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433A -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 Google Patents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433A
KR20030083433A KR1020020022106A KR20020022106A KR20030083433A KR 20030083433 A KR20030083433 A KR 20030083433A KR 1020020022106 A KR1020020022106 A KR 1020020022106A KR 20020022106 A KR20020022106 A KR 20020022106A KR 20030083433 A KR20030083433 A KR 2003008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alkyl
compound
hydroge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용
이원희
심재영
윤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to KR102002002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3433A/ko
Publication of KR2003008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형간염바이러스(Heptatitis C virus)의 치료용 화합물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신규 유사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Hepatitis C inhibitor N-aminopyrrolidines}
본 발명은 C형간염바이러스(Heptatitis C virus)의 치료용 화합물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신규 유사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형간염바이러스(Heptatitis C virus, 이하 "HCV"라고 한다)는 C형 급성간염 및 C형 만성간염의 주요 원인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1~2 % 이상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A형간염 또는 B형간염과 달리 만성 간염으로의 이행율 및 사망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형간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제를 규명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형간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현재 주로 이용하는 방법은 인터페론-알파(Interferon-α; INF-α)를 단독으로 투여하여 치료하는 방법 및 다른 바이러스 치료제와 병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까지 인터페론-알파 단독투여 및 인터페론-알파와 리바비린의 병용 투여방법이 임상에서 만성 C형간염환자에 대한 효과가 입증된 유일한 약물이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상기 치료 방법들은 치료유지율이 낮으며 인터페론-알파의 심각한 부작용인 망막증, 갑상선염, 급성췌장염, 및 우울증 등을 유발하며, 또한 리바비린과의 병용치료 방법에서도 이러한 부작용은 경감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인터페론-알파(Interferon-α; INF-α)를 단독으로 투여하여 치료하는 방법 및 다른 바이러스 치료제와 병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의 부작용 및 한계를 극복한 C형간염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중 HCV의 성장에 필수적인 비구조단백질(Non-Structure)중 하나인 NS3(Non-Structure Region3)의 단백분해과정을 조절하는 NS3 프로테아제(NS3 Protease)를 억제하는 NS3 프로티아제 억제제(NS3 Protease Inhibitor)의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문헌 WO99/38888 및 WO01/32691에서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로서 활성을 갖는 특정 서열의 폴리펩타이드를 보고(In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사)하고 있으며, WO98/17679, WO99/50230 및 WO01/74768에서는 NS3 프로티아제 억제활성을 갖는 C-잔기와 P2 부위를 변형한 유사펩타이드를 보고(Vertex Pharmaceutical Inc.)하고 있다. 또한, WO99/07733, WO99/07734 및 WO00/09558에서는 NS3 프로티아제에 억제활성을 갖는 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유사 펩타이드를 개시(Boehringer Ingelheim Ltd)하고 있으며, WO00/09543 및 00/59929에서 NS3 프로티아제 억제활성을 갖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유사펩타이드를 개시하고 있다.
이밖에도, 선행기술문헌 WO01/02424에서 C-잔기의 카보닐을 보론산으로 변형한 화합물을 개시(Du Pont Pharmaceutical Comp.)하고 있고, WO01/07407에서 사이클릭보란으로 변형한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화합물들은 모두 3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혹은 유사 펩타이드 화합물로서, 생체내에서의 대사 안정성 및 생체이용율이 낮아 치료 약물로서 개발이 어려우므로, C형간염 치료제로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새로운 기본구조를 갖는 N-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가 NS3 프로티아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저분자량의 비펩타이드로서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으며, 생체내에서 우수한 약동력학적 성질을 갖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NS3 프로티아제에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갖는 N-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그의 무독성 염, 에스테르화 화합물, 라세미체 화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광학이성질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S3 프로티아제 억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S3 프로티아제 억제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NS3 프로티아제에 억제 활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1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N-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그의 무독성 염, 에스테르화 화합물, 라세미체 화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광학이성질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수소;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C2-C3알켄; C3-C5알킨; R1과 R2가 서로 고리를 이루어 C3-C6시클로알킬, R7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R7로 치환된 C1-C3알킬; R7로 치환된 C2-C5의 알켄; 또는 R7로 치환된 C3-C5의 알킨을 나타내고,
R7은 할로겐;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C2-C5알켄; C3-C5알킨; 니트로; 시아노;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내며,
R3는 R8로 치환된 C6-C14아릴; C6-C14아릴이 치환된 C1-C3알킬; R8로 치환된 C6-C7시클로알킬; 또는 R8로 치환된 C5-C14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8은 수소; 할로겐; C1-C3의 알킬; 메톡시; 페닐; 시아노; 니트로; 카보닐;트리플루오로메틸; 하이드록실;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R4는 수소; 또는 C1-C5알킬을 나타내고,
A는 R5NHCH(R6)(CH2)n의 구조를 갖는 알킬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t-부톡시카보닐; 또는 C1-C5알킬을 나타내고,
R6는 수소; R9에 의해 치환된 C1-C4알킬; R9에 의해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R9에 의해 치환된 C3-C6아릴; 또는 R9에 의해 치환된 C3-C6아릴알킬을 나타내며,
R9는 수소; 할로겐;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메톡시; 페닐; 하이드록실; 또는 카복실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바람직하게는 R1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거나, 또는 R1과 R2가 함께 고리를 이루어 시클로프로필 또는 2-비닐시클로프로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R3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으며,
