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305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305A
KR20030076305A KR10-2003-0016345A KR20030016345A KR20030076305A KR 20030076305 A KR20030076305 A KR 20030076305A KR 20030016345 A KR20030016345 A KR 20030016345A KR 20030076305 A KR20030076305 A KR 2003007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shaped member
standing piec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803B1 (ko
Inventor
우에하라료이찌로
기네부찌신이찌로
다까하시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75Cargo tie dow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12Clamping
    • Y10T24/4016Pivoted part or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12Clamping
    • Y10T24/4019Sliding part or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9Sliding part of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73Cargo tiedow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 본체(11)와, 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 부재(31)를 구비한다. 버클 본체(11)는 베이스부(12)와, 이 베이스부(1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벨트(2)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 구멍(18, 19)과 이들 사이에 설치된 벨트(2)를 베이스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기립편(20)을 구비한다. 걸림 부재(31)는 벨트(2)에 대하여 버클이 이동 가능한 제1 위치 및 벨트(2)에 대하여 버클이 고정 가능한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제2 위치에 있어서 벨트(2)를 압박하여 더욱 깊은 굴곡 형태로 변형시키는 압박부(33)와, 다른 쪽 벨트(3)의 길이를 조정 가능한 조정 수단(3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버클 {Buckle}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1 부재와, 이 제1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를 구비하고,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버클로서,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5-31926호 공보에 개시된 버클(종래예 1), 혹은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4-9841호 공보에 개시된 버클(종래예 2) 등이 알려져 있다.
종래예 1의 버클은 버클 본체와 스토퍼편을 구비하고 있다. 버클 본체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과, 이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사이의 일단부측에 걸쳐진 부착 샤프트와,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타단부측에 걸쳐진 권취 샤프트 및 안내 샤프트를 구비한다. 스토퍼편은 일단부측이 부착 샤프트측의 측부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측에 권취 샤프트 사이에 벨트를 체결하는 걸림 돌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한 쪽 벨트를 부착 샤프트에 부착한다. 다른 쪽 벨트를 권취 샤프트에 권취, 반전시킨 후, 그 벨트의 반전면에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를 압입하면, 이 걸림 돌기의 측면으로 벨트의 반전면이 권취 샤프트에 압접 걸림 지지된다. 즉, 벨트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가 버클에 걸림 지지된다.
종래예 2의 버클은 버클 본체와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버클 본체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과, 이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일단부측에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 홈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사이의 타단부측에 걸쳐진 권취 샤프트 및 안내 샤프트를 구비한다. 스토퍼편은 일단부측에 설치된 부착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홈에 걸림 결합되는 돌기축과, 타단부측에 설치되고 권취 샤프트 사이에 벨트를 체결하는 걸림 돌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한 쪽 벨트를 부착 샤프트에 부착한다. 다른 쪽 벨트를 권취 샤프트에 권취, 반전시킨 후, 그 벨트의 반전면에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를 압입하면, 이 걸림 돌기의 측면으로 벨트의 반전면이 권취 샤프트에 압접 걸림 지지된다. 즉, 벨트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가 버클에 걸림 지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어느 버클도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와 권취 샤프트 사이에 벨트를 끼워넣어, 벨트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토퍼편을 회전시켰을 때에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와 권취 샤프트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적정량만큼작은 치수로 정확히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부품을 고정밀도로 제작해야하므로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만약,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와 권취 샤프트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적정량만큼 작은 치수로 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기기 쉽다.
예를 들어,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와 권취 샤트프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극단적으로 작으면, 스토퍼편의 회전시에 힘이 필요한 데다가, 그 힘이 스토퍼편 및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클 본체에 가해지기 때문에, 이들이 파손되기 쉽다.
