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965A - 블레이드형 휴즈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 - Google Patents

블레이드형 휴즈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965A
KR20030077965A KR10-2003-0015064A KR20030015064A KR20030077965A KR 20030077965 A KR20030077965 A KR 20030077965A KR 20030015064 A KR20030015064 A KR 20030015064A KR 20030077965 A KR20030077965 A KR 20030077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tact
type fuse
hous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미타케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7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1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connecting a fuse in a lead and adapted to be supported by the lead al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3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blade type terminals
    • H01H85/2035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blade type terminals for miniature fuses with parallel side contacts

Landscapes

  • Fus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의 축선 방향이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있어서, 블레이더형 휴즈를 포함하는 홀더 전체의 저배화를 도모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보면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1)는 블레이드형 휴즈(50)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하우징(10)과, 축선(CL) 방향이 블레이드형 휴즈(50)의 삽입방향(화살표(A)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10)에 수용되는 콘택트(20)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20)는 한 쌍의 접촉암(24a, 24b)과의 사이의 기부(21)에 블레이드(52)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25)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블레이드형 휴즈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Blade type fuse holder and contact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블레이드형 휴즈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배선 중에 개장(介裝)되는 휴즈에는 투명유리관 휴즈가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종류의 투명유리관 휴즈에 비해 30%정도 경량이며 콤팩트한 것으로 내구성이 5배로 대폭 향상한 특성을 갖는 블레이드형 휴즈가 오늘날 상기 배선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 블레이드형 휴즈를 유지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로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실공소59-3487호 공보 참조)
이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100)는 블레이드형 휴즈(200)의 블레이드(201)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되는 하우징(110)과 축선방향이 블레이드형 휴즈(200)의 블레이드(201)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콘택트(120)는 하우징(110)에 서로 대향하도록 수용된다.
여기서 각 콘택트(120)는 평판상의 기부(121)와, 기부(121)의 양측에서 기립하고 서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촉암(122)과 기부(121)의후단(도 4(A)의 우측 콘택트의 경우 우단)에서 뻗는 전선압착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선압착부(123)에는 전선(W)이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힌지(hinge)(117)를 통해 연결된 2개의 상자형부(111a, 111b)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상자형부(111a, 111b)는 힌지(117)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한쪽의 상자형부(111a)의 상면에 설치한 계지요부(118a)에 타방의 상자형부(111b)의 상면에 설치한 계지철부(118b)를 계지함으로써 양 상자형부(111a, 111b)는 계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상자형부(111a)의 상면에는 수직벽(113a)가 입설되고, 타방의 상자형부(111b)의 상면에는 수직벽(113b)가 입설되며 양 상자형부(111a, 111b)를 계지한 때에 양 수직부(113a, 113b)에 의해 휴즈 홀더 수용요부(1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휴즈 홀더 수용요부(112)에는 블레이드형 휴즈(200)가 수용된다. 그리고 휴즈 홀더 수용요부(112)의 저부에는 블레이드형 휴즈(200)의 블레이드(201)의 삽입을 허용하는 한 쌍의 개구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개구부(114)의 하방, 즉 각 개구부(114)의 블레이드형 휴즈(200)의 삽입방향에는 콘택트(120)의 한 쌍의 접촉암(122)을 수용하는 접촉암 수용캐버티(11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암 수용캐버티(115)의 블레이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콘택트(120)의 전선압착부(123)를 수용하는 압착부 수용캐버티(1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120)를 서로 대향하도록 하우징(110)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블레이드형 휴즈(200)를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즈 홀더 수용요부(112)에 삽입하면 각 블레이드(201)가 각 개구부(114)를 삽통한다.