이때, B는 수소; 페닐; C1-C4알킬;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카복실; 또는 메톡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중,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A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으며,
이때, R6은 상기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화합물 번호 R1, R2 R3 R4 A
1 수소
2 수소
3 수소
4 수소
5 수소
6 수소
7 수소
8 수소
9 수소
10 수소
11 수소
화합물 번호 R1, R2 R3 R4 A
12 수소
13 수소
14 수소
15 수소
16 수소
17 메틸
본 발명에 따른 N-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그의 무독성 염, 에스테르화 화합물, 라세미체 화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광학이성질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인 화학식2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상기의 화학식2의 화합물에서 R1, R2및 R3는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매질 또는 보조제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 C형 간염바이러스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Serine protease inhibitor) 또는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NS3 protease inhibitor)의 개발을 위한 하기 화학식2의 화합물의 용도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다음 반응식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반응I단계는 N-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딘-2-카복실산과 아마이드커플링 하고, 반응II단계는 상기 반응에 의해 t-부톡시카보닐기가 이탈되는것을 보호하는 단계이다. 또한, 반응III단계는 니트로소반응을 통하여 화학식3의 화합물 1-니트로소피롤리딘 유도체를 제조한 후, 반응IV단계에서 니트로소기를 환원하여 화학식4의 화합물 1-아미노피롤리딘을 제조하고, 반응V단계에서 A-COOH와 아마이드커플링을 한다. 이때,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단계VI에서 상기에서 정의한 R4치환기 도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알킬 화 반응으로 R4를 도입하고, 반응VII단계에서 카복실보호기 PG를 제거하여 목적화합물을 얻는다. 이때 반응VI단계는 얻고자하는 화학식1의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각 반응단계에 있어서, 반응I단계 및 반응V단계의 아마이드커플링 방법은 공지된 방법(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2nd Ed., 1993)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또는 1-에칠-3-(3-메칠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마이드(EDAC)와 같은 수용성 카보디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은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응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나이트릴, 또는 N,N-디메칠포름아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염기로는 트리에칠아민, 디이소프로필에칠아민, N-메칠모르폴린, N,N-디메칠아미노피리딘 또는 N-메칠피롤리딘을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의 pH를 약염기로 조절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통상적으로 상온 내지 50 ℃이며, 반응시간은 통상 10 분 내지 14 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각 반응단계에 있어서, 반응II단계 및 반응VII단계에서는 공지의 기술(Theodora W. Greene., Peter G. 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1999)을 이용하여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의 이탈을 보호함으로써 아마이드커플링의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카복실기의 이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호기 PG는 메칠, 또는 에칠을 나타내며, 사용가능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칼륨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반응의 반응용매는 증류수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의 혼합용매가 사용가능하며,반응온도는 실온 내지 100℃이하로 가온하며, 반응시간은 10분에서 24시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미노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수 있는 바람직한 보호기로는 t-부틸옥시카보닐(BOC)가 있으며, 사용가능한 산으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또는 염산이 있다. 또한, 반응용매는 증류수 또는 디클로로메탄이 사용가능하며, 반응온도는 0℃ 내지 실온이고, 반응시간은 10분에서 24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각 반응단계에 있어서, 반응III단계인 니트로소화반응은 공지의 방법(Bioorg.Med.Chem.Lett.,9,1721-1726,1999 ;Tetrahedron Lett.,2701-2704,1975)을 이용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2가 아민/ 아질산 (HNO2), 또는 아질산나트륨을 처리하여 N-니트로소화합물을 제조할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산과 같은 산성조건하에서 아질산나트륨 (NaNO2)를 처리하여 제조한다. 사용가능한 반응용매는 증류수와 같은 극성용매이며, 반응온도는 0℃에서 실온이며, 반응시간은 1시간에서 12시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반응수율과 화합물의 순도가 다음 반응의 화합물을 얻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특별한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각 반응단계에 있어서, 반응IV단계인 니트로소기의 환원 반응은 공지의 방법(J.Org.Chem.,49, 3470-3473,1984 ;Ind.J.Chem., 30,1116-1118,1991)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염산과 같은 산성조건하에서 아연가루를 처리하여 제조한다. 사용가능한 반응용매는 증류수이며, 반응온도는 0℃ 내지 실온이며, 반응시간은 1시간에서 12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각 반응단계에 있어서, 반응VI단계인 알킬화반응은 염기로써 트리에칠아민, 디아이소프로필에칠아민, 수소화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이 사용가능하다. 이때, 요오드화칼륨 또느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드와 같은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1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4-트란스-벤질옥시-L-프롤린(1.45g), HOBT(0.91g), EDAC(1.55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1.9 ml)을 디클로로메탄(25 ml)에 녹이고 2-(R,S)-아미노부틸산 메틸에스테르 (0.76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잔사를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 용매 =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1a (1.6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m,3H), 1.45(s,9H), 1.70(m,1H), 1.90(m,1H), 2.10(m,1H), 2.45(m,1H), 3.50(m,1H), 3.70(s,3H), 3.90(m,1H), 4.20(m,1H), 4.50(m,4H), 7.30(m,5H)
단계2. 화합물 1a (1.6 g)를 에틸아세테이트(50.0 mL)에 녹이고 무수 염산 가스를 과량 통과시킨 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b (1.5 g)를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0.90(m,3H), 1.70(m,2H), 1.90(m,1H), 2.65(m,1H), 3.35(m,1H), 3.65(s,3H), 4.20-4.40(m,3H), 4.55(s,2H), 7.35(m,5H)
