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398A -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398A
KR20030077398A KR10-2003-0018115A KR20030018115A KR20030077398A KR 20030077398 A KR20030077398 A KR 20030077398A KR 20030018115 A KR20030018115 A KR 20030018115A KR 20030077398 A KR20030077398 A KR 2003007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image
window
pag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299B1 (ko
Inventor
소메야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Abstract

다량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표시 장치에 별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화상 신호 발생부(2)와, 인덱스 신호를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하는 인덱스 부가부(3)와,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표시 장치(11, 12, 13)에 송출하고,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 출력부(4)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11, 12, 13)에 윈도우(41, 42, 43)를 표시하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5)를 갖고, 윈도우 제어부(5)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한다.

Description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AUS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TO DISPLAY IMAGES}
본 발명은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의 각각에 별개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0-352962호 공보에는, 1대의 화상 신호 발생 장치(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서 복수의 표시 장치(예컨대, CRT 또는 액정 모니터 등)에 다른 화상을 표시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2는 이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제 1, 제 2, 제 3 표시장치(11, 12, 13)의 표시 영역이 모두 형성되는 좌표 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3은 이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신호의 송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2에서, 참조 부호 31, 32, 33은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인덱스이며, 참조 부호 41, 42, 43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윈도우이며, 참조 부호 51은 마우스 포인터 등의 포인터이다. 또한, 참조 부호 71, 72, 73은 제 1, 제 2, 제 3 표시 장치(11, 12, 13)의 화면(표시 영역)이며, 각각이 도 13의 제 1 페이지의 화상 신호 P1, 제 2 페이지의 화상 신호 P2, 제 3 페이지의 화상 신호 P3에 대응한다.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표시 장치(11, 12, 13)에는 미리 식별 정보(예컨대, 식별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수(여기서는 3대)와 같은 페이지수만큼(여기서는 3 페이지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페이지(화면(71, 72, 73))의 화상 신호 P1, P2, P3을 시분할로 출력한다. 각 페이지의 화상 신호 P1, P2, P3은 프레임마다 인덱스 신호가 부가되어 접속된 모든 표시 장치(11, 12, 13)에 제공된다. 각 표시 장치(11, 12, 13)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 P1, P2, P3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자신의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각 표시 장치(11, 12, 13)는, 인덱스 신호가 자신의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 경우에 그 인덱스 신호가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의 화상 신호 P1, P2, P3에 근거한 화상을 표시하고(즉, 표시 장치의 화상 메모리의 내용을 재기록함),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그 인덱스 신호가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의 화상 신호P1, P2, P3을 무시하고 표시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즉, 표시 장치의 화상 메모리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음).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화상 신호 발생 장치와 복수의 표시 장치를 접속 케이블에 의해 접속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넓은 표시 영역에 1개의 화상을 표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윈도우를 복수의 표시 장치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신호 발생 장치가 표시 장치의 수와 같은 페이지수분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여, 각 페이지의 화상을 전환하여 시분할로 출력한다고 하면, 다량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해져 시스템의 가격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다량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표시 장치에 별개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이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와 복수의 표시 장치와의 접속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에서의 인덱스 신호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3 페이지의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에서의 윈도우 제어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에서의 윈도우 제어의 흐름도,
도 12는 종래의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제 1, 제 2, 제 3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이 모두 형성되는 좌표 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도 12의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신호의 송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신호 발생 장치2 : 화상 신호 발생부
3 : 인덱스 부가부4 : 화상 신호 출력부
5 : 윈도우 제어부7 : 출력 단자
8 : 기록 매체10 : 접속 케이블
