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190A -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광학요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광학요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190A
KR20030076190A KR1020020075855A KR20020075855A KR20030076190A KR 20030076190 A KR20030076190 A KR 20030076190A KR 1020020075855 A KR1020020075855 A KR 1020020075855A KR 20020075855 A KR20020075855 A KR 20020075855A KR 20030076190 A KR20030076190 A KR 2003007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adiation
optical element
operating temperatur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126B1 (ko
Inventor
복스빌헬무스요세푸스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filed Critical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7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58Environment aspects, e.g. pressure of beam-path gas, temperature
    • G03F7/70883Environment aspects, e.g. pressure of beam-path gas, temperature of optical system
    • G03F7/70891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5Materials, e.g. materials for housing, stage or other support having particular properties, e.g. weight, strength, conductivity,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G03F7/70958Optical materials or coatings, e.g. with particular transmittance, reflectance or anti-reflection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리소그래피장치내의 광학요소는 상기 요소가 제작되는 온도와 그것이 작동될 평균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0교차 CTE를 가진 낮은 CTE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Description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광학요소 제조방법{Lithographic Apparatus,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Element}
본 발명은,
- 방사선의 투영빔을 공급하는 방사선시스템;
- 소정의 패턴에 따라 투영빔을 패터닝하는 역할을 하는 패터닝수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체;
- 기판을 잡아주는 기판테이블; 및
- 기판의 타겟부 위로 패터닝된 빔을 투영하는 투영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소그래피 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터닝수단(patterning means)"이라는 용어는 기판의 타겟부에 형성되어야 할 패턴에 대응하는 패터닝된 단면을 입사하는 방사선빔에 부여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광 밸브(light valve)"라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패턴은 집적회로 또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이 타겟부에 형성될 디바이스 내의 특정 기능층에 해당할 것이다(이하 참조). 그러한 패터닝수단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 마스크. 마스크의 개념은 리소그래피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고, 바이너리(binary)형, 교번 위상반전(alternating phase-shift)형 및 감쇠 위상반전형 마스크와 다양한 하이브리드 마스크 형식도 포함한다. 투영빔 내에 이러한 마스크가 놓이면, 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마스크에 입사되는 방사선의 선택적인 투과(투과 마스크의 경우) 또는 반사(반사 마스크의 경우)가 이루어진다. 마스크의 경우에, 그 지지구조체는 일반적으로 마스크테이블이며 이것은 입사하는 방사선빔 내의 소정 위치에서 마스크를 잡아줄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빔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 프로그래머블 거울 어레이. 이러한 장치의 일례로는, 점탄성제어 층(viscoelastic control layer)과 반사면을 구비한 매트릭스-어드레서블 표면이 있다. 이러한 장치의 기본원리는, (예를 들어) 반사면의 어드레스된 영역(addressed area)에서는 입사광을 회절광으로 반사하는 한편, 어드레스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입사광을 비회절광으로 반사하는 것이다. 적절한 필터를 사용하면, 반사된 빔 중에서 상기 비회절광을 필터링하여 회절광만 남게 할 수 있다. 이러한방식으로 빔은 매트릭스-어드레서블 표면의 어드레싱 패턴에 따라 패터닝된다. 프로그래머블 거울 어레이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국부화된 적절한 전기장을 가하거나 압전작동수단(piezoelectric actuation mean)을 채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거울이 개별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작은 거울들의 매트릭스 배치를 채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거울은 매트릭스-어드레서블이며, 어드레스된 거울은 입사되는 방사선빔을 어드레스되지 않은 거울과는 다른 방향으로 반사한다. 이때 요구되는 매트릭스 어스레싱은 적절한 전자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 서술된 두 가지 상황 모두에서, 패터닝수단은 1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거울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울배열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고 있는 미국특허 US 5,296,891호와 US 5,523,193호 및 PCT 특허출원 WO 98/38597호와 WO 98/33096호로부터 얻을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거울 어레이의 경우, 상기 지지구조체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고정되거나 움직일 수 있는 프레임 또는 테이블로써 구현될 수 있다.