단계3. 화합물 1b (0.5 g)를 증류수 (20.0 mL)에 녹이고 진한염산 (1.0 mL)과 아질산나트륨 (0.15 g)를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 (10.0 mL x 2)하였다.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c (0.34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t,3H), 1.75(m,1H), 1.90(m,1H), 2.35(m1H), 2.60(m1H), 3.75(s,3H), 4.15(m,1H), 4.30(m,1H), 4.50(m,3H), 4.80(m1H), 7.30(m5H)
단계4. 화합물 1c (0.34 g)를 초산 (5.0 mL)과 증류수 (5.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아연가루 (0.63 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중 불용성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3)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수회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1d (0.12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m,3H), 1.75(m1H), 1.80-2.0(m3H), 2.4-2.5(m,1H), 2.8-2.9(m,1H), 3.55(m,1H), 3.75(m,3H), 4.10(m,1H), 4.40(m,1H), 4.50(m,2H), 7.30(m,5H)
단계5.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89 mg), HOBT (49 mg), EDAC (1.3 mg)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1d (6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반고형 물질을 얻는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반고형의 목적화합물 1e (45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m,3H), 1.25-1.40(m,3H), 1.40(s,9H), 1.55(m,1H), 1.70(m,4H), 1.80-2.10(m,7H), 2.40(m,2H), 2.55(m,1H), 2.95(m,1H), 3.55(m,1H), 3.75(s,3H), 3.80(m,1H), 4.10(m,1H), 4.45-4.60(m,4H), 4.75(m,1H), 7.35(m,5H)
단계6. 화합물 1e (38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1.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에터로 수회 세척하여 미황색의 반고형 목적화합물 1 (18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5(m,3H), 1.25(m,3H), 1.40(s,6H), 1.60(m,1H), 1.75-2.05(m,8H), 2.40(m,2H), 2.90(m,1H), 3.70(m,2H), 4.00-4.30(m,3H), 4.55(m,2H), 7.35(m,5H)
실시예 2. 화합물 2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L-발린 (59 mg), HOBT (49 mg), EDCA (103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75 mL)을 디클로로메탄 (2 mL)에 녹이고 화합물 1d (60 mg)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반고형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액상 목적화합물 2a (45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m,10H), 1.45(s,9H), 1.75(m,1H), 1.90(m,1H), 2.00(m,1H), 2.55(m,1H), 2.95(m,1H), 3.50(m,1H), 3.70(s,3H), 3.75(m,2H), 4.10(m,1H), 4.40(d, 1H), 4.60(d, 1H), 7.30(m,5H)
단계2. 화합물 2a (38 mg)을 THF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에틸에터로 수회 세척하여 미황색의 목적화합물 (15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m,8H), 1.20(m,1H), 1.40(s,9H), 1.70(m,1H), 1.90(m,2H), 2.00(m,2H), 2.45(m,1H), 2.85(m,1H), 3.70(m,2H), 4.10-4.25(m,2H), 4.50(m,2H), 7.35(m,5H)
실시예 3. 화합물 3 의 합성
단계1. 트란스-2(R)-(1-메톡시카보닐시클로프로필)아미노카보닐-4(R)-페닐옥시피롤리딘 염산 염 (0.2 g)을 증류수 (10.0 mL)와 진한염산 (1.0 mL)에 녹이고 아질산나트륨 (61 mg)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2)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반고형상 목적화합물 3a (0.2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m,2H), 1.55(m,2H), 2.50(m,1H), 2.85(m,1H), 3.65(s,3H), 4.35(dd,1H), 4.85(m,2H), 5.10(m,1H), 6.85(m,2H), 7.05(m,1H), 7.30(m,2H)
단계2. 화합물 3a (0.2 g)를 증류수 (4.0 mL)와 초산 (4.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아연가루 (0.8 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중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3)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3b (0.14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 2H), 1.55(m,2H), 2.20(m,1H), 2.65(m,1H), 3.05(dd,1H), 3.65(s, 3H), 3.80(m,2H), 4.85(m,1H), 6.85(m,2H), 7.00(m,1H), 7.30(m,2H)
단계3.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109 mg), HOBT (59 mg), EDAC (126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9 mL)를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3b (7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반고형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반고형상의 목적화합물 3c (20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1.40(m,5H), 1.45(s,9H), 1.60(m,6H), 1.75(m,2H), 1.85(m,2H), 2.05(m,1H), 2.25(m,1H), 2.40(m,2H), 2.80(m,1H), 3.70(s,3H), 3.95(m,2H), 4.75(m,2H), 5.10(m,1H), 5.30(m,1H), 6.85(m,2H), 6.95(m,1H), 7.30(m,2H)
단계4. 화합물 3c (17 mg)를 THF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에테르로 수회 세척하여 미황색의 목적화합물 3 (12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1.30(m,5H), 1.45(m,1H), 1.55(m,3H), 1.75(m,1H), 1.85(m,1H), 2.15(m,1H), 2.25(m,1H), 2.35(m,1H), 2.55(m,3H), 3.50-3.70(m,1H), 4.00(m,2H), 4.35(m,1H), 4.55(t,1H), 4.65(m,1H), 5.15(m,1H), 6.90(m,3H), 7.30(m,2H)
실시예 4. 화합물 4 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L-발린 (72 mg), HOBT (59 mg), EDAC (126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91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3b (7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반고형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4a (30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d,3H), 1.05(d,3H), 1.10(m,2H), 1.40(s,9H), 1.75(m,1H), 1.90(m,2H), 2.20(m,1H), 2.80(m,1H), 3.70(s, 3H), 3.80(m,1H), 4.00(m,2H), 4.30(m,1H), 4.80(m,1H), 5.10(m,1H), 5.20(m,1H), 6.90(d,2H), 7.00(t,1H), 7.30(m,2H)
단계2. 화합물 4a (25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얻는 잔사를 에터로 수회 세척하여 미황색 고형 목적화합물 4 (18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00-.20(m,12H), 1.30(m,1H), 1.40(m,1H), 1.60(m,3H), 2.30(m,3H), 2.60(m,1H), 4.00(m,2H), 4.10(s,1H), 4.60(m,1H), 4.90(m,1H), 5.10(m,1H), 6.90(m,3H), 7.20(m,2H)