11 : 제 1 표시 장치12 : 제 2 표시 장치
13 : 제 3 표시 장치21 : 입력 단자
22 : 화상 신호 수신부23 : 인덱스 판별부
24 : 식별 번호 설정부25 : 인덱스 판정부
26 : 프레임 선택부27 : 화상 기억부
28 : 표시부31, 32, 33 : 인덱스
41, 42, 43 : 윈도우51 : 포인터
60 : 화상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61, 62, 63, 64 :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
In : 인덱스 신호P1, P2, P3 : 각 페이지의 화상 신호
청구항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화상 신호를 송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하나에 표시되는화상을 1 페이지의 화상으로 했을 때에, 1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화상 신호 발생부와, 인덱스 신호를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하는 인덱스 부가부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 출력부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윈도우 제어부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방법은,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하나에 표시되는 화상을 1 페이지로 했을 때에 1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생성하고, 인덱스 신호를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하며,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1대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1 페이지로 했을 때에 1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화상 신호 발생부를 갖고,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화상 신호를 송출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화상 신호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신호 처리가, 상기 화상 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인덱스 신호를 부가하는 처리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와 제 1, 제 2, 제 3 표시 장치(11, 12, 13)의 접속도이다.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이다. 제 1, 제 2, 제 3 표시 장치(11, 12, 13)는, 예컨대, 접속 케이블(10)에 의해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에 접속된 모니터이다. 도 2에는 3대의 표시 장치(11, 12, 13)가 도시되어 있지만,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의 대수는 2대 이하 또는 4대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에서는, 접속 케이블(10)을 도중에서 분기(예컨대, 분배기에 의한)시키고 있지만, 각 표시 장치(11, 12, 13)에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직렬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표시 장치(11, 12, 13)에는, 미리 다른 식별 정보(예컨대, 식별 번호 No.1, No.2, No.3)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의 하나의 출력 단자(7)에 접속 케이블(10)을 접속하고, 접속 케이블(10)의 다른 쪽 단부를 각 표시 장치(11, 12, 13)에 접속함으로써 각 표시 장치(11, 12, 13)에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동일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면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는 화상 신호 발생부(2)와, 인덱스 부가부(3)와, 화상 신호 출력부(4)와, 윈도우 제어부(5)와, 출력 단자(7)를 갖는다. 또한,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에 포함되는 각 구성의 참조 부호 2로부터 5까지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 회로 구성 등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상 신호 발생부(2), 인덱스 부가부(3) 및 윈도우 제어부(5)에서의 처리는, 윈도우 제어부(5)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자기 디스크나광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8) 또는 인터넷 등에 의한 다운로드에 의해 인스톨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화상 신호 발생부(2)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한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출력한다. 화상 신호 발생부(2)에서 생성되는 화상 신호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데이터 입력 또는 출력용의 복수의 윈도우(41, 42, 43)에 대한 것이나, 복수의 표시 장치(11, 12, 13)의 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넓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1개의 화상에 대한 것이 포함된다.
인덱스 부가부(3)는 화상 신호 발생부(2)로부터 출력된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인덱스 신호를 부가한다. 인덱스 신호는 각 표시 장치(11, 12, 13)에서 미리(예컨대, 전용 스위치, 다이얼, 또는 화면 상의 메뉴로부터의 조작 등에 의해) 설정된 식별 정보(예컨대,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인덱스 부가부(3)에 의한 인덱스 신호의 부가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인덱스 신호를 추가함으로써, 또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의 일부를 인덱스 신호로 치환함으로써 실행된다. 인덱스 신호는, 예컨대, 계조 표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화상 신호 출력부(4)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출력 단자(7)로부터 복수의 표시 장치(11, 12, 13)에 송출한다. 출력 신호의 형식은 아날로그 형식 및 TMDS(Transmiss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및 광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형식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윈도우 제어부(5)는 화상 신호 발생부(2) 및 인덱스 부가부(3)를 제어한다.윈도우 제어부(5)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11, 12, 13)에 윈도우(41, 42, 43)를 표시하고,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윈도우(41, 42, 43)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윈도우 제어부(5)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윈도우(41, 42, 43)의 표시 위치 정보를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한다. 