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505A - 접속유닛,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접속유닛,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81505A KR20030081505A KR10-2003-7011766A KR20037011766A KR20030081505A KR 20030081505 A KR20030081505 A KR 20030081505A KR 20037011766 A KR20037011766 A KR 20037011766A KR 20030081505 A KR20030081505 A KR 200300815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communication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device
- connection uni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04L67/5683—Storage of data provided by user terminals, i.e. reverse ca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4—Interfacing with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o provide access to telephonic functionalities, e.g. accepting a call, reading or composing a message
- H04M1/724095—Worn on the wrist, hand or a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3—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04N2201/0068—Converting from still picture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단말 등의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외부기기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태치먼트(3)는 휴대전화단말(4)의 커넥터에 접속하면 해당 휴대전화단말(4)의 통신방식을 판별하고,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판별한 해당 휴대전화단말(4)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고, 따라서 이 어태치먼트(3)가 접속되는 휴대전화단말(4)이 어떠한 통신방식을 채용하고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접속된 휴대전화단말(4)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고, WWW(7)를 통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는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래부터 PDA나 핸드헬드컴퓨터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와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를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휴대형 정보기기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를 통하여 송수신하거나, 휴대형 정보기기와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서 어드레스수첩데이터 등을 교환하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또 커넥터의 형상의 문제 등에 의해 서로 호환성이 없는 경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커넥터에 데이터통신용 유닛을 접속하는 것으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휴대형 정보기기의 사이의 데이터교환을 실현하는 기술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는 통신사업자에 따라서 데이터통신방식이나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단일한 데이터통신방식이나 접속유닛을 다종다양한 통신사업자의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이용할 수 없어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 외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데이터를,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를 통하여 인터넷프로바이더에 업로드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는데, 현재 알려져 있는 통신서비스사업자는 독자의 프로토콜이나 통신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케이스가 많아서 데이터통신시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단말 등의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외부기기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휴대전화단말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3A∼도 3F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좌측면도, 도 3C는 배면도, 도 3D는 평면도, 도 3E는 저면도, 도 3F는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어태치먼트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어태치먼트의 ROM을 나타내는 메모리구성도.
도 6은 어태치먼트의 RAM을 나타내는 메모리구성도.
도 7은 어태치먼트의 무선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디지털카메라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디지털카메라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휴대전화단말과 어태치먼트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도 10의 스텝A13의 NO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1의 스텝A30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13은 디지털카메라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도 13의 스텝W6 또는 도 30의 스텝W105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15는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신상대방의 아이콘과 키(S1, S4)의 조작내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시스템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단말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26은 휴대전화단말의 ROM을 나타내는 메모리구성도.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단말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9는 도 28의 스텝K103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3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의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접속유닛,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접속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1 판별수단과,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과, 이 제 1 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하여 판별된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1 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유닛이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커넥터에 접속되면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이 판별되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판별된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 접속유닛이 접속되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가 어떠한 통신방식을 채용하고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접속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고,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WWW상의 서버에 업로드하는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통신방식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복수 기억하는 제 1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과,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하여 판별된 통신방식에 의거해서, 이 제 1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제 1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변환수단은 이 제 1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한다.
따라서 접속유닛이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커넥터에 접속되면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이 판별되고,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판독되며,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된 데이터가 판별된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2 판별수단과,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과, 이 제 2 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2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커넥터에 접속된 접속유닛은 이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상대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고,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대기기의 사이에서 어떠한 통신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의하여 WWW상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임의의 외부기기에 데이터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의 데이터통신방식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복수 기억하는 제 2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과, 상기 제 2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에 의거하여, 이 제 2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제 2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변환수단은, 이 제 2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상대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방식이 판별되면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판독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판별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상대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휴대형무선통신기기와의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이것에 접속된 접속유닛간에서의 데이터통신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란,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의 범용성이 확보된다.
또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유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광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광통신모듈과, 유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광통신 및 유선통신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 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광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광통신모듈과, 유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무선통신, 광통신 및 유선통신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근접무선통신에 의하여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모듈이다. 따라서 근접무선방식의 하나로서 계속 채용되고 있는 Bluetooth(블루투스)방식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접속유닛에 있어서는,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이것에 접속된 접속유닛간에서의 데이터통신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외부기기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이며,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접속요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접속요구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에 의하여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으로 상기 외부기기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기기의 사이에서어떠한 통신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외부기기와의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이것에 무선접속된 외부기기간에서의 데이터통신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부기기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란, 이 촬상수단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화상데이터를 무선송수신할 때의 범용성이 확보된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는 WWW(World Wide Web)를 통하여 WWW접속용 서버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해당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WWW를 통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송신해서 격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에 기재한 무선통신시스템이다.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WWW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격납)하거나,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다운로드(송신, 격납)하는 케이스를 고려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의 제어방법이며,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접속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1 판별스텝과,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스텝과, 이 제 1 수신스텝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판별스텝에 의하여 판별된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1 변환스텝을 포함한다.
또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의 제어방법이며,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외부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2 판별스텝과,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스텝과, 이 제 2 수신스텝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판별스텝에 의해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2 변환스텝을 포함한다.
또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란,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청구항 16∼1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기재하는 스텝에서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킴으로써 청구항 1∼6에 기재하는 발명과 똑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기재되는 처리스텝을 접속유닛이 내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속유닛의 제어기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외부기기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신방법이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접속요구를 검출하는 검출스텝과, 이 검출스텝에 의하여 검출된 접속요구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판별스텝과, 이 판별스텝에 의하여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으로 상기 외부기기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스텝을 포함한다.
또 청구항 20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부기기와의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스텝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청구항 2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부기기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데이터란, 촬상된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청구항 19∼2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기재하는 스텝에서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킴으로써 청구항 12∼15에 기재하는 발명과 똑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기재되는 처리스텝을,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가 내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통신기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22∼25의 발명은 휴대전화형 통신기기와, 접속유닛과, 디지털카메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의 발명이며, 상기 휴대전화형 통신기기와 상기 디지털카메라로의 화상데이터의 기입표시를 상기 접속유닛을 통하여 실시하고, 이에 따라서 화상데이터의 형식을 판별하고, 각각이 사용하는 통신방식으로 변환한 후에 어느 쪽인가의 메모리에 격납하여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수단을 실현하는 것이다. 휴대전화형 통신기기와 디지털카메라의 사이의 화상데이터의 주고받음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시스템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데이터송수신시스템(1)은 디지털카메라(외부기기)(2), 어태치먼트(접속유닛)(3), 이 어태치먼트(3)가 접속되는 휴대전화단말(휴대형 무선통신기기)(4), 통신서비스사업자(5), 이 통신서비스사업자(5)에게 WWW(World Wide Web)(7)를 통하여 접속되는 서비스프로바이더(8)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서비스사업자(5)는 통신회선(55)을 통하여 무선기지국(6)에 접속된 교환기(54), 모니터(53), 고객관리용 서버(52), 통신회선(71)을 통하여 WWW(7)에 접속된 WWW접속용 서버(51)를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프로바이더(8)는 통신회선(72)을 통하여 WWW(7)에 접속되는 WWW용 서버(81), 서비스프로바이더용 서버(52), 모니터(83)를 구비하고, WWW를 통하여 서비스이용자(고객)가 업로드하는 화상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2)로 미리 촬상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어태치먼트(3), 휴대전화단말(4), 무선기지국(6), 통신서비스사업자(5), WWW(7) 및 서비스프로바이더(8)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9)에 업로드(격납)하거나, 반대로 데이터베이스(9)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서비스프로바이더(8), WWW(7), 통신서비스사업자(5), 무선기지국(6), 휴대전화단말(4) 및 어태치먼트(3)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2)에 다운로드(송신, 격납)시키는 케이스를 고려하는 것이다.
(휴대전화단말의 구성)
도 2는 상기 휴대전화단말(4)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지의 휴대전화단말이 구비하는 회로와 똑같고, 버스(404)에 접속된 CPU(405)를 갖고 있다. 또한 버스(404)에는 송수신부(406), 통신처리부(407), 프로그램메모리(408), 시계부(409), 표시I/F(410),드라이버(411), UIM카드(412), 데이터메모리(413), 커넥터(414), 조작입력부(415),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가 접속되어 있다.