실시예 5. 화합물 5 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4-트란스-벤질옥시-L-프롤린 (1.45 g), HOBT (0.91 g), EDAC (1.55 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1.9 mL)을 디클로로메탄 (25.0 mL)에 녹이고 1-아미노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메틸에스터 염산염 (0.75 g)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액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5a (1.0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2H), 1.45(s,9H), 1.55(m,2H), 2.15(m,1H), 2.55(m,1H), 3.50(m,1H), 3.65(s,3H), 3.85(m,1H), 4.10-4.40(m,2H), 4.50(s,2H), 7.30(m,5H)
단계2. 화합물 5a (1.0 g)를 에틸아세테이트 (50.0 mL)에 녹이고 무수 염산 가스를 과량 통과 시킨 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고형 목적화합물 5b (1.0 g)를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10(m, 2H), 1.40(m, 2H), 1.90(m, 1H), 2.65(m, 1H), 3.35-3.40(m, 2H), 3.60(s, 3H), 4.30(m, 2H), 4.55(s, 2H), 7.40(m, 5H)
단계3. 화합물 5b (0.5 g)를 증류수 (20.0 mL)에 녹이고 진한 염산 (1.0 mL)과 아질산나트륨 (0.15 g)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2)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5c (0.43 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0(m,2H), 1.55(m,2H), 2.30(m,1H), 2.70(m,1H), 3.65(s,3H), 4.15(m,1H), 4.35 (m,1H), 4.55(m,2H), 4.75(dd,1H), 4.85(m,1H), 7.30(m,5H)
단계4. 화합물 5c (0.43 g)를 초산 (5.0 mL)과 증류수 (5.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아연가루 (0.8 g)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중 불용성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3)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5d (0.2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2H), 1.55(m,2H), 2.05(m,1H), 2.35-2.50(m,1H), 2.70-2.80(m,1H), 2.90-3.10(m,1H), 3.55(m,1H), 3.65(s, 3H), 4.10(m,1H), 4.40(m,1H), 4.50(m,1H), 7.35(m,5H)
단계5.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89mg), HOBT (49 mg), EDAC (103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75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5d (6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반고형의 목적화합물 5e (35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0(m,2H), 1.20-1.35(m,7H), 1.40(s,9H), 1.55(m,3H), 1.70(m,2H), 1.85(m,3H), 2.00(m,2H), 2.35(m,2H), 2.50(m,1H), 2.95(dd,1H), 3.55(dd,1H), 3.65(s,3H), 3.70(m,1H), 3.95(m,1H), 4.10(m,1H), 4.45(d,1H), 4.55(d,1H), 4.75(m,1H), 5.25(m,1H), 7.30(m,5H)
단계6. 화합물 5e (38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반고형의 목적화합물 5 (15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05-1.25(m,3H), 1.45(s,9H), 1.55(m,2H), 1.75(m,1H), 1.85(m,1H), 2.05(m,1H), 2.40(m,2H), 2.90(m,1H), 3.50(m,1H), 3.60(m,1H), 3.65(m,1H), 3.90(m,1H), 4.05(m,1H), 4.45(m,2H), 7.35(m,5H)
실시예 6. 화합물 6 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발린 (59 mg), HOBT (49 mg), EDAC (103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75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화합물 5d (6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6a (30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m,6H), 1.15(m,2H), 1.45(s,9H), 1.50(m,1H), 1.60(m,1H), 2.05(m,2H), 2.55(m,1H), 2.90(dd,1H0, 3.50(dd,1H), 3.65(s,3H), 3.70(m,2H), 4.10(m,1H), 4.45(d,1H), 4.60(d,1H), 4.95(m,1H), 7.35(m,5H)
단계2. 화합물 6a (25 mg)를 THF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1.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목적화합물 6 (12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m,8H), 1.15(m,1H), 1.20(m,1H), 1.40(s,9H), 1.55(m,1H), 2.00(m,1H), 2.10(m,1H), 2.40(m,1H), 2.85(m,1H), 3.65(m,2H), 4.05(m,1H), 4.50(m,2H), 7.30(m,5H)
실시예 7. 화합물 7 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3-메틸-4-아미노부틸산 (59 mg), HOBT (49 mg), EDAC (103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75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5d (6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액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7a (41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3H), 1.35(m,6H), 1.45(s, 9H), 1.55(m,3H), 1.95(m,1H), 2.40(d,1H), 2.55(m,2H), 2.85(dd,1H), 3.65(s,3H), 3.70(m,2H), 4.05(m,1H),4.40(d,1H), 4.55(d,1H), 5.05(s,1H), 7.30(m,5H)
단계2. 화합물 7a (32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목적화합물 7 (18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0(m,2H), 1.30(m,6H), 1.40(s,9H), 2.00(s,1H), 2.40(m,3H), 2.65(m,1H), 2.85(dd,1H), 3.60(m,1H), 4.05(m,1H), 4.50(m,3H), 7.30(m,5H)
실시예 8. 화합물 8 의 합성
단계1. 트란스-2(R)-(1-메톡시카보닐시클로프로필)아미노카보닐-4(R)-(2-니프탈렌)옥시피롤리딘 (0.2 g)을 증류수 (10.0 mL)에 녹이고 진한염산 (1.0 mL)과 아질산나트륨 (53 mg)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2)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8a (0.18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80-0.90(m,2H), 1.10-1.20(m,2H), 2.35-2.70(m,2H), 3.65(s,3H), 3.85-4.05(m,1H), 4.50(m,1H), 4.80-5.30(m,1H), 5.40(m,1H), 7.15(m,1H), 7.40(m,3H), 7.85(m,3H)
단계2. 화합물 8a (0.18 g)을 초산 (4.0 mL)과 증류슈 (4.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아연가루 (0.61 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중 불용성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3)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8b (0.15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2H), 1.55(m,2H), 2.30-2.55(m,2H), 2.70-3.00(m,1H), 3.10-3.40(m,1H), 3.65(s,3H), 3.80-4.05(m,2H), 4.95(m,1H), 7.05(m,2H), 7.30(m,1H), 7.40(m,1H), 7.70(m,3H)