페이지 전환의 동작은 그래피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예컨대, 화면 상의 버튼을 눌러 페이지를 전환하는 방법이나, 포인터(51)의 위치를 검출하여 포인터(51)가 화면의 끝에 도달한 경우(즉, 화면의 경계를 통과하고자 할 때)에 전환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에서의 인덱스 신호 In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3은 1 프레임 중 두 개 라인의 화상 신호 중(화상 표시 기간 내)의 소정 위치의 것을 인덱스 신호 In으로 치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덱스 부가부(3)는 화상 표시 기간 동안의 소정 위치에 인덱스 신호 In을 화상 신호의 일부와 치환하여 부가한다. 인덱스 신호 In은 화상 표시 기간 내의 화상 신호의 일부를 치환하여 부가(중첩)되므로, 표시 장치(11, 12, 13)의 표시 화면 중에 인덱스 신호 In에 대응하는 영상(예컨대, 도 2에 참조 부호 31, 32, 33으로 나타내는 영상)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표시 화면 중의 눈에 띄지 않는 위치(예컨대, 화면의 코너부 부근)에 인덱스 신호 In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11, 12, 1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각 표시 장치(11, 12, 13)는 입력 단자(21)와, 화상 신호 수신부(22)와, 수신된 인덱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근거하여 2치화하는 인덱스 판별부(23)와, 표시 장치(11, 12, 13)의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식별 번호 설정부(24)와,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표시 장치에 설정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덱스 판정부(25)를 갖는다. 또한, 각 표시 장치(11, 12, 13)는 인덱스 판정부(25)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화상 기억부(27)에 송출하는 프레임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프레임 선택부(26)와, 화상 기억부(27)와, 표시부(28)를 갖는다. 또한, 도 4에서, Di는 화상 신호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이며, Si는 화상 신호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되는 동기 신호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표시 장치(11, 12, 13)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설정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것인 경우에, 그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화상 기억부(27)에 기억하고,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5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로부터 출력되어 제 1 인덱스(31)가 부가된 화상 신호에 의해 제 1 표시 장치(11)에 표시되는 제 1 페이지의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0)은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표시 장치(11)의 표시 영역(즉, 화면) 1 페이지의 화소수는 가로 방향으로 w 화소(w는 정(正)의 정수), 세로 방향으로 h 화소(h는 정의 정수)이다. 제 1 표시 장치(11)의 표시 영역 상의 위치는 표시 영역의 좌/상의 코너부를 원점(0, O)으로 하여, x축을 가로 방향의 오른쪽으로 향하고, y축을 세로 방향의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좌표계에서의좌표로 표시된다. 단, 원점의 위치 및 좌표축의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신호 발생부(2)는 제 1 페이지의 화상으로서 윈도우(41)를 좌/상의 코너부의 좌표를 (x1, y1)로 하도록 발생시킨다. 인덱스 부가부(3)는 제 1 페이지의 화상 신호에 인덱스 신호(도 3의 부호 In)를 화상 신호의 소정 위치에 부가한다. 그 결과, 인덱스(31)가 화상의 소정 위치(예컨대, 화면의 좌/상)에 표시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제 1 페이지의 화상 신호가 화상 신호 발생부(2)의 1 페이지분의 메모리 공간에서 출력 단자(7)를 통해서 출력된 경우, 식별 번호 NO.1을 갖는 제 1 표시 장치(11)가 이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도 6은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로부터 출력되어 제 2 인덱스(32)가 부가된 화상 신호에 의해 제 2 표시 장치(12)에 표시되는 제 2 페이지의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0)은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표시 장치(12)의 표시 영역 1 페이지의 화소수는, 가로 방향으로 w 화소, 세로 방향으로 h 화소이다. 제 2 표시 장치(12)의 표시 영역 상의 위치는 제 2 표시 장치(12)의 표시 영역의 좌/상의 코너부를 원점(0, 0)으로 하여, x축을 가로 방향의 오른쪽으로 향하고, y축을 세로 방향의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좌표계에서의 좌표로 표시된다. 화상 신호 발생부(2)는 제 2 페이지의 화상으로서 윈도우(42)의 좌/상의 코너부의 좌표를 (x2, y2)로 하도록 발생시킨다. 인덱스 부가부(3)는 제 2 페이지의 인덱스 신호를 화상 신호의 소정 위치에 부가한다. 그 결과, 인덱스(32)가 화상의 소정위치(예컨대, 화면의 좌/상)에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제 2 페이지의 화상 신호가 화상 신호 발생부(2)의 1 페이지분의 메모리 공간에서 출력 단자(7)를 통해서 출력된 경우, 식별 번호 NO.2를 갖는 제 2 표시 장치(12)가 이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 6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1)은 복수 페이지의 화상 신호의 발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가상적인 좌표 공간이다. 화상 신호 발생부(2)로부터 제 2 페이지의 화상 신호(즉, 영역(60))를 출력하는 경우, 윈도우 제어부(5)는 제 1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1)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유지하는 위치 정보는 좌표 (x1, y1)을 w만큼 좌측으로 이동(즉, 좌표 변환)한 좌표 (x1-w, y1)이다. 다음에, 화상 신호 발생부(2)는 제 2 페이지에 표시하는 윈도우(12)를 좌표 (x2, y2)에 발생시킨다. 또한, 인덱스 부가부(3)는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제 1 페이지로부터 제 2 페이지로 변경한다. 윈도우(41)는 윈도우 제어부(5)에 의해서 좌표 (x1-w, y1)로 이동됨으로써 제 2 페이지의 좌표 공간(즉, 영역(60))의 밖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로부터 화상 신호로서 출력되지 않는다. 제 2 페이지의 화상 신호는 제 2 표시 장치(12)가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제 1 표시 장치(11)는 그 화상 기억부(도 4의 참조 부호 27)에 유지된 화상 신호를 제 1 페이지의 화상으로서 제 1 표시 장치(11)에 표시를 계속한다.