반대로,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와 권취 샤프트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극단적으로 크면 벨트를 협지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고, 벨트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없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반복 사용해 가면, 스토퍼편의 걸림 돌기가 마모 등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고, 벨트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마모에 의한 고정 기능의 저하가 발생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소하여, 각 부품을 고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동 및 고정 조작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데다가, 장기간에 걸쳐 파손이 적고, 또한 고정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제1 부재와, 이 제1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를 구비하고,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버클이며, 상기 제1 부재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부와, 이 2개의 삽통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띠형 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띠형 부재에 대하여 버클이 이동 가능한 제1 위치 및 상기 띠형 부재에 대하여 버클이 고정 가능한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고, 제2 위치에 있어서, 굴곡 상태에 있는 상기 띠형 부재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시키는 압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굴곡 상태에 있는 띠형 부재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시킬 때에는 띠형 부재가 굴곡부와 압박부에 접해 있어도 좋지만, 굴곡부와 압박부로 끼워져 강한 힘으로 체결될 필요는 없고, 버클이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띠형 부재의 굴곡 상태가 버클의 이동시의 저항으로 되어 버클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태이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띠형 부재를 예를 들어, 다른 쪽 삽통부에 삽통시킨 후, 굴곡부를 경유하여 한 쪽 삽통부로부터 인출한다. 여기서, 제2 부재를 제1 위치로 해두면, 띠형 부재에 대하여 버클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버클을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버클에 대하여 띠형 부재를 이동시키는 용도의 경우에는 버클에 대하여 띠형 부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부재를 제2 위치로 변위시키면, 제2 부재의 압박부가 굴곡 상태에 있는 띠형 부재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시킨다. 그 때문에, 띠형 부재에 대하여 버클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클을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의 압박부가 굴곡 상태에 있는 띠형 부재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고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시킴으로써, 버클을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즉 띠형 부재가 굴곡부와 압박부로 끼워져 강한 힘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각 부품을 고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것, 즉 띠형 부재가 굴곡부와 압박부로 끼워져 강한 힘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버클의 이동 및 고정 조작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데다가, 장기간에 걸쳐 파손이 적고, 또한 고정 기능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한 쪽 삽통부 근방의 베이스부로부터 다른 쪽 삽통부로 향함에 따라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형으로 기립된 기립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압박부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편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로 내린 수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 보다 기립편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부재가 제2 위치로 된 상태에서는 압박부는 기립편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로 내린 수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 보다 기립편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띠형 부재는 Z자형 혹은 역 S자형으로 굴곡된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클의 이동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편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35도 내지 55도의 각도에서 경사형으로 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립편은 베이스부에 대하여 35도 내지 55도의 각도에서 경사형으로 기립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의 이동 저지 기능을 유지하면서, 버클의 두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립편의 각도를 크게 하면, 띠형 부재의 베이스부로부터의 굴곡 높이(즉, 수직 상승 높이)도 커지고, 버클의 이동시의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버클의 이동 저지 기능이 향상되지만, 버클의 두께 치수가 두꺼워진다. 반대로, 기립편의 각도를 작게 하면, 버클의 두께 치수를 얇게 할 수 있지만, 버클의 이동 저지 기능이 저하된다. 이에 반하여, 기립편을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각도 범위 내로 하면, 상기 양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편의 선단 및 압박부의 선단은 9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띠형 부재가 굴곡된 상태에서 맞닿은 기립편의 선단 및 압박부의 선단이 모두 9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선단 각부가 띠형 부재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클의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2개의 삽통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부재를 회전 조작하는 만큼 제1 위치 및 제2위치로 위치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하고, 게다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에는 그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부재의 베이스부 사이에 띠형 부재를 끼우는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띠형 부재는 제2 부재의 압박부에 의해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되는 동시에, 제2 부재의 협지부와 제1 부재의 베이스부 사이에서도 물리기 때문에, 즉 띠형 부재와 버클의 저항이 더욱 높아지는 결과,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띠형 부재와는 다른, 다른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동시에 그 삽통된 다른 띠형 부재를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 저지 가능한 길이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의 이동 및 고정과 다른 띠형 부재의 길이 조정을 하나의 버클로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가방 구조에 적용하면 부품 갯수도 삭감할 수 있고, 비용도 싸게 할 수 있는 데다가,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종래 가방 구조는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이는, 가방 본체(1)와, 이 가방 본체(1)의 등판부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메기 위한 벨트(2)와, 이 메기 위한 벨트(2)의 상부와 가방 본체(1)의 상부를 연결하는 보조 벨트(3)를 구비하고 있다. 메기 위한 벨트(2)는 가방 본체(1)에 한 쪽 단부가 고정된 2개의 벨트(2A, 2B)와, 이 2개의 벨트(2A, 2B)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동시에, 벨트(2B)를 길이 조정 가능하게 하는 연결구(2C)를 구비한다. 보조 벨트(3)는 2개의 벨트(3A, 3B)와, 이 2개의 벨트(3A, 3B)를 연결하는 동시에, 벨트(3A)를 길이 조정 가능하게 하는 연결구(3C)와, 벨트(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3A)의 다른 단부를 연결한 연결구(3D)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할 경우, 3개의 연결구, 즉 연결구(2C), 연결구(3C) 및 연결구(3D)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많고, 비용도 비싸게 치이는 데다가, 조정 조작도 각각 연결구(2C, 3C, 3D)의 위치, 즉 다른 3부위에서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해서도 본 발명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즉 제2 부재에 띠형 부재와는 다른, 다른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동시에, 그 삽통된 다른 띠형 부재를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저지 가능한 길이 조정 수단이 설치된 버클을, 예를 들어 도8 및 도9의 연결구(3D)의 위치에 채용하면 부품 갯수의 삭감, 비용 저감, 조작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을 도8 및 도9의 가방 구조에 채용하면 연결구(3C)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연결구(2C)와 본 발명의 버클의 2부위에서의 조작으로 완료되므로 종래에 비해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다른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다른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른 띠형 부재를 한 쪽 삽통부에 통과시킨 후,반전하여 다른 삽통부에 삽통하고, 최초의 띠형 부재측으로 인출하면 다른 띠형 부재를 임의의 길이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2개의 삽통부 사이의 중간 부분의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각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른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2개의 삽통부 사이의 중간 부분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각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선단 예각부가 띠형 부재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다른 띠형 부재를 임의의 길이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일 실시 형태(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 본체 및 걸림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 본체 및 걸림 부재의 단면도.