- 프로그래머블 LCD 어레이. 이러한 구조의 일례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고 있는 미국특허 US 5,229,8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구조체는 필요에 따라 고정되거나 움직일 수 있는 프레임 또는 테이블로써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 중 어느 곳에서는 그 자체가 마스크 및 마스크테이블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예시에서 논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패터닝수단의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리소그래피 투영장치는 집적회로(IC)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패터닝수단은 IC의 개별층에 해당하는 회로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한 층의 방사선감응재(레지스트)로 코팅된 기판(실리콘 웨이퍼)상의 타겟부(예를 들면, 1이상의 다이로 구성되는)에 묘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장의 웨이퍼에는 인접하여 있는 여러 개의 타겟부로 구성된 전체적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이들 타겟부는 투영시스템을 통하여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현재 통용되는 장치에서, 마스크테이블상의 마스크에 의한 패터닝을 채택하는 데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형식의 기계로 구분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의 리소그래피 투영장치에서는 타겟부상에 전체 마스크패턴을 한번에 노광함으로써 각 타겟부가 조사되는데, 이러한 장치를 통상 웨이퍼 스테퍼(wafer stepper)라고 한다. 통상, 스텝-앤드-스캔 장치(step-and-scan apparatus)라고 불리워지는 대체장치에서는 투영빔하에서 소정의 기준방향("스캐닝" 방향)으로 마스크 패턴을 점진적으로 스캐닝하는 한편, 이 방향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기판을 동기화시켜 스캐닝함으로써 각 타겟부가 조사된다. 일반적으로 투영시스템은 배율인자 M(일반적으로 <1)을 가지므로 기판테이블이 스캐닝되는 속도 V는 마스크테이블이 스캐닝되는 속도의 인자 M배가 된다. 여기에 서술된 리소그래피장치와 관련된 보다 상세한 정보는 예를 들어, US 6,046,792호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참조자료로 채용된다.
리소그래피 투영장치를 사용하는 제조공정에서, (예를 들어, 마스크의) 패턴은 방사선감응재(레지스트)의 층이 최소한의 부분에라도 도포된 기판상에 묘화된다. 이 묘화단계에 앞서, 기판은 전처리(priming), 레지스트도포 및 소프트 베이크와 같은 여러가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노광 후에는, 노광후 베이크(PEB), 현상, 하드 베이크 및 묘화된 피쳐의 측정/검사와 같은 또 다른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예를 들어 IC 디바이스의 개별층을 패터닝하는 기초로서 사용된다. 그런 다음 이렇게 패터닝된 층은 에칭, 이온주입(도핑), 금속화, 산화, 화학-기계적 폴리싱 등과 같은, 모두가 개별층을 마무르도록 하는 여러 공정을 거친다. 여러 개의 층이 요구된다면, 새로운 층마다 전체공정 또는 그것의 변형된 공정이 반복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그 결과로, 기판(웨이퍼)상에는 디바이스의 배열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들 디바이스는 다이싱 또는 소잉 등의 기술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고, 이들 각각의 디바이스는 캐리어에 장착되고 핀 등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관한 추가 정보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참조자료로 채용되고 있는 "Microchip Fabrication: A Practical Guide to Semiconductor Processing" (3판, Peter van Zant 저, McGraw Hill출판사, 1997년, ISBN 0-07-067250-4)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상기 투영시스템은 이후에 "렌즈"라고 언급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용어는 예를 들어, 굴절광학기, 반사광학기 및 카타디옵트릭 (catadioptric)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투영시스템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방사선시스템은 방사선 투영빔의 지향, 성형 또는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이들 설계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있고,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렌즈"라고 언급할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리소그래피장치는 2이상의 기판테이블(및/또는 2 이상의 마스크테이블)을 구비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 스테이지" 장치에서는 추가 테이블이 병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1이상의 테이블이 노광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안 1이상의 다른 테이블에서는 준비작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 5,969,441호 및 WO 98/40791호에는 듀얼스테이지 리소그래피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인용 참조되고 있다.