단계3.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105 mg), HOBT (57 mg),EDAC (120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88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8b (75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액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액상의 목적화합물 8c (29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2H), 1.20-1.35(m,7H), 1.40(s,9H), 1.60(m,3H), 1.70(m,2H), 1.85(m,3H), 2.00-2.15(m,2H), 2.30-2.40(m,2H), 2.90(m,1H), 3.70(s,3H), 3.75(m,1H), 3.95(m,1H), 4.05(m,1H), 4.55(m,1H), 4.70-4.85(m,2H), 5.25(m,2H), 7.05(m,1H0, 7.35(m,1H), 7.45(m,2H), 7.75(m,3H)
단계4. 화합물 8c (25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목적화합물 8 (18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1.30(m,5H), 1.45(m,1H), 1.60(m,2H), 1.75(m,1H0,1.85(m,1H), 2.10-2.25(m,3H), 2.45(m,2H), 2.65(m,3H), 3.55(m,1H), 4.10(m,2H), 4.40(m,1H), 4.65(t,1H), 5.35(m,1H), 7.10(m,1H), 7.30(m,2H), 7.40(m,1H), 7.75(m,3H)
실시예 9. 화합물 9 의 합성
단계1. N-t-부톡시카보닐-L-발린 (70 mg), HOBT (57 mg), EDAC (120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9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8b (75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액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반고형의 목적화합물 9a (27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5(d,3H), 1.05(d,3H), 1.15(m,2H), 1.45(s,9H), 1.85(m,1H), 2.05(m,2H), 2.30(m,1H), 2.90(m,1H), 3.65(s,3H), 3.70(m,1H), 3.90(m,2H),4.05(m,1H), 4.30(m,1H), 4.75(m,1H), 5.20(m,2H), 7.05(dd,1H), 7.35(m,1H), 7.40(m,2H), 7.70(m,3H)
단계2. 화합물 9a (21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목적화합물 9 (12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0.90-1.00(m,4H), 1.05(m,2H), 1.20(m,6H), 1.30(s, 4H), 1.45(s,2H), 1.55(m,1H), 1.95(m,1H), 2.40(m,1H0, 2.65(m,1H), 4.00-4.10(m,3H), 4.60(m,1H), 5.30(m,1H), 7.05(m,1H0, 7.25(m,2H0, 7.40(m,1H), 7.75(m,3H)
실시예 10. 화합물 10 의 합성
단계1. 4-트란스-(2-페닐퀴놀린-4-일)옥시-L-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10.0 g)을 증류수 (100.0 mL)에 녹이고 진한 염산 (4.0 mL)과 아질산나트륨 (2.7 g)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 중 생성된 백색 고형물질을 여과하여 모으고 증류수와 에터로 세척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하여 목적화합물 10a (8.8 g)를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TFA-d1) 2.60(m,1H), 2.95(m,1H), 3.70(s,3H), 4.70(dd,1H), 4.90(t,1H), 5.15(dd,1H), 6.10(s,1H), 7.70-8.35(m,10H)
단계2. 화합물 10a (8.8 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0 mL)에 녹이고 수산화리튬 (3.3 g)을 증류수 (100.0 mL)에 녹여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수층을 2N 염산로 산성화한 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중 생성된 고형물질을 여과하여 모아 감압하에서 건조하여 목적화합물 10b (7.0 g)를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TFA-d1) 2.55(m,1H), 2.95(m,1H), 4.70(dd,1H), 4.80(t,1H), 5.15(dd,1H), 6.10(s,1H), 7.65-8.45(m,10H)
단계3. 화합물 10c (7.0 g), HOBT (3.9 g), EDAC (6.6 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5.4 mL)을 디클로로메탄 (100.0 mL)에 녹이고 1-아미노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염산염 (3.0 g)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0c (3.6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2H), 1.55(m,2H), 2.60(m,1H), 3.10(m,1H), 3.65(s,3H), 4.55(dd,1H), 5.05(m,2H), 5.40(m,1H), 7.05(s,1H), 7.45(m,5H), 7.70(t,1H), 8.05(m,3H)
단계4. 화합물 10c (1.0 g)를 초산 (10.0 mL)과 증류수 (10.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아연가루 (0.4 g)를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중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5.0 mL x 3)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10d (0.9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5(m,1H), 1.25(m,1H), 1.55(m,1H), 1.65(m,1H), 2.50(m,1H), 2.60(m,1H), 3.15(dd,1H), 3.50(d,1H), 3.70(s,3H), 4.10(m,2H), 5.20(s,1H), 7.10(s,1H0, 7.50(m,4H), 7.70(t,1H), 8.10(m,4H)
단계5.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88 mg), HOBT (45 mg), EDAC (77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56 u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10d (6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0e (40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1.40(m,9H), 1.25(s,9H), 1.55(m,3H), 1.70-1.80(m,5H), 2.10(m,1H), 2.45(m,2H), 2.60(m,2H), 2.80(m,1H), 3.50(m,1H), 3.65(s,3H),4.20(m,1H), 4.65(m,1H), 5.65(m,1H), 7.60(m,5H), 7.85(m,1H), 8.05(m,3H), 8.30(dd,1H)
단계6. 화합물 10e (30 mg)를 THF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0 (20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m,4H), 1.35(s,9H), 1.45(m,1H), 1.60(m,2H), 2.65(m,2H), 2.85(m,2H), 3.00(m,1H), 4.20(m,1H), 4.35(m,1H), 4.70(m,1H), 5.90(s,1H), 7.75-7.85(m,5H), 8.05(m,3H), 8.25(m,1H), 8.40(m,1H)
실시예 11. 화합물 11 의 합성
단계1. 3-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부틸산 (58 mg), HOBT (45 mg), EDAC (77 m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56 μ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10d (60 m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액상 잔사를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1a (32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m,4H), 1.40(s,9H), 1.50-1.65(m,5H), 2.35(m,1H), 2.65(d,1H), 2.80(d,1H), 2.85(m,1H), 3.05(m,1H), 3.70(s,3H), 4.10(m,1H), 4.90(m,1H), 5.30(s,1H), 5.45(m,1H), 7.15(s,1H), 7.45(m,4H), 7.75(t, 1H), 8.10(m,4H)
단계2. 화합물 10a (20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1 (10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s,12H), 1.45(s,3H), 1.55(m,1H), 1.85(m,1H), 2.00(m,1H), 2.45(m,2H), 2.65(m,1H), 2.90(m,1H), 4.20(dd,1H), 4.40(m,1H), 4.60(m,2H), 4.85(s,1H), 7.75(m,5H), 8.10(m,3H), 8.20(m,1H), 8.45(m,1H)
