컵 모양 용기 및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으로 구성되는 밀봉용기에 수용(주입)하는 경우, 이 컵 모양 용기의 바닥에 형성되는 주입구멍으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컵 모양 용기의 바닥에 주입구멍 외에 밀봉용기내의 공기를 빼기 위한 공기구멍(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형성하여 밀봉용기안으로 고점성액의 주입과 밀봉용기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동시에 함으로써 주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 스터드에 투과구멍을 형성하고 이 투과구멍으로 고점성액을 주입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진공상태에서 상기 고점성액을 컵 모양 용기에 수용한 후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으로 봉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의하면, 가요성 밀봉뚜껑과 컵 모양 용기로 구성되는 밀봉용기를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게 되어 고점성액이 새는 일이 없다는 점, 고정 감쇠판의 고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쉽게 빠지는 일이 없다는 점, 고정 감쇠판에 의한 감쇠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점, 간단한 구성으로 횡측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 외부로부터 기울어진 가로방향의 입력에 의해 스터드가 경사진 방향 부하를 받아 기울어져도 감쇠가 저하하지 않고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가 윗면측에 형성되는 컵 모양 용기와, 상단에 부착용의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컵 모양 용기의 축심에 배치되어 하기(下記) 고정 감쇠판의 투과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스터드(stud)와,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의 상단부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상단부 사이를 밀봉하는 가요성(可撓性) 밀봉뚜껑과, 상기 컵 모양 용기와 이 가요성 밀봉뚜껑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봉실내에 봉입되는 고점성액과,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점성액(高粘性液)내에 배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접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액체 통로가 형성되는 가동 감쇠판(可動減衰板)과,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과 이 가동 감쇠판의사이에 장착되고 중심부에 투과구멍이 형성되는 고정 감쇠판(固定減衰板)과, 상기 컵 모양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가동 감쇠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용수철 부재로 구성되고,
    부착구멍을 구비하는 플랜지를 상기 고정 감쇠판에 형성하고 액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컵 모양 용기의 플랜지, 상기 고정 감쇠판의 플랜지 및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의 플랜지를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液體封入式) 마운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은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도넛 모양으로 성형하는 뚜껑부재와, 플랜지부 및 원통부로 구성되는 부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부착부재의 원통부를 가황(加黃)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밀봉뚜껑은 적층뚜껑부와, 플랜지부 및 원통부로 구성되는 부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적층뚜껑부의 외주측에 상기 부착부재의 원통부를 가황 접착하고, 상기 적층뚜껑부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원통 모양으로 성형하는 N개의 부재와 N-1개의 원통 플레이트를 교대로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쇠판의 감쇠부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소정의 두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쇠판의 투과구멍의 면에 적어도 한 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과구멍의 홈을 제외한 원주면이 상기 스터드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6. 제1항 및 제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쇠판의 투과구멍의 형상은 윗부분이 없는 원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부재는 스프링부재, 고무 등의 고분자 탄성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KR1020020023933A 2002-05-01 2002-05-01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KR20030085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33A KR20030085716A (ko) 2002-05-01 2002-05-01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JP2003112151A JP4257997B2 (ja) 2002-05-01 2003-03-11 液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33A KR20030085716A (ko) 2002-05-01 2002-05-01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716A true KR20030085716A (ko) 2003-11-07

Family

ID=2954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933A KR20030085716A (ko) 2002-05-01 2002-05-01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57997B2 (ko)
KR (1) KR2003008571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7997B2 (ja) 2009-04-30
JP2003322200A (ja)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5715A (ko)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JP5170809B2 (ja) 液封防振装置
US8807545B2 (en) Liquid-sealed antivibration device
JP5264255B2 (ja) 防振装置
US6485005B1 (en) Hydraulic mount with gas spring supported decoupler
WO2019216403A1 (ja) 防振装置
JP6586241B2 (ja) 負圧弁を備える液体封入式マウント
WO2002081944A1 (fr) Amortisseur de vibration de type a liquide etanche
US7198257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US6032937A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KR20030085716A (ko)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KR20170029677A (ko) 엔진마운트
JP2019015358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4625994B2 (ja) 高粘性液封入マウント装置
KR20080104247A (ko)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JP2004251431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6482160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4275340B2 (ja) 防振装置
JP3469311B2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6572104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020133743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002340080A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2020097985A (ja) 防振装置
JP2012097850A (ja) 防振装置
JPH03223539A (ja) 粘性流体封入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