보다 더 작은 피처를 묘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통용되는 리소그래피장치에서 사용되는 193 또는 157nm의 파장을 가진 UV 대신에 노광 방사선으로서 5 내지 20nm 범위의 파장을 가진 EUV 방사선을 사용할 것이 제안되고 있다. EUV 방사선을 위한 방사선시스템 및/또는 투영시스템내 광학요소용 굴절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가 알려져 있지 않아서, EUV 리소그래피장치의 방사선 및 투영시스템은 거울, 보통은 다층 거울을 사용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묘화될 이미지의 품질은 거울의 표면 변형(모양 에러)에 극히 민감하며 투영시스템의 그것에 특히 그러하다. 온도변화로 생기는 표면 변형을 막기 위해서, 거울은 소정의 모양을 가진 기판상에 다층 스택을 퇴적함으로써 형성되고 열팽창계수(CTE)가 극히 낮거나 0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재료는 여러 공급자들로부터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 한가지는 ZerodurTM으로서 이것은 소정의 낮은 CTE를 제공하도록 여러가지 첨가물과 함께 이루어진 유리 세라믹이다. 이들 재료는 매우 낮은 CTE를 갖기는 하지만, 어떤 온도에서만 CTE가 정확히 0이어서 어느정도의 열팽창 및 열수축이 발생하여 표면 변형과 이미지 품질의 손실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및/또는 투영시스템내 광학요소의 열이 묘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감소되거나 혹은 제거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그래피 투영장치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또는 유리세라믹)의 열팽창계수(CTE)의 온도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요소의 표면변형의 온도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에 따라, 서두에 언급된 리소그래피장치로서, 상기 장치내의 사용시 열 부하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상기 구성요소의 제작온도와 평균 작동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0교차(zero-crossing) 열팽창계수를 가진 낮은 CTE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장치를 통하여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이 성취된다.
구성요소의 제작온도와 평균 작동온도 사이에서 CTE 0교차 온도를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요소를 구성하면, 동작시 구성요소의 열 변형이 최소화되거나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CTE는 구성요소의 온도가 그것의 제작온도로부터 작동온도로 변화함에 따라 0교차 온도 아래에서는 음이 되고 그 위에서는 양이 될 것이기 때문에, 상기 구성요소는 초기에는 형체가 바뀌지만 이들 변형은 0교차 온도의 다른 쪽에서는 반전될 것이다.
0교차의 이상적인 온도는 0교차 영역에서 온도의 함수인 CTE의 모습에 따라 다를 것이다. CTE가 그 영역내 온도에 선형으로 의존한다면, 제작온도와 평균 작동온도 사이의 정확히 중간 지점에서 CTE 0교차 재료가 사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작온도, 0교차 온도 및 평균 작동온도는 제작온도와 평균 작동온도 사이의 온도의존성 CTE의 적분값이 0이거나 가능한 0에 가깝도록 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재료가 유리 혹은 ZerodurTM와 같은 유리세라믹인 경우에, CTE 0교차 온도는 첨가제 및/또는 제작 과정의 적절한 제어에 따라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소정의 CTE 0교차 온도의 유리(또는 유리세라믹)의 배치(batch)는 시행착오를 거쳐 제작될 수 있다. 장치의 평균 작동온도는 다른 고려하에서 결정된다 하더라도 제작온도는 일정한 또는 한정된 가변성만을 가진 CTE 0교차 온도를 가진 특정 유리(또는 유리세라믹)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장치내의 어떠한 구성요소에소 적용될 수 있지만, 투영빔의 경로에 있는 광학요소, 특히 EUV 리소그래피장치내의 거울, 특히 표면변형이 묘화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투영시스템의 거울 및 투영빔 세기가 가장 커서 더 큰 온도 변화를 유발하는 조명시스템의 시작 부분에 있는 거울에 적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열 부하가 집중되어서 역시 더 큰 온도변화를 유발하는 작은 거울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다층 거울에 대하여, 기판만을 위하여, 또 다층 스택이 아닌 경우에도 낮은 CTE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일관성의 측면에서 리소그래피장치내 투영빔에 영향을 미치는 광학요소 모두를 동일한 배치의 재료로 만들어서, 상이한 광학요소의 작동온도가다른 경우에 0교차 온도는 한 가지 요소에 대하여만 이상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에, 0교차 온도는 가장 큰 온도 부하를 가진 거울, 일반적으로 제1거울에 대하여 이상적으로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방사선 감응재의 층으로 덮인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 방사선시스템을 사용하여 방사선의 투영빔을 제공하는 단계;
