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504A -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504A
KR20030076504A KR1020030058242A KR20030058242A KR20030076504A KR 20030076504 A KR20030076504 A KR 20030076504A KR 1020030058242 A KR1020030058242 A KR 1020030058242A KR 20030058242 A KR20030058242 A KR 20030058242A KR 20030076504 A KR20030076504 A KR 2003007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aker
sound
hol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908B1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엠엠기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기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엠기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5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9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504A/ko
Priority to PCT/KR2004/002103 priority patent/WO20050206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을 모듈화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면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재생되는 음파가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리판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 사이로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중앙부로 모아주는 다수개의 안내판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 상기 스피커 후면에서 발생하는 후방음(역위상음)의 일부가 외부로 배음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청취홀을 빠져나오기 전에 반사되는 음파의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하면 음장돌기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청취홀을 빠져나온 음파가 혼합되어 공명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파혼합실과 그 벽면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음파혼합실의 내벽면에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청자의 귀와 접촉되어 소정의 큐션감을 형성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음질을 향상은 물론, 음파 분리도, 음장 형성 효과, 잡음 감쇠 효과, 울림방지 등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정밀 제어하여 튜닝할 수 있으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우수하며, 생산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등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쾌적한 청취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Speaker module assembly of multichannel headphone}
본 발명은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을 모듈화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다채널 헤드폰은,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을 장착하게 되지만, 상기 스피커 유닛은 통상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음질향상에 대한 구조적인 고려가 부재하고, 각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한 음파가 서로 혼합되는 과정에서 심한 울림현상이 발생하거나, 스피커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전방음과 스피커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후방음을 구조적으로 최적의 음질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없는 구성이였기 때문에, 종래의 다채널 헤드폰은, 프론트/리어/센터/우퍼 간의 분리도가 명확하지 못하여 다채널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전방음과 후방음의 제어가 불가능하여 원하는 형태의 음질로 튜닝되지 못하며, 다채널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 간의 간섭이나 불필요한 반사 및 산란으로 인해 듣기 싫은 잡음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채널 헤드폰은, 여러 부품들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음파를 안내하거나 튜닝하는 기능들을 담당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지 못하고, 단지 스피커가 케이스에 접착되거나 고정되는 등 단순한 형태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부품 교체가 불가능하고, 조립성이 떨어지며, 생산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격리판, 안내판, 개방홀, 음파혼합실, 음장돌기, 울림방지홀 등 음질향상을 위한 각종 구성이 각 부품들 간의 조립으로 인해 형성되도록 모듈화하여 음질을 향상은 물론, 음파 분리도, 음장 형성 효과, 잡음 감쇠 효과, 울림방지 등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를정밀 제어하여 튜닝할 수 있게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부품들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음파를 안내하거나 튜닝하는 기능들을 담당할 수 있도록 모듈화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우수하며, 생산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등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귀덮개의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이고, 귀덮개에 열보유물질을 갖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여름이나 겨울에 귀부분을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상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귀덮개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면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하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이 부착되는 유닛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재생되는 음파가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리판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 사이로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중앙부로 모아주는 다수개의 안내판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 상기 내부 프레임의 하면을 덮어 각각의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 스피커 후면에서 발생하는 역위상음의 일부가 외부로 배음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형상이고, 각각의 스피커 유닛에서 재생된 음파가 청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청취홀이 형성되고, 상기 청취홀을 빠져나오기 전에 반사되는 음파의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하면 음장돌기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청취홀을 빠져나온 음파가 혼합되어 공명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파혼합실과 그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음파혼합실의 내벽면 상면에 음장형성을 위한 다수개의 상면 음장돌기가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음파혼합실의 내벽면에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청취홀과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착탈판과, 상기 착탈판의 관통구를 덮는 망사와, 상기 착탈판 상기 착탈판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착탈판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청자의 귀와 접촉되어 소정의 큐션감을 형성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귀덮개의 착탈판은, 상기 상부 케이스 음파혼합실의 내벽면과 트위스트캡방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의 열보유물질이 형성되어 냉장고나 전자랜지에 시원하게 또는 따뜻하게 하여 착탈식으로 상기 착탈판과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헤드폰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는, 