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826A -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보습기능강화제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 Google Patents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보습기능강화제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826A
KR20030082826A KR1020020021322A KR20020021322A KR20030082826A KR 20030082826 A KR20030082826 A KR 20030082826A KR 1020020021322 A KR1020020021322 A KR 1020020021322A KR 20020021322 A KR20020021322 A KR 20020021322A KR 20030082826 A KR20030082826 A KR 2003008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panesol
farnesol
syn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761B1 (ko
Inventor
남개원
손의동
박원석
김승훈
이창훈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2-002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네솔(farnesol)을 함유하여 피부의 건조증상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필라그린 생성을 증가시키고, 지질합성을 촉진시키는 파네솔을 함유시킴으로써, 각질층과 피부장벽을 정상적으로 형성시키고, 피부보습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천연보습인자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는,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천연보습인자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필라그린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는,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피부내부로부터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건조증상, 아토피증상, 및 접촉성피부염 증상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moisturizing agent, and anti-xerosis agent containing Farnesol}
본 발명은 파네솔(farnesol)을 함유하여 피부의 건조증상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필라그린 생성을 증가시키고, 지질합성을 촉진시키는 파네솔을 함유시킴으로써, 각질층과 피부장벽을 정상적으로 형성시키고, 피부보습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피부세포로부터 분화되어 형성되며, 이 때문에 피부세포를 각질세포 또는 각질형성세포라 부른다. 각질층은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J. Invest. Dermatol. 1983; 80: 44-49).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기저세포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혹은 '각화'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천연보습인자는 각질층에서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데, 피부세포에서 필라그린이라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후에 각질층에서는 필라그린이 천연보습인자로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필라그린은 천연보습인자의 전구체의 역할을 하며, 단백질 형태의 필리그린은 아미노산 형태의 천연보습인자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필라그린의 합성 증가는 곧 천연보습인자의 증가를 의미하며 보습기능의 향상을 뜻하게 된다.
세포간 지방질은 피부에서 보습기능을 담당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인자가 되는 데, 이 세포간 지방질 성분의 대부분은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포간 지질이 부족하면, 피부가 건조하고, 각질의 견고함과 유연함이 떨어져 쉽게 탈락이 이루어진다. 건조피부는 이러한 세포간 지방질이 부족하여 형성되며, 개선을 위해서는 세포간 지방질을 외부로부터 보충하거나 내부로부터 합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여러 위해요인들이 늘어난 최근 들어서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수분을 유지하기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활환경 중에 사람에 대한 위해요인이 점점 증가하고, 노령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가 늦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즉 피부장벽기능이 와해된 피부를 갖고 있는 사람들도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제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보유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 만으로는 단지,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표피분화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파네솔이 필라그린의 발현 및 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의 합성도 촉진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외용제 제형으로 동물 및 사람의 피부에 적용했을 때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확실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파네솔에 관련된 연구들은 항균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00-21196호)에 관한 내용으로 본 발명의 피부보습강화, 및 피부건조증상개선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습인자의 생성 및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파네솔을 주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수분보유능 및 피부장벽 강화능을 가지고 건조피부나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건조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사람피부세포의 각질형성정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슬릿 블로팅(slit blotting)의 방법에 의하여 발현되는 필라그린의 양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웨스턴 블로팅 방법에 의하여 발현되는 필라그린의 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아세톤을 장기 처치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네솔 처리 후, 필라그린의 발현을 보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표피지질의 생성량을 TLC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표피지질 생성량에 대한 TLC 분석 결과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천연보습인자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파네솔은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중량% 내지는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용 세정제 이외의 피부에 적용되는 모든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는,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천연보습인자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필라그린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는,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피부내부로부터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건조증상, 아토피증상, 및 접촉성피부염 증상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네솔(farnesol)은 화학적 명칭으로 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3,7,11-trimethyl-2,6,10-dodecatrien-1-ol)로 분자량은 222.37이다. 