- 패터닝수단을 사용하여 투영빔의 단면에 패턴을 부여하는 단계;
- 방사선감응재층의 타겟부상으로 방사선의 패터닝된 빔을 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의 사용시 열 부하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평균 작동온도를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의 제작온도와 상기 평균 작동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0교차 열팽창계수를 가진 낮은 CTE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시 열 부하를 받으며 평균 작동온도에서 작동되는 광학요소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제1온도에서 열팽창계수가 0인 낮은 CTE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2온도에서 상기 낮은 CTE 재료를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광학요소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온도에서 상기 광학요소의 표면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제2온도와 상기 평균 작동온도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요소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IC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례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이러한 장치가 다른 여러 가능한 응용례를 가지고 있음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집적 광학시스템, 자기영역메모리용 유도 및 검출패턴, 액정표시패널, 박막자기헤드 등의 제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대안적인 적용례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레티클", "웨이퍼" 또는, "다이"와 같은 용어가 각각 "마스크", "기판" 및 "타겟부" 등과 같은 좀 더 일반적인 용어로 대체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사선" 및 "빔"이란 용어는 (예를 들어, 파장이 365, 248, 193, 157 또는 126㎚ 인)자외선 및 EUV(극자외선, 예를 들어 파장이 5 내지 20㎚ 범위인)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전자기방사선뿐만 아니라 이온빔이나 전자빔과 같은 입자빔까지도 포괄하여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로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리소그래피 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 방사선(예를 들어, EUV 방사선)의 투영빔(PB)을 공급하는 방사선시스템 (Ex, IL)(특별히 여기에서는 방사선시스템이 방사원(LA)도 포함한다);
- 마스크(MA)(예를 들어, 레티클)를 잡아주는 마스크 홀더가 마련된, 아이템(PL)에 대하여 마스크를 정확히 위치시키는 제1위치설정수단(PM)에 연결된 제1대물테이블(마스크테이블)(MT);
- 기판(W)(예를 들어, 레지스트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을 잡아주는 기판 홀더가 마련된, 아이템(PL)에 대하여 기판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제2위치설정수단 (PW)에 연결된 제2대물테이블(기판테이블)(WT); 및
- 기판(W)의 타겟부(C)(1이상의 다이를 포함)에 마스크(MA)의 조사된 부분을 묘화하는 투영시스템("렌즈")(PL)(예를 들어, 다층 거울의 그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반사마스크를 구비한) 반사형(reflective type)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투과마스크를 구비한) 투과형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상기 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형태의 프로그래머블 거울 어레이와 같은 그 밖의 다른 종류의 패터닝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방사원(LA)(예를 들어, 레이저생성 플라즈마원 혹은 방전 플라즈마원)은 방사선의 빔을 생성한다. 상기 빔은 곧바로 조명시스템(일루미네이터)(IL)에 들어 가거나, 예를 들어 빔 익스펜더(Ex)와 같은 컨디셔닝 수단을 거친 다음에 조명시스템으로 들어간다. 