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718B1 - 조리용 가위 - Google Patents
조리용 가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8718B1 KR102318718B1 KR1020210055901A KR20210055901A KR102318718B1 KR 102318718 B1 KR102318718 B1 KR 102318718B1 KR 1020210055901 A KR1020210055901 A KR 1020210055901A KR 20210055901 A KR20210055901 A KR 20210055901A KR 102318718 B1 KR102318718 B1 KR 1023187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scissors
- hole
- piece
- gr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일자날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 그립편이 형성된 제1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과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상기 일자날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립편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그립편이 형성된 제2 가위날;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일자날이 형성된 제1 가위날과 일자날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이 형성된 제2 가위날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대상물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칼날 사이에 넣어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절단용 가위는 마주보는 부위에 칼날이 형성된 가위날과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가 "X"자 형태로 연결되어 교차되는 부분에 힌지핀에 의해 축설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측 손잡이를 움직이어 가위날의 칼날을 통해 음식물을 자를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절단용 가위의 경우, 가위날의 선단측에 형성된 칼날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종 뼈, 두꺼운 고기 또는 게와 같이 딱딱한 껍질 등의 음식물이나 또는 미끄러운 음식물을 자를 경우 가위날의 끝부분으로 음식물이 미끄러짐에 따라 절단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을 절단할 때 힘이 매우 많이 들어가 사고발생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음식물 절단 시 가위날 사이에서 음식물이 절단되지 않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는, 일측에 일자날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 그립편이 형성된 제1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과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상기 일자날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립편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그립편이 형성된 제2 가위날;을 포함하고, 상기 일자날 중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생선의 비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톱니편이 형성되며, 상기 일자날 중 상기 힌지축과 인접한 위치에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위날 및 제2 가위날 각 중앙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탄성체가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돌출편 및 제2 돌출편이 상기 제1 삽입공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공 및 상기 제2 삽입공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고정공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그립편 및 제2 그립편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립편에는 상기 제2 그립편과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편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되도록 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는 S극을 가지며, 상기 안착공의 내벽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동일한 자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의 하면은 N극을 가지며, 상기 결합돌기가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에 인접 시 내벽의 자성에 의해 서로 밀어냄에 따라 중앙으로 안내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에 안착 시 하면에 자성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단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착공은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와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가위에 따르면, 일자날이 형성된 제1 가위날과 일자날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이 형성된 제2 가위날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대상물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리용 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는 일자날과 만곡날을 통해 다양한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100)는, 제1 가위날(110), 제2 가위날(120) 및 탄성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위날(110)은 일측에 일직선으로 형성된 일자날(1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 그립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위날(110)의 일자날(111) 중 상기 제1 힌지공(112)과 인접한 위치에는 원기둥 형상의 대상물 절단 시 대상물이 날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골(1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위날(110)의 일측에는 외측면인 일측면에 등간격으로 생선과 같은 대상물의 비늘을 제거하기 위한 톱니편(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위날(110)의 중앙에는 제1 힌지공(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위날(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힌지공(112)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환형의 제1 삽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공(112a)의 일측에는 제1 고정편(1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립편(113)에는 제1 그립공(1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립편(113)의 양측면에는 제1 그립부재(114)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그립부재(114)에는 상기 제1 그립공(113a)과 동일한 위치에 제1 체결공(11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그립부재(114)는 암수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는 제1 고정핀(P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고정핀(P2)은 서로 암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그립공(113a) 및 제1 체결공(11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핀(P2)은 나사 결합이나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부재(114)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편(113)의 하단에는 걸림턱(113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위날(120)은 상기 제1 가위날(110)과 중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곡선으로 형성된 만곡날(1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그립편(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위날(120)의 중앙에는 상기 제1 힌지공(112)과 동일한 위치에 제2 힌지공(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위날(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힌지공(122)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환형의 제2 삽입공(1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공(122a)의 일측에는 제2 고정편(1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립편(123)에는 제2 그립공(12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그립편(123)의 양측면에는 제2 그립부재(124)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2 그립부재(124)에는 상기 제2 그립공(123a)과 동일한 위치에 제2 체결공(12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그립부재(124)는 암수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는 제2 고정핀(P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핀(P3)은 서로 암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그립공(123a) 및 제2 체결공(12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핀(P3)은 나사 결합이나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그립부재(124)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그립편(123)의 하단에는 고리(123b)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리(123b)는 상기 제1 그립편(113) 및 제2 그립편(123)이 서로 인접 시 상기 걸림턱(113b)에 걸려 서로를 고정시킨다.