주로 향기를 내는 씨트로넬라(citronella), 네럴리(neroli), 씨클라멘(cyclamen), 튜브로즈(tuberose)같은 식물에서 추출되는 색깔을 띠지 않는 물질이다. 또한, 파네솔은 과학적으로 포유동물의 생체내에서 메발로닉 산(mevalonic acid)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단계의 중간 대사산물로도 알려져 있다. 파네솔은 주로 달콤한 향 때문에 향수의 성분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항균제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파네솔을 주성분으로 함유시켜, 건조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의 보습인자 및 지질성분의 합성을 통하여 건조한 피부를 완화시키고, 나아가 피부세포의 분화를 정상적으로 환원/유지시켜, 지질합성의 불완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부건조증상, 아토피증상 및 접촉성피부염 증상 등을 예방 또는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파네솔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15.0중량%가 적당하다. 0.0001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30.0중량% 농도 이상에서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및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및/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폼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하기에서 실시예, 시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 시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시험예 1: 사람 피부세포의 각질형성능 시험>
피부세포가 기저층에서부터 각질층을 생산할 때, 파네솔에 의해 피부세포가정상적으로 분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세포의 분화 시 생성되는 각질의 양을 측정하여 파네솔의 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사람의 조직에서 얻은 피부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시험물질들을 처리할 때, 35-S-메티오닌을 같이 첨가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이 세포를 2%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20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을 첨가한 포스페이트 버퍼드 살린(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녹여내었다. 전체 단백질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부를 취해 액체섬광계수기(LSC)로 측정한 후, 나머지는 글래스 필터로 여과하여 불용성 단백질인 각질의 양을 액체섬광계수기로 측정하였다. 음성/양성 대조군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람 피부세포의 분화되지 않는 상태는 저칼슘(0.03mM) 처리군으로 하고, 사람 피부세포가 분화되는 상태는 고칼슘(1.2mM) 처리군으로 하여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농도에 파네솔을 첨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1은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사람피부세포의 각질형성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네솔을 처리하였을 때, 양성 대조군으로 쓰인 고칼슘 처리군과 비슷한 정도로 각질형성이 증가(p < 0.05)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사람 피부세포의 필라그린 합성 시험>
피부에서 보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천연보습인자의 생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천연보습인자의 전구체인 필라그린의 합성을 사람 피부세포에서 시험하였다.
시험예 1에서의 방법으로 사람피부세포를 배양 후, 시험 물질 처리를 2일간행하였다. 물질 처리가 끝난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세포만을 취하여 초음파파쇄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하고, 단백질만을 얻어내었다. 이 단백질을 이용하여 합성된 필라그린의 양은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는 슬릿 블로팅(slit blotting)의 방법에 의하여 필라그린의 항체를 붙여서 발현되는 필라그린의 양을 카마그(Cammag)사의 덴시토미터(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웨스턴 블로팅 방법에 의하여 발현되는 필라그린의 양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 음성 대조군은 저칼슘 처리군이며, 양성 대조군은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를 사용하였고, 파네솔은 저칼슘 처리군에 첨가하여 시험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네솔을 처리한 피부세포에서의 필라그린 합성이 월등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천연보습인자의 전구체인 필라그린의 합성이 증가하는 결과로부터 천연보습인자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장벽회복 및 보습력 시험(동물 시험)>
파네솔이 장기간의 피부손상으로 인한 피부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출생 후 8-10주가 경과한 젊은 무모생쥐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 등 피부의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다음, 상기 증발계로 TEWL을 측정하여 40g/㎡/hr 이상의 경피수분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만을 대상으로 비이클(Vehicle,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과 파네솔 2%를 함유한 시험물질을 피부면적 5cm2당 200 ㎕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동안 연속 도포하면서 일정시간마다 TEWL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네솔을 도포한 처리군이 비이클군에 비하여 더 빠르게 장벽손상을 회복시켜 정상 피부로 되돌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부장벽 손상 시 12시간 후에 파네솔에 의한 경피수분손실량은 50%이상의 회복력을 보여 월등한 피부장벽회복을 보이고 있다. 또한, TEWL 측정시 코니오미터(독일 Courage Khazaka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피부 수분량의 경우에도 파네솔을 처치한 군의 피부수분량이 비이클 처치군보다 높았으며, 장벽손상회복과 더불어 피부수분량도 증가하였다.