송수신부(406)는 예를 들면 CDMA방식, TDMA방식 등 통신서비스사업자(5)가 정한 신호변복조방식이고, 상기 무선기지국(6)과의 사이에서 디지털신호가 중첩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17)를 가지며, 수신된 디지털신호는 송수신공용기(418)를 통하여 저잡음증폭기(451)에 주어지고, 신시사이저(421)로부터 신호가 주어져서 동작하는 복조부(419)에 의해 복조되며, 등화기(420)에 의해 등화처리되어 채널부호/복호처리를 실시하는 통신처리부(407)에 주어진다. 또 통신처리부(407)에서 부호화된 디지털신호는 신시사이저(421)로부터 신호가 주어져서 동작하는 변조부(422)에 의해 변조되어 전력증폭부(423)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공용기(418)를 통하여 안테나(417)로부터 방사된다.
프로그램메모리(408)는 ROM으로 이루어지고, 어플리케이션ㆍ소프트웨어, 상위레이어프로토콜,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격납하고 있는 에어리어를 가지며, CPU(405)는 이 프로그램메모리(408)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각 회로부를 제어한다. 또 시계부(409)는 현재시각 등을 계시하는 것이다. 표시I/F(410)는 표시드라이버(424)를 통하여 도트매트릭스타입의 컬러LCD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25)에 접속되어 있으며, 표시부(425)는 휴대전화단말(4)의 본체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CPU(405)의 제어하에서 표시드라이버(424)가 표시부(425)를 구동함으로써, 표시부(425)에 각종 정보나 메일을 구성하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통신서비스사업자(5)를 통하여 WWW(7)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사이트를브라우즈(열람)하거나,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PU(405)의 제어하에서 드라이버(411)는 LED(426)를 구동하는 것이며, LED(426)는 휴대전화단말(4)의 본체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UIM카드(412)는 해당 휴대전화단말(4)의 단말ID 등의 가입자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메모리(413)는 RAM이고, 복수의 발호처성명과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메모리다이얼정보나 수신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동시에, CPU(405)의 워크에어리어로서도 사용된다. 커넥터(414)는 후술하는 어태치먼트(3)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입력부(415)는 본체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키로 구성된다.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는 음성코덱이고, 바이브레이터모터(427), 스피커(428), 마이크(429)가 접속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모터(427)는 스피커(428)가 OFF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에 의해 복호된 호출음에 동기하여 회전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스피커(428)는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가 복호한 호출음 및 수화음성을 재생하고, 마이크는 입력음성을 검출하여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에 입력하며, 이 입력음성신호는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에 의해 부호화된다.
(어태치먼트(접속유닛)의 구성)
도 3A∼도 3F는 어태치먼트(3)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좌측면도, 도 3C는 배면도, 도 3D는 평면도, 도 3E는 저면도, 도 3F는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어태치먼트(3)의 외부에는 휴대전화용 커넥터(301), LED(302), 방음구멍(303), 표시부(304), Ir통신부(Ir필터)(305), USB포트(암형)(306), 전지덮개(507)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전화용 커넥터(301)는 어태치먼트(3)의 상단부에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전화단말(4)의 커넥터(414)에 접속 가능하고, 16심(PDC용) 또는 18심(CDMA용)의 어느 쪽인가가 채용된다. LED(302)와 방음구멍(303)은 어태치먼트(3)의 상대향하는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LED(302)는 복색발광 가능하며, 청(녹)색발광에 의해 통신완료를 나타내고, 황색발광에 의해 통신 중을 나타내며, 적색발광에 의해 에러를 나타낸다. 방음구멍(303)은 후술하는 스피커(312)로부터의 발생하는 음을 외부에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304)는 어태치먼트(3)의 표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기기와의 통신상태의 표시(「통신대기 중입니다.」등) 및 주변기기의 통신프로토콜의 표시(Ir; 적외선통신, USB; USB접속, BT; Bluetooth(근접무선통신))를 바형상의 세그먼트점등에 의해 실시한다. Ir통신부(Ir필터)(305)는 어태치먼트(3)의 하단부에 있어서 표면측에 설치되고, USB포트(306)는 하단부에 있어서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Ir통신부(305)와 USB포트(306)는 어태치먼트(3)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 표리에 배치되어 있다. 전지덮개(507)는 어태치먼트(3)의 이면측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지가 수용된 공간을 폐쇄하고 있다.
어태치먼트(3)의 내부에는 휴대전화용 커넥터(301) 및 USB포트(306) 등에 접속된 회로기판(3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308)에는 Bluetooth용 안테나(311), 회로부(310), 상기 LED(302), 스피커(312) 및 Ir통신모듈(309)이 설치되어 있다. Ir통신모듈(309)은 포토트랜지스터(포토다이오드) 및 LED 등을 구비하고, 상기 Ir통신부(305)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어태치먼트(3)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3)는 CPU(313)를 갖고, 이 CPU(313)에는 시리얼버스를 통하여 상기한 커넥터(301), USB포트(306), Ir통신부(305)(Ir통신모듈(309))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ROM(314), RAM(315), 무선처리부(316), 전원회로(317), 표시드라이버(318) 및 통지드라이버(319)가 접속되어 있다. 무선처리부(316)는 주변기기와 근접무선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안테나(311)가 접속되어 있으며, 전원회로(317)는 상기 전지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드라이버(318)는 상기 표시부(304)를 구동하는 것으로, 버퍼를 포함하며, 통지드라이버(319)는 상기 LED(302)와 스피커(312)를 구동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ROM(314)의 기억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영역(3140∼3151)이 설치되어 있다. 영역(3140)은 디바이스ID메모리이고, 휴대전화단말(4)과 Bluetooth방식에 의하여 근접무선통신을 할 때 링크확립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해당 어태치먼트(3)의 프로덕트ID나 메이커ID 등이 기억되어 있다. 영역(3141)에는 디지털카메라(2)로 촬상된 컬러화상데이터인 RGB데이터와 GIF파일의 사이에서 상호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고, 영역(3142)에는 RGB데이터와 JPEG파일의 사이에서 상호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며, 영역(3143)에는 RGB데이터와 PNG파일의 사이에서 상호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이들 영역(3141∼3143)에 격납되어 있는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은 통신상대방의소프트환경에 따라서 선택한다. 이 선택시에는 어드레스수첩데이터의 메일어드레스, URL로부터 판단한다.
또 영역(3144)에는 Ir통신용 드라이버/IrMCㆍIrDA준거(소프트웨어)가 격납되고, 영역(3145)에는 Ir통신용 드라이버/그 외 서포트(소프트웨어)가 격납되며, 영역(3146)에는 USB통신용 드라이버(소프트웨어)가 격납되고, 영역(3147)에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용 드라이버(소프트웨어)가 격납되어 있다. 또 영역(3148∼3150)에는 휴대전화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 1∼3이 각각 격납되어 있다. 이들 휴대전화데이터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 1∼3은 패킷통신 및 회선교환에 의한 데이터통신방식에 있어서, 현재 각 통신서비스사업자가 채용하고 있는 휴대전화단말(4)의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이다. 영역(3151)에는 각종 데이터(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데이터)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이외의, 예를 들면 텍스트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나 PIM(개인정보관리)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이 영역(3150)은 상기 데이터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을 실시하는 외부의 주변기기의 사양이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GPS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기기이면, 위치측정데이터를 통신서비스사업자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격납해도 좋고, 주위환경(온도, 압력, 조도, 소음)이나 인체에 관한 정보(맥박, 보행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기기이면, 이들의 측정데이터를 통신서비스사업자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격납해도 좋다. 또 이들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은 WWW(7)를 통하여 서비스프로바이더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Java(등록상표)스크립트 등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RAM(315)의 기억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격납영역(3152),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 워크메모리영역(3154)이 설치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격납영역(3152)에는 상기 ROM(301)의 상기 영역(3141∼3151)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판독되고,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격납된다.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는 송수신하는 화상데이터가 격납되며, 워크메모리영역(3154)은 CPU(313)의 작업용으로서 사용된다.