도5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6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 상태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가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도8의 가방 구조에 있어서의 벨트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방 본체
2, 3 : 벨트
2C, 3C, 3D : 연결구
10 : 버클
11 : 버클 본체
12 : 베이스부
16, 17 : 연결 로드
18, 19 : 삽통 구멍
20 : 기립편
21 : 베어링 구멍
31 : 걸림 부재
33 : 압박부
36, 37 : 삽통 구멍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버클(고정 상태 및 고정 해제 상태)(10)을 도시하고 있다. 이 버클(10)은 전술한 도8 및 도9의 가방 구조에 있어서, 연결구(3D)의 위치에 적용한 것으로, 띠형 부재로서의 벨트(2(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기능과 띠형 부재로서의 벨트(3(3A))의 길이를 조정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다. 또, 벨트(2, 3)로서는 합성 수지제 사(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제 등의 사)를 평직, 산목잎모양 줄무늬 직조, 그로그란직, 바스켓직, 변형 바스켓직 등에 의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고, 또한 소정 폭의 띠형 부재로 형성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버클(10)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제1 부재로서의 버클 본체(11)와, 이 버클 본체(11)에 변위가능, 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로서의 걸림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버클 본체(11)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부(12)와, 이 베이스부(12)의 폭 방향 양측에 세워서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15)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2)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는 벨트(2)의 삽통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관통 구멍(13, 1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부(15) 사이에는 그 양단부측에 연결 로드(16, 17)가 각각 걸쳐져 있는 동시에, 일단부측에 벨트(2)를 베이스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로서의 기립편(20)이 또한 중앙 부분에 베어링 구멍(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연결 로드(16, 17)와 베이스부(12) 사이에는 벨트(2)가 삽통되는 삽통부로서의 삽통 구멍(18, 19)이 벨트(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기립편(20)은 한 쪽 삽통 구멍(19) 근방의 베이스부(12)로부터 다른 쪽 삽통 구멍(18)으로 향함에 따라 베이스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형으로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베이스부(12)에 대하여 35도 내지 55도의 각도로 경사형으로 기립되고, 또한 그 선단(20A)이 대략 90도 이하인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31)는 버클 본체(11)의 2개의 삽통 구멍(18, 19) 사이에 있어서, 측벽부(15)의 베어링 구멍(2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또한 벨트(2)에 대하여 버클(10)이 이동 가능한 제1 위치(도2의 위치) 및 벨트(2)에 대하여 버클(10)이 고정 가능한 제2 위치(도1의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 부재(31)에는 베어링 구멍(2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돌기(32)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굴곡 상태에 있는 벨트(2)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시키는 압박부(33)와, 버클 본체(11)의 베이스부(12) 사이에 버클(2)을 파지하는 협지부(34)와, 벨트(3)가 삽통되는 동시에 그 삽통된 벨트(3)를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저지 가능한 길이 조정 수단(35)을 구비한다.
압박부(33)는 걸림 부재(31)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기립편(20)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12)로 내린 수선과 거의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으로부터 기립편(2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그 선단(33A)은 90도 이하의 각도, 여기에서는 약 60도의 예각으로 형성되고, 또한 폭 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 홈(요철)을 구비하고 있다.
