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946A -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946A
KR20030074946A KR1020020013947A KR20020013947A KR20030074946A KR 20030074946 A KR20030074946 A KR 20030074946A KR 1020020013947 A KR1020020013947 A KR 1020020013947A KR 20020013947 A KR20020013947 A KR 20020013947A KR 20030074946 A KR20030074946 A KR 20030074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salt
fluoride
meth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153B1 (ko
Inventor
지대윤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to KR10-2002-001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153B1/ko
Priority to PCT/KR2003/000489 priority patent/WO2003076366A2/en
Priority to AU2003210042A priority patent/AU2003210042A1/en
Publication of KR2003007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C07C17/208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the other compound being M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39/00Hal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07C41/22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by introduction of halogens;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여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기 불소화합물은 온화한 반응조건 하에 수행하여 반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수율이 현저히 향상되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n 및 A는 명세서 내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ORGANIC FLUORO COMPOUNDS}
본 발명은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여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1∼ C18알킬기이고 R2, R3, R4및 R5는 수소 또는 C1∼ C18알킬기이고;
n은 1 ∼ 3의 정수이고,
A는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이며,
바람직하게는 MFk -, R6O-, R7R8N-또는 R9R10R11C-의 음이온이며, 상기 M은 주기율표(IUPAC version) 상의 3 ∼ 15 족의 원소이고, k는 2 ∼ 6의 정수이고, R6은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 할로술폰, 포스포릴 또는 퍼플루오로 C1∼ C12알킬카르본이며, R7, R8, R9, R10, 및 R11는 서로 독립적이며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이다.)
불소원자는 수소원자와 크기가 거의 동일하면서 강한 극성을 가지며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불소원자를 구성하는 유기 불소화합물은 일반적인 유기화합물과 달리 특이한 화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약, 농약, 염료, 고분자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Gerstenberger, M. R. C., Haas, A.Angew. Chem., Int. Ed. Engl. 1981,20, 647; Filler, R.In Organofluorine Compounds in Medicinal Chemistry and Biomedical Applications,Filler, R., Ed.,Studies in Organic Chemistry 48,Elservier, New York,1993, p 1-23].
일반적으로 유기 불소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불소이온의 치환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에서 할라이드는 F를 제외한 Cl, Br, I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술폰네이트는 -SO3R12이며 R12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기는 C1∼ C12알킬 술포네이트 또는 할로 C1∼ C12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그의 일례로는 메탄술포네이트, 에탄술포네이트, 이소프로판술포네이트, 클로로메탄술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및 클로로에탄술포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아릴기는 페닐기, C1∼ C4의 알킬 페닐기, 할로 페닐기, C1∼ C4의 알콕시 페닐기, 또는 니트로페닐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메틸페닐술포네이트; 에틸페닐술포네이트; 클로로페닐술포네이트, 브로모페닐술포네이트, 메톡시페닐술포네이트 또는 니트로페닐술포닐이다.
이때, 불소이온을 제공하는 공급원으로써, 불소염(MFn)은 리튬, 소듐, 포타슘, 루비듐, 및 세슘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으로 구성하는 알칼리 금속 플로라이드;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으로 구성하는 알칼리 토금속 플로라이드; 및 암모늄, 테트라알킬암모늄으로 구성하는 군에서 선택된 암모늄으로 구성하는 암모늄 플로라이드를 사용한다.
특히, 상기 제시된 다양한 불소염 중에서 포타슘 플로라이드(KF)는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한 불소이온의 공급원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때, n은 1 ∼2 인 것이다.
상기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알킬 할라이드 및 포타슘 플로라이드를 에틸렌글리콜 용매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알킬 플로라이드를 제조한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Hoffmann, F. W.J. Am. Chem. Soc., 1948,70, 2596.].