도 7은 상기 무선처리부(316)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안테나(311)는 BPF(3161)를 통하여 SW(3162)에 접속되어 있다. 이 SW(3162)와 Bluetooth Baseband Controller(베이스밴드컨트롤러)(3169)간에 있어서, 수신계는 앰프(3163), 혼합기(3164), IFBPF(3165), 앰프(3166), 복조회로(3167), LPF(3168)로 구성되고, 송신계는 가우시안필터(Gaussian Filter)(3170), SW(3171), PLL신시사이저(3174), LPF(3173), VCO(3172), SW(3157) 및 앰프(4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블루투스베이스밴드컨트롤러(3169)로부터의 제어데이터가, SW(3162, 3157, 3171) 및 PLL신시사이저(3174)에 주어져서 통신제어를 실시하게 되어 있다.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도 8은 디지털카메라(2)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는 휴대전화단말(4) 및 이것에 장착된 어태치먼트(3)에 대하여 데이터의 주고 받음을 실시하는 전용의 외부기기이다. 디지털카메라(2)는 팔에 장착 가능한 형상을 본뜨고 있고, 기기본체(201)와 , 이 기기본체(201)의 상대향하는 단부에 걸어 붙여진 한쌍의 리스트밴드(202, 206)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리스트밴드(202)에는 집(Sheath)(203), 버클(204) 및 걸음고정핀(205)이 설치되어 있다. 기기본체(201)의 양 측부에는 키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S1∼S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컬러LCD로 이루어지는 표시부(207)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셔터키(F0)가 설치되어 있다. 키스위치(S1∼S5)는 그 조작에 의해 휴대전화단말(4) 및 이것에 장착된 어태치먼트(3)와 Ir통신시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즉 키스위치 (S1∼S5)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단말(4)로부터 어태치먼트(3)를 통하여 데이터가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되고, 디지털카메라(2)의 표시부(207)에 표시시키거나, 디지털카메라(2)에 격납하고 있는 데이터를 어태치먼트(3)를 통하여 휴대전화단말(4)에 송신할 수 있다. 기기본체(201)의 리스트밴드(202)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컬러카메라모듈(210)의 렌즈유닛(209)과 Ir통신모듈(215)의 Ir송수신부(208)가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디지털카메라(2)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는 시스템ROM(211), RAM(212), 보존메모리(플래시메모리)(216), 표시드라이버(217), 상기 셔터키(F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키입력블록(213), 상기 키입력부(S1∼S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블록(214), 상기 렌즈유닛(209)을 구비한 컬러카메라모듈(218) 및 상기 Ir송수신부(208)를 구비한 Ir통신모듈(215)이 버스(B)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시스템ROM(211)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RAM(212)을 워크에어리어로서 동작함으로써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고, 클록발생부(2101) 및 계시회로(2102)를 갖고 있다. 표시드라이버(217)는 상기 표시부(207)를 구동하는 것이다. 컬러카메라모듈(218)은 컬러촬상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렌즈유닛(209) 및 CMOS, 드라이버 등을 구비한다. 보존메모리(216)는 플래시메모리로 이루어지고, 셔터키(F0)의 조작에 의해서 컬러카메라모듈(2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JPEG파일형식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Ir통신모듈(215)은 상기 Ir송수신부(208)를 구비하고 있고, 셔터키(F0)의 조작에 의해서 컬러카메라모듈(2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컬러화상데이터, 또는 보존메모리(216)에 격납된 컬러화상데이터(어느 쪽도 JPEG파일형식인데, 통신처에 따라서는 적외선통신에 앞서서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RGB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어태치먼트(3)에 적외선송신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전화단말(4)과 어태치먼트(3)의 링크확립동작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휴대전화단말(4)의 전원이 ON이고 대기상태에서 어태치먼트(3)의 커넥터(301)를 휴대전화단말(4)의 커넥터(414)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어태치먼트(3)는 이 끼워 넣음을 검출하고(스텝A1), 휴대전화단말(4)에 확인신호(ACK)송신요구를 송신한다(스텝A2).
휴대전화단말(4)은 이 확인신호송신요구의 검출을 판단하고(스텝K1), 어태치먼트(3)에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스텝K2), 대수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K3). 어태치먼트(3)는 상기 확인신호의 수신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A3), 이것을 검출했다면 휴대전화단말(4)에 해당 휴대전화단말(4)이 채용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나 데이터포맷형식 등 해당 휴대전화단말에 있어서 채용되는 각종 정보의 송신요구를 송신한다(스텝A4). 휴대전화단말(4)은 이 송신요구의 수신을 검출했다면(스텝K4) 프로그램메모리(408)의 상위레이어프로토콜에어리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해당 단말이 채용하고 있는 통신방식이나 데이터포맷 등의 단말정보를 판독하여 어태치먼트(3)에 송신한다(스텝K5).
어태치먼트(3)는 이 단말정보의 수신을 검출하면(스텝A5), ROM(314)의 영역 (3148∼3150)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를 검색하고(스텝A6), 대응하는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스텝A7). 대응하는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가 영역(3148∼3150)의 어느 쪽에도 없는 경우에는 LED (302)를 적색발광시키고, 표시부(304)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스피커(312)로부터 버저음을 발생시켜서 통지한다(스텝A8). 대응하는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가 영역(3147∼3149)의 어느 쪽인가에 있었던 경우에는 이것을 판독하여 RAM (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A9).
또한 RAM(315)의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RGB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A10),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A11 및 스텝A12의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스텝A13으로 진행한다.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RGB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 이번에 접속한 휴대전화단말(4)의 프로토콜에 합치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ROM(314)의 영역(3141∼3143)의 어느 쪽인가로부터 판독하여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하고(스텝A11), 이 설정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기억되어 있는 RGB데이터를 일괄변환한다(스텝A12). 즉 접속되기 전에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RGB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으면 스텝A11에 있어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전화단말(4)과의 접속을 해제했을 때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통신용 프로토콜을 따른 형식의 화상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으면 RGB데이터로 역변환된다.
계속해서 일정시간 외부로부터의 데이터수신이 없는지 있는지를 판단하고(스텝A3), 일정시간 외부로부터의 데이터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슬립모드를 설정한다(스텝A14). 이 슬립모드는 최저한 각 회로부(특히 RAM(315))의 기억내용을 유지하는 정도로 소비전력을 억제하는 모드이고, 전원회로(317)를 통하여 전지를 감시하며, 전지용량(Vol)이 소정값을 밑돌면 LED(302)를 예를 들면 적색발광시켜서 이것을 통지한다.
한편 어태치먼트(3)는 스텝A13에서의 판단 결과, 일정시간내에 외부로부터의 데이터수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한다. 이 때 데이터수신이 USB, Ir(적외선),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의 어느 쪽인지를 판단하고(스텝A21), USB이었던 경우에는 ROM(314)의 영역(3146)에 기억되어 있는 USB통신용 드라이버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A22). 또한 해당 어태치먼트(3)의 디바이스정보 및 기억정보를 접속된 PC 등에 송신하고(스텝A23), 전원공급을 USB포트(306)를 통하여 접속처의 PC측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전환한다(스텝A24). 또한 표시부(304)에 있어서, “USB”의 아래의 바형상 세그먼트를 점등시키고나서(스텝A25) 데이터통신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또 스텝A21에서의 판단 결과, 데이터수신이 Ir이었던 경우, 또한 이 Ir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IrMC·IrDA 등의 적외선통신프로토콜(공통규격)을 준거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수신한 신호형식, 또는 수신한 데이터의 헤더정보로부터 판단하고(스텝A26),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표준적인 OS(오퍼레이팅ㆍ시스템)를 탑재한 PC(또는 PC에 접속된 적외선포트), PDA, 그 외 외부주변기기로부터 송신된 Ir데이터(적외선데이터)이면 ROM(314)의 영역(3144)에 기억되어 있는 Ir통신용 드라이버/ IrMC·IrDA준거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A27). 또 독자의 Ir데이터(적외선데이터)이면 ROM(314)의 영역(3145)에 기억되어 있는 Ir통신용 드라이버/ 그 외 서포트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A28). 또 확인신호를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하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2)와의 사이에서 링크를 확립한다(스텝A29). 또한 표시부 (304)에 있어서, “Ir”의 아래에 바형상 세그먼트를 점등시키고나서(스텝A30) 데이터통신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또 스텝A21에서의 판단 결과, 데이터수신이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이었던 경우에는 ROM(314)의 영역(3147)에 기억되어 있는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용 드라이버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A31). 다음으로 ROM(314)의 영역(3140)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ID를 송신하고, 또 마스터로 되는 통신처의 주변기기와 데이터교환을 실시하며, 어태치먼트(3)와 근접무선통신을 실시하는 상대방의 주변기기와의 사이에서 마스터슬레이브의 링크를 확립한다(스텝 A32). 또한 표시부(304)에 있어서, “BT”의 아래에 바형상 세그먼트를 점등시키고나서(스텝A33) 데이터통신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도 12는 스텝A21에서의 판단 결과, 데이터수신이 Ir이고, 또한 스텝A26에 있어서 No로 된 경우, 즉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적외선으로 데이터가 송신되어 온 경우에 있어서, 스텝A30에 계속해서 어태치먼트(3)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디지털카메라(2)로부터의 송신요구가 화상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A41), 화상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 밖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A42). 화상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의 스텝A28에서 설정한 통신프로토콜에 대응하는, ROM(314)의 영역(3141∼3143)에 기억되어 있는 어느 쪽인가의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RAM(315)의 영역(3152)에 전개한다(스텝A43).