실시예 12. 화합물 12 의 합성
단계1. 1-(R,S)-[4-(R)-(7-메톡시-2-페닐-퀴놀린-4-일옥시)-피롤리딘-2-(S)-카보닐]아미노-2-(R,S)-비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염산염 (0.3 g)을 증류수 (5.0 mL)에 녹이고 얼음물에서 진한 염산 (2.0 mL)과 아질산나트륨 (0.1 g)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수회 (10.0 mL x 2)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2a (0.2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m,1H), 1.45(m,1H), 1.85(m,1H), 2.20(m,1H), 2.55(m,1H), 3.10(m,1H), 3.65-3.50(m,1H), 3.95(s,3H), 4.15(m,3H), 5.15-5.00(m,2H), 5.40-5.35(m,2H), 5.75(m,1H), 7.10-7.00(m,2H), 7.50(m,4H), 7.80(d,1H), 8.05(d,2H)
단계2. 화합물 12a (0.2 g)를 초산 (4.0 mL)과 증류수 (10.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아연가루를 가한 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 중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무정형 목적화합물 12b (0.1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5(t,3H), 1.60(m,1H), 1.90(m,1H), 2.20(m,1H), 2.45(m,1H), 2.65(m,1H), 3.15(m,1H), 3.55(m,1H), 3.95(s,3H), 4.15(m,2H), 4.20(m,1H), 5.15(m,2H), 5.35(m,1H), 5.75(m,1H), 6.90(d,1H), 7.10(m,1H), 7.45(m,4H), 8.05(m,3H)
단계3.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0.1 g), EDAC (0.1 g), HOBT (0.1 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1 mL)를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이고 화합물 12b (0.1 g)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 잔사를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 용매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2c 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5(m,8H), 1.40(s,9H), 1.65(m,5H), 1.90(m,2H), 2.20(m,1H), 2.50(m,1H), 2.80(m,1H), 3.90-3.75(m,1H), 3.95(s,3H), 4.15(m,3H), 5.35-5.15(m,3H), 5.75(m,1H), 6.95(m,1H), 7.15(m,1H), 7.45(m,4H), 8.05(m,2H)
단계4. 화합물 12c (24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수용액 (1.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2N 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감압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재결정하여 백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2 (14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25-0.80(m,5H), 1.35(s,9H), 1.60-1.45(m,8H), 2.15(m,1H), 2.30(m,1H), 2.55(m,1H), 3.25(m,1H), 3.60(m,1H), 3.9(m,1H), 4.05(s,3H), 5.1(m,1H), 5.35(d,1H), 6.50(m,2H), 7.55(d,1H), 7.75(m,4H), 8.15(d,2H), 8.45(d,1H)
* 실시예 13~15의 합성
실시예 13. 화합물 13 의 합성 : R= HCOOC(CH 2 ) 2 -
단계1.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0.2 g), HOBT (0.1 g), EDAC (0.2 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1 mL)를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이고 화합물 (0.2 g)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의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13a (0.1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5(t,3H), 1.40(s,9H), 1.55-1.25(m,6H), 1.65(m,4H),1.75(m,2H), 1.90(m,1H), 2.05(m,1H), 2.20(m,1H), 2.40(m,2H), 2.75(m,1H), 3.20(dd,1H), 3.85(m,1H), 3.95(s,3H), 4.00(m,1H), 4.10(m,2H), 4.70(m,1H), 5.10(m,2H), 5.35(m,1H), 5.75(m,1H), 7.15-6.90(m,2H), 7.45(m,3H), 8.05(m,3H)
단계2. 화합물 13a (24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1.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미황색 고형의 목적화합물 13 (37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5(m,1H), 1.40(s,9H), 1.45(m,1H), 1.80-1.60(m,3H), 1.95(m,1H), 2.25(m,1H), 2.40(m,1H), 2.45(m,1H), 2.65(m,1H), 3.90(m,1H), 4.05(s,3H), 4.10(m,1H), 5.05(t,1H), 5.3(m,1H), 5.6(s,1H), 5.8(m,1H), 7.55(m,3H), 7.85(m,3H), 8.10(d,2H), 8.50(d,1H)
실시예 14. 화합물 14 의 합성 : R= 수소
출발물질을 N-BOC-글라이신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단계1. 화합물 14a
1H NMR (CDCl3) δ 1.25(t,3H), 1.40(s,9H), 1.50(m,1H), 1.70(m,2H), 1.90(m,1H), 2.20(m,1H), 2.40(m,1H), 2.75(m,1H), 3.20(m,1H), 3.65(m,1H), 3.85(m,1H), 3.95(s,3H), 4.15(m,2H), 5.15(m,2H), 5.30(m,1H), 5.75(m,1H), 7.15-6.90(m,2H), 7.45(m,3H), 8.05(m,3H)
단계2. 화합물 14
1H NMR (CDCl3) δ 1.35(s,2H), 1.40(s,9H), 1.45(m,1H), 1.70(m,1H), 2.20(m,1H), 2.50(m,1H), 2.65(m,1H), 3.60(s,1H), 3.95(m,1H), 4.05(s,3H), 4.10(m,1H), 5.10(t,1H), 5.30(t,1H), 5.60(m,1H), 5.80(m,1H), 7.50(m,3H), 7.70(m,3H), 8.10(m,2H), 8.50(d,1H)
실시예 15. 화합물 15 의 합성 : R= 벤질
출발물질을 L-페닐알라닌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단계1. 화합물 15a
1H NMR (CDCl3) δ 1.25(t,3H), 1.40(s,9H), 1.45(m,1H), 1.70(m,2H), 1.90(m,1H), 2.20(m,1H), 2.30(m,1H), 2.55(m,1H), 2.70(m,1H), 2.90(m,1H), 3.05(m,1H),3.70(m,1H), 3.95(s,3H), 4.10(m,2H), 5.05(m,1H), 5.15(dd,1H), 5.35(m,1H), 5.80(m,1H), 6.90(s,1H), 7.15(dd,1H), 7.45(m,3H), 8.05(m,3H)
단계2. 화합물 15
1H NMR (CDCl3) δ 1.30(m,1H), 1.35(s,9H), 1.40(m,1H), 1.65(m,1H), 2.15(m,1H), 2.45(m,1H), 2.60(m,1H), 2.85(m,2H), 3.80(m,2H), 4.05(s,3H), 4.10(m,1H), 5.10(m,1H), 5.30(m,1H), 5.45(s,1H), 5.75(m,1H), 6.85(m,1H), 7.10(m,3H), 7.40(d,1H), 7.50(d,1H), 7.60(s,1H), 7.75(m,3H), 8.10(m,2H), 8.35(m,1H), 9.00(d,1H)
실시예 16. 화합물 16 의 합성 : R= 이소-프로필
출발물질을 L-발린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단계1. 화합물 16a
1H NMR (CDCl3) δ 0.90(m,6H), 1.25(t,3H), 1.40(s,9H), 1.75(m,1H), 1.90(m,1H), 2.10(m,1H), 2.20(m,1H), 2.45(m,1H), 2.75(m,1H), 3.10(m,1H), 3.70(m,1H), 3.90(m,1H), 3.95(s,3H), 4.05(m,1H), 4.15(m,2H), 5.10(m,1H), 5.20(m,1H),5.30(dd,1H), 5.80(m,1H), 6.90(s,1H), 7.15(dd,1H), 7.45(m,3H), 8.05(m,3H)
단계2. 화합물 16
1H NMR (CDCl3) δ 0.95(m,6H), 1.30(m,1H), 1.40(s,9H), 1.45(m,1H), 1.65(m,1H), 2.10(m,1H), 2.40(m,1H), 2.60(m,1H), 3.65(m,1H), 3.90(m,1H), 4.05(s,3H), 4.10(m,1H), 5.05(m,1H), 5.30(m,1H), 5.60(s,1H), 5.75(m,1H), 7.50(m,2H), 7.55(s,1H), 7.65(m,3H), 8.05(d,1H), 8.45(d,1H),
