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187A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187A
KR20030076187A KR1020020075333A KR20020075333A KR20030076187A KR 20030076187 A KR20030076187 A KR 20030076187A KR 1020020075333 A KR1020020075333 A KR 1020020075333A KR 20020075333 A KR20020075333 A KR 20020075333A KR 20030076187 A KR20030076187 A KR 2003007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locking
locking member
handle
ha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7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1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손잡이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가진 가위로서, 그 목적은 사용중에 장치가 방해되지 않는 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치의 걸림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걸림부재의 한 쪽 단부인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걸림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쪽 손잡이부의 도중부분에 결합되고, 걸림단부가 걸림부에 걸려 양 손잡이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 걸림부재는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으며, 그 걸림상태로부터 더욱 탄성에 대항하며 양 손잡이부를 양쪽에서 눌러 양 손잡이부의 간격을 좁혔을 때,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의 경사각이 작아지며 그 결과, 상기 걸림단부가 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발명은 이발용 가위나 전정가위와 같이 한 쌍의 가위본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축으로 결합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가위의 양 손잡이부를 닫은 상태로 하기 위한 걸림장치는 종래부터 제안되고있다. 현재 가장 보급되어 있는 장치는 가늘고 긴 한 쪽 손잡이부의 후단에 걸림부재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그 걸림부재의 갈고리형상 선단부를 다른 쪽 손잡이부의 후단에 거는 구성이다.
가위의 양 손잡이부를 닫기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기 때문에, 봉형상의 손잡이부에 부착할 수는 있지만 손가락 걸기용 고리를 구비한 가위에서는 손잡이부의 후단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걸림부재의 갈고리형상 선단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걸림장치는 손가락 걸기용 고리를 갖는 가위에 이용될 수 없다. 또, 사용중에 걸림부재가 방해가 되므로 특히 이용(理容) 가위에는 전혀 이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손가락 걸기용 고리를 구비한 가위라 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중에 걸림장치가 방해되지 않는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양 손잡이부를 닫은 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양 손잡이부가 닫힌 상태로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걸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가위날의 베이스부 부근의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6 : 가위본체2,7 : 손잡이부
3 : 손가락 걸기용 오목부4,5 : 저널 베어링
8,18 : 가위날9 : 손가락 걸기용 고리
10 : 걸림 오목부11 : 맞닿음부
12 : 걸림부재13,14 : 저널 축
15 : 걸림단부16,17 : 긴 변
19 : 지지축20,21 : 오목부
22 : 코일 스프링23 : 코일부
24 : 아암부25,26 : 걸림 홀
27 : 선단부28,29 : 가위날의 베이스부
30 : 내주면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양 손잡이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재가 양 손잡이부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걸림부재가 그 걸림부재의 한 쪽 단부인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쪽 손잡이부의 도중부분에 결합되며, 다른 쪽 단부인 걸림단부는 다른 쪽 손잡이부의 걸림부에 걸림 및 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걸림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양 손잡이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 걸림부재는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으며, 그 걸림상태로부터 더욱 탄성에 대항하며 양 손잡이부를 양쪽에서 눌러 양 손잡이부의 간격을 좁혔을 때,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의 경사각이 작아지며 그 결과, 상기 걸림단부가 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이다.