또한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수신검출한 데이터는 RGB데이터인지 화상데이터송신요구신호인지를 판단한다(스텝A44). RGB데이터는 아니고, 화상데이터송신요구신호이었던 경우에는 상기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으로부터 화상데이터의 판독처리를 실시하고(스텝A45), 화상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A46).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LED(302)를 적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304)에 메시지「코맨드에러」를 표시한다(스텝A47).
또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RGB데이터로 변환한다(스텝A48). 또한 이 RGB데이터를 Ir송신부(305)로부터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출력하고, LED(302)를 황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 (304)에 메시지「송신 중입니다」를 표시한다(스텝A49). 다음으로 이에 응답하여 디지털카메라(2)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확인신호의 수신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A50). 그리고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LED(302)를 적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304)에 메시지「송신실패」를 표시한다(스텝A51). 확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LED(302)를 녹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 (304)에 메시지「송신성공」을 표시한다(스텝A52).
또 스텝A44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검출한 데이터가 RGB데이터이었던 경우, 즉 디지털카메라(2)측으로부터 RGB형식에 의한 화상데이터가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메모리(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가 이미 풀(full)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A53). 이미 풀이었던 경우에는 LED(302)를 적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304)에 메시지「수신불가능」을 표시한다(스텝A54).
그러나 풀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을 계속하고, LED(302)를 황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304)에 메시지「수신 중입니다」를 표시한다(스텝A55). 또한 RGB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A56), 완료한 경우에는 디지털카메라(2)에 확인신호를 송신한다(스텝A57). 다음으로 LED(302)를 녹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304)에 메시지「수신성공」을 표시한다(스텝A58). 계속해서 수신한 RGB데이터를 어태치먼트(3)가 접속되어 있는 휴대전화단말(4)의 통신프로토콜에 대응한 파일형식으로 변환한 후(스텝A59), 다시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격납한다(스텝A60).
도 13은 도 12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디지털카메라(2)측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지털카메라(2)는 통상모드의 상태에서는 표시부(207)에서 현재시각표시를 실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키(S1∼S5)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Ir통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검출하고 있다(스텝W1). 그리고 Ir통신모드의 선택이 검출되면 시각표시로부터 전환하여 Ir통신메뉴표시를 실시한다(스텝W2).
도 15는 스텝 W2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의 표시부(207)의 표시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표시상태에 있어서 표시부(207)의 상부에는 Ir통신모드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IR TRANSFER」가 표시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통신상대방을 나타내는 각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즉 상부 좌측으로부터 「PC」(퍼스널컴퓨터, 또는 퍼스널컴퓨터에 접속된 적외선통신포트), 디지털카메라(2)와 같은 사양의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하부 좌측으로부터 그 외 PDA 등의 디바이스인 「Other」, 「휴대게임기」의 각 아이콘이 표시되고,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키(S1, 또는 S4)를 조작할 때마다 통신상대방을 선택하는 사각의 테두리(207)가 이동한다.
또한 적외선통신프로토콜에 있어서, IrMC·IrDA 등의 공통규격을 서포트하고 있는 통신상대방과 화상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경우는 보존메모리(216)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는 JPEG파일형식의 데이터이므로 그대로 판독하여 송신하는데, 상기 공통규격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는 통신상대방과 화상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경우는 보존메모리(216)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JPEG파일형식의 데이터)를 그대로 판독하여 송신하는 일 없이, RGB데이터나 RAW데이터, YUV데이터의 형식으로 다시 변환하여 송신한다. 또 이들 통신상대방과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형식의 관련지움은 미리 시스템ROM(211)에 기억ㆍ설정되어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어태치먼트(3)측에서 Ir통신용 드라이버/ 그 외 서포트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RGB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런데 스텝W2의 표시상태로부터 키(S1, S4) 조작의 검출을 기다리고, 통신상대방메뉴로부터 어느 쪽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W3).
이 때 상기 스텝W2의 표시상태로부터 키(S1)의 조작을 2회, 또는 키(S4)의 조작을 3회 검출함으로써 「휴대전화」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W4). 「휴대전화」가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ULAR SEND」를 표시하고(스텝W5), 키(S1 또는 S4)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W6). 양 키(S1, S4)의 어느 쪽도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4의 스텝W22로 진행한다.
양 키(S1, S4)의 어느 쪽인가가 조작된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07)에 「CELLULAR RECEIVE」의 표시를 실시한 후(스텝W7), 셔터키(F0)에 대한 조작의 유무를 검출한다(스텝W8). 셔터키(F0)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었다면 어태치먼트(3)에 화상데이터의 송신요구신호를 송신한 후(스텝W9) 대기상태로 들어가고(스텝W10),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하기까지(스텝W11) 대기상태를 계속한다.그리고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했다면 해당 수신한 데이터는 RGB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W12), RGB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07)에 「CELLULAR RECEIVE NG」를 표시한다(스텝W13). 또 수신한 데이터가 RGB데이터이었던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ULAR RECEIVE OK」를 표시하는 동시에, 확인신호를 송신한다(스텝W14). 또한 수신한 RGB데이터를 일괄하여 RAM(212)에 보존하는 동시에, 1번째의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한다(스텝W15).
다음으로 키(S1∼S5, F0)의 조작을 검출하고(스텝W16), 조작된 키가 S1, S3, S4, F0의 어느 쪽이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W17). 키(S3)가 조작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Ir통신모드를 해제하고, 이 흐름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또 키(S1 또는 S4)가 조작된 경우에는 현재 표시부(207)에 표시하고 있는 화상의 다음의 데이터가 RAM(212)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스텝W18), 다음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음의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시킨다(스텝W19). 따라서 키(S1) 또는 키(S4)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단말(4)로부터 어태치먼트(3)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되고, 디지털카메라(2)의 RAM(212)에 격납된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W18에서의 판별 결과, 표시해야 할 다음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NO DATA」를 표시한다(스텝W20).
또 스텝W17에서의 판별 결과, 조작된 키가 셔터키(F0)이었던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보존메모리(216)에보존한다(스텝W21). 따라서 디지털카메라(2)의 사용자는 휴대전화단말(4)로부터 어태치먼트(3)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된 화상을 상기와 같이 차례로 표시부(207)에 표시시키고, 임의의 화상이 표시된 시점에서 셔터키(F0)를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화상만을 보존메모리(216)에 보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텝W6에서의 판단 결과, 양 키(S1, S4)의 어느 쪽도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4의 스텝W22로 진행하여 셔터키(F0)의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셔터키(F0)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W5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셔터키(F0)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보존메모리(216)로부터 RGB데이터를 판독하고(스텝W23), 이 RGB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시킨다(스텝W24).
또한 키(S1∼S5, F0)의 조작을 검출하고(스텝W25), 조작된 키가 S1, S3, S4, F0의 어느 쪽이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W26). 키(S3)가 조작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Ir통신모드를 해제하고, 이 흐름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또 키(S1) 또는 키(S4)가 조작된 경우에는 현재 표시부(207)에 표시하고 있는 화상의 다음의 데이터가 보존메모리(216)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스텝W33), 다음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음의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시킨다(스텝W34).
즉 디지털카메라(2)의 사용자는 미리 셔터키(F0)의 조작에 의해 컬러카메라모듈(218)로 촬상을 실시하고, 화상데이터를 보존메모리(216)에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이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어태치먼트(3)를 통하여 휴대전화단말(4)에 화상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키(S1) 또는 키(S4)를 조작한다. 그러면 보존메모리(21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이 표시부(207)에 표시되어 송신하는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W33에서의 판별 결과, 표시해야 할 다음의 데이터가 보존메모리(216)에 없어진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NO DATA」를 표시한다(스텝W35).