크게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10)과, 상기 스피커 유닛(10)을 감싸는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와, 상기 상부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 사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40) 및 귀덮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 유닛(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센터 유닛(11), 좌측에 프론트 유닛(12), 우측에 리어 유닛(13) 및 도시하진 않았지만 별도의 우퍼 유닛이나 진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스피커 유닛(10)은 4 채널, 4.1 채널, 5채널, 5.1 채널, 6채널, 6.1채널, 7채널, 7.1채널 등 매우 다양한 다채널 스피커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프레임(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 유닛(10)의 전면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하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10)이 부착되는 유닛홀(40a)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10)에서 재생되는 음파가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리판(41)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41) 사이로 상기 스피커 유닛(10)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중앙부로 모아주는 다수개의 안내판(4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 유닛(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둥근 링형 격리판(411)과 그 격리판(411) 내부에 동심의 둥근 링형 안내판(4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유닛(12) 및 리어 유닛(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빗살형 격리판(412)과 그 격리판(412) 내부에 다수개의 빗살형 안내판(4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각기 다른 종류의 음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상기 격리판(41)이 음파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안내판(42)이 청자의 귀로 발생된 음파를 인도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센터 유닛(1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둥근 링형 안내판(421)은 상기 센터 유닛(11)에서 발생된 음파가 청자의 귀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반사를 고려하고 있지 않으나 이에 반하여 상기 프론트 유닛(12) 및 리어 유닛(13)이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빗살형 격리판(412)과 빗살형 안내판(422)은 음파의 분리도가 유지되도록 일정 비율의 반사를 고려하여 방사형태의 다수개 빗살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프레임(40)의 하면을 덮어 각각의 스피커 유닛(10)의 후면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 스피커 유닛 후면에서 발생하는 후방음(역위상음)의 일부가 외부로 배음되도록 개방홀(3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 유닛(11)과, 프론트 유닛(12) 및 리어 유닛(13)과 각각 밀착되는 밀착판(32)이 형성되고, 스피커 울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밀착판(32)의 외부로, 도 4 및 도 5의 상기 내부 프레임(40)의 울림방지홀(33) 및 도 6 및 도 7의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울림방지홀(33)과 연통되는 울림방지홀(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유닛(10) 후면에서 발생되는 후방음(역위상음) 중 일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30)의 개방홀(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소위 스피커 인클로져가 개방되어 다이내믹하고 음파 형성이 섬세한 개방형 스피커(Open-type Speaker)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스피커 유닛(10)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전방음(정위상음) 중 일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30)의 울림방지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소위 스피커 유닛의 전방음 울림현상을 감쇠하는 울림방지형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프레임(40)의 상면을 덮는 형상이고, 각각의 스피커 유닛(10)에서 재생된 음파가 청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청취홀(20a)이 형성되고, 상기 청취홀(20a)을 빠져나오기 전에 반사되는 음파의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하면 음장돌기(21)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청취홀(20a)을 빠져나온 음파가 혼합되어 공명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파혼합실(22a)과 그 벽면(22)이 형성되고, 상기 음파혼합실(22a)의 내벽면 상면에 음장형성을 위한 다수개의 상면 음장돌기(23)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 프레임(40)의 격리판(41)과 안내판(42)에 밀착되어 대응하는 대응홀(24)이 형성되고, 일측에 진동 유닛(14)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스피커 유닛(10)에서 발생된 음파가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반사되는 동안, 상기 하면 음장돌기(21) 및 상면 음장돌기(23)에 의해 불필요한 잡음이 산란되어 감소되고, 상기 음파혼합실(22a)에서 혼합되어 청자에게 마치 넓은 장소에서 펼쳐지는 듯한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귀덮개(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20)에 형성된 상기 음파혼합실(22a)의 내벽면에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청취홀(20a)과 대응되는 관통구(51a)가 형성되는 착탈판(51)과, 상기 착탈판(51)의 관통구(51a)를 덮는 망사(52)와, 상기 착탈판(5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착탈판(51)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청자의 귀와 접촉되어 소정의 큐션감을 형성하는 완충부재(5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귀덮개(50)의 착탈판(51)은, 상기 상부 케이스(20) 음파혼합실(22a)의 벽면(22)과 트위스트캡방식(도 8의 돌림홈(54)과 상기 돌림홈(54)에 억지물림되는 도 1의 돌림돌기(25)에 의해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방식) 으로 조립되고, 상기 완충부재(53)는 내부의 열보유물질이 형성되어 냉장고나 전자랜지에 시원하게 또는 따뜻하게 하여 착탈식으로 상기 착탈판(51)과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운 여름철이나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귀가 더워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완충부재(53)를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한 후, 귀부분을 시원하게 하여 장기간 음향을 즐길 수 있고, 차가운 겨울철이나 야외에서의 사용으로 인하여 귀가 추워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완충부재(53)를 전자랜지에 뜨겁게 한 후, 귀부분을 따뜻하게 하여 장시간 음향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록 냉장고나 전자랜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열보유물질의 특성상 귀부분이 급속하게 뜨거워지거나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열보유물질을 갖는 완충부재(53)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쾌적한 청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열보유물질에 대한 기술은 이미 얼굴팩이나 아이스박스의 냉매 등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열보유물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다채널 스피커 유닛에 적용가능하고, 구조물의 외형이 반드시 도면에 제시되는 디자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에 의하면, 음질향상을 위한 각종 구성이 각 부품들 간의 조립으로 인해 형성되도록 모듈화하여 음질을 향상은 물론, 음파 분리도, 음장 형성 효과, 잡음 감쇠 효과, 울림방지 등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정밀 제어하여 튜닝할 수 있으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우수하며, 생산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등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귀덮개의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이고, 귀덮개에 열보유물질을 갖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여름이나 겨울에 귀부분을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면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하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이 부착되는 유닛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재생되는 음파가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리판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 사이로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중앙부로 모아주는 다수개의 안내판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