도 7은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로부터 출력되어 제 3 인덱스(33)가 부가된화상 신호에 의해 제 3 표시 장치(13)에 표시되는 제 3 페이지의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0)은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표시 장치(13)의 표시 영역 1 페이지의 화소수는 가로 방향으로 w 화소, 세로 방향으로 h 화소이다. 제 3 표시 장치(13)의 표시 영역 상의 위치는 제 3 표시 장치(13)의 표시 영역의 좌/상을 원점(0, 0)으로 하여, x축을 가로 방향의 오른쪽으로 향하고, y축을 세로 방향의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좌표계에서의 좌표로 표시된다. 화상 신호 발생부(2)는 제 3 페이지의 화상으로서 윈도우(43)를 좌/상의 코너부의 좌표를 (x3, y3)로 하도록 발생시킨다. 인덱스 부가부(3)는 제 3 페이지의 인덱스 신호를 화상 신호의 소정 위치에 부가한다. 그 결과, 인덱스(33)가 화상의 소정 위치(예컨대, 화면의 좌/상)에 표시된다. 도 7에 도시된 제 3 페이지의 화상 신호가 화상 신호 발생부(2)의 1 페이지분의 메모리 공간에서 출력 단자(7)를 통해서 출력된 경우, 식별 번호 NO.3을 갖는 제 3 표시 장치(13)가 이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 7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1, 62)은 복수 페이지의 발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가상적인 좌표 공간이다. 화상 신호 발생부(2)에서 제 3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윈도우 제어부(5)는 제 1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1)의 위치 정보 및 제 2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2)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유지된는 위치 정보는 좌표 (x1, y1)을 2W만큼 좌측으로 이동(좌표 변환)한 좌표 (x1-2w, y1) 및 좌표 (x2, y2)를 w만큼 좌측으로이동한 좌표 (x2-w, y2)이다. 다음에, 화상 신호 발생부(2)는 제 3 페이지에 표시하는 윈도우(43)를 좌표 (x3, y3)에 발생시킨다. 또한, 인덱스 부가부(3)는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제 2 페이지로부터 제 3 페이지로 변경한다. 윈도우(42)는 윈도우 제어부(5)에 의해서 좌표 (x2-w, y2)로 이동됨으로써 제 3 페이지의 좌표 공간(즉, 영역(60))의 밖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로부터 화상 신호로서 출력되지 않는다. 제 3 페이지의 화상 신호는 제 3 표시 장치(13)가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제 1 표시 장치(11)는 그 화상 기억부(도 4의 참조 부호 27)에 유지된 화상 신호를 제 1 페이지의 화상으로서 제 1 표시 장치(11)에 표시를 계속하며, 제 2 표시 장치(12)는 그 화상 기억부(도 4의 참조 부호 27)에 유지된 화상 신호를 제 2 페이지의 화상으로서 제 2 표시 장치(12)에 표시를 계속한다.