또 스텝W26에서의 판별 결과, 조작된 키가 셔터키(F0)이었던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RGB데이터를 Ir모듈(215)로부터 어태치먼트(3)에 송신한 후(스텝W27) 대기상태로 들어간다.(스텝W28). 그리고 어태치먼트(3)측으로부터의 확인신호의 수신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W29), 확인신호의 수신을 검출했다면 표시부(207)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ULAR SEND OK」를 표시하고(스텝W30) 스텝W2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확인신호의 수신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고(스텝W31), 일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표시부(207)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ULAR SEND NG」을 표시한 후(스텝W32), 스텝W2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어태치먼트(3)와 디지털카메라(2)의 사이에서 적외선에 의해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오로지 설명했는데,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3)와 적외선통신기능을 구비한 PDA(9)의 사이, 어태치먼트(3)와 USB접속된 노트퍼스널컴퓨터(10)의 사이, 어태치먼트(3)와 근접무선접속되는 카메라부착 PDA(11)의 사이에 있어서도 상기한 흐름도에 따른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24∼3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기능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시스템의 구성)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데이터송수신시스템(1)은 디지털카메라(2), 이 디지털카메라(2)와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BT)에 의해 접속되는 휴대전화단말(400), 통신서비스사업자(5), 이 통신서비스사업자(5)에 WWW(World Wide Web)(7)를 통하여 접속되는 서비스프로바이더(8)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서비스사업자(5)는 통신회선(55)을 통하여 무선기지국(6)에 접속된 교환기(54), 모니터(53), 고객관리용 서버(52), 통신회선(71)을 통하여 WWW(7)에 접속된 WWW접속용 서버(51)를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프로바이더(8)는 통신회선(72)을 통하여 WWW(7)에 접속되는 WWW용 서버(81), 서비스프로바이더용 서버(52), 모니터 (83)를 구비하고, WWW를 통하여 서비스이용자(고객)가 업로드하는 화상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2)로 미리 촬상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휴대전화단말(400), 무선기지국(6), 통신서비스사업자(5), WWW (7) 및 서비스프로바이더(8)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9)에 업로드(격납)하거나, 반대로 데이터베이스(9)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서비스프로바이더(8), WWW (7), 통신서비스사업자(5), 무선기지국(6), 휴대전화단말(400) 및 디지털카메라(2)에 다운로드(송신, 격납)시키는 케이스를 고려하는 것이다.,
(휴대전화단말의 구성)
도 25는 상기 휴대전화단말(400)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지의 휴대전화단말이 구비하는 회로와 똑같으며, 버스(404)에 접속된 메인CPU(405)를 갖고 있다. 또한 버스(404)에는 송수신부(406), 통신처리부(407), 프로그램메모리(408), 시계부(409), 표시I/F(410), 드라이버(411), Bluetooth용 안테나(311)가 접속된 무선처리부(316), RAM(315), 서브CPU(323), UIM카드용 커넥터(4120), 데이터메모리(413), 커넥터(414), 조작입력부(415),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 ROM(324), Ir통신모듈(309)의 Ir통신부(Ir필터)(305)가 접속되어 있다.
송수신부(406)는 예를 들면 CDMA방식, TDMA방식 등 통신서비스사업자(5)가 정한 신호변복조방식이고, 상기 무선기지국(6)과의 사이에서 디지털신호가 중첩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17)를 가지며, 수신된 디지털신호는 송수신공용기(418)를 통하여 저잡음증폭기(451)에 주어지고, 신시사이저(421)로부터 신호가 주어져서 동작하는 복조부(419)에 의해 복조되며, 등화기(420)에 의해 등화처리되어 채널부호/복호처리를 실시하는 통신처리부(407)에 주어진다. 또 통신처리부(407)에서 부호화된 디지털신호는 신시사이저(421)로부터 신호가 주어져서 동작하는 변조부(422)에 의해 변조되고, 전력증폭부(423)에 의해 증폭되며, 송수신공용기(418)를 통하여 안테나(417)로부터 방사된다.
프로그램메모리(408)는 ROM으로 이루어지고, 어플리케이션ㆍ소프트웨어, 상위레이어프로토콜,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격납하고 있는 에어리어를 갖고, 메인CPU(405) 및 서브CPU(323)는 이 프로그램메모리(408)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각 회로부를 제어한다. 또 시계부(409)는 현재시각 등을 계시하는 것이다. 표시I/F(410)는 표시드라이버(424)를 통하여 도트매트릭스타입의 컬러LCD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25)에 접속되어 있으며, 표시부(425)는 휴대전화단말(400)의 본체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CPU(405) 및 서브CPU(323)의 제어하에서 표시드라이버(424)가 표시부(425)를 구동함으로써 표시부(425)에 각종 정보나 메일을 구성하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통신서비스사업자(5)를 통하여 WWW(7)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사이트를 브라우즈(열람)하거나, 디지털카메라(2)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CPU(405) 및 서브CPU(323)의 제어하에서 드라이버(411)는 LED(426)를 구동하는 것이며, LED(426)는 휴대전화단말(400)의 본체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LED(426)는 다색발광LED이다.
무선처리부(316)에는 디지털카메라(2)와 근접무선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Bluetooth용 안테나(311)가 접속되어 있다. UIM카드용 커넥터(4120)에는 해당 휴대전화단말(400)의 단말ID 등의 가입자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UIM카드(412)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데이터메모리(413)는 RAM이며, 복수의 발호처성명과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메모리다이얼정보나 수신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동시에, 메인CPU(405)의 워크에어리어로서도 사용된다. 커넥터(414)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어태치먼트(3) 등을 접속 가능한 구성이며, 조작입력부(415)는 본체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키로 구성된다.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는 음성코덱이며, 바이브레이터모터(427), 스피커(428), 마이크(429)가 접속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모터(427)는 스피커(428)가 OFF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에 의해 복호된 호출음에 동기하여 회전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스피커(428)는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가 복호한 호출음 및 수화음성을 재생하고, 마이크는 입력음성을 검출하여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에 입력하며, 이 입력음성신호는 음성복호부호처리부(416)에 의해 부호화된다. ROM(324)에는 후술의 도 24에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 ROM(324)은 FlashROM과 같은, 어떤 전압조건에서 개서가 가능한 것이며, 이에 따라 다운로드 등에 의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인CPU(405)와 서브CPU(323)를 설치하도록 했는데, 1개의 CPU만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RAM(315)에는 도 6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격납영역(3152),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 워크메모리영역(315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6은 상기 ROM(324)의 기억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영역(3140, 3241, 3242, 3144∼3147, 3248∼3250 및 3151)이 설치되어 있다. 영역(3140)은 디바이스ID메모리이며, 휴대전화단말(400)과의 근접무선통신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해당 휴대전화단말(400)의 프로덕트ID나 메이커ID 등이 기억되어 있다. 영역(3241)에는 디지털카메라(2)로 촬상된 화상데이터인 JPEG파일과 GIF파일의 사이에서 상호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고,영역(3242)에는 JPEG파일과 PNG파일의 사이에서 상호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영역(3144)에는 Ir통신용 드라이버/IrMCㆍIrDA준거(소프트웨어)가 격납되고, 영역(3145)에는 Ir통신용 드라이버/그 외 서포트(소프트웨어)가 격납되며, 영역(3146)에는 USB통신용 드라이버(소프트웨어)가 격납되고, 영역(3147)에는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용 드라이버(소프트웨어)가 격납되어 있다.