그러나 상기 방법은 포타슘 플로라이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포타슘 플로라이드의 낮은 용해도에 기인하여 반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시 14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반응시켜야 하고 수율이 낮은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 포타슘 플로라이드의 용해도를 개선하고 불소이온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이온과 강한 결합을 하는 18-crown-6 에테르(ether)를 촉매로 사용하여, 80 ∼ 90℃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및 온화한 조건에서 우수한 수율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한 예가 보고되어 있다[Liotta, C. L., Harris, H. P.J. Am. Chem. Soc., 1974, 96, 2250.].
그러나 상기 방법은 18-crown-6 에테르(ether)가 고가이고 장시간의 반응시간을 요구하며, 불소이온이 염기로 작용하여 부반응물인 알켄을 다량 생성시키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불소염을 사용한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시,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부반응을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일례로서, 불소염으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를 사용한 경우, 온화한 반응 조건에서 우수한 수율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한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Cox, D.P., Terpinski, J., Lawrynowicz, W.J. Org. Chem. 1984,49, 3216.]. 그러나 상기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는 항상 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물에 의한 부반응물인 알코올이 다량 생성되는 문제점을 동반한다.
그러므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키는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시, 불소염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고 수분의 영향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부반응물인 알켄과 알코올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및 수분에 안정하고 휘발성 및 인화성이 없으며 특히 이들 염 중 일반적으로 100oC 이하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화합물들을 이온성 액체(Ionic Liquid)라고 분류한다.
이들 이온성 액체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이 있다. 상기 이미다졸리윰 염은 통상적인 이온성 액체가 갖는 특성으로서, 다양한 유기물 및 무기물에 대해 용해능력이 우수하고 물에 분해되지 않고 다양한 화학 반응조건에서도 안정적이다. 특히 이미다졸리윰 염은 일반적인 유기용매에서 관찰할 수 없는 강한 이온성으로 인하여 특이한 용매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화학반응에서 반응속도 및 선택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휘발성이 전혀 없으므로, 반응 후 손실없이 재회수가 가능하여 차세대 청정용매로서 주목받고 있다[T. Welton,Chem. Rev., 1999, 99, 2071; P. Wasserscheid, W. Keim,Angew. Chem. Int. Ed., 2000, 39, 3772; C. E. Song, W. H. Shim, E. J. Roh, S.-g. Lee, J. H. Choi,Chem. Commun., 2001, 1122; C. E.Song, W. H. Shim, E. J. Roh, J. H. Choi,Chem. Commun., 2000, 1695].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여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함으로써,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수율이 현저히 향상된 유기 불소화합물을 얻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는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는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1∼ C18알킬기이고 R2, R3, R4및 R5는 수소 또는 C1∼ C18알킬기이며;
n은 1 ∼ 3의 정수이고,
A는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이다.)
본 발명은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여 20 ∼ 150℃에서 30 분 ∼ 24 시간동안 반응시키는 것이고, 바람직하기로는 70 ∼ 120℃에서 1 ∼ 10 시간동안 반응시키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 110℃에서 1.5 ∼ 4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은 거대분자의 양이온 그룹 및 음이온 그룹의 구성에 따라 녹는점, 물과의 친화력,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증가하고 알킬 치환체가 많을수록 녹는점이 높고, 상기 녹는점이 높으면 반응온도가 높아져야 한다. 이러한 경향을 고려한다면, R1은 C1∼ C18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C8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C4알킬기이다. C1∼ C4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프로필, t-부틸 등이 있다.
R2는 수소 또는 C1∼ C18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C6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또한, R3는 수소 또는 C1∼ C18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C1∼ C8알킬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R3가 C2∼ C8알킬기이다. 상기 C2∼ C8알킬기로는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틸, 헵틸, 옥틸등이 있다.