실시예 17. 화합물 17 의 합성
단계1. 1-(N-아미노-4-트란스-(2-페닐퀴놀린-4-일)옥시-L-프롤린)아미노-1-(2-비닐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염산 염(1.0 g)과 탄산칼륨 (0.6 g)을 1,4-디옥산 (10.0 mL)과 증류수 (10.0 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디-t-부틸 카보네이트 (BOC2O ; 0.7 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 중 유기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증류수와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무색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액상의 목적화합물 17a (0.4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t,3H), 1.40(s,9H), 1.90(m,1H), 2.15(m,2H), 2.35(m,1H), 2.75(m,1H), 2.90-3.10(m,1H), 3.85(m,2H), 4.10(m,2H), 5.10-5.30(m,3H), 5.80(m,1H), 7.10(m,1H), 7.45(m,4H), 7.70(m,1H), 8.05(m,4H)
단계2. 화합물 17a (0.4 g)를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 mL)에 녹이고 얼음물로 냉각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수소화나트륨 (0.1 g, 60 %)을 가하고 15 분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에 요오드메탄 (0.1 mL)을 천천히 가하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7b (0.2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0(t,3H), 1.45(s,9H), 1.60(s,3H), 1.90(m,1H), 2.15(m,1H), 2.40(m,1H), 2.65(m,1H), 3.10(s,3H), 4.15(m,3H), 5.15~5.35(m,3H), 5.75(m,1H), 7.10(s,1H), 7.50(m,4H), 7.70(m,1H), 8.10(m,4H)
단계3. 화합물 17b (0.2 g)를 에틸아세테이트 (5.0 mL)에 녹이고 무수 염산 가스를과량 통과시킨 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백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17c (0.2 g)를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TFA-d1) δ 1.20(t,3H), 1.60-1.80(m,2H), 2.40(m,2H), 2.60(m,1H), 3.05(s,3H), 3.80(m,2H), 4.10(m,2H), 4.60(m,1H), 5.00(m,1H), 5.30(m,1H), 5.60(m,1H), 7.80-7.95(m,5H), 8.15-8.25(m,4H), 8.45(m,1H)
단계4. N-t-부톡시카보닐-γ-시클로헥실-L-글루타민산 (0.2 g), HOBT (0.1 g), EDAC (0.1 g), 그리고 트리에틸아민 (0.1 mL)을 디틀롤메탄에 녹이고 화합물 17c (0.2 g)를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미황색의 액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미황색 무정형의 목적화합물 17d (0.1 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0(m,2H), 1.25-1.40(m,9H), 1.40(s,9H), 1.45(m,1H), 1.65(m,3H), 1.75(m,3H), 2.15(m,1H), 2.40(m,3H), 2.60(m,1H), 3.05(s,3H), 4.05(t,1H), 4.15(m,1H), 4.30(m,2H), 4.55(m,1H), 4.70(m,1H), 5.20(m,2H), 5.30(m,1H), 5.40(m,1H), 5.65(m,1H), 7.10(s,1H), 7.45(m,4H), 7.70(m,1H), 8.05(m,3H)
단계5. 화합물 17d (0.1 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이고 1N 수산화리튬 (1.0 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하였다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얻은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미황색 목적화합물 17 (20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10(s,6H), 1.30(s,3H), 1.55-1.80(m,2H), 2.05(m,2H), 2.35(m,1H), 2.45-2.70(m,4H), 3.05(s,3H), 3.20(m,1H), 4.20(m,1H), 4.40(m,1H), 5.20(dd,1H), 5.35(m,1H), 5.40(dd,1H), 5.75(m,1H), 5.90(dd,1H), 7.75(m,4H), 7.90(m,1H), 8.15(m,4H), 8.25(m,1H)
실험예 1. 재조합 HCV NS3 프로테아제의 클로닝, 발현 및 정제
외부적 협력을 통하여 얻은 폴리단백질 전구체를 암호화하는 HCV cDNA로부터 NS3 프로테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서열을 PCR로 생성시킨다. 생성된 NS3 유전자 서열 말단에는 제한효소 (BamHI / SacI)에 의해 절단되는 부위를 넣어 클로닝 시킨 후, 대장균내로 형질전환 시킨다. [참고 ; Kim, J. L. 등,Crystal structure of the Hepatitis C Virus protease NS3 protease domain complexed with a synthetic NS4A cofactor peptide. Cell.87, 343-355.1996] 대장균에서 NS3 프로테아제 발현은 항생제 엠피실린과 카나마이신을 넣고 3 시간 동안 25 ℃에서 배양시켜서 발현시킨 후, 원심분리 하여 대장균을 침강시키고 회수한다. 대장균 침전물을 용해 완충액 중에 현탁시킨다. RNase 와 DNase를 첨가하고 얼음에 정치현탁액을 초음파로 처리한 다음 현탁액을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의 불용성 잔여물 제거하고, 상층 액은 사용하기 전까지 -20 ℃에 보관한다. Ni-NTA 레진에 보관용 완충용액을 제거하고, Native lysis 완충액를 컬럼에 통과시켜준다. 세균 추출액으로부터의 상등액을 미리 평준화시킨 컬럼상에 부하한다. 형질 전환된 대장균의 대량 배양 및 대장균의 파쇄에서 획득한 대장균 부유액을 컬럼에 가한 후, 용출 완충용액 [50 mM NaH2PO4, 100 mM NaCl, 30% Glycerol]을 준비하고, 컬럼에 가하여 레진으로부터 단백질을 용출 시킨다. [참고 ; Mori, A 등,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purified NS3 serine proteinase of Hepatitis C Viru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FEBS Letters378, 37-42. 1996, A handbook for high-level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6xHis-tagged proteins.2000. Qiagen.]
실험예 2. 재조합 HCV NS3 프로테아제/NS4A 보조인자 펩타이드 형광 분석
실험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효소를 클로닝하여, 발현시키고 제조한다. 상기 효소를 질소 탱크에 보관하고, NS4A 보조인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검정용 완충용액에서 사용직전에 희석시킨다. NS3 프로테아제/NS4A 보조인자 펩타이드 형광 검정법용으로 사용되는 기질은 EBANS와 DABSYL 표지 팹타이드를 사용한다. 50 mM Tris-HCl, 1 mM DTT (DL-dithiothreitol), 15 % 글리세롤 완충용액에 효소와 기질을 희석하여 사용한다. 상기 펩타이드 기질 EBANS와 DABSYL 표지 펩타이드와 재조합 NS3 프로테아제 및 NS4A 펩타이드 보조인자와 함께 억제제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서 배양시킨다. 배양 후 형광흡광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억제제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서 결과 차이를 NS3-NS4A 프로테아제의 활성값으로 삼고 시험물질이 얼마나 이 효소 활성도를 저해하는지 억제 %를 계산한다. [참고 Fowler, A 등Development of a high throughput scintillation proximity assay for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that reduces the proportion of competitive inhibitors identified. J. Biological Chemistry.275(20). 15106-15113. 2000, Narjes, F 등 α-Ketoacids are potent slow binding inhibitors of the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Biochemistry.39, 1849-1861. 2000]
A. 시약
트리스-HCl (울트라푸어), 글리세롤 (울트라푸어), DTT, 디메칠설폭사이드 (DMSO)는 시그마-알드리치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한다.