또 영역(3248∼3250)에는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1∼3)가 각각 격납되어 있다. 이들 통신용 프로토콜설정데이터(1∼3)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단말(400)과, 송수신부(406), 안테나(417)를 통하여 통신하는 통신상대방의 통신환경에 따라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같은 통신서비스사업자에 속하는 휴대전화단말과 데이터통신하는 것이면, 그 통신서비스사업자가 허가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선택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ISDN이나 LAN 등의 다른 네트워크접속된 퍼스널컴퓨터와 통신하는 것이면, 이 네트워크에서 채용하고 있는 데이터통신방식, 또는 데이터통신처의 퍼스널컴퓨터(모뎀, LAN 등)가 채용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선택된다. 즉 휴대전화단말(400)이 화상데이터 등의 송신을 실시할 때, 그 송신상대방의 네트워크환경이나 기기에 따라서 통신프로토콜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것이며, 선택방법으로서 메일어드레스에 포함되는 도메인, URL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3151)에는 각종 데이터(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데이터)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이외의, 예를 들면 텍스트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나 PIM(개인정보관리)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이 영역(3151)은 상기 데이터변환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통신을 실시하는 외부의 주변기기의 사양이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GPS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기기이면 측위데이터를 통신서비스사업자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격납해도 좋고, 주위환경(온도, 압력, 조도, 소음)이나 인체에 관한 정보(맥박, 보행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기기이면 이들 측정데이터를 통신서비스사업자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격납해도 좋다. 또 이들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은 WWW(7)를 통하여 서비스프로바이더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Java(등록상표)스크립트 등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의 외관구성은 도 8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똑같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는 시스템ROM(219), RAM(212), 보존메모리(플래시메모리)(216), 표시드라이버(217), 상기 셔터키(F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키입력블록(213), 상기 키입력부(S1∼S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블록(214), 렌즈유닛(209)을 구비한 컬러카메라모듈(218) 및 무선처리부(316)가 버스(B)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시스템ROM(219)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RAM(212)을 워크에어리어로서 동작함으로써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며, 클록발생부(2101) 및 계시회로(2102)를 갖고 있다. 시스템ROM(219)은 상기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는 동시에, 통신상대로 되는 휴대전화단말(400)의 ID를 기억한 디바이스ID메모리(2190)를 내장하고 있다. 표시드라이버(217)는 상기 표시부(207)를 구동하는 것이다. 컬러카메라모듈(218)은 컬러촬상이 가능한 것이며, 렌즈유닛(209) 및 CMOS, 드라이버 등을 구비한다. 보존메모리(216)는 플래시메모리로 이루어지고, 셔터키(F0)의 조작에 의하여 컬러카메라모듈(2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컬러화상데이터(RGB형식)를 JPEG파일형식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무선처리부(316)는 휴대전화단말(400)과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을 실시하기 위한 Bluetooth용 안테나(311)가 접속되어 있으며, 보존메모리(216)에 격납된 컬러화상데이터(JPEG파일형식)를 휴대전화단말(400)에 송신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휴대전화단말(400)이 대기상태시에 접속요구를 검출한 디바이스를 판단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휴대전화단말(400)은 외부기기로부터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에 의한 디바이스ID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K101). 근접무선통신에 의한 디바이스ID를 수신한 경우에는 ROM(324)의 영역(3147)에 기억되어 있는 근접무선통신용 드라이버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K102). 다음으로 ROM(324)의 영역(3140)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ID를 송신하고, 또 슬레이브로 되는 통신처의 주변기기와 데이터교환을 실시하며, 휴대전화단말(400)과 근접무선상대기기의 사이에서마스터-슬레이브의 링크확립을 실시한다(스텝K103). 또한 표시부(425)에 있어서, “BT”를 점등시키고나서(스텝K104), 데이터통신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스텝K101에서의 판단 결과, 근접무선통신에 의한 디바이스ID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Ir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K105). Ir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커넥터(414)에 어떤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는 외부기기와의 USB접속이라고 판단하고, ROM(324)의 영역(3146)에 기억되어 있는 USB통신용 드라이버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K106). 또한 해당 휴대전화단말(400)의 디바이스정보 및 기억정보를 접속된 PC 등에 송신하고(스텝K107), 전원공급을 커넥터(414)를 통하여 접속처의 PC측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전환한다(스텝K108). 또한 표시부(425)에 있어서, “USB”를 점등시키고나서(스텝K109), 데이터통신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또 스텝K105에서의 판단 결과, Ir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ROM(324)의 영역(3145)에 기억되어 있는 Ir통신용 드라이버/그 외 서포트를 RAM(315)의 어플리케이션데이터격납영역(3152)에 설정한다(스텝K110). 또 확인신호를 통신상대방에게 송신하는 동시에, 링크를 확립한다(스텝K111). 또한 표시부(425)에 있어서, “Ir”을 점등시키고나서(스텝K112), 데이터통신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도 29는 화상데이터의 송수신에 앞서서 메일기능을 개시하고, 메일어드레스나 URL의 선택으로 자동적으로 송신, 또는 전송처의 통신프로토콜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텝K101에서의 판단 결과, 외부기기(디지털카메라(2))로부터 근접무선통신에 의한 디바이스ID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스텝K103에 계속하여휴대전화단말(400)이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디지털카메라(2)로부터의 통신요구를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K121),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K104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되며, 검출한 경우는 다시 계속하여 화상데이터를 수신했는지, 근접무선통신(Bluetooth방식)의 데이터프로토콜에 의거하는 화상데이터의 송신요구신호인지를 판단한다(스텝K123). 화상데이터의 송신요구신호이었던 경우에는 상기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으로부터 화상데이터의 판독처리를 실시하고(스텝K124), 화상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K125).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LED(426)를 적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425)에 메시지「코맨드에러」를 표시한다(스텝K126).
또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표시부(425)에 표시하고(스텝K127), 또한 이 화상데이터를 무선처리부(316)로부터 안테나(311)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출력하며, LED(426)를 황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425)에 메시지「송신 중입니다」를 표시한다(스텝K128). 다음으로 이에 응답하여 디지털카메라(2)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확인신호의 수신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K129). 그리고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LED(426)를 적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425)에 메시지「송신실패」를 표시한다(스텝K130). 확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LED(426)를 녹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425)에 메시지「송신성공」을 표시한다(스텝K131).
또 스텝K123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검출한 데이터가 화상데이터이었던 경우,즉 디지털카메라(2)측으로부터 JPEG파일형식에 의한 화상데이터가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LED(426)를 황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425)에 메시지「수신 중입니다」를 표시한다(스텝K132). 또한 화상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K133), 완료한 경우에는 디지털카메라(2)에 확인신호를 송신한다(스텝K134). 다음으로 LED(426)를 녹색발광시키는 동시에, 표시부(425)에 메시지「수신성공」을 표시한다(스텝K135). 계속해서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송신, 또는 전송처의 통신프로토콜에 대응한 파일형식으로 변환한 후(스텝K136), 다시 화상데이터격납영역(3153)에 격납하는 동시에, 송신한다(스텝K137).
도 30은 도 29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디지털카메라(2)측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지털카메라(2)는 통상모드의 상태에서는 표시부(207)에서 현재시각표시를 실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키(S1∼S5)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무선통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검출하고 있다(스텝W101). 그리고 무선통신모드의 선택이 검출되면 시각표시로부터 전환하여 무선통신메뉴표시를 실시한다(스텝W102).
도 31은 스텝W102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의 표시부(207)의 표시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표시상태에 있어서, 표시부(207)의 상부에는 근접무선통신모드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BT TRANSFER」가 표시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통신상대방을 나타내는 각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즉 상부 좌측으로부터 「PC」(퍼스널컴퓨터, 또는 퍼스널컴퓨터에 접속된 적외선통신포트), 디지털카메라(2)와 같은 사양의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하부 좌측으로부터 그 외 PDA 등의 디바이스인 「Other」, 「휴대게임기」의 각 아이콘이 표시되고, 수신한 상대방의 디바이스ID를 인식하며, 통신상대방을 나타내는 사각의 테두리(2071)가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그런 후에 스텝W102의 표시상태로부터 통신처가 「휴대전화」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W103). 통신처가 「휴대전화」이라면 표시부(207)에 상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ELLULAR SEND」를 표시하고(스텝W104), 키(S1 또는 S4)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W105). 양 키(S1, S4)의 어느 쪽도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 14의 스텝W22로 진행한다.
양 키(S1, S4)의 어느 쪽인가가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도 18에 나타낸 표시부(207)에 「CELLULAR RECEIVE」의 표시를 실시한 후(스텝W106), 셔터키(F0)에 대한 조작의 유무를 검출한다(스텝W107). 셔터키(F0)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었다면 휴대전화단말(400)에 화상데이터의 송신요구신호를 송신한 후(스텝W108), 대기상태로 들어가고(스텝W109),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하기까지(스텝W110) 대기상태를 계속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했다면 해당 수신한 데이터는 화상데이터(JPEG파일형식)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W111), 화상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07)에 「CELLULAR RECEIVE NG」를 표시한다(스텝W112). 또 수신한 데이터가 화상데이터이었던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상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CELLULAR RECEIVE OK」를 표시하는 동시에,확인신호를 송신한다(스텝W113). 또한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일괄하여 RAM(212)에 보존하는 동시에, 1번째의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한다(스텝W114). 다음으로 키(S1∼S5, F0)의 조작을 검출하고(스텝W115), 조작된 키가 S1, S3, S4, F0의 어느 쪽이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W116). 키(S3)가 조작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근접무선통신모드를 해제하고, 이 흐름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또 키(S1) 또는 키(S4)가 조작된 경우에는 현재 표시부(207)에 표시하고 있는 화상의 다음의 데이터가 RAM(212)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스텝W117), 다음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음의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시킨다(스텝W118). 따라서 키(S1) 또는 키(S4)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단말(400)로부터 휴대전화단말(400)을 통하여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되고, 디지털카메라(2)의 RAM(212)에 격납된 화상을 표시부(207)에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W117에서의 판별 결과, 표시해야 할 다음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NO DATA」를 표시한다(스텝W119).