<시험예 4: 면역조직화학염색>
무모생쥐를 이용하여 표피에서의 필라그린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파네솔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3일 동안 시험물질과 비이클을 처치한 실험동물의 피부 조직을 잘라내어 파라핀에 고정하고, 필라그린 항체를 이용하여 피부조직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파네솔을 도포한 군이 비이클 처치군 보다 필라그린의 발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참조).
<시험예 5: 세라마이드의 생성능 시험>
세포간지질의 구성 성분들 중 하나인 세라마이드의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3일 동안 시험물질과 비이클을 처치한 실험동물의 피부 조직을 8mm 펀치로 절편 하여 0.25% 트립신을 함유한 PBS 용액이 담겨있는 페트리 디쉬 (Petri Dish)에 진피가 아래로 가도록 하여 담근 다음 상온에서 90~120분 동안 방치하였다. 표피층을 조직에서 분리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뒤 중량을 측정하였다. 거의 건조된 각질을 블라이-다이어 용액(Bligh-Dyer, 메탄올:클로로포름:물=4:2:1.6) 5ml에 넣어 교반 후 하루 동안 방치한 다음, 부유액을 모으고, 다시 각질층을 포함하고 있는 침전물에 CHCl3:MeOH (2:1) 용액을 4ml 첨가하여 교반한 후, 별도로 모아 둔 부유액과 함께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다시 증류수 6ml을 넣어 교반한 후, 2000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하층액만을 취해 35 ℃에서 질소가스로 건조시키고 CHCl3:MeOH (2:1) 용액 일정량에 녹여 보관하였다. 각 시료들을 CAMAG사의 자동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샘플러-4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TLC 판에 점적하고, AMD(자동 다중 전개)를 이용하여 표 1과 같은 조성비의 전개 용매로 전개하였다.
TLC 판을 전개 시킨 후 TLC 스캐너-II(CAMAG 사: 덴시토미터)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각 밴드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비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100 % 로 환산한 각 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네솔을 처치한 군의 세라마이드의 생성량이 비처치군이나 비이클 처치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피부에 존재하는 지질 중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데, 여기에서는 피부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 유도체중에 대표적인 세라마이드 2, 3, 6들을 기준으로 삼아서 그 증가량을 살펴본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세라마이드의 양을 수치화하여 나타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세톤에 의하여 피부장벽이 손상되고, 피부표피층의 지질이 많이 소실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네솔을 처치한 경우, 장벽손상이 회복되어 지질의 재생산이 월등히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인체에서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시험>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4의 화장수를 제조하고,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건조증을 나타내는 50-60대의 성인 남, 여 50명을 5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비교예 1과 실시예 1-4의 화장수를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하기 표 3은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메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결과이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네솔이 함유된 실시예 1-4의 물질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서 피부수분량이 더 증가되었으며, 그 정도는 농도의존적이었다. 또한, 시험물질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에(총 6주 경과 후) 피부수분을 측정한 수치가 도포 후 1주~2주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시험물질의 도포를 중지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파네솔 도포에 의해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네솔이 함유된 실시예 1~4를 도포한 경우, 피부건조증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 시험>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비교예2 및 실시예 5-8의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고, 계면활성제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는 20-30대의 자원자 25명을 대상으로 홍반 발생정도로 측정하였다. 자원자의 전박부 5개소에 3%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LS) 용액을 24시간 폐쇄첩포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한 접촉성피부염을 유발시키고, 첩포를 제거한 후, 각 자원자들에게 비교예 2와 실시예 5-8을 홍반이 발생한 5개소에 매일 2회씩 1주간 도포하였다. 홍반의 발생정도는 첩포를 제거한 직후와 도포시작 1, 2, 4, 7일 후에 육안으로 하기 표 6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SLS에 의해 발생된 접촉성피부염 증상이 파네솔 처치에 의하여 더 빨리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8: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 시험>
아토피 증상 개선효과 측정시험은 전부터 아토피 증상(가려움, 진무름, 심한 건조증)이라 진단 받았거나, 육안관찰로 아토피 유사 증상을 보이는 10대~50대 사이의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교예 2와 실시예 5-8을 그룹당 10명에게 제공하고,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4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효능 평가는 4주 처치 후 설문 조사를 통해 개선정도를 본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파네솔이 함유된 제형을 도포한 실시예 5~8의 처치군이 대조군인 비교예 2의 도포군 보다 전반적으로 가려움이나 짓무름 등의 아토피 증상이 더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파네솔을 함유함으로써, 표피 내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에서 보습인자 생산을 증가시키고, 지질합성을 촉진시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각질층 및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골격성분인 각질세포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하고 둘째, 각질세포를 둘러 싸서 피부장벽을 완성시키는 구성성분인 지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장벽의 강화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한다. 이러한 작용은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부수적으로는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의 발생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비록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은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표피 세포의 이상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장벽손상 후의 회복을 촉진하고, 피부의 보습기능을 증가시켜, 피부건조증은 물론 아토피나 접촉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을 예방하거나 그 증상을 개선시키는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천연보습인자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네솔은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중량% 내지는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용 세정제 이외의 피부에 적용되는 모든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로서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천연보습인자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필라그린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기능 강화제.