도 8은 제 3 페이지로부터 제 1 페이지의 화상 신호로 전환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8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3, 64)은 복수 페이지의 발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가상적인 좌표 공간이다. 제 3 페이지로부터 제 1 페이지의 화상 신호로 전환하는 경우, 윈도우 제어부(5)는 제 2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2)의 위치 정보 및 제 3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3)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윈도우 제어부(5)는 윈도우(41)의 좌표를 (x1, y1)로 이동(즉, 좌표 변환)하고, 윈도우(42)의 좌표를 (x2+w, y2)로 이동하며, 윈도우(43)의 좌표를 (x3+2w, y3)으로 이동한다. 또한, 인덱스 부가부(3)는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제 3 페이지로부터 제 1 페이지로 변경한다. 여기서, 윈도우 제어부(5)에 의해서, 윈도우(41)는 좌표 (x1, y1)로 이동되고, 윈도우(12)는 좌표 (x2+w, y2)로 이동되며, 윈도우(13)는 좌표 (x3+2w, y3)으로 이동됨으로써 윈도우(41)만이 제 1 페이지의 좌표 공간(즉, 영역(60)) 중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윈도우(41)를 포함하는 화상 신호만이 화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도 9는 제 1 페이지로부터 제 2 페이지의 화상 신호로 전환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9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영역(61, 63)은 복수 페이지의 발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가상적인 좌표 공간이다. 제 1 페이지로부터 제 2 페이지의 화상 신호로 전환하는 경우, 윈도우 제어부(5)는 제 1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1)의 위치 정보 및 제 3 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었던 윈도우(43)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윈도우 제어부(5)는 윈도우(41)의 좌표를 (x1-w, y1)로 이동하고, 윈도우(12)의 좌표를 (x2, y2)로 이동하며, 윈도우(43)의 좌표를 (x3+w, y3)으로 이동한다. 또한, 인덱스 부가부(3)는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페이지 1로부터 페이지 2로 변경한다. 여기서, 윈도우 제어부(5)에 의해서 윈도우(41)는 좌표 (x1-w, y1)로 이동되고, 윈도우(42)는 좌표 (x2, y2)로 이동되며, 윈도우(13)는 좌표 (x3+w, y3)으로 이동됨으로써 윈도우(42)만이 제 2 페이지의 좌표 공간(즉, 영역(60)) 중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윈도우(42)를 포함하는 화상 신호만이 화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페이지 번호를 현재의 페이지 번호보다 m 페이지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가로 방향의 좌표를 w×m만큼 감산하고, 반대로 페이지 번호를 m 페이지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가로 방향의 좌표를 w×m만큼 가산한다. 이와 같이 좌표의 이동량을 1 페이지의 가로 방향의 화소수로 함으로써 각 윈도우의 좌표에 {가로 방향의 화소수×(변경 전의 페이지 번호-변경 후의 페이지 번호)}로 표시되는 값을 가산하는 것만으로 윈도우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각 윈도우의 좌표와 각 윈도우가 표시되어야 할 페이지 번호를 유지하고, 표시되어야 할 윈도우의 좌표를 좌표 공간(60) 중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해도 무방하다.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1)에서의 페이지의 전환 동작에서의 윈도우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포인터(51)의 위치에 따라서, 화상 신호 발생 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의 페이지가 전환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T1에서, 윈도우 제어부(5)는 화면 상에 있는 포인터(51)의 좌표 (Xt, Yt)를 취득한다. 여기서, Xt는 시간 t에서의 가로 방향의 좌표, Yt는 시간 t에서의 세로 방향의 좌표를 나타낸다. 단계 ST2에서, 단계 ST1에서 취득한 포인터(51)의 위치 Xt가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1에서, Xt=0인 경우(즉, 포인터(51)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경계 상에 있는 경우), 처리는단계 ST3으로 진행하고, Xt가 0 이외인 경우(즉, 포인터(51)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경계 상에 없는 경우), 처리는 단계 ST7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 ST3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시간 t-1에 취득한 포인터(51)의 좌표 (Xt-1, Yt-1)을 이용하여, Xt-1-Xt>n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3에서, 판단이 "예"일 때(포인터가 설정 속도보다 빠른 이동 동작에 의해서 경계에 달했을 때임)에는 페이지 전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단계 ST4로 진행하고, 판단이 "아니오"일 때(포인터가 설정 속도보다 느린 이동 동작에 의해서 경계에 달했을 때임)에는 윈도우 제어를 종료한다. 여기서, n은 페이지를 전환할 때의 조건으로서 포인터(51)의 시간당 이동량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n이 1 이하인 경우에는, 화면단에 포인터(51)가 이동했을 때에 반드시 페이지의 전환 동작이 발생해 버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n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T4에서,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예컨대, 페이지 번호를 감소시키도록 변경한다(예컨대, 도 9로부터 도 8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당함). 이 경우에는, 다음 단계 ST5에서, 포인터(51)의 좌표를 (0, Yt)로부터 (w-1, Yt)로 변경하여 포인터(51)의 표시 위치를 화면의 좌단으로부터 화면의 우단으로 변경한다(예컨대, 도 9의 화면(60)의 좌단으로부터 도 8의 화면(60)의 우단으로 변경함). 다음 단계 ST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윈도우의 좌표를 제어함으로써, 각 페이지에 표시되는 윈도우의 전환을 행한다.
