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337A -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337A
KR20030078337A KR1020020017319A KR20020017319A KR20030078337A KR 20030078337 A KR20030078337 A KR 20030078337A KR 1020020017319 A KR1020020017319 A KR 1020020017319A KR 20020017319 A KR20020017319 A KR 20020017319A KR 20030078337 A KR20030078337 A KR 2003007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vehicle
cran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523B1 (ko
Inventor
박신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02-001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64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with a slew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상부에 탑재된 크레인 운전석에서 시동 온/오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정된 차량과 회전하는 크레인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로타리 조인트로 구현시킴으로서, 크레인 작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전선 꼬임에 의한 전원 공급의 이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를 포함하는 차량측 전원 제어부(30);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를 포함하는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 및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의 복수의 전원라인을,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의 해당 전원라인에 각각 일대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로타리 조인트(50)를 구비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POWER CONTROL SYSTEM OF CRANE LOADING STYLE VEHICLES}
본 발명은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상부에 탑재된 크레인 운전석에서 시동 온/오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정된 차량과 회전하는 크레인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로타리 조인트로 구현시킴으로서, 크레인 작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전선 꼬임에 의한 전원 공급의 이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이 탑재되는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상부에 크레인(2) 및 크레인 운전석(3)이 설치되어 크레인 운전석(3)에서 크레인(2)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크레인 탑재형 차량에서는 크레인 동작은 차량의 엔진력이 변환된 유압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또한, 크레인 제어를 위한 전원은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회로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운전석 키 박스(21)에서 배터리의 전원(B+), ON 전원, ST 전원을 차량 전기 설비(22)로 제공하여, 차량 전시 설비(22)가 상기 키 박스(21)를통해 배터리의 전원(B+), ON 전원, ST 전원을 공급 받아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크레인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고, 그 다음, 차향의 엔진회전력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우선 크레인 전기설비(25)는 차량 운석석 키 박스(21)를 통해 차량의 시동 온시에 제공되는 ON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되며, 그리고, 상기 배터리 전원(B+)은 차량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 PTO 스위치(23)를 통해서 마그네트(24)로 제공되는데, 이 마그네트(24)는 차량의 엔진회전력을 유압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엔진 회전축에 유압펌프축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PTO 스위치(23)의 조작으로 인하여 크레인을 유압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 탑재형 차량에서는 차량의 운전석 키 박스에서만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상부에 마련된 크레인 운전석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 시킬 수 없다. 그런데, 버킷을 구비한 크레인에서는 전신주의 전선 유지보수 또는 가로수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일정 높이에서 버킷이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을 온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차량의 시동을 끄기 위해서는 크레인 운전석에서 차량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시동을 오프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번거로움 때문에 시동을 오프하지 않고 그냥 작업하는 경우도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프레임상에 크레인이 탑재되어 크레인 자체과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차량의 전원을 크레인으로 공급하고 위한 전선이 꼬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전선의 단선 및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상부에 탑재된 크레인 운전석에서 시동 온/오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정된 차량과 회전하는 크레인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로타리 조인트로 구현시킴으로서, 크레인 작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전선 꼬임에 의한 전원 공급의 이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 탑재형 차형의 전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원 제어 장치의 온타입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원 제어 장치의 오프타입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타리 조인트 결합 설치부위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의 로타리 조인트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차량측 전원 제어부31 : 차량 운전석 키박스