그리고 각 개구부(114)로부터 삽입된 블레이드(201)는 각 콘택트(120)의 한 쌍의 접촉암(122)에 의해 협지되어 접촉암(122)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일방측의 콘택트(120)와 타방측의 콘택트(120)가 블레이드형 휴즈(2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일부재를 블레이드형 휴즈(200) 위에서 수직벽(113a, 113b)에 취부함으로써 블레이드형 휴즈(200)가 커버 부재에 의해 피관(被冠)된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의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100)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콘택트(120)의 한 쌍의 접촉암(122) 사이의 기부(121)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블레이드(201)를 개구부(114)에서 삽입한 때에 블레이드(201)의 관통을 허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201)를 한 쌍의 접촉암(122)으로 협지한 때에는 블레이드(201)의 하단이 콘택트(120)의 기부(121)의 표면에서 이탈한 상태에 있고 콘택트(120)의 기부(121)에서 블레이드형 휴즈(200)의 정상부까지의 높이가 높아져서 블레이드형 휴즈를 포함하는 홀더의 전체 저배화(低背化)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택트의 축선방향이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있어서 블레이드형 휴즈를 포함하는 전체의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의 일부를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콘택트를 수용한 하우징에 블레이드형 휴즈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예의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를 나타내고 (A)는 하우징에 콘택트를 수용하기 전의 사시도, (B)는 콘택트를 수용한 하우징에 블레이드형 휴즈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
10 하우징
20 콘택트
21 기부
24a, 24b 접촉암
25 절결
50 블레이드형 휴즈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는 블레이드형 휴즈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되는 하우징과, 축선 방향이 상기 블레이드형 휴즈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해당 콘택트가 기부와 해당 기부의 양측부에서 기립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된 상기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암을 갖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한 쌍의 접촉암사이의 상기 기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의하면 콘택트를 하우징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블레이드형 휴즈를 하우징에 대해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하면 블레이드는 콘택트의 한 쌍의 접촉암에 의해 협지되어 접촉암에 접촉한다. 이 때 블레이드의 하단은 한 쌍의 접촉암 사이의 기부에 형성된 절결을 관통한다. 따라서 콘택트의 기부에서 블레이드형 휴즈의 정상부까지의 높이가 낮아져 블레이드형 휴즈를 포함하는 홀더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사용되는 콘택트는 기부와 해당 기부의 양측부에서 기립하고,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된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암을 갖는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암사이의 상기 기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서의 절결에는 주위의 일부가 개방된 일반적인 절결 형상 외에 주위가 무단상(無端狀)으로 닫혀있는 구멍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의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콘택트를 수용한 하우징에 블레이드형 휴즈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콘택트(20)와 한 쌍의 씰 부재(30)와 커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형 휴즈(50)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즉 화살표(A)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콘택트(20)의 각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선(CL)의 방향이 블레이드형 휴즈(50)의 삽입방향(화살표(A)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10)에 수용된다. 한 쌍의 콘택트(20)는 서로 대향하도록 하우징(10) 내로 수용된다.
블레이드형 휴즈(50)는 거의 사각형의 절연하우징(51)과 절연하우징(51)에취부된 한 쌍의 금속제 블레이드(52)와 한 쌍의 블레이드(52)를 연결하는 휴즈 링크(5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기부(21)와 기부(21)의 긴 쪽 방향 전단측(도 3에서의 좌단측)의 양측부에서 기립하는 한 쌍의 접촉암(24a, 24b)과 기부(21)의 긴 쪽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와이어 배럴(22)과 기부(21)의 긴 쪽 방향 후단부에 설치된 인슐레이션 배럴(23)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콘택트(20)는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암(24a, 24b)의 각각은 기부(21)의 양측부에서 기립하는 기립 편부(24aa, 24ba)와, 기립 편부(24aa, 24ba)의 상단에서 서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접촉돌기(24ab, 24bb)와, 접촉돌기(24ab, 24bb)의 상단에서 서로 외측으로 꺽어진 도입안내편부(24ac, 24bc)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돌기(24ab, 24bb)는 블레이드형 휴즈(50)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하우징(10)에 삽입된 때 블레이드형 휴즈(50)의 블레이드(52)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것으로 그들 사이의 간격은 블레이드(52)의 판두께에 따라 조정된다. 또한 도입안내편부(24ac, 24bc)는 블레이드형 휴즈(50)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하우징(10)에 삽입된 때 블레이드(52)의 접촉암(24a, 24b)사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접촉암(24a, 24b)사이의 기부(21)에는 블레이드(52)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25)은 기부(21)의 긴 쪽 방향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절결되어 전단측으로 열려 있다.
또한 와이어 배럴(22)은 전선(미도시)의 심선을 압착하는 것으로서 기부(21)의 양측부에서 서로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심선 압착편(22a, 22b)으로 구성된다. 또한 인슐레이션 배럴(23)은 전선의 피복을 압착하는 것으로서 기부(21)의 양측부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피복 압착편(23a, 23b)으로 구성된다.