한편, 단계 ST2에서, Xt=0 이외일 때는 단계 ST7로 진행하고, 단계 ST7에서Xt=w-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7에서 판단이 "예"일 때에는 처리는 단계 ST8로 진행하며, 판단이 "아니오"일 때에는 윈도우 제어를 종료한다. 단계 ST8에서는, 단계 ST3과 마찬가지로 시간 t-1에 취득한 포인터의 좌표 (Xt-1, Yt-1)을 이용하여 Xt-Xt-1>n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이 "예"일 때(포인터가 설정 속도보다 빠른 이동 동작에 의해서 경계에 달했을 때임)에는 페이지 전환의 동작을 개시하기 때문에 단계 ST9로 진행하고, 판단이 "아니오"일 때(포인터가 설정 속도보다 느린 이동 동작에 의해서 경계에 달했을 때임)에는 윈도우 제어를 종료한다.
단계 ST9에서는,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예컨대, 페이지 번호를 증가시키도록 변경한다(예컨대, 도 8로부터 도 9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당함). 다음 단계 ST10에서 포인터(51)의 좌표를 (w-1, Yt)로부터 (0, Yt)로 변경한다(예컨대, 도 8의 화면(60)의 우단으로부터 도 9의 화면(60)의 좌단으로 변경함). 다음 단계 ST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윈도우의 좌표를 제어함으로써 각 페이지에 표시되는 윈도우의 전환을 행한다.
상기 설명한 윈도우 제어의 흐름도를 일정 시간마다 실시함으로써 포인터(51)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페이지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 또는 화상 신호 발생 방법에 의하면, 각 페이지에 표시되는 윈도우(41, 42, 43)의 좌표를 인덱스와 관련시켜 제어하기 때문에, 다량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화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속으로 메모리 공간을전환하거나, 또는 다량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 공간에 전송하지 않고 페이지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의 좌표 변경량이 화면 크기의 가로 또는 세로의 화소수의 정수배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윈도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등의 포인터의 표시 위치에 따라 페이지의 전환을 행하기 때문에, 페이지 전환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 및 화상 신호 발생 방법은 포인터(51)의 좌표와 표시 페이지의 전환 관계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설명에서는, 도 1로부터 도 9를 참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신호 발생 장치 및 화상 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 페이지 전환 동작에서의 윈도우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T21에서, 윈도우 제어부(5)는 화면 상에 있는 포인터의 좌표 (Xt, Yt)를 취득한다. 여기서, Xt는 시간 t에서의 가로 방향의 좌표, Yt는 시간 t에서의 세로 방향의 좌표를 나타낸다. 단계 ST22에서, 윈도우 제어부(5)는 Xt-Xt-1>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Xt-Xt-1>0일 때는 처리는 단계 ST23으로 진행하고, Xt-Xt-1>0 이외일 때에는 처리는 단계 ST27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 ST23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시간 t-1에 취득한 포인터의 좌표(Xt-1, Yt-1)을 이용하여 2Xt-Xt-1>w-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23에서, 판단이 "예"일 때에는 페이지 전환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단계 ST24로 진행하고, 판단이 "아니오"일 때에는 윈도우 제어를 종료한다.
단계 ST24에서,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예컨대, 페이지 번호를 증가시키도록 변경한다(예컨대, 도 8로부터 도 9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당함). 이 경우에는, 다음 단계 ST25에서, 포인터(51)의 좌표를 (Xt, Yt)로부터 (2Xt-Xt-1-w, Yt)로 변경하여 포인터(51)의 표시 위치를 화면 우측으로부터 화면 좌측으로 변경한다(예컨대, 도 8의 화면(60)의 우단으로부터 도 9의 화면(60)의 좌단으로 변경함). 다음 단계 ST2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윈도우의 좌표를 제어함으로써 각 페이지에 표시되는 윈도우의 전환을 행한다.