또 스텝W116에서의 판별 결과, 조작된 키가 셔터키(F0)이었던 경우에는 표시부(207)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보존메모리(216)에 보존한다(스텝W120). 따라서 디지털카메라(2)의 사용자는 휴대전화단말(400)로부터 휴대전화단말(400)을 통하여 디지털카메라(2)에 송신된 화상을 상기와 같이 차례로 표시부(207)에 표시시키고, 임의의 화상이 표시된 시점에서 셔터키(F0)를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화상만을 보존메모리(216)에 보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텝W105에서의 판단 결과, 양 키(S1, S4)의 어느 쪽도 조작되지않은 경우에는 상기 도 14의 스텝W22로 진행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스텝W22∼W35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단말(400)을 마스터로 하고, 디지털카메라(2)를 슬레이브로 하는 관계로 했는데, 이것을 반대의 관계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어느 쪽의 경우도 근접무선통신방식으로서 Bluetooth방식을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는데, 이른바 고속무선LAN을 실현하는 각종 규격, 예를 들면 IEEE 802. 11a, IEEE 802. 11b, IEEE 802. 11g이어도 좋고,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유닛을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이 판별되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판별된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 접속유닛이 접속되는 휴대형 무선통신기기가 어떠한 통신방식을 채용하고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접속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고,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WWW상의 서버에 업로드하는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의 커넥터에 접속된 접속유닛이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상대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고,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데이터를송신하는 상대기기의 사이에서 어떠한 통신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의하여 WWW상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임의의 외부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에, 무선통신모듈이나 유선통신모듈, 광통신모듈을 구비하도록 했기 때문에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 광통신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통신방식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외부기기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한 것에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기기의 사이에서 어떠한 통신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해도 범용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 무선통신 등의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5)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에 있어서,상기 커넥터(4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접속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의 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1 판별수단(313)과,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301, 305, 306, 309, 311, 316)과,이 제 1 수신수단(301, 305, 306, 309, 311, 316)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판별수단(313)에 의하여 판별된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1 변환수단(3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방식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복수 기억하는 제 1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314)과,상기 제 1 판별수단(313)에 의하여 판별된 통신방식에 의거해서, 이 제 1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314)으로부터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제 1 판독수단(313)을 추가로 구비하고,상기 제 1 변환수단(313)은 이 제 1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에 있어서,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2 판별수단(313)과,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로부터 상기 커넥터(414)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301, 305, 306, 309, 311, 316)과,이 제 2 수신수단(301, 305, 306, 309, 311, 316)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판별수단(313)에 의해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2 변환수단(3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와의 데이터통신방식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복수 기억하는 제 2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314)과,상기 제 2 판별수단(313)에 의해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에 의거하여, 이 제 2 변환프로그램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제 2 판독수단(313)을 추가로 구비하고,상기 제 2 변환수단(313)은, 이 제 2 판독수단(313)에 의하여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와의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수단(302, 312, 319)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란,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에 있어서,적어도 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311, 316)과, 유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301, 3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에 있어서,적어도 광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광통신모듈(305, 309)과, 유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301, 3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속유닛(3).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에 있어서,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311, 316)과,광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광통신모듈(305, 309)과,유선에 의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301, 3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무선통신모듈(316)은 근접무선통신에 의하여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
- 제 10 항에 있어서,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수단(302, 312, 319)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와 외부기기(2)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이며,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는,상기 외부기기(2)로부터의 접속요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23)과,이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접속요구로부터 상기 외부기기(2)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판별수단(323)과,이 판별수단에 의하여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으로 상기 외부기기(2)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305, 309, 311, 316, 4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는,상기 외부기기(2)와의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수단(425, 426)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외부기기(2)는 촬상수단(209, 218)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란, 이 촬상수단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는 WWW(World Wide Web)(7)를 통하여 WWW접속용 서버(81)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에 격납되어 있는화상데이터를 해당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9)에 격납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9)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WWW(7)를 통하여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에 송신해서 격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의 제어방법이며,상기 커넥터(4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접속된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의 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1 판별스텝과,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스텝과,이 제 1 수신스텝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판별스텝에 의하여 판별된 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1 변환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의 제어방법.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4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유닛(3)의 제어방법이며,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외부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제 2 판별스텝과,상기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로부터 상기 커넥터(414)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스텝과,이 제 2 수신스텝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판별스텝에 의해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을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 2 변환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의 제어방법.
-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란,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3)의 제어방법.
- 휴대형 무선통신기기(400)와 외부기기(2)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신방법이며,상기 외부기기(2)로부터의 접속요구를 검출하는 검출스텝과,이 검출스텝에 의하여 검출된 접속요구로부터 상기 외부기기(2)와의 데이터통신방식을 판별하는 판별스텝과,이 판별스텝에 의하여 판별된 데이터통신방식으로 상기 외부기기(2)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외부기기(2)와의 데이터통신상태를 통지하는 통지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외부기기(2)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데이터란, 촬상된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 표시부(425)와, 조작입력부(415)와, 메모리(413)와,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커넥터(414)를 적어도 갖는 휴대전화형 통신기기(4)와,송신부(305, 316)와, CPU(313)와, 메모리(314, 315)를 적어도 갖는 상기 커넥터(414)에 접속되는 접속유닛(3)과, 수신부(215)와, 표시부(207)와, 메모리(216)와, 촬상소자(218)를 적어도 갖는 디지털카메라(2)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상기 휴대전화형 통신기기의 메모리(413)에 격납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커넥터(414)를 통하여 상기 접속유닛(3)의 메모리(315)에 격납하고,상기 접속유닛(3)은 해당 격납한 화상데이터를 판별하고, 상기 디지털카메라(2)가 사용하는 데이터통신방식으로 변환한 후에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디지털카메라(2)의 메모리(216)에 격납하며, 상기 디지털카메라(2)의 표시부(207)에서 해당 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통신시스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디지털카메라(2)가 사용하는 데이터통신방식이란, 빛을 통신매체로 한 통신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통신시스템.
- 표시부(425)와, 조작입력부(415)와, 메모리(413)와,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커넥터(414)를 적어도 갖는 휴대전화형 통신기기(4)와,수신부(305, 316)와, CPU(313)와, 메모리(314, 315)를 적어도 갖는 상기 커넥터(414)에 접속되는 접속유닛(3)과,송신부(215)와 촬상소자(218)를 적어도 갖는 디지털카메라(2)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디지털카메라(2)로 촬상한 화상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접속유닛(3)에 송신하고,상기 접속유닛(3)은 해당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판별하고, 상기 휴대전화형 통신기기(4)가 사용하는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며, 상기 접속유닛(3)의 메모리(315)에 격납한 후에 상기 커넥터(414)를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형 통신기기(4)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휴대전화형 통신기기의 표시부(425)에서 해당 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통신시스템.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접속유닛(3)의 수신부(305, 309, 311, 316)는 근접무선통신 또는 광통신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063175 | 2001-03-07 | ||
JPJP-P-2001-00063175 | 2001-03-07 | ||
JP2002042980A JP2002335344A (ja) | 2001-03-07 | 2002-02-20 | 接続ユニット、無線通信システム、接続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方法 |
JPJP-P-2002-00042980 | 2002-02-20 | ||
