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261B1 -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 Google Patents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261B1
KR101677261B1 KR1020150119051A KR20150119051A KR101677261B1 KR 101677261 B1 KR101677261 B1 KR 101677261B1 KR 1020150119051 A KR1020150119051 A KR 1020150119051A KR 20150119051 A KR20150119051 A KR 20150119051A KR 101677261 B1 KR101677261 B1 KR 10167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ross
unit
femoral hea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성
Original Assignee
신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성 filed Critical 신우성
Priority to KR102015011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호형의 양측 단면에는 각각 절단날(11)과 톱날(1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로 점차 단면간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단부(10); 절단부(10)의 후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절단부측 일단부간 상호 마주보는 면간은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힌지 결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전방은 절단부(10)의 단면간 벌어진 간격이 연장되도록 하고, 후방은 단면간 밀착되는 연결부(20); 일단은 연결부(20)의 후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일정 길이에서 마주보는 단면간을 힌지 결합되도록 하며, 힌지 결합되는 단부간은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하면서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30); 일단은 파지부(30)의 상호 마주보는 후방측 단면에 일단이 각각 축고정되고, 타단은 파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전방측에서 상호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여 파지부(30)를 탄성력에 의해 악력이 복귀되는 복원탄성부(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Cutter of the femoral head of pet}
본 발명은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의 대퇴골 탈구 등으로 인한 대퇴골두의 절단 수술을 위한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각종 사고로 인해 동물병원을 찾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사람과 사는 애완동물들은 각 동물 특성 상 다양한 질병을 갖고 있어 좀더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므로 동물병원을 찾는 사례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동물들 중 특히 4개의 다리를 갖는 동물들 중에는 주로 소형견에서는 대퇴골의 머리 부분에 혈액공급이 되지 않아 골두가 괴사되어 탈락되는 대퇴골허혈성괴사(LCPD,Legg Calve Perthes Disease)를 앓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면 심한 통증과 파행으로 인해 근육이 위축되므로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와는 달리 주로 대형견 및 초대형견에서는 고관절내 관골구의 발육부전, 변형으로 인해 대퇴골두의 변형 및 편평화가 진행되고, 결과적으로 고관절이 이완되어 탈구가 진행되면서 탈구의 진행으로 인해 뒷다리의 만성적인 파행과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는 고관절 이형성(Pip Dysplasia)이 발생되기도 한다.
고관절 이형성이 발생하면 오르는 것을 힘겨워하며, 걸을 때에는 뒷다리가 흔들리면서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휴식 후에도 통증을 통반하게 된다.
그리고 탈구가 진행되면서 뒷다리의 만성적인 파행과 보행 시 허리부분을 흔들면서 걷고 앉을 때 정확한 자세를 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앉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이 발생되면 대퇴골두 절골술(FHO)에 의한 수술에 의해서 치료를 하게 된다.
대퇴골두 절골술에 의한 수술 시 통상 골두를 절단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절제 부위에 반흔과 섬유조직에 의한 가관절이 형성되고, 둔근이 큰대퇴돌기 부분을 눌러서 안정화된다.
다만 수술 시 골두를 절단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고가의 전동톱을 사용하거나 수술용 망치(mallet)와 정(osteotome)을 사용해서 호박엿을 자르듯이 절단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장비구입의 과중한 부담이 있거나 골두의 절단면이 고르지 않으면서 자칫 뼈조각이 발생된 줄 모르고 봉합하여 재수술을 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골두의 절단을 위해서는 대퇴골두를 노출시키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나 이러한 작업은 결코 용이치 않은 폐단이 있다.