R4및 R5는 수소 또는 C1∼ C18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C1∼ C6알킬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R4및 R5가 수소인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윰(1-ethyl-3-methyl-imidazolium; emeim),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윰(1-methyl-3-propyl-imidazolium; pmim),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윰(1-buthyl-3-methyl-imidazolium; bmim), 1-메틸-3-펜틸-이미다졸리윰(1-methyl-3-pentyl-imidazolium; mpim), 1-헥실-3-메틸-이미다졸리윰(1-hecyl-3-methyl-imidazolium; hmim), 1-헵틸-3-메틸-이미다졸리윰(1-heptyl-3-methyl-imidazolium; hpmim), 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리윰(2,3-dimethyl-1-propyl-imidazolium), 및 1-프로필-2,3,4,5-테트라메틸-이미다졸리윰(1-propyl-2,3,4,5-tetramethyl-imidazolium)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윰(1-buthyl-3-methyl-imidazolium)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이미다졸리윰 염은 치환체 및 음이온에 따라 녹는점, 물과의 친화력, 화학적 안정성이 달라진다.
이미다졸리윰 염의 음이온은 이미다졸이윰 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및 화학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부반응을 일으키거나 분해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음이온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음이온 A가 바람직하게는 MFk -, R6O-, R7R8N-또는 R9R10R11C-의 음이온이며, 상기 M은 주기율표(IUPAC version) 상의 3 ∼ 15 족의 원소이고, k는 2 ∼ 6의 정수이고, R6은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 할로술폰, 포스포릴 또는 퍼플루오로 C1∼ C12알킬카르본이며, R7, R8, R9, R10, 및 R11는 서로 독립적이며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인 것이다.
그의 구체적인 일례로는 상기 음이온이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F4),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F6),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F6),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OSO2CF3, OTf) 및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N(SO2CF3)2, NTf2)로 구성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미다졸리윰 염은 단일용매 또는 유기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용매로 사용하여 불소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불소 이온에 의한 치환반응속도를 증가시키며 물에 의한 부반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불소화반응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한 용매는 혼합용매로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다이옥세인 및 t-부탄올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나이트릴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의 사용량은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에 대하여, 단일용매로 사용하거나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 용매로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0.2 ∼ 5.0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0 당량 사용하는 것이다.
유기 불소화합물 제조시 플로라이드 이온을 제공하는 불소염은 리튬, 소듐,포타슘, 루비듐, 및 세슘으로 구성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으로 구성하는 알칼리 금속 플로라이드;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구성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알칼리 토금속으로 구성하는 알칼리 토금속 플로라이드; 및 암모늄 플로라이드에서 선택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암모늄 플로라이드가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 암모늄 플로라이드 등의 4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 트리에틸암모늄 플로라이드, 트리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등의 3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 디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디헥실암모늄 플로라이드 등의 2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 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헥실암모늄 플로라이드 등의 1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어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타슘 플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타슘 플로라이드는 여러 형태의 지지체에 흡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일례로는 셀라이트(Celite), 분자체(Molecular Seive), 알루미나, 실리카겔 등의 지지체에 흡착된 포타슘 플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 불소 염은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에 대하여, 1.0 ∼ 10.0 당량비로 첨가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와 동위원소를 가진 불소염을 반응시키면, 동위원소를 가진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동위원소를 가진 불소염의 불소이온 및 이미다졸리윰 염의 음이온과의 치환반응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이미다졸리윰 염의 음이온은 불소이온을 원활히 치환할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MFk -형태보다는 R6O-, R7R8N-또는 R9R10R11C-형태의 음이온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때, R6은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 할로술폰, 포스포릴 또는 퍼플루오로 C1∼ C12알킬카르본이며, R7, R8, R9, R10, 및 R11는 서로 독립적이며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이다. 그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OSO2CF3, OTf) 및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N(SO2CF3)2, NTf2)를 사용하는 것이다.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 부반응 생성을 억제하여 선택적으로 주산물인 유기 불소화합물을 85% 이상의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시 사용된 18-crown-6 에테르의 경우는 불소염의 낮은 용해도로 인해 수율이 낮았으며, 본 발명의 이미다졸리윰 염의 첨가없이 반응을 진행하면 유기 불소화합물이 전혀 생성되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표 1).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미다졸리윰 염의 강한 이온성은 유기물 및 무기물에 대해 용해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 방법에 있어 불소염의 낮은 용해도로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불소염의 용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불소염의 반응성 및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미다졸리윰 염이 유기물 및 무기물에 대해 용해능력이 우수하면서도 물에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수분의 영향에 따른 부반응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반응물인 알코올 및 알켄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이미다졸리윰 염으로서,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윰 및 BF4 -로 구성된 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1
2-(3-메탄술폰닐옥시프로폭시)나프탈렌(280 ㎎, 1.0 mmol)과 포타슘 플로라이드(290 ㎎, 5.0 mmol)를 [bmim][BF4] 5.0 ㎖의 단일용매에 넣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반응온도 100℃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고, 상기 반응액을 에틸에테르 7 ㎖로 3 회 추출한 후, 추출액을 무수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n-헥산=1:20)를 수행하여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174 ㎎, 85%)을 얻었다.