32 : 차량의 전기장치33 : PTO 스위치
34 : PTO 마그네트 밸브35 : 릴레이 박스
36 : 스톱모터40 :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
41 :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를 포함하는 차량측 전원 제어부;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를 포함하는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의 복수의 전원라인을,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의 해당 전원라인에 각각 일대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로타리 조인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3을 차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는 차량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를 포함하는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와,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를 포함하는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와,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의 복수의 전원라인을,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의 해당 전원라인에 각각 일대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로타리 조인트(5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는 차량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구분하여 T1,T2 및 T3 단자에 연결된 L1,L2 및 L3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와,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 연결된 L1,L2 및 L3라인을 통해 각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의 전기장치(32)와, 상기 L3라인에 일단을 접속하여 이 L3라인을 통한 전원을 스위칭하는 PTO 스위치(33)와,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에 접속하여 상기 PTO 스위치(33)를 통한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엔진회전축을 유압퍼프축에 연결시키기 위한 PTO 마그네트밸브(34)와, 상기 L1,L2 및 L3라인에 L31,L32 및 L33 라인을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을 통한 전원에 따라, 상기 L31,L32 및 L33 라인과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 및 스톱 모터(35)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 박스(35)와, 상기 릴레이 박스(35)의 스위칭에 따라 동작하여 연료 인??션 밸브를 푸쉬/풀하는 스톱 모터(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릴레이 박스(35)는 크레인의 탑재한 차량의 차종에 따라, 또는 설계자에 따라 다양한 회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온타입 및 오프 타임에 대해 각가 하나의 예시를 보이기로 한다.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는 상기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와 함께, 크레인 운전석에 설치한 부저 스위치(SW1)와, 상기 부저 스위치(SW1)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는 부저(BZ)와, 크레인 운전석에 설치한 램프 스위치(SW2)와, 상기 램프 스위치(SW2)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는 램프(LM1,LM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전원 제어 장치의 온타입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한 오프타입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면, 도 5의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T1단자가 B+ 전원단자, T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3단자가 ON전원단자에 해당되고, 상기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에서 T11단자가 OFF 전원단자, T1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13단자가 B+전원단자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 4의 상기 릴레이박스(35)는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을 통한 전원을 L23 라인으로 공급하고, 상기 L32라인과 접지 사이에 접속한 제1 릴레이(RY1)와, 상기 L21 라인과 접지 사이에 접속하여 Tb접점을 설정시간 동안 온시키는 타이머(T)와, 상기 타이머(T)에 병렬로 접속하며, 상기 타이머(T)의 Tb 접점과 직렬로 접속한 제2 릴레이(RY2)와, 상기 L32과 L22 라인을 순차로 접속하는 제1,제2 릴레이(RY1,RY2)의 a접점(R1a) 및 b접점(R2b)과, 상기 L31 라인을 통한 전원을 스톱 모터의 B+로 제공하고, 상기 L31 라인과 스톱 모터의 CONT 단자 사이에 직렬로 접속한 제1,제2 릴레이(RY1,RY2)의 a접점(R1a)과 b접점(R2b)과, 접지에 일단을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a접점(R1a)과 b접점(R2b)의 접속점에 접속한 b접점(R1b)과, 접지에 일단을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스톱 모터의 CONT 단자에 접속한 a접점(R1a)을 포함한다.
이러한 릴레이박스(35)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에대한 일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릴레이박스(35)의 회로는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며, 실제 다양한 회로가 적용되고 있다.
도 5는 도 3의 전원 제어 장치의 오프타입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한 오프타입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면, 도 5의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T1단자가 ON 전원단자, T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3단자가 B+전원단자에 해당되고, 상기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에서 T11단자가 ON 전원단자, T1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13단자가 B+전원단자에 해당된다.
