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574A - 마찰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574A
KR20030083574A KR10-2003-0012289A KR20030012289A KR20030083574A KR 20030083574 A KR20030083574 A KR 20030083574A KR 20030012289 A KR20030012289 A KR 20030012289A KR 20030083574 A KR20030083574 A KR 2003008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orkpiece
chuck
holder
friction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칸자키타쭈오
칸다마사노리
쿠마가이타카아키
Original Assignee
후지 오오젝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오오젝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오오젝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0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translat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두 개의 작업물이 고정홀더와 회전홀더로 구성된 마찰 용접 장치에 마찰된다. 작업물 중 하나는 고정홀더에 구비된 고정척에 고정되고, 반면에 다른 하나는 회전홀더에 구비된 회전척에 고정된다. 대면하는 척에는 가압블럭이 형성된다. 작업물이 홀더들에 의해 고정되고 마찰열에 의해 서로 용접될 때, 작업부위의 경계 둘레로 생성되는 용접된 버(weld burrs)는 가압블럭에 의해 작업물의 축으로 팽창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마찰 용접 장치{Friction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펫밸브의 축과 같이 서로 다른 소재를 용접하기 위한 마찰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포펫밸브에서, 밸브헤드는 오스테나이트 내연강으로 만들어지고, 밸브축은 마르텐사이트 내연강으로 만들어져 서로 용접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밸브축은 마찰 용접 장치를 사용하여 서로 용접된다. 마찰 용접 장치(A)는 베이스(1) 상에 고정된 회전홀더(2)와 유압실린더(미 도시)에 의해 베이스 상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고정홀더(3)로 구성된다.
콜레트 식 회전척(2a)과 고정척(3a)은 각각 홀더(2, 3)의 상대 면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물을 서로 용접하기 위해서, 양 소재(4, 5)의 상대 단이 정해진 거리로 돌출되도록 포펫밸브용 축소재(4)는 회전척(2a)에 고정되고, 헤드소재(5)는 고정척(3a)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회전척(2a)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고정홀더(3)는 오른쪽으로 이송되고, 양 소재(4, 5)의 단부면은 적정압력으로 가압된다. 양 단부면은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고, 양 소재(4, 5)는 서로 접합된다.
종래의 마찰 용접 장치에(A)에 의해 양 소재(4, 5)가 접합될 때, 도 1O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단면 형상의 용접된 버(6, 6)가 접합부에서 생성된다.
버(6)가 연삭 휠로 제거될 때 축의 외주면에는 접착 부위가 남게 되고, 그로 인해 휠(7)과 축 사이에서 축의 외주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된다.
더욱이, 버(6)의 축 길이는 비교적 더 커지게 되고,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더 넓은 연삭 휠(7)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버(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버(6)는 좌우로 분할되는 원형다이(8)의 전단 블레이드(8a)에 의해 지지되고, 펀치(9)에 의해 상단이 강하게 가압된다. 그리하여, 버(6)는 펀칭에 의해 제거되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더 큰 단층부위가 경계부위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블레이드(8a)의 내경이 축의 외경과 같게 정해진다면, 버(6)가 펀칭되어 제거 될 때 경계부위의 직경은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8a)의 내경이 축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설정되고, 그것은 경계부위에 단층부위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경계부위의 단층부위는 절단도구나 연삭 휠을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고, 그로 인한 작업단계의 증가는 생산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용접된 버가 축으로 팽창하는 것을 막고, 그것들을 제거하기 위한 마찰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찰 용접 장치에서 작업물의 용접 전 횡단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마찰 