    상기 내부 프레임의 하면을 덮어 각각의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 스피커 후면에서 발생하는 후방음(역위상음)의 일부가 외부로 배음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형상이고, 각각의 스피커 유닛에서 재생된 음파가 청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청취홀이 형성되고, 상기 청취홀을 빠져나오기 전에 반사되는 음파의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하면 음장돌기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청취홀을 빠져나온 음파가 혼합되어 공명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파혼합실과 그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음파혼합실의 내벽면 상면에 음장형성을 위한 다수개의 상면 음장돌기가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음파혼합실의 내벽면에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청취홀과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착탈판과, 상기 착탈판의 관통구를 덮는 망사와, 상기 착탈판 상기 착탈판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착탈판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청자의 귀와 접촉되어 소정의 큐션감을 형성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귀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중앙에 센터 유닛, 좌측에 프론트 유닛, 우측에 리어 유닛 및 우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센터 유닛과 대응하는 위치에 둥근 링형 격리판과 그 격리판 내부에 동심의 둥근 링형 안내판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유닛 및 리어 유닛과 대응하는 위치에 빗살형 격리판과 그 격리판 내부에 다수개의 빗살형 안내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센터 유닛과, 프론트 유닛 및 리어 유닛과 각각 밀착되는 밀착판이 형성되고, 스피커의 전방음(정위상음)의 울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밀착판의 외부로 상기 내부 프레임의 울림방지홀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울림방지홀과 연통되는 울림방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격리판과 안내판에 밀착되어 대응하는 대응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진동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덮개의 착탈판은, 상기 상부 케이스 음파혼합실의 내벽면과 트위스트캡방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의 열보유물질이 형성되어 냉장고나 전자랜지에 시원하게 또는 따뜻하게 하여 착탈식으로 상기 착탈판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KR20030058242A 2003-08-22 2003-08-22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KR100496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8242A KR100496908B1 (ko) 2003-08-22 2003-08-22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PCT/KR2004/002103 WO2005020627A1 (en) 2003-08-22 2004-08-20 Speaker module assembly of multichannel hea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8242A KR100496908B1 (ko) 2003-08-22 2003-08-22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504A true KR20030076504A (ko) 2003-09-26
KR100496908B1 KR100496908B1 (ko) 2005-06-23

Family

ID=3222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8242A KR100496908B1 (ko) 2003-08-22 2003-08-22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6908B1 (ko)
WO (1) WO20050206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56B1 (ko) 2007-10-17 2008-03-17 주식회사 블루콤 마이크로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57B1 (ko) * 2007-09-28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셋
SG152939A1 (en) * 2007-11-22 2009-06-29 Creative Tech Ltd An ear bud earphone with variable noise isolation, a cushion for an ear bud earphone and a corresponding method
WO2010134653A1 (ko) * 2009-05-22 2010-11-25 에스에프원(주) 다채널 헤드폰 시스템
WO2010134652A1 (ko) * 2009-05-22 2010-11-25 에스에프원(주) 다채널 헤드폰용 공명관 구조체
CN102625223B (zh) * 2011-01-31 2014-07-30 声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体式外型耳套组装方法
EP2709379A1 (en) * 2012-09-17 2014-03-19 Sennheiser Communications A/S Ear appliance
KR200485368Y1 (ko) * 2017-03-15 2017-12-28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헤드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171B1 (en) * 2000-09-25 2002-05-11 Mm Gear Multi-channel headphone system
TW522748B (en) * 2001-05-29 2003-03-01 Yau-Sheng Shen Structure of earphone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JP2003199187A (ja) * 2001-12-17 2003-07-11 Zuisho Ko ヘッドフォ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56B1 (ko) 2007-10-17 2008-03-17 주식회사 블루콤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0627A1 (en) 2005-03-03
KR100496908B1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9652B (zh) 耳機
US20040264727A1 (en) Bass reflex-type headphone
JP5650251B2 (ja) 同軸用音発生部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有する2ウェイイヤホン
EP1401237B1 (en) Asymmetrical loudspeaker enclosures with enhanced low frequency response
GB2408405A (en) Sonic emitter
KR100496908B1 (ko) 다채널 헤드폰의 스피커 모듈 조립체
KR101451687B1 (ko) 코엑셜 효과의 2웨이 스피커
JP2004509541A (ja) 多チャンネルヘッドホンシステム
US20210029447A1 (en) In-vehicle independent sound field system and control system based on mini-speakers
EP3200476B1 (en) Headphone
CN112584265B (zh) 一种耳机
KR100490868B1 (ko) 다채널 헤드폰
US20080199035A1 (en) In-Ear Phone
JP2624256B2 (ja) ヘツドホン
CN220002103U (zh) 一种降噪耳塞
KR102053263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US7130438B2 (en) Acoustic enclosure for single audio transducer
JPH04347997A (ja) ヘッドホン
CN220965112U (zh) 一种开放式耳机
US20240064450A1 (en) Acoustical damping system for headphones
CN219514207U (zh) 非入耳式耳机头及无线耳机
JP2656033B2 (ja) ヘツドホン
CN215647339U (zh) 一种扬声器及音腔结构
CN219612010U (zh) 一种终端设备
KR102651134B1 (ko) 마이크와 오디오밸브를 구비한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