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554A -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554A
KR20030074554A KR10-2003-0059426A KR20030059426A KR20030074554A KR 20030074554 A KR20030074554 A KR 20030074554A KR 20030059426 A KR20030059426 A KR 20030059426A KR 20030074554 A KR20030074554 A KR 2003007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ills
bill
cassette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827B1 (ko
Inventor
카토우리이치
시바타신지
후쿠이신지
미네오세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7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류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지폐류 수납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의 측면부에 자동거래장치 본체측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한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로 구동력을 건네받기 위한 연결기어를 배치함으로써, 카세트의 앞면측과 후면측 모두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카세트 내부의 지폐를 세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적층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폐카세트를 수평방향의 전후 2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외부와의 지폐의 출입구를 설치하여 입금고와, 출금고와, 리사이클고를 공통적인 상자구조로 하며, 내부의 상기 집적기구, 분리기구, 집적분리기구를 각각 실장하여 구성하고, 또한 집적기구나 연속배출기구나, 집적연속배출기구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원을 장치본체에 구비하여 지폐카세트와 장치본체를 연결하는 수단을 장치본체에 대한 착탈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지폐류를 수납하는 카세트를 담당직원이 조작할 때, 장치 앞면측과 뒷면측 모두로부터 착탈조작이 용이한 지폐카세트이며, 또한 일본엔 지폐 외에도 다양한 외국지폐를 취급하고,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 장전·회수고 등의 기능에 따른 각종 지폐카세트를 범용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자동거래장치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BILL CASSETTE}
본 발명은, 지폐나 수표 등의 지폐류를 취급하는 지폐 입출금기 등에 실장하는 지폐수납 카세트를 이용한 자동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보급에 따라, 지폐입출금기는 종래의 기능이나 성능을 확보하면서 소형화, 저비용화, 사용상의 편리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져 가고 있다. 한편, 취급하는 지폐는 국내에서의 외국지폐에 대한 취급의 증가나 국외에서의 지폐입출금기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일본엔 지폐 뿐만 아니라, 외국지폐도 취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그러한 요구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장치가 있어, 취급하는 지폐의 금종, 담당직원의 조작에 관련된 전후면 조작 등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 높은 자동거래장치 지폐입출금기가 요구되어지고있다.
종래에는, 예를들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거래장치에 실장되는 지폐입출금기는, 이용자가 지폐를 투입하고, 투입한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고, 또한 이용자에게 방출할 지폐를 수납하는 입출금구,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지폐판별부를 통과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갖추며, 또한, 입금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를 갖춤과 동시에, 입금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 카세트(입금고)로 하는 입금고와,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 카세트(출금고)를 갖추고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는 출금고와,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여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는 지폐수납 카세트(리사이클고)와, 입금고나 리사이클고에 수납하지 않는 입금지폐나 출금고로부터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되어진 지폐 중 출금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 카세트(리젝트고)와, 리사이클고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고,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 카세트(장전·회수고) 등을 갖추고 있다. 이들 각 유니트를 조합시켜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 리젝트고, 장전·회수고 등의 지폐수납 카세트는, 담당직원의 조작성, 취급하는 지폐매체의 종류, 용량 등 각종 요구에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의 것들이 제안되어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8-263719호 공보에 기재된 지폐입출금기의 예에서는,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직방향으로 적층시켜 수납하는 리사이클고를 인출유니트에 4개 실장하고, 인출유니트를 수평방향으로 꺼집어낸 후, 각 리사이클고를 상방향으로 분리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7-215491호 공보 기재의 예에서는, 출금용 지폐를 수평방향으로 적층시켜 수납하는 출금고를 3개 실장하고, 문을 열면 각 출금고를 수평인 1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10-21443호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리사이클고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여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를 1개 실장하고, 장치 후면으로부터 장전·회수고를 후방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자동거래장치에 사용되어 지폐입출금기가 실장되는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 리젝트고, 장전·회수고 등의 지폐수납 카세트는, 장치의 앞면측으로부터 착탈하는 경우와, 반대로 장치 뒷면측으로부터 착탈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구성이 각각 다른 것을 준비해 두어야만 하였다. 