한편 하우징(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 블레이드형 휴즈(50)의 절연하우징(51)을 수용하기 위한 휴즈 수용요부(13)를 형성한 거의 사각형상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양단부에서 블레이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통상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PBT 등의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휴즈 수용요부(13)의 저부에는 블레이드형 휴즈(50)의 블레이드(52)를 수용하는 한 쌍의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개구부(14)의 상하방향 거의 중앙부에는 콘택트(20)의 한 쌍의 접촉암(24a, 24b)을 수용하는 접촉암 수용 캐버티(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암 수용 캐버티(15)의 블레이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콘택트(20)의 와이어 배럴(22)을 수용하는 와이어 배럴 수용통로(16)가 접촉암 수용 캐버티(15)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통상부(12)의 각각의 내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20)의 인슐레이션 배럴(23)이 위치함과 동시에 씰 부재(30)가 배치되는 씰 부재 수용요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씰 부재(30)는 콘택트(20)에 접속된 전선과 통상부(1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씰로서 통상부(12)와 전선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통상의 씰 본체(31)와 씰 본체(31)의 외부부에서 외측으로 뻗는계지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전면(도 1에서의 전면) 상방측에는 커버 부재(40)를 계지하기 위한 2개의 전측 계지돌기(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에는 한 쪽만 표시). 2개의 전측 계지돌기(18)는 블레이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11)의 후면 상방측에는 커버 부재(40)를 계지하기 위한 1개의 후측 계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후 후측 계지돌기의 블레이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하우징 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된 2개의 전측 계지돌기(18)의 사이에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형 휴즈(50)를 피복함과 함께 하우징 본체(11) 상에 재치되는 커버 본체(4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전측 계지돌기(18)에 계지되는 2개의 전측 래치 부재(42)(한 쪽만 도시)와, 커버 본체(41)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후측 계지돌기에 계지되는 1개의 후측 래치 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40)는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링 압압용 돌조(17)가 휴즈 수용요부(13)의 주위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40)의 하면에는 커버 부재(40)를 하우징 본체(11) 상에 재치한 때에 O링 압압용 돌조(17)가 파고 드는 환상요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O링 압압용 돌조(17)와 환상요부(43)의 사이에는 그들 사이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O링(33)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11)의 전면에서 2개의 전측 계지돌기(18)의 사이에는 커버 부재(40)의 전후 반대 취부를 방지하기 위한 돌기(1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0)의 전측을 하우징(10)의 후측에 대응시켜 커버 부재(40)를 하우징(10)에 취부하면 커버 부재(40)의 후면에 형성된 후측 래치 부재가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19)에 당접함으로써 커버 부재(40)의 전후 반대 취부를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1)의 조립 및 블레이드형 휴즈(50)의 유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씰 부재(30)에 삽통한 전선의 단부에 콘택트(20)를 압착 접속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접촉암 수용 캐버티(15) 내에 한 쌍의 접촉암(24a, 24b)이 와이어 배럴 수용통로(16) 내에 와이어 배럴(22)이 각각 위치하도록 전선을 압착한 한 쌍의 콘택트(20)를 하우징(10)에 삽입한다. 그 때 각 콘택트(20)는 하우징벽에 의해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접촉암(24a, 24b)의 긴 쪽 방향 후단이 하우징(10)에 형성된 탄성 랜스(미도시)에 계지됨으로써 콘택트(20)의 이탈방지가 행해진다.
그리고 각 씰 부재(30)의 씰 본체(31)를 각 통상부(12)의 내부에 배치시켜 씰 부재(30)를 통상부(12)에 취부한다.
이어서 각 콘택트(20)를 하우징(10)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블레이드형 휴즈(50)를 하우징(10)의 휴즈 수용요부(13)에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즉, 도 2에서의 화살표(A)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블레이드(52)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개구부(14) 내에 위치한다. 이 때 블레이드(52)는 콘택트(20)의 한 쌍의 접촉암(24a, 24b)의 접촉돌기(24a, 24b)에 의해 협지되어 접촉암(24a, 24b)에 접촉한다. 블레이드(52)의 삽입시에 블레이드(52)의 하단은 한 쌍의 접촉암(24a, 24b)의 기부(21)에 형성된 절결(25)를 관통한다. 따라서 콘택트(20)의 기부(21)에서 블레이드형 휴즈(50)의 정상부까지의 높이가 낮아지고 블레이드형 휴즈(50)를 포함하는 홀더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다. 