용접 장치의 용접 시 횡단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마찰 용접 장치에 의해 형성된 용접된 버의 제거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물의 용접 전 횡단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물의 용접 시 횡단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장치에서 형성된 용접된 버의 제거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물의 용접 전을 나타낸 횡단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물이 용접될 때 수평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마찰 용접 장치에 있어서 형성된 용접된 버의 제거 방법을 나타낸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마찰 용접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장치에서 형성된 용접된 버의 제거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다른 마찰 용접 장치에 있어서 용접된 버의 제거 방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용접된 버의 절단 후에 작업물의 용접부위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2: 회전홀더
2a: 회전척3: 고정홀더
3a: 고정척4: 축소재
5: 헤드소재6: 버
7: 연삭 휠10, 12: 마찰 용접 장치
11: 압축블럭11a: 축공
11b: 가압면13: 요형경사면
14: 철형경사면15: 반원홈
16: 반원공17: 가압부재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달성을 위한 마찰 용접 장치는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홀더와 축 방향으로 대면한 고정홀더; 상기 회전홀더에 설치되는 회전척; 상기 고정홀더에 구비되고 제 1 작업물이 회전되는 회전척에 고정되고 마찰열로서 제 2 작업물과 대면되도록 고정척에 고정된 제 2 작업물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고정척; 버가 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작업물과 제 2 작업물의 경계부위에서 생성된 용접된 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축 방향으로 서로 대면한 가압면이 마련된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마찰 용접 장치(10)는 각각 회전척(2a)과 고정척(3a)을 구비된 회전홀더(2)와 고정홀더(3)로 이루어진다. 축공(11a, 11a)이 마련된 환형 압축블럭(11, 11)이 척(2a, 3a)과 함께 반경방향으로 확장하고 조이기 위해서 회전척(2a)과 고정척(3a)에 설치된다.
환형 압축블럭(11, 11)은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분체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용접 장치(10)를 사용하여 포펫밸브의 헤드소재(5)를 축소재(4)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대면한 양 소재(4, 5)의 단부가 양 블록(11, 11)의 가압면(11b, 11b)로부터 돌출되도록 양 소재(4, 5)가 회전척(2a)과 고정척(3a)사이에 고정되어야 한다. 다소 더 길은 양 소재(4, 5)는 용접동안 그 만큼의 버를 형성한다.
그렇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척(3)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동안, 고정홀더(3)가 우측으로 이송되어서, 헤드소재(5)의 축 단부는 축소재(4)에 접합되고,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된다.
접합면은 용접되고 용접된 버(6, 6)를 생성한다. 축 단부가 용접되어 감에 따라 압축블럭(11, 11)의 가압면(11b, 11b)사이에 유격은 더 작아진다.
이렇게, 버(6)는 축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이 방지되고, 압축블럭(11, 11)사이의 유격 내에서 축에 수직하는 반경방향으로 신장된다.
버(6)의 축 길이는 더 작아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6)는 더 작은 폭의 저렴한 연마 휠(7)을 사용하여 축 외주면의 손상 없이 제거 될 수 있다. 또한,버(6)는 절단도구로도 쉽게 제거 될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압축블럭(11, 11)의 가압면은 서로 형상이 들어맞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점들이 전술한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다. 압축블럭의(11)의 좌측 편으로는 요형경사면(13)이 형성되고, 우측편으로는 철형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블럭(11, 11)을 구비한 마찰 압축 장치(12)에 의해서, 축소재(4)와 헤드소재(5)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단부에서 서로 접합되고, 용접된 버(6, 6)는 압축블럭(11, 11)사이에 경사면(13, 14)의 의해 절곡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된다.