담당직원의 조작성, 취급하는 지폐매체의 종류, 용량 등 장치마다의 개별적인 요구에만 대응하는 것이었다. 예를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8-263719호, 일본 특허공개 평7-215491호, 일본 특허공개 평10-21443호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모든 지폐카세트는 장치의 앞면측, 혹은 뒷면측 중 어느 한 쪽에서만 착탈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되어 있으며, 착탈조작측과 반대측에서 담당직원이 조작하는 경우에는, 지폐입출금기 전체를 장치로부터 꺼내야만 되었다. 또한, 취급하는 지폐는 일본엔 만으로, 최대 3금종 정도이며, 외국지폐와 같이 그 이상의 금종의 지폐를 취급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카세트를 담당직원이 조작할 때, 장치 앞면측, 뒷면측 어디에서도 착탈조작이 용이한 지폐수납 카세트와, 그 카세트를 이용한 자동거래장치를 가지는 범용성이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본엔 지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지폐를 취급하고, 각종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자동거래장치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지폐류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지폐류 수납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장치본체에 대한 착탈방향의 측면을 따라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장치본체측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기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폐를 적층시켜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며, 장치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지폐카세트에 있어서, (1)장치본체에 대한 착탈방향을 지폐의 적층방향과 동일한 2방향으로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지폐를 세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적층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폐카세트를 수평방향의 전후 2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지폐카세트를 담당직원이 조작할 때, 장치 앞면측이나 뒷면측 모두로부터 착탈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등의 지폐류를 취급하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는 부위의 장치본체측에는 상기 카세트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측 기어를 가지며, 상기 지폐류 수납카세트에는 그 측면에 장치본체측의 가이드부와 접하는 단차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측 톱니기어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는 유니트로서 형성된 것을 장치의 뒷면에서 인출하고, 인출한 유니트에 있는 리사이클고 등을 위에 들어 지폐의 보충이나 회수를 행하고 있는 구성, 또, 장치가 후면타입이라면 장치의 뒷쪽에서 유니트를 인출하고, 앞면타입이라면 장치의 앞쪽에서 유니트와 함께 인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각 타입에 맞추어 장치를 제조해야 하는 구성임에 비해,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앞면 및 뒷면 타입에 관계없이 유니트를 인출하는 것이 아니고, 카세트자체를 각각 전후로부터 인출하는 구성을 채용하므로서, 앞면 및 뒷면 타입 중 어느쪽에도 바람직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며,
이와 같이, 카세트를 하나하나 인출 및 장착할 수 있고, 또, 각각의 카세트를 서로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하기 위해, 장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착탈하는 지폐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지폐카세트는 전후방향에서도 착탈할 수 있는 구성의 발명이 제시된다.
또한, 장치본체로부터의 인출 및 장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그 지폐카세트에 단차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 그 단차부내에 기어를 설치하고 있는 구성의발명이 제시된다.
또한,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카세트끼리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 명세서 기재와 같이, 지폐의 기능을 카세트내부에 거두어 들이고 있지만, 이들의 기능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모두 구조가 다른 것입니다. 따라서, 이 구조를 종래와 같이 장치에 설치해버리면 카세트를 바꿔도 장치측에서 설정된 대로의 움직임 밖에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도 7 ~ 9에 있듯이, 이들 기능을 카세트내부에 설치함으로서 카세트에 구비되는 기능에 의해 장치를 움직일 수 있어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카세트끼리 교환하는 것으로 이들 효과를 더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의 발명입니다.
도 1은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한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지폐입출금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지폐입출금기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지폐반송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입금고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출금고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리사이클고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수납고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수납고의 구동연결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수납고의 구동연결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입출금기 1a : 상부반송기구
1b : 하부지폐기구 20 : 입출금구
30 : 지폐판별부 35 : 제어부
40 : 일시보관고 50 : 지폐반송로
60 : 입금고 70 : 출금고
80 : 리사이클고 81 : 장전·회수고
90, 501a∼501h, 901a∼901e : 반송로 20a : 지폐슬롯
101 : 현금 자동거래장치 101a : 상부정면판
101b : 장치통체 101c : 앞문
101d : 뒷문 101e : 전원부
102 : 카드·명세표 처리기구 102a : 카드슬롯
105 : 고객조작부 106 : 금고통체
106a : 앞면문 106b : 뒷면문
107 : 본체제어부 107a : 버스
107b : 인터페이스부 107c : 담당직원 조작부
107d : 외부기억장치 502∼504, 903 : 절환게이트
601 : 스택롤러 602, 603 : 백업롤러
604, 804 : 브러시롤러 605 : 하측 스택가이드