상기 탄성체(130)는 상기 제1 가위날(110) 및 제2 가위날(120)이 탄성에 의해 서로 벌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삽입공(112a) 및 제2 삽입공(122a)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체(13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제1 고정편(112b) 및 제2 고정편(122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1 돌출편(131) 및 제2 돌출편(1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위날(110) 및 제2 가위날(120)이 탄성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가위질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위날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가위(200)는, 제1 가위날(210), 제2 가위날(220) 및 탄성체(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위날(210)은 일측에 일직선으로 형성된 일자날(2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 그립편(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위날(210)의 일자날(211) 중 상기 제1 힌지공(212)과 인접한 위치에는 원기둥 형상의 대상물 절단 시 대상물이 날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골(2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위날(210)의 일측에는 외측면인 일측면에 등간격으로 생선과 같은 대상물의 비늘을 제거하기 위한 톱니편(2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위날(210)의 중앙에는 제1 힌지공(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위날(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힌지공(212)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환형의 제1 삽입공(2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공(212a)의 일측에는 제1 고정편(2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립편(213)에는 제1 그립공(2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립편(213)의 양측면에는 제1 그립부재(214)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그립부재(214)에는 상기 제1 그립공(213a)과 동일한 위치에 제1 체결공(21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그립부재(214)는 암수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는 제1 고정핀(P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고정핀(P2)은 서로 암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그립공(213a) 및 제1 체결공(21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핀(P2)은 나사 결합이나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부재(214)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가위날(220)은 상기 제1 가위날(210)과 중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곡선으로 형성된 만곡날(2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그립편(2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위날(220)의 중앙에는 상기 제1 힌지공(212)과 동일한 위치에 제2 힌지공(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위날(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힌지공(222)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환형의 제2 삽입공(2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공(222a)의 일측에는 제2 고정편(2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립편(223)에는 제2 그립공(22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그립편(223)의 양측면에는 제2 그립부재(224)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2 그립부재(224)에는 상기 제2 그립공(223a)과 동일한 위치에 제2 체결공(22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그립부재(224)는 암수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는 제2 고정핀(P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핀(P3)은 서로 암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그립공(223a) 및 제2 체결공(22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핀(P3)은 나사 결합이나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그립부재(224)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230)는 상기 제1 가위날(210) 및 제2 가위날(220)이 탄성에 의해 서로 벌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삽입공(212a) 및 제2 삽입공(222a)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체(23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제1 고정편(212b) 및 제2 고정편(222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1 돌출편(231) 및 제2 돌출편(2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위날(210) 및 제2 가위날(220)이 탄성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가위질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그립편(213) 및 제2 그립편(223)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립편(213) 중 상기 제2 그립편(223)과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돌기(21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5)는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5)의 단부에는 제1 전극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립편(223)에는 상기 결합돌기(215)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215)가 안착되도록 안착공(22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225)은 상기 결합돌기(215)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공(225)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반된 제2 전극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 전극은 S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은 N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공(225)의 내벽에는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상반되는 전극을 가진다.