청구항 2는, 걸림부재는 항상 그것이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부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는 요소가 제 1항에 한정적으로 부가된 것이다. 청구항 3은, 걸림부재는 하나의 메탈 와이어를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양 단부는 내측을 향해 구부러져 저널축이 형성되고, 걸림단부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저널축이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있는 요소가 제 2항에 한정적으로 부가된 것이다. 청구항 4는, 양 가위날은 항상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도록 가압되어 있는 구성이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한정적으로 부가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한 쪽 가위본체(1)는 손잡이부(2)의 전방으로 가위날(8)이 이어져 있고, 손잡이부(2)에 손가락 걸기용 고리가 형성되지 않는 대신에 손잡이부(2)의 안쪽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손잡이부의 일부를 이루는 손가락 걸기용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의 약간 뒤쪽 도중부분에는 2개의 저널 베어링(4,5)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 가위본체(6)도 손잡이부(7)의 전방으로 가위날(18)이 이어져 있고, 손잡이부(7)의 후단에 손잡이부의 일부를 이루는 손가락 걸기용 고리(9)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7)의 앞쪽 도중부분 내측에 걸림 오목부(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걸림 오목부(10)의 입구는 가위의 전방을 향해 있다. 또, 손가락 걸기용 고리(9)에는 양 손잡이부(2,7)를 닫았을 때의 완충재 역할을 하는 맞닿음부(11)가 부착되어 있다. 완충재는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은 탄력성을 지닌 플라스틱을 이용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맞닿음부를 금속으로 하고, 그 맞닿음부를 탄력성을 지닌 부재로 지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탄력성을 지닌 부재란 상기한 엘라스토머와 같은 플라스틱 외에 금속 스프링일 수도 있다. 상기 맞닿음부(11)가 존재함에 따라, 양 손잡이부(2,7)를 닫은 상태에서 더욱 맞닿음부(11)의 탄성에 대항하며 양 손잡이부(2,7)를 양쪽에서 눌렀을 때, 맞닿음부(11)는 약간 눌려 찌그러지도록 변형되며 그 결과, 양 손잡이부(2,7)의 간격은 약간 좁혀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가위날의 베이스부(28,29)의 샤프트 홀 부근 내면에 오목부(20,2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19)의 주위에는 코일 스프링(22)의 코일부(23)가 감기고, 코일 스프링(22)의 아암부(24,24)가 오목부(20,21)의 내주면(30)에 내접해 있다. 아암부(24,24)의 선단부(27)는 수직으로 구부러져 오목부(20,21)의 바닥에 형성된 걸림홀(25,26)에 걸려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위날(8,18)을 닫을 때에는 손잡이부(2,7)에 힘을 가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의 탄성에 대항하며 아암부(24,24)를 닫고, 힘의 부가를 멈춤에 따라 가위날(8,18)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된다.
걸림부재(12)는 하나의 메탈 와이어를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양 단부를 내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저널 축(13,14)이 형성된다. 이들 저널 축(13,14)은 같은 위치에 형성하면, 동일한 저널 베어링에 삽입되어 충돌하므로, 앞뒤로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한다. 걸림부재(12)의 선단에는 선형상의 걸림단부(15)가 형성되고, 도 7과 같이 긴 변(16,17)은 평행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걸림부재(12)는 한 쪽 가위본체의 손잡이부(2)에 부착된다. 걸림부재의 한 쪽 저널 축(13)은 저널 베어링(4)에 삽입되며, 다른 쪽 저널 축(14)은 저널 베어링(5)에 삽입된다. 이 때, 당초 일정한 각도를 이루던 긴 변(16,17)은 대략 평행해지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걸림단부(15)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로써 걸림부재(12)는 항상 손잡이부(2)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손잡이부(2)의 내측면에 다가붙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가위의 사용중에 걸림부재(12)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걸림부재(12)를 이용해 손잡이부(2,7)를 닫은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손잡이부(2,7)를 닫고 걸림부재(12)를 회동하여 걸림단부(15)를 걸림 오목부(10)내부에 걸어 고정한다. 걸림 오목부(10)는 가위의 전방을 향하고 걸림부재(12)는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 가위날(8,18)이 항상 벌어지도록 가압되고 있을 때에는, 걸림단부(15)는 걸림 오목부(10)의 바닥방향으로 이끌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걸림단부(15)가 걸림 오목부(10)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 없어도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일이 없다. 양 가위날(8,18)이 항상 벌어지도록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걸림 오목부(10)의 입구를 약간 좁혀 걸림단부(15)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면 된다.