<실시예 2 ∼ 11>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2 ∼ 11
[bmim][BF4]를 포함하는 혼합용매 및 반응시간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유기 불소화합물은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하여 제조되었으며, 하기 반응식 3은 상기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시 얻어지는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A), 2-(3-하이드록시프로폭시)나프탈렌(B) 및 2-(알릴옥시)나프탈렌(C)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1
2-(3-메탄술폰닐옥시프로폭시)나프탈렌(280 ㎎, 1.0 mmol)과 포타슘 플로라이드(290 ㎎, 5.0 mmol)를 [bmim][BF4] 5.0 ㎖의 첨가없이 아세토나이트릴(CH3CN) 5 ㎖의 단일용매에 넣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반응온도 100℃에서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실험결과, 반응이 전혀 진행되지 않았으며, 유기불소 화합물의 제조시 단일용매 또는 혼합용매로 사용된 [bmim][BF4]의 역할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2
2-(3-메탄술폰닐옥시프로폭시)나프탈렌(280 ㎎, 1.0 mmol)과 포타슘 플로라이드(290 ㎎, 5.0 mmol)를 [bmim][BF4] 대신에 18-crown-6(529 ㎎, 2.0 mmol) 및 아세토나이트릴 3.2 ㎖의 혼합용매에 넣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반응온도 100℃에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에틸에테르 7 ㎖로 3 회 추출한 후 상기 추출액을 무수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n-헥산=1:20)를 수행하여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82 ㎎, 40%)을 얻었다.
용매조성 반응시간 수율
[bmim][BF4]㎖ (당량) CH3CN㎖ H2O㎕ (당량) SM A B C
실시예 1 5.0 - - 2.0 - 85 - 10
실시예 2 5.0 - 90 (5) 1.5 - 92 - -
실시예 3 3.2 1.6 90 1.5 - 93 trace -
실시예 4 3.0 1.5 - 1.5 - 86 - 11
실시예 5 3.0 1.5 500 1.5 - 88 6 -
실시예 6 2.5 2.5 90 1.5 - 93 trace -
실시예 7 1.6 3.2 90 1.5 - 94 - -
실시예 8 1.0 4.0 90 1.5 - 92 - -
실시예 9 0.57 (3) 4.4 90 3.0 - 91 trace -
실시예 10 0.19 (1) 4.8 90 6.0 - 89 trace -
실시예 11 0.1 (0.5) 5.0 90 12 trace 84 8 trace
비교예 1 - 5.0 0 24 86 trace - -
비교예 2 18-crown-6(2) 5.0 0 24 53 40 - -
상기표 1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이미다졸리윰 염으로서 사용된 [bmim][BF4]를 단일용매 또는 아세토나이트릴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혼합용매로 사용한 경우, 유기불소 화합물인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A)을 85% 이상의 수율로 얻었다.
또한, [bmim][BF4] 0.5 ∼ 3.0 당량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혼합용매로 사용한 경우도 반응시간은 약간 길어지나 주생성물을 85% 이상의 좋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실시예 9 ∼ 실시예 11).