상기 릴레이박스(35)는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에서 접지로 병렬로 접속한 제1,제2 및 제3 릴레이(RY1,RY2,RY3)와, 상기 제1,제2 및 제3 릴레이(RY1,RY2,RY3)의 동작에 따라 L31,L32,L33과 일대일로 접속된 L21,L22,L23과의 접속을 온/오프시키는 제1,제2 및 제3 접점(R1,R2,R3)과, 상기 L31라인에서 접지로 접속한 제4 릴레이(RY4)와, 이 제4 릴레이(RY4)의 접점(R4)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타리 조인트 결합 설치부위 설명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중요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차량(1)의 상부에 프레임(61)이 고정 설치되고, 이 프레임(61)에 회전베어링(62)이 설치되며, 이 회전베어링(62)에 크레인 설비인 회전포스트(63), 붐(64) 및 데릭 실린더(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붐(64)의 단부에는 케이블에 연결된 훅크가 설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에서, 상기 회전베어링(62)은 크레인 운전식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회전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크레인이 프레임(61)상에서 회전베어링(62)의 회전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로타리 조인트(50)는 차량에 고정된 프레임(61)과 크레인의 회전 포스트(63)를 회전식으로 결합하는 회전베어링(62)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의 복수의 전원라인과,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의 해당 전원라인을, 각 해당하는 라인끼리 회전시에 향상 전기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레임(61)측에 부착되는 하부 원판(52) 상측에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의 복수의 전원라인 각각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원형 접촉기에 연결하고 설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형 접촉기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 포스트(63)측에 부착되는 상부원판(51) 하측의 각 위치에,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의 해당 전원라인을 부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로타리 조인트(50)는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탱크에서 크레인에 유량을 공급하기 위해서, 하부 공급배관과 상부 공급배관을 회전식으로 결합하는 중앙의 유입 배관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서는 우선적으로 차량 운전석에 설치된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의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차량 전기 설비(32)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또한, PTO 스위치(33)가 온상태일 경우에,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된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의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에서도 차량 전기 설비(32)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와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와의 전기적 연결을 로타리 조인트(50)에 의해 회전식으로 행하도록 하여 차량의 상부에서 크레인이 좌우로 회전하더라도 라인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온타입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1 릴레이(RY1)가 여자되어 a접점이 온되므로, 상기 L31라인을 통한 B+전원은 상기 제1 릴레이(RY1)의 a접점(R1a)과 상기 제2 릴레이(RY2)의 b접점(R2b)을 통해 스톱 모터(36)의 CONT 단자에 제공되므로, 이 스텁 모터(36)의 180° 회전동작에 따라 연료 인??션 밸브를 개방하여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고 된다.
이후, PTO 스위치(33)를 온상태로 하면, 이 PTO 스위치(33)를 통한 ON 전원이 L23 라인, 로타로 조인트(50) 및 L13 라인을 순차적으로 통해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의 B+단자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의 OFF 단자에서 L11라인, 로타리 조인트(50) 및 L21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타이머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타이머(T)의 접점(Tb)이 설정시간 동안에 온상태를 유지하여 제2 릴레이(RY2)가 설정시간동안 여자되며, 이때, L31라인과 스톱 모터(36)의 CONT 단자 사이의 제2 릴레이(RY2)의 b접점(R2b)이 오프되므로, 상기 L31라인을 통한 B+전원은 상기 제2 릴레이(RY2)의 b접점(R2b)에의해 차단되어 상기 스톱 모터(36)의 CONT 단자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상기한 과정과 반대로 상기 스톱 모터(36)의 다시 180°동작으로 연료 인??션 밸브를 폐쇄하여 엔진에 연료공급이 차단되어 차량의 시동이 꺼진다.
그후, 상기 타이머(T)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T)의 Tb접점이 오프되고, 제2 릴레이(RY2)가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상기 L31라인을 통한 B+전원은 상기 제1 릴레이(RY1)의 a접점(R1a)과 상기 제2 릴레이(RY2)의 b접점(R2b)을 통해 스톱 모터(36)의 CONT 단자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스텁 모터(36)의 또 다시 180° 회전동작에 따라 연료 인??션 밸브를 개방하여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고 된다.
또한, L3, L33 라인, 제1 릴레이(RY1)의 a접점 및 제2 릴레이(RY2)의 b접점(R2b), 그리고, L22 라인, 로타로 조인트(50) 및 L12 라인을 통해서 크레인운전석 키박스(41)의 ST단자가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의 ST단자와 연결되므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와 같이 차량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예를 들어,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에서 차량의 시동을 온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데, 예를들어, 상기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의 ST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면, 차량의 시동모터(미도시)가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된다.