이때, 상기 안착공(225)의 내측에는 하면이 상기 제1 전극과 상반된 전극을 가지며, 내벽 전체가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전극을 가짐에 따라 상기 안착공(225)의 내측에는 제1 전극이 더 강하게 작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그립편(213) 및 제2 그립편(223)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결합돌기(215)가 상기 안착공(225)에 안착 시 동일한 전극에 의해 서로 밀어내며 중앙으로 안내되어 안착되고, 외력 해제 시 탄성 및 자성에 의해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그립편(213) 및 제2 그립편(223)의 정밀한 동작 및 상기 탄성체(23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결합돌기(215) 및 안착공(225)을 통해 상기 제1 가위날(210) 및 제2 가위날(22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그립부재(214) 각각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부(21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6)는 하방으로 연통된 가이드홀(216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16)의 각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홀(216a)과 연통된 장홀(216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16)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홀(216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바(217)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217)의 상단에는 상기 장홀(216b)을 통해 각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편(21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217)에는 상기 가이드홀(216a) 내측에 인입 시 상기 장홀(216b)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이드바(217)가 하방에 이동 시 상기 가이드부(216)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편(217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217)는 하방 이동 시 상기 제2 그립부재(224)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가위날(210) 및 제2 가위날(220)이 동작 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가위(200)에 따르면, 일자날(211)이 형성된 제1 가위날(210)과 일자날(211)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221)이 형성된 제2 가위날(220)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대상물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가위에 따르면, 일자날이 형성된 제1 가위날과 일자날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이 형성된 제2 가위날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대상물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리용 가위 110: 제1 가위날
111: 일자날 111a: 톱니편
111b: 골 112: 제1 힌지공
112a: 제1 삽입공 112b: 제1 고정편
113: 제1 그립편 113a: 제1 그립공
113b: 걸림턱 114: 제1 그립부재
114a: 제1 체결공 120: 제2 가위날
121: 만곡날 122: 제2 힌지공
122a: 제2 삽입공 122b: 제2 고정편
123: 제2 그립편 123a: 제2 그립공
123b: 고리 124: 제2 그립부재
124a: 제2 체결공 130: 탄성체
131: 제1 돌출편 132: 제2 돌출편
P1: 힌지축 P2: 제1 고정핀
P3: 제2 고정핀
111: 일자날 111a: 톱니편
111b: 골 112: 제1 힌지공
112a: 제1 삽입공 112b: 제1 고정편
113: 제1 그립편 113a: 제1 그립공
113b: 걸림턱 114: 제1 그립부재
114a: 제1 체결공 120: 제2 가위날
121: 만곡날 122: 제2 힌지공
122a: 제2 삽입공 122b: 제2 고정편
123: 제2 그립편 123a: 제2 그립공
123b: 고리 124: 제2 그립부재
124a: 제2 체결공 130: 탄성체
131: 제1 돌출편 132: 제2 돌출편
P1: 힌지축 P2: 제1 고정핀
P3: 제2 고정핀
Claims (5)
- 일측에 일자날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 그립편이 형성된 제1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과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상기 일자날과 마주보는 위치에 만곡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립편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그립편이 형성된 제2 가위날;을 포함하고,
상기 일자날 중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생선의 비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톱니편이 형성되며,
상기 일자날 중 상기 힌지축과 인접한 위치에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위날 및 제2 가위날 각 중앙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탄성체가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돌출편 및 제2 돌출편이 상기 제1 삽입공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공 및 상기 제2 삽입공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고정공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그립편 및 제2 그립편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립편에는 상기 제2 그립편과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편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되도록 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는 S극을 가지며,