상기 일루미네이터(IL)는 빔내의 세기 분포의 외반경 및/또는 내반경 크기(통상 각각 외측-σ 및 내측-σ라 함)를 설정하는 조정수단(A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그것은 일반적으로 인티그레이터(IN) 및 콘덴서(CO)와 같은 그 밖의 다른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스크(MA)에 도달하는 빔(PB)은 그 단면에 소정의 균일성과 세기 분포를 갖게 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상기 방사원(LA)은 리소그패피 투영장치의 하우징내에 놓이지만(흔히 예를 들어, 방사원(LA)이 수은 램프인 경우에서처럼), 그것이 리소그래피 투영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그것이 만들어 낸 방사선빔이 (가령, 적절한 지향 거울에 의해) 장치 내부로 들어오게 할 수도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는 방사원(LA)이 흔히 엑시머레이저인 때의 경우이다. 본 발명과 청구 범위는 이들 시나리오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후, 상기 빔(PB)은 마스크테이블(MT)상에 잡혀있는 마스크(MA)를 통과한다. 마스크(MA)를 지난 빔(PB)은 렌즈(PL)를 통과하여 기판(W)의 타겟부(C)위에 빔(PB)을 포커스한다. 제2위치설정수단(및 간섭계측정수단(IF))에 의하여, 기판테이블(WT)은, 예를 들어 빔(PB)의 경로내에 상이한 타겟부(C)를 위치시키도록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위치설정수단은 예를 들어, 마스크 라이브러리로부터 마스크(MA)를 기계적으로 회수한 후에, 또는 스캔하는 동안, 빔(PB)의 경로에 대하여 마스크(MA)를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물테이블(MT, WT)의 이동은, 도 1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긴행정모듈 (long stroke module)(개략 위치설정) 및 짧은행정모듈(미세 위치설정)의 도움을 받아 실현될 것이다. 하지만, (스텝-앤드-스캔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웨이퍼스테퍼의 경우에는 마스크테이블(MT)이 짧은행정모듈에만 연결될 수도 있고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장치는 다음의 두 가지 상이한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1. 스텝 모드에서는, 마스크테이블(MT)은 기본적으로 정지상태로 유지되며,전체 마스크 이미지는 한번에(즉, 단일 "섬광"으로) 타겟부(C)에 투영된다. 이후 기판테이블(WT)이 x 및/또는 y 방향으로 쉬프트되어 다른 타겟부(C)가 빔(PB)에 의하여 조사될 수 있다.
2. 스캔 모드에서는, 소정 타겟부(C)가 단일 "섬광"으로 노광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시나리오가 적용된다. 그 대신에, 마스크테이블(MT)이v의 속도로 소정 방향(소위 "스캔방향", 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서, 투영빔(PB)이 마스크 이미지의 모든 부분을 스캐닝하도록 되고, 이와 함께 기판테이블(WT)은 속도V=Mv로, 동일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데, 이 때M은 렌즈(PL)의 배율(통상M=1/4 또는M=1/5)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상도를 떨어뜨리지 않고도 비교적 넓은 타겟부(C)가 노광될 수 있다.
도 2는 리소그래피장치의 조명 및 투영시스템내 다층 거울의 기판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는 ZerodurTM과 같은 낮은 CTE 유리세라믹 혹은 ULETM과 같은 유리의 열팽창계수의 온도의존성을 도시한다. 온도 T의 함수인 열팽창계수로서, 곡선 CET(T)는 온도 B에서 0교차되고 B의 양쪽 온도 범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본 발명에 따라, 광학요소는 온도 A에서 제작되고 온도 C에서 작동되어, CTE(T)가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B가 A와 C의 사이에 있는 온도 범위내에 A와 C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다.
A≤B≤C 또는 A≥B≥C
바람직하게는, 0교차 온도 B가 제작온도 A와 평균 작동온도 C의 중간에 있으므로 다음과 같다.
더 일반적인 경우에, CTE(T)가 A 내지 C의 범위에서 선형이지 않으면, 유리 (또는 유리세라믹)의 제작온도 및/또는 평균 작동온도는 다음과 같이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기준을 만족한다면, 평균 작동온도에서 거울의 표면변형은 실질적으로 0일 것이다. 이것은 온도 T의 함수인 표면변형 d를 도시한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예시에서, A가 C보다 작고 CTE(T)가 B 아래에서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온도가 A에서 B로 상승함에 따라 거울의 초기 수축은 온도가 B 위로 계속 상승하면서 반전된다.