반면에, [bmim][BF4]의 첨가없이 반응한 비교예 1의 경우 또는 종래 유기불소 화합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18-crown-6 에테르를 사용한 경우, 24 시간의 최대 반응 시간동안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전혀 반응하지 않거나 40%의 수율로 진행됨으로써, 유기 불소화합물 제조시 [bmim][BF4]의 역할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bmim][BF4]를 유기용매 또는 물과 혼합하여 혼합용매로 사용한 결과, 실시예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 5 당량을 혼합하여 실시한 경우 주산물인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A)의 수율이 92%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5의 경우, 물의 혼합량을 다량으로 포함하여 실시한 경우, 부반응물인 알코올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12
2-(3-메탄술폰닐옥시프로폭시)나프탈렌(280 ㎎, 1.0 mmol)과 포타슘 플로라이드(290 ㎎, 5.0 mmol)를 [bmim][PF6] 1.5 ㎖, 아세토니트릴 3.0 ㎖ 및 H2O (90 ㎕, 5.0 mmol)의 혼합용매에 넣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반응온도 100℃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에틸에테르 7 ㎖로 3 회 추출한 후, 추출액을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n-헥산=1:20)를 수행하여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184 ㎎, 90%)을 얻었다.
<실시예 13 ∼ 17>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13 ∼ 17
이미다졸리윰 염의 종류, 혼합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 및 반응시간을 하기 표 2에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미다졸리윰염 유기용매 반응시간(H) 수 율
SM A B C
실시예 12 [bmim][PF6] CH3CN 2.0 - 90 trace -
실시예 13 [bmim][SbF6] CH3CN 2.0 - 93 - -
실시예 14 [bmim][OTf] CH3CN 3.0 - 52 8 6
실시예 15 [bmim][NTf2] CH3CN 3.0 32 20 trace 5
실시예 16 [bmim][BF4] 1,4-dioxane 1.5 - 91 - -
실시예 17 [bmim][BF4] t-BuOH 1.5 - 85 trace -
상기표 2의 결과로부터, 이미다졸리윰의 염을 구성하는 음이온이 OTf-또는 NTf2 -의 경우, 주산물(A)인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를 낮은 수율로 얻었으나, 이외의 이미다졸리윰의 염을 구성하는 음이온으로 BF4 - ,PF6 -및 SbF6 -를 사용한 결과, 90% 이상의 수율로 유기 불소화합물을 얻었다.
또한, 이미다졸리윰 염을 혼합용매로 사용할 경우, 유기용매를 아세토나이트릴 이외에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다이옥세인(1,4-dioxane) 또는 t-부탄올(t-BuOH)을 사용한 경우도 85% 이상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8>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18
2-(3-클로로프로폭시)나프탈렌(221 ㎎, 1.0 mmol)과 포타슘 플로라이드(290 ㎎, 5.0 mmol)을, [bmim][BF4] 1.5 ㎖, 아세토니트릴 3.2 ㎖ 및 H2O (90 ㎕, 5.0 mmol)의 혼합용매에 넣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반응온도 110℃에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에틸에테르 7 ㎖로 3 회 추출한 후 상기 추출액을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감압증류기로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n-헥산=1:20)를 수행하여 2-(3-플루오로프로폭시)나프탈렌(135 ㎎, 66%)을 얻었다.