협지부(34)는 걸림 부재(31)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버클 본체(11)의 베이스부(12) 사이에서 벨트(2)를 파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선단(34A)은 각부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폭 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 홈(요철)을 구비하고 있다.
길이 조정 수단(35)은 걸림 부재(31)에 벨트(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벨트(3)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부로서의 삽통 구멍(36, 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삽통 구멍(36, 37) 사이에 형성된 중간 부분(38)의 단면 형상은 적어도 1개의 각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부분(38)의 외면 및 내면이 삽통 구멍(37)으로부터 삽통 구멍(36)으로 향함에 따라 서로 접근하도록 또한 호형으로 만곡되어, 소위 포탄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각부(38A, 38B)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버클(10)에 벨트(2, 3)를 통과시키려면, 도5에 도시하는 순서로 행한다.
벨트(2)를 통과시키려면, 벨트(2)를 버클 본체(11)의 삽통 구멍(18)에 삽통시킨 후, 더욱 압입하면 벨트(2)의 선단이 기립편(20)의 내면측에 맞닿은 후 그 기립편(20)의 경사에 따라 관통 구멍(14)으로부터 베이스부(12)의 이면측으로 돌출된다((a)참조).
이어서, 베이스부(12)의 이면측으로 돌출한 벨트(2)의 선단을 반전한 후, 벨트(2)의 선단을 기립편(20)의 내면에 따라 압입하면, 벨트(2)의 선단이 기립편(20)의 내면에 따라 진행되고, 기립편(20)과 걸림 부재(31)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버클(10)의 표면측으로 돌출된다((b)참조).
마지막으로, 버클(10)의 표면측으로 돌출한 벨트(2)의 선단을 반전한 후, 벨트(2)의 선단을 기립편(20)의 외면에 따라 압입하면, 벨트(2)의 선단이 기립편(20)의 외면에 따라 진행되고, 삽통 구멍(19)을 통해 타단측으로 돌출된다((c)참조). 이에 의해, 벨트(2)가 버클(10)에 삽통된다.
벨트(3)를 통과시키려면, 벨트(3)를 걸림 부재(31)의 내면측으로부터 삽통 구멍(36)에 삽통시킨 후, 그 선단을 반전하여 중간 부분(38)의 외면측으로부터 삽통 구멍(37) 내에 삽통시키고, 그 선단을 걸림 부재(31)의 내면측으로부터 인출한다. 이에 의해, 벨트(2)가 버클(10)에 삽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버클(10)에 벨트(2, 3)를 삽통한 상태에 있어서, 걸림부재(31)가 도2의 상태, 즉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버클(10) 내에 있어서의 벨트(2)는 중앙 부분이 완만한 산형으로 굴곡된 상태이기 때문에, 버클(10)의 이동에 대한 저지력은 크지 않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버클(10)에 벨트(2)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버클(10)을 벨트(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버클(10)을 벨트(2)의 길이 방향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걸림 부재(31)를 도1의 상태, 즉 제2 위치로 회전시키면, 걸림 부재(31)의 압박부(33)는 회전하면서, 기립편(20)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12)로 내린 수선으로부터 기립편(20)의 내측까지 돌출한다. 그러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10) 내에서 완만한 산형으로 굴곡해 있던 벨트(2)는 산형의 한 쪽 변이 더욱 내측으로 압입되고, 보다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된다. 즉, 벨트(2)는 기립편(20)의 경사 외면으로부터 그 선단을 권취한 후, 또 걸림 부재(31)의 압박부(33)를 권취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역「S」자형, 혹은 「Z」자형으로 굴곡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이 벨트(2)의 굴곡 상태가 버클(10)의 저항으로 되어, 버클(10)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클(10)을 벨트(2)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벨트(2)가 역「S」자형, 혹은 「Z」자형으로 굴곡된 상태에 있어서는, 버클(2)과 기립편(20) 내면 사이에는 간극(d)이 형성되어 있다.
한 편, 벨트(3)의 길이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버클(10)을 벨트(2)에 대하여 고정하기 전에, 즉 걸림 부재(31)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있어서 벨트(3)의 길이 조정을 행한 후, 걸림 부재(31)를 도1의 상태, 즉 제2 위치로 회전시킨다.