예로서, 제작온도가 22℃이고 평균 작동온도가 대략 30℃라면, 26℃의 0교차 CTE를 가진 유리(또는 유리세라믹)가 선택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리소그래피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정밀 광학요소는 보통 매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채로 그것의 최종 형태로 그라인드된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하지만, 다른 온도에서 제작하는 단계의 경우에 본 발명의 목적에 관련되는 온도는 최종 폴리싱 및 모양검사 단계의 온도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서술된 바와 다르게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 및/또는 투영시스템내 광학요소의 열이 묘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감소되거나 혹은 제거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1. - 방사선의 투영빔을 공급하는 방사선시스템;
    - 소정의 패턴에 따라 투영빔을 패터닝하는 역할을 하는 패터닝수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체;
    - 기판을 잡아주는 기판테이블; 및
    - 기판의 타겟부 위로 패터닝된 빔을 투영하는 투영시스템을 포함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의 사용시 열부하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상기 구성요소의 제작온도와 평균 작동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0교차 열팽창계수를 가진 낮은 CTE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교차 온도는 상기 제작온도와 상기 평균 작동온도의 평균값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온도로부터 상기 작동온도까지 상기 낮은 CTE 재료의 열팽창계수의 적분값은 실질적으로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방사선시스템 및/또는 투영시스템내의 광학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요소는 상기 방사선시스템 및/또는 투영시스템내에서 사용시 가장 큰 열부하를 받는 광학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요소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낮은 CTE 재료로 제조된 기층 및 다층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그래피 투영장치.
  8. -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방사선 감응재의 층으로 덮인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 방사선시스템을 사용하여 방사선의 투영빔을 제공하는 단계;
    - 패터닝수단을 사용하여 투영빔의 단면에 패턴을 부여하는 단계;
    - 방사선감응재층의 타겟부상으로 방사선의 패터닝된 빔을 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의 사용시 열 부하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평균 작동온도를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의 제작온도와 상기 평균 작동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0교차 열팽창계수를 가진 낮은 CTE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조방법.
  9. 사용시 열 부하를 받으며 평균 작동온도에서 작동되는 광학요소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제1온도에서 열팽창계수가 0인 낮은 CTE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2온도에서 상기 낮은 CTE 재료를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광학요소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온도에서 상기 광학요소의 표면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제2온도와 상기 평균 작동온도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요소를 제작하는 방법.
KR1020020075855A 2001-12-04 2002-12-02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광학요소 제조방법 KR100588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310155 2001-12-04
EP01310155.5 2001-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190A true KR20030076190A (ko) 2003-09-26
KR100588126B1 KR100588126B1 (ko) 2006-06-09

Family

ID=818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855A KR100588126B1 (ko) 2001-12-04 2002-12-02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광학요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747730B2 (ko)
JP (1) JP3588095B2 (ko)
KR (1) KR100588126B1 (ko)
CN (1) CN1282039C (ko)
SG (1) SG103376A1 (ko)
TW (1) TWI2604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386B1 (ko) * 2003-09-27 2011-07-28 칼 짜이스 에스엠테 게엠베하 영점 교차 온도 근처에서 열팽창 계수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기울기 부호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 미러들을 구비한 초단파 자외선 투영 광학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8037B2 (en) * 2002-07-24 2008-09-23 Carl Zeiss Smt Ag Optical component that includes a material having a thermal longitudinal expansion with a zero crossing
JP4537087B2 (ja) * 2004-02-12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7295284B2 (en) * 2004-02-27 2007-11-13 Canon Kk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5620638B2 (ja) * 2005-07-19 2014-11-05 カール・ツァイス・エスエムティー・ゲーエムベーハー 光学結像装置
DE102008002403A1 (de) * 2008-06-12 2009-12-17 Carl Zeiss Smt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ehrlagen-Beschichtung, optisches Element und optische Anordnung
EP2221669A3 (en) * 2009-02-19 2011-02-09 ASML Netherlands B.V. A lithographic apparatu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a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E102010030913A1 (de) * 2010-07-05 2011-10-13 Carl Zeiss Smt Gmbh Erzeugen eines Substrats für einen EUV-Spiegel mit einer Soll-Oberflächenform bei einer Betriebstemperatur