한편, 단계 ST27에서는, 2Xt-Xt-1<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27에서의 판단이 "예"일 때는 처리는 단계 ST28로 진행하고, 단계 ST27에서의 판단이 "아니오"일 때는 윈도우 제어를 종료한다.
단계 ST28에서는, 인덱스의 표시 장치 선택 정보를, 예컨대, 페이지 번호를 감소시키도록 변경한다(예컨대, 도 9로부터 도 8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당함). 다음 단계 ST29에서, 포인터(51)의 좌표를 (Xt, Yt)로부터 (w+2Xt-Xt-1, Yt)로 변경하여, 포인터(51)의 표시 위치를 화면 좌측으로부터 화면 우측으로 변경한다(예컨대, 도 9의 화면(60)의 좌단으로부터 도 8의 화면(60)의 우단으로 변경함). 다음 단계 ST2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윈도우의 좌표를 제어함으로써, 각 페이지에 표시되는 윈도우의 전환을 행한다.
상기 설명한 윈도우 제어의 흐름도를 일정 시간마다 실시함으로써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페이지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화상 신호 발생 장치에 필요한 화상 발생을 위한 메모리 공간은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전체를 나타내는 좌표 공간만으로 충분해서, 가상적인 좌표 공간은 메모리 공간으로서 준비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다량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페이지의 전환은 표시하는 윈도우의 좌표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페이지 전체를 전환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메모리 공간을 전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다량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 공간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가상적인 좌표 공간을 실제로 발생하는 좌표 공간의 좌우에 배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하에 배치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상적인 좌표 공간은 2차원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가상적인 좌표 공간을 실제로 발생하는 좌표 공간의 좌우에 배치하고, 마우스 포인터가 화면 좌우의 끝에 도달한 경우에 페이지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을 상하에 배치하고, 마우스 포인터가 상하단에 도달한 경우에 페이지 전환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윈도우 제어에 의한 윈도우의 이동량을 화면의 수평 화소수의 정수배로서 설명했지만, 표시되지 않는 윈도우가 실제로 표시하는 좌표 공간밖으로 이동하도록 좌표를 제어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윈도우의 정보로서 표시 좌표를 취득하여 표시하지 않는 윈도우의 좌표를 실제로 표시할 수 있는 좌표 공간의 밖으로 이동하도록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윈도우의 크기를 취득하여, 표시하지 않는 윈도우의 크기가 0이 되도록 제어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신호 발생 장치, 청구항 2에 기재된 화상 신호 발생 방법, 청구항 3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의하면, 다량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속으로 메모리 공간을 전환하거나, 또는 다량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 공간에 전송하지 않고 페이지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화상 신호를 송출하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하나에 표시되는 화상을 1 페이지의 화상으로 했을 때에, 1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화상 신호 발생부와,
    인덱스 신호를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하는 인덱스 부가부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 출력부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윈도우 제어부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발생 장치.
  2.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상 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하나에 표시되는 화상을 1 페이지로 했을 때에, 1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생성하고,
    인덱스 신호를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하며,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발생 방법.