벨트(3)의 길이 조정에 있어서는, 벨트(3)의 선단측(고정단측과는 반대측)을 걸림 부재(31)의 길이 조정 수단(35)에 압입하고, 벨트(3)의 고정단측을 걸림 부재(31)의 길이 조정 수단(35)으로부터 인출하고(길게 할 경우), 혹은 벨트(3)의 고정단측을 걸림 부재(31)의 길이 조정 수단(35)에 압입하고, 벨트(3)의 선단측을 걸림 부재(31)의 길이 조정 수단(35)으로부터 인출하고(길게 할 경우), 벨트(3)의 고정 단부로부터 버클(10)까지의 길이를 임의의 길이로 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걸림 부재(31)의 압박부(33)가 굴곡 상태에 있는 벨트(2)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고, 더욱 깊은 굴곡 상태로 변형시킴으로써, 버클(10)을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즉 벨트(2)가 기립편(20)과 압박부(33)로 파지하여 강한 힘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는 아니므로, 종래와 같이 각 부품을 고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버클(10)의 고정 및 이동 조작시에도 큰 힘으로 압박부(33)를 압박하여 벨트(2)를 기립편(20)에 압박하거나, 큰 힘으로 압박 상태를 해제할 필요도 없으므로, 버클(10)의 고정 및 이동 조작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데다가, 장기간에 걸쳐서 파손이 적고, 또한 고정 기능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2) 벨트(2)를 굴곡시키는 부분은 삽통 구멍(19) 근방의 베이스부(12)로부터 삽통 구멍(18)을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형으로기립한 기립편(20)에 의해 구성되고, 압박부(33)는 제2 위치에 있어서, 기립편(20)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12)로 내린 수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 보다 기립편 내측에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걸림 부재(31)가 제2 위치로 된 상태에서는 압박부(33)는 기립편(20)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12)로 내린 수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 보다 기립편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벨트(2)는 역「S」자 혹은 「Z」자형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클(10)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3) 이 때, 벨트(2)와 기립편(20)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립편(20)과 압박부(33)의 위치 관계에 제작상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이들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도 종래와 같이 각 부품을 고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4) 또한, 기립편(20)은 베이스부(12)에 대하여 35도 내지 55도의 각도로 경사형으로 기립되어 있으므로,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유지하면서, 버클(10)의 두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립편(20)의 각도를 크게 하면, 벨트(2)의 베이스부(12)로부터의 굴곡 높이(즉, 수직 상승 높이)도 커지고, 버클(10)의 이동시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이 향상되지만, 버클(10)의 두께 치수가 두꺼워진다. 반대로, 기립편(20)의 각도를 작게 하면, 버클(10)의 두께 치수를 얇게 할 수 있지만,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이 저하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립편(20)을 베이스부(12)에 대하여 상기 각도로 하였으므로 상기 양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5) 기립편(20)의 선단 및 압박부(33)의 선단이 모두 9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선단 예각부가 벨트(2)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압박부(33)의 선단(33A)에는 그 폭 방향 일정 간격 위치에 홈(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2)의 접촉 저항이 크고,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6) 걸림 지지 부재(31)는 버클 본체(11)의 2개의 삽통 구멍(18, 19) 사이에 있어서, 버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걸림 부재(31)를 회전하는 것 만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하고, 게다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7) 걸림 부재(31)에는 그 걸림 부재(31)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버클 본체(11)의 베이스부(12) 사이에 벨트(2)를 파지하는 협지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 부재(31)가 제2 위치가 되면, 걸림 부재(31)의 협지부(34)가 버클 본체(11)의 베이스부(12) 사이에 벨트(2)를 파지하기 때문에, 벨트(2)와 버클(10)의 저항을 더욱 높이고, 이동 저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협지부(34)의 선단(34A)에는 그 폭 방향 일정 간격 위치에 홈(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2)의 접촉 저항이 크고,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8) 걸림 부재(31)에는 벨트(3)가 삽통되는 동시에 그 삽통된 벨트(3)를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 저지 가능한 길이 조정 수단(3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벨트(2)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의 이동 및 고정과, 벨트(3)의 길이 조정을 1개의 버클로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가방 구조에 있어서,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도 싸게 할 수 있는 데다가,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종래 가방 구조에서는 3개의 연결구에 수반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조정 조작도 각각 연결구(2C, 3C, 3D)의 위치, 즉 다른 3부위로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의 버클에 의하면, 2부위에서의 조작으로 완료되므로 이들 과제도 동시에 경감할 수 있다.