US 8,926,621(Surgical instrument for acetabular cup implantation )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퇴골두의 목 부위를 외부로 간단히 노출되도록 하면서 노출된 상태에서 목 부위를 따라 회전시켜 톱질이 이루어진 부위를 악력에 의해서만 신속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시 다른 부위에는 어떠한 손상이나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원하는 부위만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절단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호형의 양측 단면에는 각각 절단날과 톱날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로 점차 단면간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단부; 절단부의 후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절단부측 일단부간 상호 마주보는 면간은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힌지 결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전방은 절단부의 단면간 벌어진 간격이 연장되도록 하고, 후방은 단면간 밀착되는 연결부; 일단은 연결부의 후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일정 길이에서 마주보는 단면간을 힌지 결합되도록 하며, 힌지 결합되는 단부간은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하면서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 일단은 파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후방측 단면에 일단이 각각 축고정되고, 타단은 파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전방측에서 상호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여 파지부를 탄성력에 의해 악력이 복귀되는 복원탄성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개된 부위를 통해 대퇴골두의 보다 용이한 고정과 함께 절개를 위한 노출이 용이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대퇴골두의 절단 수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하기 전에 톱질에 의해 미리 절단할 위치를 형성한 후 악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대퇴골두를 정확하고 깨끗하게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서 톱날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대퇴골두에 삽입시켜 대퇴골두를 노출되도록 하는 상태를 예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회전시켜 대퇴골두의 목 부위를 톱질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 의해 대퇴골두 절단 작동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절단부(10)와 연결부(20)와 파지부(30) 및 복원탄성부(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구 절단기는 양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바디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렇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디가 선단으로부터 절단부(10)와 연결부(20)와 파지부(30)로 이루어지고, 파지부(30)간에는 복원탄성부(40)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바디 선단에 구비되는 절단부(10)는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고, 마주보는 양측의 단면은 호형상으로 요입되도록 하면서 양측 단면에는 절단날(11)과 톱날(1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절단부(10)는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로 점차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간격이 점차 벌어지게 형성하면서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로 점차 일정 각도로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절단부(10)는 선단측으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이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면서 이러한 양측의 단면은 호형상으로 요입되도록 하면서 호형상의 단면에는 절단날(11)과 톱날(12)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서 톱날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확대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10)의 톱날(12)은 대퇴골두와 밀착되었을 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날 부위가 선단부측 단부는 완만한 경사각으로 이루어지고 후단부측으로는 경사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날 사이의 피치는가 후방으로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절단부(10)는 측면에서 보면 선단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며, 선단측으로 두께가 좀더 얇아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결부(20)는 절단부(10)의 후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밀착되도록 하면서 후방으로 동일한 길이로서 연장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부(20)는 절단부(10)를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절단부(10)측 단부는 절단부(10)의 상호 마주보는 면간 선단측으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면서 후방으로는 간격이 좁아지게 하는 구성이 연장되게 구성되고, 마주보는 면간 간격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마주보는 면간이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힌지 결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연결부(20)의 제1 힌지결합부(21)는 절단부(10)의 마주보는 단면간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회전축의 구성이다.
연결부(20)는 마주보는 면간 밀착되도록 하면서 일정 길이로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20)의 양측의 후방측 단부에는 파지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한다.
즉 파지부(30)는 일단이 연결부(20)의 후단부와는 힌지결합되면서 연결부(20)와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22)로부터 일정 길이는 마주보는 면간 상호 밀착되도록 형성하다 상호 간격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면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파지부(30)는 연결부(20)와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22)로부터 면간 밀착되도록 하는 부위의 단면간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제3 힌지결합부(31)가 형성되도록 한다.
파지부(30)는 제3 힌지결합부(31)로부터 후방으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이 점차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일정 길이를 형성한다.
다만 파지부(30)의 벌어지는 간격은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정도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파지부(30)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 바디의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게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복원탄성부(40)는 파지부(30)의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파지부(30)가 항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악력에 의해 파지부(30)의 바디간 간격이 일정 간격까지 좁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복원탄성부(40)는 한 쌍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들 판스프링의 각 일단은 파지부(3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 바디의 단면에 고정되고, 각 타단은 파지부(30)의 제3 힌지결합부(31)측에서 상호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파지부(30)간 간격이 일정 폭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복원탄성부(40)는 파지부(30)간 악력에 의해 쥐었던 힘을 풀었을 때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는 복원탄성부(40)의 탄발력에 의해 절단부(10)의 절단날(11)과 톱날(12)간 선단측 간격은 최대한 벌어진 상태가 된다.