  3. 1대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1 페이지로 했을 때에, 1 페이지의 화상 신호를 1 프레임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화상 신호 발생부를 갖고, 식별 정보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 장치에 화상 신호를 송출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화상 신호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 처리가,
    상기 화상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인덱스 신호를 부가하는 처리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에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가, 상기 각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인덱스 신호가 바뀔 때에 상기 윈도우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인덱스 신호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3-0018115A 2002-03-25 2003-03-24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504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2345 2002-03-25
JP2002082345A JP3883459B2 (ja) 2002-03-25 2002-03-25 画像信号発生装置、画像信号発生方法、この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98A true KR20030077398A (ko) 2003-10-01
KR100504299B1 KR100504299B1 (ko) 2005-07-27

Family

ID=2803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115A KR100504299B1 (ko) 2002-03-25 2003-03-24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2005B2 (ko)
JP (1) JP3883459B2 (ko)
KR (1) KR100504299B1 (ko)
CN (1) CN1229716C (ko)
TW (1) TWI229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083B2 (ja) * 2002-03-20 2007-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信号発生装置、画像信号発生方法、この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171622B2 (en) * 2002-07-18 2007-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jecting objects in a display unit
KR100968457B1 (ko) * 2003-05-14 201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방법
JP2005134479A (ja) * 2003-10-28 2005-05-26 Pioneer Electronic Corp 描画装置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描画表示システム
US20050148392A1 (en) * 2003-11-21 2005-07-07 Hypertek Simul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ystem to provide multiple touchscreen inputs
CN100373942C (zh) * 2004-06-25 2008-03-05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面向瘦终端的多视频流显示方法与系统
KR100662450B1 (ko) * 2005-01-1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4650318B2 (ja) * 2006-03-27 2011-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と画像表示装置との間の通信
JP2007286332A (ja) * 2006-04-17 2007-11-01 Tangtake Technology Co Ltd 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
US7808447B1 (en) * 2006-10-04 2010-10-05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plurality of displays
US8516393B2 (en) * 2006-12-18 2013-08-20 Robert Pedersen, II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mages in a multiple display environment
GB0700163D0 (en) * 2007-01-05 2007-02-14 Kord Ali A Display Booth
US8005316B1 (en) * 2007-05-16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data for media repurposing
US7936910B2 (en) * 2007-09-20 2011-05-03 James Hamilton Watt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displaying medical images
JP5400327B2 (ja) * 2008-07-22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および画像制御方法
JP2010107997A (ja) * 2009-12-25 2010-05-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2565480B (zh) * 2010-12-31 2016-04-06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测试设备的多窗口显示方法
JP5971138B2 (ja) * 2013-01-30 2016-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表示システム
JP6442910B2 (ja) * 2014-08-07 2018-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582A (ja) * 1985-02-18 1986-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ウインドウ書込み制御装置
JPH05127856A (ja) 1991-10-31 1993-05-25 Toshiba Corp マルチ画像表示装置
JPH05249932A (ja) 1992-03-04 1993-09-28 Hitachi Ltd マルチ画面表示装置
US5564002A (en) * 1994-08-01 1996-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irtual desktop through window positioning
US5694150A (en) * 1995-09-21 1997-12-02 Elo Touchsystems, Inc. Multiuser/multi pointing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KR100287091B1 (ko) * 1996-08-19 2001-04-16 포만 제프리 엘 다수의 컴퓨터를 위한 단일 지시 장치/키보드
US6018340A (en) * 1997-01-27 2000-01-25 Microsoft Corporation Robust display management in a multiple monitor environment
JP3831538B2 (ja) * 1998-11-26 2006-10-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ィスプレイの省電力方法及び装置
JP4172096B2 (ja) * 1999-06-14 2008-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信号発生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4055359B2 (ja) * 2000-12-14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3913083B2 (ja) * 2002-03-20 2007-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信号発生装置、画像信号発生方法、この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80621A (ja) 2003-10-02
CN1447220A (zh) 2003-10-08
TWI229314B (en) 2005-03-11
JP3883459B2 (ja) 2007-02-21
US6862005B2 (en) 2005-03-01
KR100504299B1 (ko) 2005-07-27
TW200304636A (en) 2003-10-01
CN1229716C (zh) 2005-11-30
US20030179155A1 (en)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299B1 (ko) 화상 신호 발생 장치, 화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62594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user to access data network applications from a television system
JP2583003B2 (ja) グラフィックス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イメージ表示方法、フレーム・バッファ及びグラフィックス表示システム
US6664968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of display device
EP036687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EP04994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US59909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a display screen of a television system with images representing network application data
US6522335B2 (en) Supplying data to a double buffering process
US78939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0510314B1 (ko) 화상 신호 발생 장치 및 화상 신호 발생 방법
US60056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representing network application data along with interlaced images encoded in television signals.
JP3872295B2 (ja) データ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セッサ・ベース・システム
KR20010032565A (ko)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타를 표시하는 텔레비젼시스템에 구현된 플리커 필터 및 인터레이서
US633945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CN116935798A (zh) 显示设备、显示屏背光调整方法及装置
JP200117523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N117255164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H04261589A (ja) グラフィック表示装置
JP2011248225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用表示装置
JPH1011049A (ja) オーバレイ表示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オーバレイ装置
JPH0214715B2 (ko)
JPH03196189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H04150177A (ja) 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内容表示装置
JPH10336640A (ja) 監視制御装置及び監視制御装置における画面調整方法
JPH0717272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