606 : 상측 스택가이드 608 : 압출 플레이트
609 : 압출보조가이드 610 : 압출지점 샤프트
611 : 상측 칸막이판 612 : 상측 칸막이판 지점 샤프트
613 : 하측 칸막이판 615, 706, 806 : 압판
616 : 스택중의 지폐수납공간 617 : 스택완료된 지폐수납공간
618, 817 : 구동벨트 701 : 피이드롤러
702, 802 : 백업롤러 703, 803 : 게이트롤러
705 : 분리가이드 708 : 상면가이드
709 : 바닥판 가이드 711, 811 : 픽업롤러
801 : 스택·피이드롤러 805 : 분리·스택가이드
807 : 바닥면 평벨트 808 : 바닥판
809 : 하부 퍼내기롤러 812 : 상부 퍼내기롤러
1000 : 지폐카세트 1001 : 상측 뚜껑
1004 : 지폐 출입구 1005 : 앞쪽 손잡이
1011 : 브러시롤러/피이드롤러 연결기어 1012 : 구동벨트 연결기어
1013 : 스택롤러 연결기어 1015 : 상측 손잡이
1021∼1023 : 구동기어 1031, 1032 : 스태핑 모터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시킨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금 자동거래장치(101)의 좌측부 내부에는, 상부정면판(101a)에 설치된 카드슬롯(102a)과 연통되어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자하여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기구(102)와,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조작부(105)를 갖추고 있다. 또한, 현금 자동거래장치(101)의 우측부 내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입출금기(1)를 갖추고 있으며, 상부의 기울어진 정면판(101a)에 지폐슬롯(20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입출금기(1) 하부의 지폐수납부는, 장치통체(101b)와는 별도의 수십 mm의 두꺼운 철판으로 구성되는 금고통체(106)로 둘러싸여 있다. 장치통체(101b)도 견고한 통체구조로 되어 있지만, 금고통체(106)는 더욱 견고한 구조로서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현금 자동거래장치(101)는 카드, 지폐, 명세표를 매체로 하여 이용자의 예금, 지불, 이체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탄는 제어블럭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 자동거래장치(101)에 마련된 카드·명세표 처리기구(102), 지폐입출금기(1) 및 고객조작부(105)는, 버스(107a)를 매개로 하여 본체제어부(107)와 접속되어 있으며, 본체제어부(107)의 제어하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체제어부(107)는, 그밖에 인터페이스부(107b), 담당직원 조작부(107c), 외부기억장치(107d)와도 버스(107a)로 접속되어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수행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101e는 각 기구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
도 3은 도 1의 현금 자동거래장치 중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지폐입출금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지폐입출금기(1)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인출을 수행하는 입출금구(20)와, 지폐의 판별을 수행하는 지폐판별부(30)와, 입금한 지폐를 거래가 성립할 때까지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40)와, 입금시 거래가 성립한 지폐를 수납하는 1개의 입금고(60)와,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1개의 출금고(70)와, 입출금 겸용의 2개의 리사이클고(80)와, 리사이클고(80)에 보충할 지폐나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81)와, 지폐판별부(30)를 거쳐 입출금구(20), 일시보관고(40),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에 대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50)와, 도시를 생략한 제어부로 구성되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5)는 장치의 본체제어부(107)와 버스(107a)를 매개로 하여 접속되며, 본체제어부(107)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검출에 따라 지폐입출금기(1)의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제어부(107)로 보낸다. 지폐입출금기(1) 중에서는, 각 유니트(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 지폐반송로(50),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구동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나 센서와 접속되며, 거래에 따라서 센서로 상태를 감시하면서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한다.
본 지폐입출금기(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와, 지폐반송로(50)로 구성되는 상부반송기구(1a)와,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 및 각 수납고의 앞면에 배치하는 개폐가능한 반송로(90)로 구성되는 하부 지폐기구(1b)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 지폐기구(1b)는 약 50mm 정도의 두꺼운 철판으로 구성되는 금고통체(106) 중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부 반송기구(1a)와 하부 지폐기구(1b)와의 반송로는 연결반송로(501h)로 접속되어 있다.
연결반송로(501h)는, 하부 지폐기구(1b)를 둘러싼 금고통체(106)에 있는 상면 철판의 상부 반송기구(1a)의 반송로(501g)와 하부 지폐기구(1b)의 반송로(901a)가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진다. 상면철판에 뚫려진 슬릿은, 지폐가 통과하기 위한 길이와 상기 슬릿으로 반송되어져 온 지폐를 협지하여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도록 장착된 반송롤러 폭의 크기를 가진다. 하부 지폐기구(1b)를 금고통체로 둘러싸지 않는 구성을 취한 경우, 하부 지폐기구(1b) 상에 직접 상부 반송기구(1a)가 재치되어지면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다. 반송로의 구동원(모터)은, 상부 반송기구의 반송로와 하부 지폐기구의 반송로로 따로따로 설치되어도 좋지만, 단일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반송로(501g-501h-901a) 간에 설치된 기어로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지폐반송로(50)는, 지폐판별부(30)를 쌍방향으로 통과하여, 화살표 501a∼501h 및 901a∼901e로 나타낸 반송로를 경유하고, 입출금구(20), 일시보관고(40),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를 접속하고 있다. 각 화살표 중 한쪽방향 화살표는 지폐가 그 화살표 방향으로만 반송되는 일방향 지폐반송로이며, 양방향 화살표는 지폐가 거래동작마다 쌍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하여 반송되는 쌍방향 반송로이다.