상기 안착공의 내벽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동일한 자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의 하면은 N극을 가지며,
상기 결합돌기가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에 인접 시 내벽의 자성에 의해 서로 밀어냄에 따라 중앙으로 안내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에 안착 시 하면에 자성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단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착공은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와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가위.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5901A KR102318718B1 (ko) | 2021-04-29 | 2021-04-29 | 조리용 가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5901A KR102318718B1 (ko) | 2021-04-29 | 2021-04-29 | 조리용 가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8718B1 true KR102318718B1 (ko) | 2021-10-28 |
Family
ID=7823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5901A KR102318718B1 (ko) | 2021-04-29 | 2021-04-29 | 조리용 가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8718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6187A (ko) * | 2002-03-22 | 2003-09-26 |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 가위 |
KR200356055Y1 (ko) | 2004-04-23 | 2004-07-14 | 김세웅 | 식품절단용 가위 절단장치. |
KR200384688Y1 (ko) | 2004-10-11 | 2005-05-17 | 김영진 | U자형 요홈이 형성된 절단용 가위 |
JP2006025858A (ja) * | 2004-07-12 | 2006-02-02 | Tsukuru Yorokobi Kobo:Kk | 開閉作業工具 |
KR200428908Y1 (ko) * | 2006-06-02 | 2006-10-17 | 주식회사 초이스원 | 가위 |
KR200433296Y1 (ko) | 2006-09-21 | 2006-12-11 | 서용문 | 다기능 포장 테이프 절단 가위. |
KR20120090721A (ko) | 2011-02-08 | 2012-08-17 | 한호현 | 음식물 절단가위 |
JP2013119003A (ja) * | 2011-12-08 | 2013-06-17 | Suzuki Hamono Kogyo Kk | 鋏 |
KR20180082376A (ko) * | 2018-06-29 | 2018-07-18 | 박재익 | 다용도 가위 |
-
2021
- 2021-04-29 KR KR1020210055901A patent/KR1023187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6187A (ko) * | 2002-03-22 | 2003-09-26 |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 가위 |
KR200356055Y1 (ko) | 2004-04-23 | 2004-07-14 | 김세웅 | 식품절단용 가위 절단장치. |
JP2006025858A (ja) * | 2004-07-12 | 2006-02-02 | Tsukuru Yorokobi Kobo:Kk | 開閉作業工具 |
KR200384688Y1 (ko) | 2004-10-11 | 2005-05-17 | 김영진 | U자형 요홈이 형성된 절단용 가위 |
KR200428908Y1 (ko) * | 2006-06-02 | 2006-10-17 | 주식회사 초이스원 | 가위 |
KR200433296Y1 (ko) | 2006-09-21 | 2006-12-11 | 서용문 | 다기능 포장 테이프 절단 가위. |
KR20120090721A (ko) | 2011-02-08 | 2012-08-17 | 한호현 | 음식물 절단가위 |
JP2013119003A (ja) * | 2011-12-08 | 2013-06-17 | Suzuki Hamono Kogyo Kk | 鋏 |
KR20180082376A (ko) * | 2018-06-29 | 2018-07-18 | 박재익 | 다용도 가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87823B2 (en) | Surgical sagittal blade cartridge with a reinforced guide bar | |
US7007519B2 (en) | One piece rivetless frame for handcuff | |
US9095985B2 (en) | Versatile knife with removable blade | |
US8819943B2 (en) | Safety scalpel | |
CN1856391B (zh) | 旋转型切割工具 | |
US3740804A (en) | Watch end | |
US4268080A (en) | Manual tool for feeding refuse to a garbage grinder disposal | |
US4463237A (en) | Pushbutton assembly with integral bias means | |
US20060264955A1 (en) | Variable depth drill guide | |
US20170099904A1 (en) | Dual Retractable Seam Ripper | |
US10099358B2 (en) | Gripping tool | |
CN109121403B (zh) | 手动利器的锁定机构 | |
US20110301613A1 (en) | Modular impactor head | |
KR102318718B1 (ko) | 조리용 가위 | |
KR20150002680A (ko) | 랜싯 | |
KR860001796B1 (ko) | 수술용 스테이플 제거기 | |
EP0197065B1 (en) | Surgical staple remover | |
CN105431110A (zh) | 带锥度的、圆柱形十字状锤状趾植入件与方法 | |
US1870025A (en) | Scissors | |
WO2002057056A1 (en) | Scissors with flexible handle segment | |
EP0396295A2 (en) | Pliers or nippers with compound pivot axes | |
KR20190096628A (ko) | 코털 깎기 | |
JP2019068979A (ja) | 刃間調節爪切り具 | |
KR101677261B1 (ko) |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 |
US20050262899A1 (en) | Countersunk keyway opening in a handcuff frame assembly for a handcuf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