(9) 길이 조정 수단(35)은 걸림 부재(31)에 벨트(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고 벨트(3)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 구멍(36, 37)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벨트(3)를 한 쪽 삽통 구멍(36)에 통과시킨 후, 반전하여 다른 삽통 구멍(37)으로 삽통하고, 최초의 벨트(3)측으로 인출하면, 벨트(3)를 임의의 길이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10) 걸림 부재(31)에 형성된 2개의 삽통 구멍(36, 37) 사이의 중간 부분(38)의 단면 형상은 적어도 1개의 각부가 90도 이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벨트(3)가 굴곡된 상태에서 맞닿는 이들 선단이 모두 90도 이하인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선단 각부가 벨트(3)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틀(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버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버클(10)이 벨트(2)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는 구성이었지만, 이와는 반대로, 벨트(2)가 버클(10)에 대하여 이동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방에 적용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용도, 예를 들어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버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용 버클(40)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벨트용 버클(40)은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10)에 대하여 걸림 부재(31)에 설치되어 있었던 길이 조정 수단(35)이 생략되어 있는 점, 벨트(4)의 한 쪽 단부가 연결 로드(16)에 고정되어 있는 점이 다르고, 다른 점은 공통이다.
사용 방법은, 벨트(4)의 일단부를 버클 본체(11)에 연결 로드(16)로 고정하고, 벨트(2)의 타단부를 삽통 구멍(19)을 통과시키고, 기립편(20)에 따르게 한 후, 걸림 부재(31)의 압박부(33)와 기립편(20) 사이를 통과시키고, 걸림 부재(31)와 버클 본체(11)의 간극으로부터 인출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벨트(4)의 타단부를 인장하면 벨트(4)의 길이가 짧아진다. 임의의 위치에서 걸림 부재(31)를 회전시키면, 압박부(33)가 기립편(20)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벨트(2)의 굴곡부가 더욱 깊게 굴곡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벨트(4)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그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벨트용 버클로서 이용하더라도, 전술한 (1) 내지 (7)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부재(31)를 버클 본체(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켰지만, 걸림 부재(31)를 버클 본체(11)에 대하여 슬라이드, 즉 기립편(2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버클 본체(11)의 베이스부(12)에 따라서 평행하게 슬라이드시키도록 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로드(16, 17)와 베이스부(12) 사이에 벨트(2)가 삽통되는 삽통 구멍(18, 19)을 설치하였지만, 이는 완전히 닫혀진 구멍이 아니어도 좋고, 일부가 개방된 홈형의 것이라도 좋다. 요는, 베이스부(12)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벨트(2)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으면, 형상은 무관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립편(20)을 베이스부(12)에 대하여 35도 내지 55도의 각도에서 경사형으로 기립시켰지만, 경사형으로 기립하지 않아도 좋고, 베이스부(12)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기립시킨 후, 베이스부(1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삽통 구멍(18)을 향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부재(31)가 제2 위치에 있어서, 압박부(33)를 기립편(20)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12)로 내린 수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 보다 기립편 내측에 돌출시켰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압박부(33)를 기립편(20)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122)로 내린 수선에 대하여 기립편(20)과는 반대측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부재(31)에 2개의 삽통 구멍(36, 27)을 구비한 길이 조정 수단(35)을 설치하였지만, 길이 조정 수단(35)의 기구(구성)로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요는, 벨트(3)를 길이 조정 가능하게 고정할 수있는 구조이면 다른 구조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각 부품을 고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버클(10)의 고정 및 이동 조작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데다가, 장기간에 걸쳐서 파손이 적고, 또한 고정 기능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클(10)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유지하면서, 버클(10)의 두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버클(10)의 이동 저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고, 게다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한 편, 종래 가방 구조에 있어서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도 싸게 할 수 있는 데다가,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제1 부재와, 제1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를 구비하고,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버클이며,
    상기 제1 부재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부와, 이 2개의 삽통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띠형 부재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띠형 부재에 대하여 버클이 이동 가능한 제1 위치 및 상기 띠형 부재에 대하여 버클이 고정 가능한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며, 제2 위치에 있어서, 굴곡 상태에 있는 상기 띠형 부재의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압박하여 더욱 깊은 굴곡 상태를 변형시키는 압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한 쪽 삽통부 근방의 베이스부로부터 다른 쪽 삽통부를 향함에 따라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형으로 기립된 기립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압박부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편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로 내린 수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수선 보다 기립편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편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35도 내지 55도의각도에서 경사형으로 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편의 선단 및 압박부의 선단은 9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2개의 삽통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는 그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1 부재의 베이스부 사이에 띠형 부재를 끼우는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띠형 부재와는 다른, 다른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동시에, 그 삽통된 다른 띠형 부재를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 저지 가능한 길이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다른 띠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다른 띠형 부재가 삽통되는 적어도 2개의 삽통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2개의 삽통부 사이의 중간 부분의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각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30016345A 2002-03-18 2003-03-17 버클 KR100677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4433A JP3780219B2 (ja) 2002-03-18 2002-03-18 バックル
JPJP-P-2002-00074433 2002-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305A true KR20030076305A (ko) 2003-09-26
KR100677803B1 KR100677803B1 (ko) 2007-02-05

Family

ID=2778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345A KR100677803B1 (ko) 2002-03-18 2003-03-17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5826B2 (ko)
EP (1) EP1346657B1 (ko)
JP (1) JP3780219B2 (ko)
KR (1) KR100677803B1 (ko)
CN (1) CN1247131C (ko)
DE (1) DE60332886D1 (ko)
TW (1) TWI255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9296B2 (en) * 2002-08-16 2004-09-14 Long-Shing Yang Buckle assembly
MXPA02012235A (es) * 2002-12-10 2004-07-16 Cemex Trademarks Worldwide Ltd Clinker y cemento blanco con alto contenido de azufre proveniente del coque de petroleo con alto contenido de azufre, usado como combustible.