<실시예 19 ∼ 27>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 19 ∼ 27
상기 실시예 18에서 사용된 2-(3-클로로프로폭시)나프탈렌(221 ㎎, 1.0 mmol) 대신에 하기 표 3에서 표시된 다양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 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60 ∼ 110℃에서 1.5 ∼ 4 시간동안 수행하는 반응조건 하에서 우수한 수율로 유기 불소화합물이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강한 이온성을 갖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혼합용매로 사용하여 온화한 조건 하에서 실시하여 85% 이상의 수율로 유기 불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상기 이미다졸리윰 염을 사용하여 불소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불소 이온에 의한 치환반응속도를 증가시키며 물에 의한 부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유기 불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폰네이트와 불소염을 반응시켜 유기 불소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리윰 염을 단일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혼합한 혼합용매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1∼ C18알킬기이고 R2, R3, R4및 R5는 수소 또는 C1∼ C18알킬기이며;
    n은 1 ∼ 3의 정수이고,
    A는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C1∼ C8알킬기이고; R2 수소 또는 C1∼ C6알킬기이고; R3는 수소 또는 C1∼ C8알킬기이고, R4및 R5가 수소 또는 C1∼ C6알킬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C1∼ C4알킬기이고; R2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는 C2∼ C8알킬기이고; R4및 R5가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이미디졸리윰 염이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윰,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윰,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윰, 1-메틸-3-펜틸-이미다졸리윰, 1-헥실-3-메틸-이미다졸리윰, 1-헵틸-3-메틸-이미다졸리윰 염 및 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리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이 MFk -, R6O-, R7R8N-또는 R9R10R11C-의 음이온이며, 상기 M이 주기율표 상의 3 ∼ 15 족의 원소이고, k는 2 ∼ 6의 정수이고, R6은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 할로술폰, 포스포릴 또는 퍼플루오로 C1∼ C12알킬카르본이며, R7, R8, R9, R10, 및 R11는 서로 독립적이며 C1∼ C12알킬술폰, 할로 C1∼ C12알킬술폰, C1∼ C4알킬 아릴술폰, 할로 아릴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이미디졸리윰 염의 음이온이 PF6 -, SbF6 -, BF4 -, NTf2 -및 Tf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이미디졸리윰 염이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윰(1-buthyl-3-methyl-imidazolium)이고 BF4 -, PF6 -, SbF6 -, NTf2 -및 Tf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음이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염이 포타슘 플로라이드이고, 사용된 이미디졸리윰 염은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윰 및 BF4 -, PF6 -, SbF6 -, NTf2 -및 Tf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음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이미디졸리윰 염이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에 대하여, 0.2 ∼ 5.0 당량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불소염은 리튬, 소듐, 포타슘, 루비듐, 및 세슘으로 구성하는 군에서 선택된 알칼리 금속으로 구성하는 알칼리 금속 플로라이드;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구성하는 군에서 선택된 알칼리 토금속으로 구성하는 알칼리 토금속 플로라이드; 및 암모늄 플로라이드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 플로라이드가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로라이드 및 벤질트리메틸 암모늄 플로라이드를 포함하는 4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 트리에틸암모늄 플로라이드, 트리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를 포함하는 3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 디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디헥실암모늄 플로라이드를 포함하는 2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 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헥실암모늄 플로라이드를 포함하는 1 차 암모늄 플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염이 포타슘 플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슘 플로라이드가 셀라이트(Celite), 분자체(Molecular Seive),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겔에서 선택된 지지체에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불소염은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술포네이드에 대하여, 1.0 ∼ 10 당량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다이옥세인 및 t-부탄올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아세토나이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제조방법.
KR10-2002-0013947A 2002-03-14 2002-03-14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44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947A KR100441153B1 (ko) 2002-03-14 2002-03-14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PCT/KR2003/000489 WO2003076366A2 (en) 2002-03-14 2003-03-13 A method for preparing organic fluorocompounds