블레이드(52)가 접촉암(24a, 24b)에 접촉하면 한 쌍의 콘택트(20)가 블레이드형 휴즈(50)의 블레이드(52) 및 휴즈 링(53)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접촉돌기(24aa, 24bb)와 블레이드(52)와의 접동량이 많은 즉 와이핑량을 많이 취할 수 있으므로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O링(33)을 커버 부재(40)의 환상요부(43) 내에 배치하고 나서 커버 부재(40)를 블레이드형 휴즈(50) 위에서 피복하고 커버 부재(40)의 전측 래치 부재(42) 및 후측 래치 부재의 각각을 하우징(10)의 전측 계지돌기(18) 및 후측 계지돌기에 계지하고 커버 부재(40)를 하우징(10)에 계지한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형 휴즈(50)는 커버 부재(40)에 의해 피관됨과 함께 유지되고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블레이드형 휴즈(50)를 홀더(1)에서 떼어내는 때에는 소정의 공구사용 또는 수작업에 의해 커버 부재(40)의 전측 래치 부재(42) 및 후측 래치 부재의 각각을 전측 계지돌기(18) 및 후측 계지돌기로부터 떼어내 블레이드형 휴즈(50)를 당겨 빼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결(25)은 기부(21)의 긴 쪽 방향 전단 가장자리에서 절결되어 전단측에 열려 있으나 블레이드(52)의 관통을 허용하는 것이라면 주위가 무단상으로 열려 있는 구멍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의하면, 블레이드형 휴즈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되는 하우징과, 축선 방향이 상기 블레이드형 휴즈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해당 콘택트가 기부와 해당 기부의 양측부에서 기립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된 상기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암을 갖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한 쌍의 접촉암사이의 상기 기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블레이드형 휴즈를 하우징에 삽입한 때에 콘택트의 기부에서 블레이드형 휴즈의 정상부까지의 높이가 낮아져 콘택트의 축선방향이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있어서 블레이더형 휴즈를 포함하는 홀더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사용되는 콘택트에 의하면, 기부와 해당 기부의 양측부에서 기립하고,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된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암을 갖는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암사이의 상기 기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하였으므로 이 콘택트를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적용한 경우에 블레이더형 휴즈를 포함하는 홀더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다.

Claims (2)

  1. 블레이드형 휴즈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되는 하우징과, 축선 방향이 상기 블레이드형 휴즈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해당 콘택트가 기부와 해당 기부의 양측부에서 기립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삽입된 상기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암을 갖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한 쌍의 접촉암사이의 상기 기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
  2. 기부와 해당 기부의 양측부에서 기립하고,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된 블레이드형 휴즈의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암을 갖는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암사이의 상기 기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관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형 휴즈 홀더에 사용되는 콘택트.
KR10-2003-0015064A 2002-03-25 2003-03-11 블레이드형 휴즈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 KR20030077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3771A JP2003281989A (ja) 2002-03-25 2002-03-25 ブレード型ヒューズホルダ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JPJP-P-2002-00083771 2002-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965A true KR20030077965A (ko) 2003-10-04

Family

ID=2780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064A KR20030077965A (ko) 2002-03-25 2003-03-11 블레이드형 휴즈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30179070A1 (ko)
EP (1) EP1349188A3 (ko)
JP (1) JP2003281989A (ko)
KR (1) KR20030077965A (ko)
CN (1) CN14473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2877A1 (en) * 2004-06-18 2008-11-06 Alpi Co., Ltd Fuse Device
CN101079355B (zh) * 2005-06-20 2012-04-25 力特保险丝有限公司 一种防水内嵌式熔断器固定器
DE102006028104A1 (de) * 2005-06-20 2007-04-19 Littelfuse, Inc., Des Plaines Wasserdichter In-line Sicherungshalter
US20080254688A1 (en) * 2007-02-26 2008-10-16 Robert Bogursky Electronic component socket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772959B2 (en) * 2008-08-06 2010-08-10 Wen-Tsung Cheng Fuse seat having light-emitting module of hidden type
US7839258B2 (en) * 2008-08-06 2010-11-23 Wen-Tsung Cheng Fuse assembly with a capability of indicating a fusing state by light
US20100033294A1 (en) * 2008-08-06 2010-02-11 Wen-Tsung Cheng Fuse seat with prompting function
US8164411B2 (en) * 2010-01-06 2012-04-24 Wen-Tsung Cheng Fuse structure with power disconnection light indicating function
US8169291B2 (en) * 2010-01-06 2012-05-01 Wen-Tsung Cheng Combination-type fuse
DE102010028685B4 (de) * 2010-05-06 2015-07-23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zylindrischen Sicherung und Schaltgerät
JP5718661B2 (ja) * 2011-01-28 2015-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のヒューズ固定構造
FR3013892B1 (fr) * 2013-11-28 2017-11-24 Renault Sas Dispositif d'integration d'un fusible electrique sur un cable electrique, notamment embarque sur un vehicule electrique
PL3269011T3 (pl) * 2015-03-12 2021-08-02 Aees Inc. Nisko profilowy zespół zaciskowy
USD913935S1 (en) 2018-10-01 2021-03-23 The Noco Company Battery clamp