  5.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로서 파네솔을 함유하고,
    상기 파네솔은 피부내부로부터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건조증상, 아토피증상, 및 접촉성피부염 증상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KR10-2002-0021322A 2002-04-18 2002-04-18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KR10046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322A KR100461761B1 (ko) 2002-04-18 2002-04-18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322A KR100461761B1 (ko) 2002-04-18 2002-04-18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826A true KR20030082826A (ko) 2003-10-23
KR100461761B1 KR100461761B1 (ko) 2004-12-14

Family

ID=3237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322A KR100461761B1 (ko) 2002-04-18 2002-04-18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7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938B2 (ja) * 1992-10-13 2000-10-3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化粧料
IT1302023B1 (it) * 1998-08-13 2000-07-20 Manetti & Roberts Italo Brit Composizione cosmetica deodorante e/o idratante.
JP2000302673A (ja) * 1999-04-22 2000-10-31 Shiseido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用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761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2270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と組合せて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組成物
DE60104423T2 (de) Neue verbindungen der familie von n-acylaminoamiden, si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und verwendungen
JP4572003B2 (ja) 自然老化または老化亢進性(日光皮膚炎、汚染)の際の、瘢痕化、保湿化および皮膚外観改良用のペプチドの化粧品としてのまたは皮膚薬品としての使用
DE60124170T2 (de) Verwendung von Ascorbinsäurederivaten, um die Synthese von epidermalen Ceramiden zu erhöhen
JP3670279B2 (ja) ポリア・ココス・ウルフ菌抽出物を含有する抗アクネ組成物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904302A (zh) 一种富勒烯外用组合物
JP2001510487A (ja) 遊離スフィンゴイド塩基及びセラミドの組合せを含む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
KR20110023257A (ko)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EP1889642A2 (fr) Compositions cosmétiques associant un dérivé C-glycoside et un dérivé N-acylaminoamide
JP4117773B2 (ja) N−アシルアミノアミドファミリーのエラスターゼ阻害剤と少なくとも1種の抗真菌剤又は少なくとも1種の抗菌剤の組み合わせを含む化粧品用又は皮膚用組成物
JP2002173416A (ja) 毛髪化粧料
EP0875495B1 (fr) Nouveaux dérivés de l&#39;acide salicylique et leur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dermatologique
EP0966262B1 (de) Hautpflegemittel
KR100794518B1 (ko)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0461761B1 (ko) 파네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건조증상 개선제
JPH06263627A (ja) 皮膚老化防止化粧料組成物
JPH11246332A (ja) 化粧料におけるケイ皮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用途
KR100897908B1 (ko)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여피부 건조증상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3146886A (ja) フィラグリン合成促進剤、及び角質層保湿機能改善剤,角質層柔軟化剤,角質層遊離アミノ酸増加剤
KR100962988B1 (ko) Musk를 함유하는 피부건조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20020474A (ko) 세라마이드 생합성을 유도하는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50110719A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1A (zh) 含有n-酰基二肽衍生物和乙醇酸的局部用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