제 1 실시 예에서 뿐만 아니라 제 2 실시 예에서도 버(6)의 축 방향 확장이 방지된다. 이러한 버(6)는 연마 휠이나 절단도구에 의해 쉽게 제거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6) 경사로 인해, 좀더 폭이 좁은 연마 휠이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고, 버의 베이스는 환형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버(6)의 제거와 비교해 본다면, 버를 제거하는 작업시간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압축블럭(11)의 경사면(13, 14)은 버(6)가 좌측으로 경사지도록 반대로 경사를 이룰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버를 압축하는 수단이 척(2a, 3a)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척(2a, 3a)의 축 양편에는 소재(4, 5)의 반경보다 다소 큰 반원공(16)이 형성된 반원의 디스크로 각각 구성된 한 쌍의 가압부재(17, 17)이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재(17)는 유압 실린더(미 도시)와 같은 왕복수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부재는 소재(4, 5)의 연결부위로 접근하고 멀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7, 17)가 소재(4, 5)로 접근하고 있다. 가압부재(17)가 소재(4, 5)에 결부되거나 근접하여 위치될 때, 소재(4, 5)는 서로 접합 될 수 있고, 생성된 버(6, 6)는 반원홈(15, 15)에 삽입되고 압축되어, 소재(4, 5)는 축 방향으로 확장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포펫밸브의 축 결합과는 다른 일반적인 작업물의 접합에 응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행해지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펫밸브와 같이 축과 헤드가 상이한 재료로 분리 형성된 축을 결합함에 있어, 용접된 버가 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축에 대한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홀더와 축 방향으로 대면한 고정홀더;
    상기 회전홀더에 설치되는 회전척;
    상기 고정홀더에 구비되고 제 1 작업물이 회전되는 회전척에 고정되고 마찰열로서 제 2 작업물과 대면되도록 고정척에 고정된 제 2 작업물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고정척;
    버가 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작업물과 제 2 작업물의 경계부위에서 생성된 용접된 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축 방향으로 서로 대면한 가압면이 마련된 가압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마찰 용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고정척과 회전척의 대면한 면에 일체로 형성된 압축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찰 용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 중의 하나는 요형으로, 반면에 다른 하나는 상기 요형에 맞게 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찰 용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작업물의 축의 양편으로 설치되어 작업물의경계부위로부터 원근 이동되는 반구형의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가압부재 각각은 용접된 버가 삽입될 수 있는 반원홈과, 작업물의 반경보다 큰 반원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찰 용접 장치.
KR10-2003-0012289A 2002-04-19 2003-02-27 마찰 용접 장치 KR20030083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17025 2002-04-19
JP2002117025A JP2003311437A (ja) 2002-04-19 2002-04-19 摩擦溶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574A true KR20030083574A (ko) 2003-10-30

Family

ID=2867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89A KR20030083574A (ko) 2002-04-19 2003-02-27 마찰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97047A1 (ko)
EP (1) EP1354662A1 (ko)
JP (1) JP2003311437A (ko)
KR (1) KR20030083574A (ko)
CN (1) CN14515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87B1 (ko) * 2007-10-30 2014-01-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금속 박판 제조방법
KR102084949B1 (ko) * 2019-04-30 2020-03-05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부스바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8654B (zh) * 2008-11-21 2010-12-01 西北工业大学 一种摩擦焊接头塑性变形的物理模拟方法
KR101363007B1 (ko) * 2010-11-25 2014-02-13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압접기의 버 제거 장치
US8393521B1 (en) 2011-12-20 2013-03-12 Caterpillar Inc. Flash ring separator
CN102896433A (zh) * 2012-10-17 2013-01-30 国家电网公司 一种柱状件自动焊接方法
US9713854B2 (en) * 2014-05-22 2017-07-25 Arvinmeritor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of friction welding a workpiece
CN104014928A (zh) * 2014-06-19 2014-09-03 西安特种设备检验检测院 一种马氏体耐热钢和奥氏体耐热钢的异种钢的焊接方法
DE202014105434U1 (de) * 2014-11-12 2016-02-15 Kuka Systems Gmbh Pressschweißvorrichtung
CN104439690A (zh) * 2014-11-24 2015-03-25 福斯流体控制(苏州)有限公司 应用于阀杆的压力焊方法
CN107538129B (zh) * 2016-06-29 2020-06-23 中国航空制造技术研究院 一种回填式搅拌摩擦点焊焊后粘料分离装置
DE202016104224U1 (de) * 2016-08-01 2017-11-03 Kuka Industries Gmbh Reibschweißmaschine