즉, 복원탄성부(40)에 의해 절단부(10)는 최대한 간격이 벌어진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절단부(10)의 벌어진 부위를 통해 대퇴골두의 목 부위가 끼워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지부(30)를 한 손으로 잡고 대퇴골두(50)가 노출되도록 개봉한 환부로 절단부(10)를 밀어넣으면서 대퇴골두(50)의 하부가 절단부(10)의 벌어진 절단날(11)과 톱날(12)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절단날(11)과 톱날(12) 사이로 대퇴골두(50) 하부의 목 부위(51)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절단부(10)를 일정 힘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대퇴골두(51)가 외부로 쉽게 노출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절단부(10)의 절단날(11)과 톱날(12) 사이에 대퇴골두(51)의 직경이 가장 작은 목 부위(51)를 쥐고 상부로 살짝 올리게 되면 손쉽게 대퇴골두(51)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를 회전시켜 대퇴골두의 목 부위를 톱질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를 잡은 상태에서 본 발명을 복수 회 회전시키게 되면 톱날(12)에 의해 목 부위(51)에 일정 깊이의 톱질 흔적이 발생된다.
즉 파지부(30)를 일정 악력으로 누르면서 본 발명을 회전시켜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가 대퇴골의 형성 방향에 가까운 각도로서 일정 깊이로 패이도록 한다.
파지부(30)에 가해지는 악력을 상승시키면서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가 패이도록 하면 점차 절단 부위의 골이 깊어지게 된다.
일정 깊이로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가 패이도록 하면 파지부(30)의 양 바디를 한 손으로 쥐고 악력을 순간적으로 최대한 상승시키게 되면 톱질에 의해 패인 부위를 따라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에 의해 대퇴골두를 절단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30)를 일정 악력으로 쥐게 되면 파지부(30)는 선단측의 제3 힌지결합부(31)를 축으로 그 전방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제2 힌지결합부(22)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양측의 제2 힌지결합부(22)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파지부(30)의 선단과 힌지결합된 연결부(20)의 후단이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연결부(20)의 선단측 절단부(10)와의 연결부에서 바디간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한 제1 힌지결합부(21)를 축으로 절단부(10)의 절단날(11)과 톱날(12)간 간격이 축소되도록 한다.
파지부(30)의 바디간 간격을 줄여 절단부(10)에서의 절단날(11)과 톱날(12)간 간격이 급격하게 축소되도록 하면 절단날(11)과 톱날(12) 사이에서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가 절단된다.
즉, 대퇴골두(50)는 톱질에 의해 형성한 홈을 따라 정확하게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퇴골두(50)의 절단을 좀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수술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대퇴골두(50)를 깨끗하게 절단시킨 후 봉합을 하게 되면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서 대퇴골두(50)가 제거된 부위로 빠르게 근육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정상적으로 관절상태로 빠르게 회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지부(3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절단부(10)의 절단날(11)과 톱날(12) 사이에 위치되는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에 미리 일정 깊이로 칼집과 톱질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악력을 순간적으로 증강시켜 대퇴골두(50)의 목 부위(51)가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퇴골두(50)의 절단수술이 보다 빠르고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절단 중 길이 방향으로 잘못 절단되거나 하는 실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정확히 대퇴골두(50)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절단부 11 : 절단날
12 : 톱날 20 : 연결부
30 : 파지부 40 : 복원부
50 : 대퇴골두 51 : 목 부위

Claims (3)

  1.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호형의 양측 단면에는 각각 절단날과 톱날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로 점차 단면간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단부;
    절단부의 후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절단부측 일단부간 상호 마주보는 면간은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힌지 결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전방은 절단부의 단면간 벌어진 간격이 연장되도록 하고, 후방은 단면간 밀착되는 연결부;
    일단은 연결부의 후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일정 길이에서 마주보는 단면간을 힌지 결합되도록 하며, 힌지 결합되는 단부간은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하면서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