검정용 완충액 : 50 mM Tris-HCl, 1 mM DTT, 15 % glycerol
기질 : EBANS와 DABSYL 표지 펩타이드, 3 μM 최종농도(-20 ℃에서 보관된 10 μM 스톡용액으로부터)
효소 : HCV NS3 프로티아제 10 nM 최종농도
NS4A 보조인자 펩타이드: 5 uM (-20℃에서 보관된 50 μM 스톡용액으로부터)
B. 프로토콜
상기 검정은 96개-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 (코스타사) 중에서 수행한다. 각 웰은 다음을 함유한다:
검정 완충액중 기질 30 mL ;
1% DMSO/검정용 완충액중 ±억제제 10 μL;
NS3 프로티아제/NS4A 보조인자 펩타이드 60 μL;
블랭크(억제제 및 효소가 없음) 및 대조물(억제제가 없음)을 또한 동일한 검정용 플레이트 상에 제조한다.
효소 반응은 효소/NS4A 펩타이드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개시되며 검정용 혼합물이 들어간 96개-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를 형광흡광기를 37 ℃에서 측정한다. 억제제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결과 차이를 계산한 후 약물 반응 그래프를 그려 Litchfield-wilcoxon 방법으로 IC50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실험예 2의 방법으로 NS 프로테아제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 화합물 표1과 같다.
화합물번호 IC50(μM)
11 2.60
12 1.00
13 0.29
17 1.90
실험예 3. 선택성 검정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각종 효소에 대하여 선택적 특이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를 들어 화합물 12 13 은 여러 프로테아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억제활성 (IC50)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 HNE > 10 μM ; Tryptase > 10 μM ; Cathepsin K > 10 μM ; Cathepsin B > 10 μM ; Caspase 3 > 10 μM ; Caspase 7 > 10μM.
이들 결과는 상기 화합물이 NS3 프로티아제에 대해 고도로 특이적인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NS3 프로티아제에 억제 활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1의 화합물로 표시되는 N-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그의 무독성 염, 에스테르화 화합물, 라세미체 화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광학이성질체: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수소;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C2-C3알켄; C3-C5알킨; R1과 R2가 서로 고리를 이루어 C3-C6시클로알킬; R7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R7로 치환된 C1-C3알킬; R7로 치환된 C2-C5의 알켄; 또는 R7로 치환된 C3-C5의 알킨을 나타내고, R7은 할로겐;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C2-C5알켄; C3-C5알킨; 니트로; 시아노;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내며,
    R3는 R8로 치환된 C6-C14아릴; C6-C14아릴이 치환된 C1-C3알킬; R8로 치환된 C6-C7시클로알킬; 또는 R8로 치환된 C5-C14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8은 수소; 할로겐; C1-C3의 알킬; 메톡시; 페닐; 시아노; 니트로; 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하이드록실;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R4는 수소; 또는 C1-C5알킬을 나타내고,
    A는 R5NHCH(R6)(CH2)n의 구조를 갖는 알킬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t-부톡시카보닐; 또는 C1-C5알킬을 나타내고,
    R6는 수소; R9에 의해 치환된 C1-C4알킬; R9에 의해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R9에 의해 치환된 C3-C6아릴; 또는 R9에 의해 치환된 C3-C6아릴알킬을 나타내며,
    R9는 수소; 할로겐;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메톡시; 페닐; 하이드록실; 또는 카복실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R1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거나, 또는 R1과 R2가 함께 고리를 이루어 시클로프로필 또는 2-비닐시클로프로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3가 하기의 구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상기식에서, B는 수소, 페닐, C1-C4알킬,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카복실 또는 메톡시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R4가 수소 또는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A가 하기의 구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상기 식에서, R6은 제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7. 제6항에 따르는 화합물의 에스테르 화합물.
  8.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매질 또는 보조제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 C형 간염바이러스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약제학적 조성물.
  9.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2의 N-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수소;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C2-C3알켄; C3-C5알킨; R1과 R2가 서로 고리를 이루어 C3-C6시클로알킬; R7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R7로 치환된 C1-C3알킬; R7로 치환된 C2-C5의 알켄; 또는 R7로 치환된 C3-C5의 알킨을 나타내고, R7은 할로겐;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C3알킬; C2-C5알켄; C3-C5알킨; 니트로; 시아노;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내며,
    R3는 R8로 치환된 C6-C14아릴; C6-C14아릴이 치환된 C1-C3알킬; R8로 치환된C6-C7시클로알킬; 또는 R8로 치환된 C5-C14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8은 수소; 할로겐; C1-C3의 알킬; 메톡시; 페닐; 시아노; 니트로; 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하이드록실;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KR1020020022106A 2002-04-23 2002-04-23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KR20030083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106A KR20030083433A (ko) 2002-04-23 2002-04-23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106A KR20030083433A (ko) 2002-04-23 2002-04-23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433A true KR20030083433A (ko) 2003-10-30

Family

ID=3238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106A KR20030083433A (ko) 2002-04-23 2002-04-23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34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377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cyclic hcv protease inhibitors
TWI406660B (zh) C型肝炎病毒之巨環抑制劑
US7923004B2 (en) 4-ethynyl pyrazole derivative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HCV
CZ300131B6 (cs) Zpusob prípravy meziproduktu inhibujících proteázy retroviru
JP2002522557A (ja) C型肝炎インヒビターペプチド
NO20110598L (no) Karbonatforbindelser
WO2009055335A2 (en) Hcv protease inhibitors
CA2370396A1 (en)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NO323952B1 (no) Substituerte indoler for modulering av NFκB-aktivitet,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legemiddel omfattende disse, deres anvendelse og en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et legemiddel.
JP2007519716A (ja) Hcvns−3セリン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
US8153785B2 (en) Stabilizing ligands for regulation of protein function
KR20140048308A (ko) Hcv 프로티아제 억제제
ZA200603183B (en) Novel keto-oxadiazole derivatives as cathepsin inhibitors
JP3176619B2 (ja) 芳香族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CA2961984C (en) Novel chiral synthesis of n-acyl-(3-substituted)-(8-substituted)-5,6-dihydro-[1,2,4]triazolo[4,3-a]pyrazines
KR20090130060A (ko) 트리아졸로피리딘 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조 및 그의 치료학적 용도
RU271523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азотистого иприта
TW201722907A (zh) 新穎苯基衍生物
SK18998A3 (en) Prolylendopeptid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7527903A (ja) インドール−2−カルボン酸ヒドラジド化合物
JP4704914B2 (ja) α−アミノ酸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WO2020255425A1 (ja) 抗hbv剤
KR20030083433A (ko) C형 간염 억제제 n-아미노피롤리딘
JP2009504627A (ja) ジヒドロピロールのエポキシ反応を介したジアザペンタンの調製
EP2748167B1 (en) Hepatitis c inhibitor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