US11536311B2 (en) * 2017-03-07 2022-12-27 Neapco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Integrated post-weld knurling proces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JP6951128B2 (ja) * 2017-06-12 2021-10-20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部材接合方法及び回転塑性加工装置
CN109175672B (zh) * 2018-11-05 2020-08-04 中国航空制造技术研究院 线性摩擦焊接过程中飞边变形控制装置及方法
JP7261678B2 (ja) * 2019-07-04 2023-04-2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工作機械及び加工方法
JP7229380B2 (ja) * 2019-09-26 2023-02-27 日立Astemo株式会社 ロッドの製造方法
CN113770654B (zh) * 2020-05-14 2023-06-02 中国兵器工业第五九研究所 一种多叶片构件的焊接方法
CN113843497B (zh) * 2021-09-23 2022-12-20 无锡亨通特种合金制造有限公司 一种薄壁管件摩擦焊的焊缝处理系统
CN114043068B (zh) * 2021-10-22 2023-02-28 中国航空制造技术研究院 一种线性摩擦焊接头飞边成形控制方法
CN114433998B (zh) * 2022-03-25 2023-04-14 南通重矿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金属材料的搅拌摩擦、挤压复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2914A (en) * 1962-07-09 1969-07-01 Caterpillar Tractor Co Apparatus for controlling flash during friction bonding
US3259969A (en) * 1963-01-22 1966-07-12 Central Cable Corp Method of making butt welded joints
FR2096924B3 (ko) * 1970-07-16 1973-04-27 Caterpillar Tractor Co
US3853258A (en) * 1972-07-17 1974-12-10 Textron Inc Flash removal apparatus for a friction welding operation
US4079491A (en) * 1976-02-06 1978-03-21 Sargent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valve seat by inertia welding
JPS6160283A (ja) * 1984-08-31 1986-03-27 Fuji Valve Kk エンジンバルブの製造方法
JPS63264285A (ja) * 1987-04-23 1988-11-01 Mazda Motor Corp 摩擦溶接方法
JPH0818151B2 (ja) * 1988-11-11 1996-02-28 大同特殊鋼株式会社 Ti−Al合金と構造用鋼と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部品
EP0898055B1 (de) * 1997-08-19 2002-05-08 TRW Deutschland GmbH Hohlventil für Verbrennungsmotoren
US6691910B2 (en) * 2000-12-08 2004-02-17 Fuji Oozx, Inc. Method of join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by friction welding
JP4178758B2 (ja) * 2001-02-08 2008-11-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バルブシートの接合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87B1 (ko) * 2007-10-30 2014-01-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금속 박판 제조방법
KR102084949B1 (ko) * 2019-04-30 2020-03-05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부스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97047A1 (en) 2003-10-23
CN1451509A (zh) 2003-10-29
JP2003311437A (ja) 2003-11-05
EP1354662A1 (en)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3574A (ko) 마찰 용접 장치
RU2318648C2 (ru) Способ шлифования вращательно-симметричной машинной детал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1522727A (ja) クランク軸の加工方法
AU2009356766A1 (en) Tool unit and tool for a cutting or sawing machine
JP5741138B2 (ja) フランジ一体型波付管の製造方法、フランジ一体型波付管、および前記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波付管用の切断装置
JP2000213551A (ja) エンドピ―ス圧接型の中空カムシャフト
KR102060675B1 (ko) 샤프트, 특히 크랭크샤프트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도구
KR940005891A (ko) 스크로울 압축기의 스크로울 부재 및 그의 가공 방법
US10946497B2 (en) Processing tool, particularly a roll tool, and method of processing a cylindrical sliding surface
JP4892327B2 (ja) 管体切断装置及び管体切断方法
KR101419112B1 (ko) 코어 비트용 절삭팁
JP7411507B2 (ja) 摩擦撹拌接合装置
US6098441A (en) Method for forming a through-hole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a metal pipe and a metal pipe worked by the said method
JP5439248B2 (ja) 渦巻形ガスケット加工装置
KR101920636B1 (ko) 차량엔진용 이종접합 피스톤 제조장치
JPS6029362Y2 (ja) ピストンリング加工装置
EP1518632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otary shaft
SU1034866A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 деталей с нат гом
JP3144703B2 (ja) 継手金具の製造方法
US20210283757A1 (en) Impact tool anvil having a transition region with multiple attributes
JPH06312229A (ja) 電磁成形等によるかしめ用嵌合面の形成方法
JP3817713B2 (ja) 排気マニホールドと触媒ケースの摩擦圧接面形状
JP4431244B2 (ja) 動圧軸受における動圧発生溝の加工方法
KR20010076270A (ko) 용접 구조
JP3769845B2 (ja) 動圧溝付き軸受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