    일단은 파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후방측 단면에 일단이 각각 축고정되고, 타단은 파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전방측에서 상호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여 파지부를 탄성력에 의해 악력이 복귀되도록 하는 복원탄성부;
    로서 이루어지는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절단날과 톱날의 형성 부위가 일정 깊이 하향 요입되게 형성되는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양측 바디의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KR1020150119051A 2015-08-24 2015-08-24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KR10167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51A KR101677261B1 (ko) 2015-08-24 2015-08-24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51A KR101677261B1 (ko) 2015-08-24 2015-08-24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261B1 true KR101677261B1 (ko) 2016-11-17

Family

ID=575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51A KR101677261B1 (ko) 2015-08-24 2015-08-24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2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146A (ko) * 2017-09-21 2019-03-29 심형보 유두 재건 수술용 유두 공유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426A (ja) * 1996-12-11 1998-06-23 Fujihira Kogyo Kk 犬または猫の卵巣摘出術用鉗子
JPH10506561A (ja) * 1995-05-12 1998-06-30 ハウメディ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ロット付き膝蓋骨切除ガイドおよびスタイラス
JP2008529700A (ja) * 2005-02-16 2008-08-07 ジョージ,サミュエル 鋏の或いは鋏に関する改良
JP4707932B2 (ja) * 2000-10-24 2011-06-22 ジョン ビー. マズル, 外科用切断器具
US8926621B2 (en) 2012-09-18 2015-01-06 United Orthopedic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for acetabular cup implan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6561A (ja) * 1995-05-12 1998-06-30 ハウメディ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ロット付き膝蓋骨切除ガイドおよびスタイラス
JPH10165426A (ja) * 1996-12-11 1998-06-23 Fujihira Kogyo Kk 犬または猫の卵巣摘出術用鉗子
JP4707932B2 (ja) * 2000-10-24 2011-06-22 ジョン ビー. マズル, 外科用切断器具
JP2008529700A (ja) * 2005-02-16 2008-08-07 ジョージ,サミュエル 鋏の或いは鋏に関する改良
US8926621B2 (en) 2012-09-18 2015-01-06 United Orthopedic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for acetabular cup implan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146A (ko) * 2017-09-21 2019-03-29 심형보 유두 재건 수술용 유두 공유기
KR101987331B1 (ko) 2017-09-21 2019-06-10 심형보 유두 재건 수술용 유두 공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4649B1 (en) Quadriceps tendon stripper
US90607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d fusion of small joints
EP1714618A2 (en) Expandable reamer
US9332995B2 (en) Bone-harvesting tool
AU2017272257A1 (en) Interphalangeal joint implant methods and apparatus
JP5911474B2 (ja) 不規則な形状の本体に穴をあけるためのガイド
CA2909946A1 (en) Biceps tenodesis implants and delivery tools
CN102858256A (zh) 医用植入体取出装置
US9259230B2 (en) Microfracture pick
US11690660B2 (en) Guides, instrument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U2013212648B2 (en) Microfracture pick
US11234711B2 (en) Polymer 4-in-2 femoral cutting instrument having separable A/P and chamfer cutting blocks
US20230277201A1 (en) Ergonomic forceps tool
US11931054B2 (en) Patella cutting guide
US8133228B2 (en) Chisel system for osteochondral implants and a surgical procedure involving same
US7879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steochondral autograft transplantation
KR101677261B1 (ko) 동물의 대퇴골두 절단기
AU2014237438B2 (en) Microfracture pick
US11617661B2 (en) Apparatus for use in surgery
US200600257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recovery of bone and/or other tissue
KR20080002714U (ko) 척추 삽입물
US20210244542A1 (en) Implant for fusing at least two bone components and method of fusing bone components using the implant
US20210282800A1 (en) Tendon graft harvesting device
KR20190128160A (ko) 조직 크기측정 및 절단용 수술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