US6978519B2 (en) * 2003-12-10 2005-12-27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 for adjusting and locking a strap
US7203972B2 (en) * 2004-04-30 2007-04-17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trap adjustment assembly
US8277403B2 (en) * 2005-01-12 2012-10-02 Breg, Inc. Support assembly for an orthopedic brace having a length-adjusting mechanism
US8273045B2 (en) * 2005-01-12 2012-09-25 Breg, Inc. Method for fitting an orthopedic brace to the body
US20060201060A1 (en) * 2005-03-09 2006-09-14 Jerry Warman System for attaching objects to vertically elongated structures
US20060218761A1 (en) * 2005-04-04 2006-10-05 Joseph Anscher Buckle with strap securing bar
US7950072B1 (en) 2005-06-03 2011-05-31 Violet Hanson Reversible belt with slide buckle
JP4951315B2 (ja) 2006-04-04 2012-06-13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242285B2 (ja) * 2008-08-08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連結機構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袋物
FR2935873A1 (fr) * 2008-09-18 2010-03-19 Joubert Productions Organe de solidarisation reversible de deux sangles entre elles.
DE102009024674B3 (de) * 2009-06-12 2010-08-26 Dräger Safety AG & Co. KGaA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mindestens eine Druckgasflasche eines Atemgerätes
US8407866B2 (en) * 2009-10-30 2013-04-02 Illinois Tool Works Inc. Foldable attachment clip
US8635746B2 (en) * 2010-04-09 2014-01-28 Cenorin, Llc Closure latch
EP2627926A4 (en) * 2010-10-11 2015-11-11 Ideal Ind BINDING DEVICES FOR LOCKING CABLES AND USE METHOD THEREFOR
EP2489528B1 (en) 2011-02-16 2015-08-05 Thule Sweden AB Anti slip device for a wheel
US8733836B2 (en) * 2011-07-20 2014-05-27 Jan S. Gross Apparatus for controlling tension of elongate strap used in strap furniture
CN104270984B (zh) * 2012-03-07 2017-08-25 力特亿泽公司 用于保持平坦带的系统和方法
US8522402B1 (en) * 2012-12-11 2013-09-03 James D. Spooler Cargo strap collector
AT514094B1 (de) * 2013-04-09 2015-02-15 Aba Hörtnagl Gmbh Schnallenteil einer Gurtschnalle
US9433259B2 (en) * 2013-10-24 2016-09-06 Bell Sports, Inc. Self-actuating webbing adjuster and helmet strap system including same
JP2016063933A (ja) * 2014-09-24 2016-04-28 Ykk株式会社 ベルト長さ調整具
US10130131B2 (en) * 2015-01-08 2018-11-20 Yang-Seog Ryou Controller,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the band
US9936770B2 (en) * 2015-09-05 2018-04-10 Yun-Chan Tsai Buckle
USD816545S1 (en) * 2016-07-18 2018-05-01 Bison Designs, Llc Buckle
JP3208551U (ja) * 2016-11-07 2017-01-26 Ykk株式会社 ベルト調節具
WO2018157305A1 (zh) * 2017-02-28 2018-09-07 深圳龙海特机器人科技有限公司 绳带触发锁定装置
USD960278S1 (en) * 2017-07-20 2022-08-09 Vista Outdoor Operations Llc Buckle for a rifle sling
US10433619B2 (en) 2018-01-11 2019-10-08 Duraflex Hong Kong Limited Strap adjustment system
US10918169B2 (en) * 2018-03-02 2021-02-16 Illinois Tool Works Inc. Locking position adjustment device
US11096452B2 (en) * 2018-06-25 2021-08-24 Illinois Tool Works Inc. Web-adjustment clamp, system and method
USD899673S1 (en) 2019-01-03 2020-10-20 Thomas M. DeBellis Rectilinear mounting plate for light fixtures