한편, PTO 스위치(33)가 온상태로 되면, 상기 배터리 전원(B+)이 마그네트(24)로 제공되는데, 이 마그네트(24)는 차량의 엔진회전력을 유압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엔진 회전축에 유압펌프축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PTO 스위치(23)의 조작으로 인하여 크레인을 유압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오프타입에 대해서 예를들어 설명하면,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PTO 스위치(33)를 온상태로 하면, B+ 전원에 위해서, 릴레이박스(35)의 제1,제2 및 제3 릴레이(RY1,RY2,RY3)가 여자되고, 이에 따라 해당 제1,제2 및 제3 접점(R1,R2,R3)가 온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37)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와 동일한 상태로 되어, 이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37)에서 차량 전기 설비(32)에 필요한 B+, ON 및 ST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37)에서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PTO 스위치(33)가 온상태로 되면, 상기 배터리 전원(B+)이 마그네트(24)로 제공되는데, 이 마그네트(24)는 차량의 엔진회전력을 유압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엔진 회전축에 유압펌프축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PTO 스위치(23)의 조작으로 인하여 크레인을 유압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크레인 작업자가 크레인 운전석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위치이동을 하지 않고서도 크레인 운전석에서도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크레인 작업중에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면, 크레인 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이 차량 상부에서 좌우로 360도 회전하는데, 종래에는 전원 라인이 꼬여서 이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로타리 조인트(50)에 의해서 차량의 전원을 전원 라인 꼬임현상 없이 크레인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전선 라인이 꼬여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크레인 운전석에서, 크레인 운전석에 설치한 부저 스위치(SW1)를 선택하여 차량의 경적(혼 또는 사이렌)에 해당하는 부저(BZ)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크레인 운전석에 설치한 램프 스위치(SW2)를 선택하여 야간 작업시에 필요한 램프(LR,LL)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상부에 탑재된 크레인 운전석에서 시동 온/오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정된 차량과 회전하는 크레인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로타리 조인트로 구현시킴으로서, 크레인 작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전선 꼬임에 의한 전원 공급의 이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차량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를 포함하는 차량측 전원 제어부(30);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를 포함하는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 및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의 복수의 전원라인을, 상기 크레인측 전원 제어부(40)의 해당 전원라인에 각각 일대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로타리 조인트(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전원 제어부(30)는
    차량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원을 B+ 전원, ON 전원 및 ST 전원으로 구분하여 T1,T2 및 T3 단자에 연결된 L1,L2 및 L3 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차량 운전석 키박스(31);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 연결된 L1,L2 및 L3라인을 통해 각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의 전기장치(32);
    상기 L3라인에 일단을 접속하여 이 L3라인을 통한 전원을 스위칭하는 PTO 스위치(33);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에 접속하여 상기 PTO 스위치(33)를 통한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엔진회전축을 유압퍼프축에 연결시키기 위한 PTO 마그네트밸브(34);
    상기 L1,L2 및 L3라인에 L31,L32 및 L33 라인을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을 통한 전원에 따라, 상기 L31,L32 및 L33 라인과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 및 스톱 모터(35)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 박스(35);
    상기 릴레이 박스(35)의 스위칭에 따라 동작하여 연료 인??션 밸브를 푸쉬/풀하는 스톱 모터(3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T1단자가 B+ 전원단자, T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3단자가 ON전원단자에 해당되고,
    상기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에서 T11단자가 OFF 전원단자, T1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13단자가 B+전원단자에 해당되며,