PCT/JP2002/002138 WO2002071733A1 (fr) | 2001-03-07 | 2002-03-07 | Unité de connexion, système de radiocommunication, procédé de commande d'unité de connexion, et procédé de radiocommunicatio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1505A true KR20030081505A (ko) | 2003-10-17 |
KR100634475B1 KR100634475B1 (ko) | 2006-10-16 |
Family
ID=2661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11766A KR100634475B1 (ko) | 2001-03-07 | 2002-03-07 | 접속유닛,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무선통신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209768B2 (ko) |
EP (1) | EP1367808A4 (ko) |
JP (1) | JP2002335344A (ko) |
KR (1) | KR100634475B1 (ko) |
CN (1) | CN1511421A (ko) |
TW (1) | TW567688B (ko) |
WO (1) | WO20020717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30884B2 (en) * | 2003-01-03 | 2007-06-12 | The Sapling Company, Inc. | Clock diagnostics |
JP3838988B2 (ja) * | 2003-04-04 | 2006-10-25 |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電話装置 |
US20040202052A1 (en) * | 2003-04-08 | 2004-10-14 | Eitan Lev | Electronic jewelry with downloadable images |
US20040236785A1 (en) * | 2003-05-22 | 2004-11-25 | Greiner Dylan E.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 digital image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
TWI239748B (en) * | 2003-08-18 | 2005-09-11 | Primax Electronics Ltd | Transferr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images captured by a digital camera to a mobile phone |
TWI258290B (en) * | 2003-08-18 | 2006-07-11 | Primax Electronics Ltd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with a mobile phone |
TWI239747B (en) * | 2003-08-18 | 2005-09-11 | Primax Electronics Ltd |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captured by a phone camera |
US20050064902A1 (en) * | 2003-09-24 | 2005-03-24 | Agere Systems, Incorporated | Mobile telephone having a vital sign measuring capability |
JP2005151392A (ja) * | 2003-11-19 | 2005-06-09 | Nec Corp | 紛失・不正使用防止機能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
KR100657065B1 (ko) * | 2004-01-29 | 2006-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캐릭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US7352999B2 (en) * | 2004-01-29 | 2008-04-01 | Nokia Corporation |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a service provider via a signaling tag |
CN100346657C (zh) * | 2004-02-18 | 2007-10-31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名片信息转化到手机电话本中的方法 |
JP2006060363A (ja) * | 2004-08-18 | 2006-03-02 | Renesas Technology Corp | 半導体集積回路及び非接触icカード |
WO2006076658A2 (en) * | 2005-01-13 | 2006-07-20 | Pocrass Alan L | Flash memory cell phone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
DE102006001607B4 (de) | 2005-01-14 | 2013-02-28 | Mediatek Inc. | Verfahren und Systeme zur Übertragung von Ton- und Bilddaten |
US20060189349A1 (en) * | 2005-02-24 | 2006-08-24 | Memory Matri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uploading of cell phone images |
EP1739895B1 (en) * | 2005-06-30 | 2009-08-26 | Nokia Corporation | Context-sensitive data handling |
JP4791470B2 (ja) * | 2005-07-20 | 2011-10-12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電話機、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7574361B2 (en) * | 2005-09-30 | 2009-08-11 | Motorola, Inc. | Radio audio indicator |
GB2445396A (en) * | 2007-01-04 | 2008-07-09 | Motorola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
KR100983472B1 (ko) * | 2008-03-26 | 2010-09-24 | 주식회사 메카시스 | 소음진동 측정장치 |
JP5295657B2 (ja) | 2008-06-27 | 2013-09-18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集積回路を実装したicカードおよびその動作方法 |
US8326378B2 (en) * | 2009-02-13 | 2012-12-04 | T-Mobile Usa, Inc. |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tactile or visual inputs, such as devices associated with mobile devices |
US20100225962A1 (en) * | 2009-03-03 | 2010-09-09 | Sharp Kabushiki Kaisha |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formation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US9069908B2 (en) * | 2009-03-16 | 2015-06-30 | Apple Inc. | Accessory and mobile computing device communication using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tocol |
JP5538839B2 (ja) * | 2009-11-25 | 2014-07-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データ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WO2013015835A1 (en) * | 2011-07-22 | 2013-01-31 | Seven Networks, Inc. |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
JP5677171B2 (ja) * | 2011-04-07 | 2015-02-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システム |
CN102957766A (zh) * | 2011-08-18 | 2013-03-06 | 佛山正能光电有限公司 | 具可卸式相机模块的行动装置 |
CN102724375A (zh) * | 2012-06-20 | 2012-10-10 | 唐亮 | 一种数码相机与智能手机连接并传送图像文件的传输装置及方法 |
US9823810B2 (en) * | 2013-04-26 | 2017-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system with interface mod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US20150011258A1 (en) * | 2013-07-08 | 2015-01-08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Imaging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CN103690151A (zh) * | 2013-12-05 | 2014-04-02 | 青岛海尔软件有限公司 | 一种睡眠监控报警系统 |
CN103647587B (zh) * | 2013-12-30 | 2016-08-17 | 华为终端有限公司 | 为移动终端解锁的方法、系统、移动终端及穿戴电子设备 |
CN104751035A (zh) * | 2015-03-26 | 2015-07-01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智能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
CN111294256B (zh) * | 2020-02-21 | 2022-05-20 | 宁波海大物联科技有限公司 | 一种通信模块性能的在线检测方法 |
US20220066398A1 (en) * | 2020-08-31 | 2022-03-03 | Casio Computer Co., Ltd. |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timepiece, timepiece main body and band |
CN112232363B (zh) * | 2020-11-05 | 2021-04-30 | 北京三维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5g的无接触式样品信息采集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5101B2 (ja) * | 1992-01-22 | 2000-01-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通信装置 |
JP3255995B2 (ja) * | 1992-10-23 | 2002-02-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テレビ電話装置 |
JP2643111B2 (ja) | 1994-08-30 | 1997-08-20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電話機用オプション装置 |
JPH08214344A (ja) | 1995-02-03 | 1996-08-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 |
JPH08223346A (ja) | 1995-02-20 | 1996-08-30 | Nec Corp | ファクシミリ装置 |
US6122526A (en) * | 1997-04-24 | 2000-09-19 | Eastman Kodak Company | Cellular telephone and electronic camera system with programmable transmission capability |
US6009336A (en) * | 1996-07-10 | 1999-12-28 | Motorola, Inc. |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
JPH10126564A (ja) | 1996-10-15 | 1998-05-15 | Ricoh Co Ltd | 画像通信装置 |
FI111674B (fi) * | 1996-10-31 | 2003-08-29 | Nokia Corp | Käyttäjäliityntä |
KR100261607B1 (ko) * | 1997-06-30 | 2000-07-15 | 이중구 |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
JP3639730B2 (ja) * | 1997-09-30 | 2005-04-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
JP2000049913A (ja) | 1998-07-31 | 2000-02-18 | Sanyo Electric Co Ltd | 携帯端末 |
JP2000184104A (ja) | 1998-12-10 | 2000-06-30 | Olympus Optical Co Ltd | アダプタ装置、撮像装置およびこれら装置を備える撮像システム |
JP2000184105A (ja) * | 1998-12-10 | 2000-06-30 | Olympus Optical Co Ltd | 撮像装置 |
JP3413125B2 (ja) | 1999-04-14 | 2003-06-03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および携帯情報通信端末 |
GB2360173B (en) * | 2000-03-07 | 2004-04-07 | Hewlett Packard Co | Distributed telemetry method and system |
JP3071604U (ja) | 2000-03-09 | 2000-09-14 | 株式会社カンサイマック | 携帯電話/テレビ間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
-
2002
- 2002-02-20 JP JP2002042980A patent/JP2002335344A/ja active Pending
- 2002-03-07 EP EP02705089A patent/EP136780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3-07 CN CNA028094646A patent/CN1511421A/zh active Pending
- 2002-03-07 WO PCT/JP2002/002138 patent/WO20020717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3-07 US US10/471,298 patent/US720976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3-07 TW TW091104248A patent/TW56768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3-07 KR KR1020037011766A patent/KR10063447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2335344A (ja) | 2002-11-22 |
TW567688B (en) | 2003-12-21 |
US20040110474A1 (en) | 2004-06-10 |
CN1511421A (zh) | 2004-07-07 |
EP1367808A4 (en) | 2010-01-20 |
US7209768B2 (en) | 2007-04-24 |
EP1367808A1 (en) | 2003-12-03 |
WO2002071733A1 (fr) | 2002-09-12 |
KR100634475B1 (ko) | 2006-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4475B1 (ko) | 접속유닛, 무선통신시스템, 접속유닛의 제어방법 및무선통신방법 | |
KR100731151B1 (ko) | 무선 핸드셋 | |
WO2007032394A1 (ja) | データ通信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 |
US2016028659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through image recognition in mobile terminal | |
CN1845522B (zh) | 在无线终端中蓝牙通信期间显示文件的装置和方法 | |
US9042843B2 (en) | 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 |
JP2010161654A (ja) |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 |
CN113676902A (zh) | 一种提供无线上网的系统、方法及电子设备 | |
JP2000184105A (ja) | 撮像装置 | |
KR100594122B1 (ko) |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WO2007049933A1 (en) | 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 |
CN114338922B (zh) | 视频播放方法和视频播放装置 | |
KR100662280B1 (ko) | 회전감지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회전감지 표시 처리방법 | |
JP2004157846A (ja) | 携帯情報端末、文字情報送受信方法および文字情報送受信プログラム | |
JP4238507B2 (ja) | 動画作成システム、及び、動画作成方法 | |
JP2004297434A (ja) | 携帯端末装置 | |
KR100606070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 동기화 방법 | |
JP2013042431A (ja) | 情報交換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03244498A (ja) | データ処理装置を接続したデジタルカメラ | |
JP2002176484A (ja) | 携帯情報端末装置 | |
JP4454924B2 (ja) | 通信システム | |
JP2001111712A (ja) |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を構成する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携帯電話ならびにディ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ならびに携帯電話の制御方法 | |
JP2007295606A (ja) | 移動体通信端末及び外部装置 | |
JP2003032386A (ja) | 情報携帯端末 | |
JP2004015284A (ja) | ディジタルカメ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