JP5096530B2 (ja) * 2010-07-26 2012-12-12 カール・ツァイス・エスエムティー・ゲーエムベーハー ゼロ転移温度周辺の熱膨張係数に応じて温度の上昇に対する傾きの符号が異なる材料で構成されたミラーを備えたeuv投影レンズ
DE102010044969A1 (de) * 2010-09-10 2012-03-15 Carl Zeiss Smt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rojektionsbelichtungsanlage sowie Steu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701A (en) * 1988-09-06 1990-05-15 Panex Corporation Pressure measurement system
DE3917832A1 (de) * 1989-06-01 1990-12-13 Bosch Gmbh Robert Sensor zur bestimmung der winkelgeschwindigkeit
US5265143A (en) * 1993-01-05 1993-11-23 At&T Bell Laboratories X-ray optical element including a multilayer coating
US6132676A (en) * 1997-06-30 2000-10-1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nimal thermal expansion, high thermal conductivity metal-ceramic matrix composite
US6563565B2 (en) * 1997-08-27 2003-05-13 Nik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jection exposure
US6011646A (en) * 1998-02-20 2000-01-04 The Regents Of The Unviersity Of California Method to adjust multilayer film stress induced deformation of optics
AU2549899A (en) * 1998-03-02 1999-09-20 Nik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osure, method of manufacture of exposure too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device
US6159643A (en) * 1999-03-01 2000-12-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reflective mask
AU5932500A (en) * 1999-07-22 2001-02-13 Corning Incorporated Extreme ultraviolet soft x-ray projection lithographic method and mask devices
WO2001007969A1 (fr) 1999-07-23 2001-02-01 Fujitsu Limited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s et machine a developper
DE10040998A1 (de) * 2000-08-22 2002-03-14 Zeiss Carl Projektionsbelichtungsanlage
US20020064655A1 (en) * 2000-09-08 2002-05-30 Louis Morin Brass plated carbon fiber reinforced rubber
DE10134387A1 (de) * 2001-07-14 2003-01-23 Zeiss Carl Optisches System mit mehreren optischen Elemen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386B1 (ko) * 2003-09-27 2011-07-28 칼 짜이스 에스엠테 게엠베하 영점 교차 온도 근처에서 열팽창 계수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기울기 부호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 미러들을 구비한 초단파 자외선 투영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126B1 (ko) 2006-06-09
US20030123037A1 (en) 2003-07-03
JP2003188097A (ja) 2003-07-04
US6747730B2 (en) 2004-06-08
JP3588095B2 (ja) 2004-11-10
SG103376A1 (en) 2004-04-29
CN1282039C (zh) 2006-10-25
TW200410049A (en) 2004-06-16
US20040165173A1 (en) 2004-08-26
US7391502B2 (en) 2008-06-24
TWI260469B (en) 2006-08-21
CN1448795A (zh) 200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125B1 (ko) 리소그래피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KR100696733B1 (ko)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KR20030006953A (ko)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20050065390A (ko) 측정 방법, 정렬 마크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KR100675918B1 (ko) 리소그래피 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조되는 디바이스
KR100609110B1 (ko) 리소그래피 장치의 교정 방법, 정렬 방법, 컴퓨터프로그램,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US6864958B2 (en)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5130122B2 (ja) リソグラフィ装置
KR100588126B1 (ko)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광학요소 제조방법
KR100554247B1 (ko)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디바이스
JP2005340847A (ja) リソグラフィ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KR100614295B1 (ko) 디바이스 제조방법, 그 디바이스 및 그를 위한 리소그래피장치
KR20030076213A (ko) 리소그래피장치 및 디바이스제조방법
KR100767833B1 (ko) 리소그래피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KR100566144B1 (ko) 리소그래피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JP3919719B2 (ja) アライメントツール、リソグラフィ装置、アライメント方法、デバイス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デバイス
KR100563103B1 (ko) 광학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리소그래피장치 및 디바이스제조방법
JP5033175B2 (ja) リソグラフィ装置及びパターニングデバイス
KR100588114B1 (ko)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KR20040087960A (ko) 리소그래피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1318431A1 (en) Lithographic apparatus,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element
JP2010103531A (ja) リソグラフィ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KR100550032B1 (ko) 기판의 정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이에 따라 제조된 디바이스
JP2005311378A (ja) デバイス製造方法
JP2005045246A (ja) リソグラフィ装置、デバイス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した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