    상기 릴레이박스(35)는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을 통한 전원을 L23 라인으로 공급하고, 상기 L32라인과 접지 사이에 접속한 제1 릴레이(RY1)와, 상기 L21 라인과 접지 사이에 접속하여 동작후 Tb접점을 설정시간 동안 온시키는 타이머(T)와, 상기 타이머(T)에 병렬로 접속하며, 상기 타이머(T)의 Tb 접점과 직렬로 접속한 제2 릴레이(RY2)와, 상기 L32과 L22 라인을 순차로 접속하는 제1,제2 릴레이(RY1,RY2)의 a접점(R1a) 및 b접점(R2b)과, 상기 L31 라인을 통한 전원을 스톱 모터의 B+로 제공하고, 상기 L31 라인과 스톱 모터의 CONT 단자 사이에 직렬로접속한 제1,제2 릴레이(RY1,RY2)의 a접점(R1a)과 b접점(R2b)과, 접지에 일단을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a접점(R1a)과 b접점(R2b)의 접속점에 접속한 b접점(R1b)과, 접지에 일단을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스톱 모터의 CONT 단자에 접속한 a접점(R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전석 키박스(31)에서 T1단자가 ON 전원단자, T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3단자가 B+전원단자에 해당되고,
    상기 크레인 운전석 키박스(41)에서 T11단자가 ON 전원단자, T12단자가 ST전원단자, 그리고 T13단자가 B+전원단자에 해당되며,
    상기 릴레이박스(35)는 상기 PTO 스위치(33)의 타단에서 접지로 병렬로 접속한 제1,제2 및 제3 릴레이(RY1,RY2,RY3)와, 상기 제1,제2 및 제3 릴레이(RY1,RY2,RY3)의 동작에 따라 L31,L32,L33과 일대일로 접속된 L21,L22,L23과의 접속을 온/오프시키는 제1,제2 및 제3 접점(R1,R2,R3)과, 상기 L31라인에서 접지로 접속한 제4 릴레이(RY4)와, 이 제4 릴레이(RY4)의 접점(R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KR10-2002-0017319A 2002-03-29 2002-03-29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KR100452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319A KR100452523B1 (ko) 2002-03-29 2002-03-29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319A KR100452523B1 (ko) 2002-03-29 2002-03-29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337A true KR20030078337A (ko) 2003-10-08
KR100452523B1 KR100452523B1 (ko) 2004-10-12

Family

ID=3237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319A KR100452523B1 (ko) 2002-03-29 2002-03-29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64A (ko) 2016-11-30 2018-06-08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연속 운전시간이 개선된 소형 크레인용 유압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400A (ja) * 1984-03-29 1985-03-0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作業車の制御信号供給装置
JPH0325490A (ja) * 1989-06-23 1991-02-04 Fujitsu Ltd 表示装置
JP2546594Y2 (ja) * 1991-09-30 1997-09-03 株式会社タダノ 旋回台を有する作業車の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集合体
KR0155293B1 (ko) * 1995-11-22 1998-11-16 김광호 헤어 드라이어의 전원코드 연결장치
JP2000177984A (ja) * 1998-12-16 2000-06-27 Tadano Ltd 油圧作業機の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64A (ko) 2016-11-30 2018-06-08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연속 운전시간이 개선된 소형 크레인용 유압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523B1 (ko) 2004-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84099A (ja) 電動式建設機械
JP2011063234A (ja) 建設機械用バッテリ遮断装置
JP7542099B2 (ja) 作業車両
US6789519B1 (en) Remote engine stop/start system with backup motor control
KR100452523B1 (ko) 크레인 탑재형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CN103541888A (zh) 流动式车载混凝土泵双泵合流智能控制系统
WO2020175489A1 (ja) 作業車両
US6894448B2 (en) Direct current motor condition monitoring and exercising system
JP2001514607A (ja) 材料取扱い機械の吊上げ磁石制御方法と装置
CA2481450C (en) Remote engine stop/start system with backup motor control
ES2261139T3 (es) Dispositivo de control y vehiculo.
JP4362204B2 (ja) 作業機の連結装置
JP2000240107A (ja) 建設機械の警報装置
CN211395808U (zh) 一种can总线鞍式遥控牵引车控制系统
CN214083938U (zh) 具备远程送电断电功能的智能充电桩
JP2002081090A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H0712560U (ja) 建設機械の安全装置
CN207743752U (zh) 消防水泵控制柜机械应急装置
JP4878420B2 (ja) 消防用車両の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H0456648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00198400A (ja) 車両用電源回路装置
KR100633543B1 (ko) 엔진 시동 및 정지시 엔진회전수를 감소시키는 장치
JPH0748991Y2 (ja) クレ−ン車用エンジン停止装置
JPH07216854A (ja) 太陽電池駆動ゲートの非常駆動方法
CN116788174A (zh) 一种车载修井装备的驾驶与司钻控制切换电路及切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