USD913937S1 (en) 2018-10-03 2021-03-23 The Noco Company Battery clamp
USD913938S1 (en) 2018-10-03 2021-03-23 The Noco Company Battery clamp
USD997102S1 (en) 2018-10-03 2023-08-29 The Noco Company Battery clamp
US10916897B1 (en) 2020-02-13 2021-02-09 Aees Inc. Battery mounted fuse holder
USD984381S1 (en) 2020-11-25 2023-04-25 The Noco Company Battery cable assembly for jump starting device
USD991186S1 (en) * 2020-12-11 2023-07-04 The Noco Company Battery cable assembly
USD991185S1 (en) * 2020-12-11 2023-07-04 The Noco Company Battery c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1485A (en) * 1981-01-09 1983-07-05 Mcgraw-Edison Company In-line fuse holder for miniature plug-in fuse
JPS6031179Y2 (ja) * 1981-02-10 1985-09-18 住友電装株式会社 中継端子
JPS57149369A (en) * 1981-03-11 1982-09-14 Asahi Chem Ind Co Ltd Novel adhesive
US4556274A (en) * 1983-12-21 1985-12-03 Motorola, Inc. Fuse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tion
US4789361A (en) * 1987-08-17 1988-12-06 Kinzalow Properties - Leasing Fused cigarette lighter receptacle and adaptor plug assemblies
US4798545A (en) * 1987-09-23 1989-01-17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Electrical terminal receptacle and electrical component housing adapted for the same
US4943248A (en) * 1988-06-29 1990-07-2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for bladed fuse
US4836802A (en) * 1988-06-30 1989-06-06 Brunswick Corporation Sealed fuse holder
US4846733A (en) * 1988-08-19 1989-07-11 Lucas Electrical Electronic Systems Limited Accessory fuse block
US4830631A (en) * 1988-08-26 1989-05-16 Hsueh Fu Cheng Fuse holder for connecting a flat-type fuse block between a pair of wires
DE8902868U1 (ko) * 1989-03-09 1989-08-24 Kao, Kun-Yao, Taipeh/T'ai-Pei, Tw
US5049095A (en) * 1990-06-04 1991-09-17 Molex Incorporated Automotive fuse socket and terminals therefor
US5281171A (en) * 1992-12-17 1994-01-25 Carrier Corporation Fuse holding device
JP2761832B2 (ja) * 1993-03-03 1998-06-04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の係止構造
US5668521A (en) * 1995-03-22 1997-09-16 Littelfuse, Inc. Three piece female blade fuse assembly having fuse link terminal with a clip receiving portion
US5951328A (en) * 1998-03-05 1999-09-14 Roper, Jr.; Arthur L. Blade-to-ferrule fuse adapter
US6168471B1 (en) * 1998-04-03 2001-01-02 Cathy D. Santa Cruz Ferrule-to-blade fuse adapter with a blown fuse indicator
US5880665A (en) * 1998-05-22 1999-03-09 The Whitaker Corporation Fuse holder
US6183309B1 (en) * 1999-04-26 2001-02-06 Thomas Shiaw-Cherng Chiang Molded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FR2812130B1 (fr) * 2000-07-18 2003-01-24 Proner Comatel Sa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JP2002251952A (ja) * 2001-02-22 2002-09-06 Jst Mfg Co Ltd ヒューズホルダー
US6781503B1 (en) * 2003-04-24 2004-08-24 Yazaki Corporation Fuse assembly for differently structured f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79070A1 (en) 2003-09-25
EP1349188A2 (en) 2003-10-01
JP2003281989A (ja) 2003-10-03
EP1349188A3 (en) 2004-05-19
US20040222875A1 (en) 2004-11-11
CN1447366A (zh)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7965A (ko) 블레이드형 휴즈홀더 및 이에 사용되는 콘택트
JP6462601B2 (ja) コネクタ
KR100359524B1 (ko)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US5690505A (en) Pressure joint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wire harness using the same
KR100851709B1 (ko) 전기 커넥터
CA2212468C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WO2010017382A1 (en) Housing sec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mponents, especially fuses
JP2003272742A (ja) コネクタ
JP2000150085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US5817976A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H087743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及びその組立方法
US5921807A (en) Crimping connector
KR910000989B1 (ko) 고주파 케이블 코넥터
KR19980032404A (ko) 스위치 접속 구조
GB2318921A (en) A switch for connection to a bus bar
JP7311309B2 (ja) コネクタ
JPH1116612A (ja) 電線の接続構造
KR101111595B1 (ko)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11082233B (zh) 端子和带有端子的电线
JPH10172681A (ja) コネクタ
JPH0877912A (ja) ヒューズホルダ
JP4198044B2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組付構造
JPH1118250A (ja) 電気接続箱
JPH0621183Y2 (ja) 分岐接続子及び分岐接続子用ハウジング
US20010012721A1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