걸림단부(15)와 걸림 오목부(10)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양 손잡이부(2,7)를 양쪽에서 누르면 맞닿음부(11)가 눌려 찌그러지도록 변형되므로 양 손잡이부(2,7)의 간격이 좁아진다. 그렇게 하면, 가위 길이방향에 대한 걸림부재(12)의 각도가 작아지고, 걸림단부(15)는 걸림 오목부(10)내부에서 손잡이부의 내측면 위를 스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림 오목부(10)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로써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며, 청구항 1은, 걸림부재가 그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해지도록 한 쪽 손잡이부의 도중부분에 결합되며, 걸림단부는다른 쪽 손잡이부의 걸림부에 걸림 및 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걸림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양 손잡이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 걸림부재는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으며, 그 걸림상태로부터 더욱 탄성에 대항하며 양 손잡이부를 양쪽에서 눌러 양 손잡이부의 간격을 좁혔을 때,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의 경사각이 작아지며 그 결과, 상기 걸림단부가 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걸림부재는 손잡이부의 후단이 아닌, 손잡이부의 도중부분에 부착되기 때문에 손가락 걸기용 고리를 구비한 가위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 걸림상태는 양 손잡이부를 양쪽에서 누름으로써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걸림부재가 항상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부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 걸림부재가 손잡이부를 따르는 상태에 위치하게 되므로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3은, 걸림부재는 하나의 메탈 와이어를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양단부는 내측을 향해 구부러져 저널축이 형성되고, 걸림단부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저널축이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걸림부재를 항상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부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Claims (4)

  1. 손잡이부의 전방으로 가위날이 이어지는 한 쌍의 가위본체가 지지축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위에 있어서,
    양 손잡이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재가 양 손잡이부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한 쪽 단부인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상기 걸림부재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쪽 손잡이부의 도중부분에 결합되며, 다른 쪽 단부인 걸림단부는 다른 쪽 손잡이부의 걸림부에 대해 걸림 및 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걸림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양 손잡이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 걸림부재는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으며, 그 걸림상태로부터 더욱 탄성에 대항하며 양 손잡이부를 양쪽에서 눌러 양 손잡이부의 간격을 좁혔을 때, 가위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의 경사각이 작아지며 그 결과, 상기 걸림단부가 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항상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부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는 가위.
  3. 제 2항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하나의 메탈 와이어를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양단부는 내측을 향해 구부러져 저널축이 형성되고, 걸림단부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저널축이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가위날은 항상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도록 가압되고 있는 가위.
KR1020020075333A 2002-03-22 2002-11-29 가위 KR20030076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0663A JP3544200B2 (ja) 2002-03-22 2002-03-22 理髪鋏
JPJP-P-2002-00080663 2002-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187A true KR20030076187A (ko) 2003-09-26

Family

ID=2920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333A KR20030076187A (ko) 2002-03-22 2002-11-29 가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4200B2 (ko)
KR (1) KR200300761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18B1 (ko) * 2021-04-29 2021-10-28 케이비아이 주식회사 조리용 가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1114A (ja) * 2013-05-13 2014-11-27 株式会社刃物屋トギノ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18B1 (ko) * 2021-04-29 2021-10-28 케이비아이 주식회사 조리용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4200B2 (ja) 2004-07-21
JP2003275479A (ja) 200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8250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KR100725800B1 (ko) 미용 및 유사 용례에 적합한 마모없는 가위
US6301787B2 (en) Shear with sliding lock mechanism
EP1817988A1 (en) Picture frame fixings
US5063671A (en) Kitchen shears with hiding spring
KR20030076187A (ko) 가위
KR100391868B1 (ko) 낚시바늘
WO2007133567A2 (en) Flexible pin for connecting a finger ring to a shank of a cutting device
US20030159293A1 (en) Blade cover for cutting device
EP2316049B1 (en) Elastic hinge for a pair of spectacles
JP4188871B2 (ja) ワイパブレードの連結構造及び車両用ワイパ装置
JP2019061687A5 (ko)
EP1488771A1 (en) Sling attachment device
EP1358796A1 (en) Fishing accesory
AU4259800A (en) Attachment device
JP3121024U (ja) 枝切鋏
JP2001062162A (ja) 切断器
EP2000255B1 (en) Cutting-tool holder for use in grinding
CA2650772A1 (en) Safety locking device for a lifting hook
US20010052187A1 (en) Lockable blade for pocketknife
US7165328B2 (en) Double action scissors (DAS)
JP7343259B2 (ja) フックラッチ外れ止め機構およびフック
JP5620803B2 (ja) クリップ
US20050072036A1 (en) Locking tweezers for securing beads or weights used in tying fishing flies
US976674A (en) Combination-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