USD898985S1 (en) 2019-01-03 2020-10-13 Thomas M. DeBellis Rectilinear mounting plate for light fixtures
US10772414B1 (en) * 2019-03-18 2020-09-15 Francis Meram Flag football belt
US10827806B1 (en) * 2019-06-04 2020-11-10 Ykk Corporation Belt holding structure
CN113119822B (zh) * 2020-01-14 2023-03-07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调节扣装置
CN113713321B (zh) * 2021-08-03 2023-03-14 安徽即刻动身健身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门扣及训练带
KR20240016678A (ko) * 2022-07-29 2024-02-06 조안나 반려견 리드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303A (en) * 1884-06-10 Edwaed feaskliay butlee
US3328856A (en) * 1967-07-04 Adjustable strap buckle
US330213A (en) * 1885-11-10 Hitching-strap clamp
CH419691A (fr) * 1965-07-05 1966-08-31 Baumgartner S A F Boucle pour lien
US3795029A (en) * 1972-08-08 1974-03-05 K Norman Buckle for plane belts, preferably textile belts
GB2131870B (en) * 1982-12-06 1986-02-26 Itw Ltd Manufacturing techniques particularly applicable to buckles
JPH0130883Y2 (ko) * 1984-12-11 1989-09-21
SE8505015D0 (sv) * 1985-10-24 1985-10-24 Rudholm & Co I Boras Ab Vridfjeder med aterfjedringsfunktion
JPH0531926Y2 (ko) * 1986-12-27 1993-08-17
JPH049841A (ja) 1990-04-27 1992-01-14 Brother Ind Ltd 顕色剤塗布装置
GB2246389A (en) * 1990-07-24 1992-01-29 Britax Excelsior Strap adjuster
JPH0531926A (ja) 1991-07-29 1993-02-09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装置
IT1308090B1 (it) * 1999-06-09 2001-11-29 Nat Molding Of Europ S R L Dispositivo di serraggio regolabile
AUPQ742200A0 (en) * 2000-05-11 2000-06-01 Britax Child-Care Products Pty Ltd Webbing length adju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6657A3 (en) 2004-11-24
TW200304784A (en) 2003-10-16
CN1247131C (zh) 2006-03-29
JP2003265205A (ja) 2003-09-24
EP1346657A2 (en) 2003-09-24
US6735826B2 (en) 2004-05-18
TWI255697B (en) 2006-06-01
EP1346657B1 (en) 2010-06-09
KR100677803B1 (ko) 2007-02-05
US20030172499A1 (en) 2003-09-18
DE60332886D1 (de) 2010-07-22
CN1444885A (zh) 2003-10-01
JP3780219B2 (ja)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803B1 (ko) 버클
US9032767B2 (en) Lockable buckle
US8935833B2 (en) Cam lock buckle
US7040081B2 (en) Low noise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EP2529640B1 (en) Buckle
KR100314594B1 (ko) 버클
US6460232B2 (en) Buckle
EP0943253A2 (en) Buckle
US20020017012A1 (en) Three and five point buckle
US8578565B2 (en) Tightenable clamping device,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ie wraps
US20070138783A1 (en) Guide for seat belt webbing having a deformable insert
US6398604B1 (en) Combination of strap and buckle for diving fins
US11160331B2 (en) Buckle
US20110061212A1 (en) Slide lock for joining two ends of a textile ribbon
KR101804611B1 (ko) 코드록
US11039666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CA3000504A1 (en) Bungee cord lock and method of use
CN112401413B (zh) 具有线调整部的带扣
US20100186282A1 (en) Fishing rod case
CN112401414B (zh) 具有线调整部的带扣
JP4109392B2 (ja) ブラインドの回転機構
WO2022185383A1 (ja) ベルト調節保持装置
KR93000463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JPH0937819A (ja) 紐留め具
KR200308508Y1 (ko) 모니터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