AU2003210042A AU2003210042A1 (en) 2002-03-14 2003-03-13 A method for preparing organic fluorocompou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947A KR100441153B1 (ko) 2002-03-14 2002-03-14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946A true KR20030074946A (ko) 2003-09-22
KR100441153B1 KR100441153B1 (ko) 2004-07-21

Family

ID=2780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947A KR100441153B1 (ko) 2002-03-14 2002-03-14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41153B1 (ko)
AU (1) AU2003210042A1 (ko)
WO (1) WO200307636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47B1 (ko) * 2004-12-15 2007-12-28 (주)퓨쳐켐 알코올 용매하에서 유기플루오로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008211B1 (ko) * 2008-04-11 2011-01-17 안찬응 소변배출용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3661A1 (ja) 2003-12-25 2005-07-1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フッ素化剤およびそれを用いる含フッ素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739452B1 (ko) 2004-04-29 2007-07-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α-알킬피롤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009712B1 (ko) 2007-02-22 2011-01-1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양성자성 용매와 이에 녹는 염들을 이용한 음이온 교환고분자 지지체로부터의 플루오린-18 플루오라이드 용리와이를 이용한 플루오린-18의 표지방법
FR2975990B1 (fr) 2011-06-01 2013-05-24 Rhodia Operations Procede de preparation d'un compose organique fluore
BR102014028164A2 (pt) * 2013-11-12 2015-09-08 Dow Agrosciences Llc processo para fluoração de compostos
BR102014028162A2 (pt) 2013-11-12 2015-09-08 Dow Agrosciences Llc processo para fluoração de compostos
TW201609651A (zh) 2013-11-12 2016-03-16 陶氏農業科學公司 用於氟化化合物之過程(一)
TWI726900B (zh) 2015-08-04 2021-05-11 美商陶氏農業科學公司 用於氟化化合物之過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2569D0 (en) * 1994-02-10 1994-04-06 Bp Chem Int Ltd Alkylation process
GB9402612D0 (en) * 1994-02-10 1994-04-06 British Petroleum Co Plc Ionic liquids
JPH1112253A (ja) * 1997-06-24 1999-01-19 Ube Ind Ltd 4−アミノ−5−クロロ−6−(1−フルオロエチル)ピリミジン誘導体の製法
EP1401844A2 (fr) * 2001-05-17 2004-03-31 Rhodia Chimie Utilisation d' une composition de nature ionique comme reactif de substitution, composition constituant un reactif de fluoration et procede l'utilis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47B1 (ko) * 2004-12-15 2007-12-28 (주)퓨쳐켐 알코올 용매하에서 유기플루오로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008211B1 (ko) * 2008-04-11 2011-01-17 안찬응 소변배출용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153B1 (ko) 2004-07-21
AU2003210042A8 (en) 2003-09-22
WO2003076366A2 (en) 2003-09-18
WO2003076366A3 (en) 2003-11-27
AU2003210042A1 (en) 200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847B1 (ko) 알코올 용매하에서 유기플루오로 화합물의 제조방법
US7829739B2 (en) Ionic liquids
US20090036718A1 (en) Use of a composition of an ionic nature as a substitution reagent, a composition constituting a fluorination reagent and a method using same
KR100441153B1 (ko) 유기 불소화합물의 제조방법
EA020216B1 (ru) Трицианобораты, их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онных жидкостей
JP6899371B2 (ja) 化合物のフッ素化方法
EP3452437B1 (en) Method for aromatic fluorination
JP5426880B2 (ja) 5−フルオロ−1,3−ジアルキル−1h−ピラゾール−4−カルボニルフルオリドの製造方法
US9676700B2 (en) Preparation of fluorosulfonate esters and onium salts derived therefrom
KR20060025515A (ko) 술포네이트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 액체
RU2351601C2 (ru) Ионные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ие анионы [n(cf3)2]-
KR101316971B1 (ko)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050013718A (ko) 친핵성 치환반응의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이온성 수지,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화합물 제조방법
US11649244B2 (en) Method for synthesizing diaza-bridged compound and a diaza-bridged compound
KR20070000387A (ko) 방향족 불포화 화합물의 제조 방법
EP349244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halobenzophenones, new chemicals useful for its implementation and methods for preparing said chemicals
JP2018162218A (ja) 新規な環状尿素誘導体−三臭化水素酸塩
Katritzky et al. Methyl β-(Benzotriazol-l-yl) vinyl Ketone: A New p-Acetylvinyl Cation Equivalent
KR100739452B1 (ko) α-알킬피롤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7106003A (zh) 一种有机氟化合物的制备方法
KR20100117221A (ko) 이작용성 화합물을 용매로 사용한 친핵성 치환반응에 따른 유기플루오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친핵성 치환반응 생성물의 제조방법
CN1398259A (zh) 制备2-(1,2,4-三唑-1-基)乙醇类化合物的方法
JP2018537407A (ja) クラウンエーテル触媒を利用した、置換クロロアシラールを用いたピコリンアミドのアルキル化
JP2017039772A (ja) ホモピペラジ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