도 6에, 도 3의 지폐반송로(50)(501a∼501h 및 901a∼901e)와 각 유니트(20, 30, 40, 50, 60, 70, 80, 81)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도를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도 6에서는 50의 일부, 70 및 81은 생략되어 있다). 이들 지폐반송로(50)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모터로 구동하고, 각 거래동작마다 모터의 회전방향을 절환한다. 또한, 지폐반송로(50)의 분기점에는, 절환게이트(502, 503, 504) 및 5곳의 902가 있으며, 각 거래동작마다 각각 기호 a, b와 같이 지폐반송방향을 절환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지폐입출금기(1)에 의하여, 이용자에 의한 입출금동작, 담당직원에 의한 장전·회수동작을 수행한다.
입금동작시, 입출금구(20)에 투입된 지폐는 1장씩 분리되어 지폐판별부(30)에서 지폐의 금종, 진위가 판정된다. 판별이 끝난 지폐는, 절환게이트(503)를 503a로 절환하여 일시보관고(40)에 일단 수납되어진다. 지폐판별부(30)에서 판별을 할 수 없었던 지폐나 기울기, 지폐끼리의 간격이상으로 판별된 입금 리젝트지폐는, 일시보관고(40)로는 이송되지 않고, 절환게이트(503)를 503b로 절환하여 입출금구(20)에 수납되어져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거래가 확정되면, 일시보관고(40)에 수납된 지폐는 수납시와는 반대 순서대로 반대 방향으로 송출되어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하고, 절환게이트(502)를 도시한 502b방향으로 절환하고, 입금고(60), 리사이클고(80), 리젝트고(90)중 어느 하나의 절환게이트(903)를 도시한 903b 방향으로 절환하여 지정된 수납고에 수납하고 입금동작은 종료된다.
출금거래시,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의 각 금종마다의 금고로부터 소정 매수씩 연속적으로 송출하고, 지폐판별부(30)에서 금종을 판별하여 절환게이트(503)에서 분기시켜 입출금구(20)에 수납하고, 이용자에게 지불되어진다.
또한, 장전·회수고(81)를 이용하여, 일시보관고(40)를 경유하고, 리사이클고(80)와의 사이에서 장전, 회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전동작은, 담당직원이 리사이클고(80)에 금종마다 세트하고자 하는 지폐를 개별적으로 세트하는 것이 아니라, 장전·회수고(81)에 일괄적으로 세트하고, 장치내에서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하는 동작이다. 회수동작은, 리사이클고(80)가 가득 찼을 때 등의 경우에 담당직원이 개별적으로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빼내는 것이 아니라,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로부터 소정매수 장전·회수고(81)에 회수수납하는 동작이다. 이는 장전동작과 반대 루트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지폐입출금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금 자동거래장치(101)의 우측 내부에 실장된다. 장치의 타입에 따라 앞면 조작형 또는 뒷면 조작형을 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약간 구성이 달라진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직원이 장치 앞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의 앞면 조작형 장치에서는, 장치의 앞문(101c) 및 금고통체(106)의 앞면문(106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문(101c, 106a)을 열고 지폐입출금기(1)의 개폐반송로(90)를 열면, 각각에 손잡이가 달린 수납고가 나타난다. 담당직원은 이 손잡이로 각 수납고를 꺼집어 내어 지폐의 보충이나 회수, 그 밖의 보수작업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직원이 장치 뒷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의 뒷면 조작형 장치에서는, 장치의 뒷문(101d) 및 금고통체(106)의 뒷면문(106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문(101d, 106b)를 열면 각각에 손잡이가 달린 수납고가 나타난다. 담당직원은 이 손잡이로 각 수납고를 꺼집어 내어 조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부 지폐기구의 앞면 또는 뒷면의 문 근방에 개폐반송로를 설치하는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지폐의 보충·회수작업, 이상발생 시의 걸린 지폐의 제거조작 등이 용이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문의 개폐를 앞 또는 뒤로 바꾸는 정도로 담당직원의 조작을 앞면 조작형이나 뒷면 조작형 모두에 적합하게 할 수있다. 또한, 각 수납고에 레일을 설치해 두면, 수납고를 부드럽게 넣고 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각 수납고(지폐카세트라고도 한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입금고(60)는 본 실시예에서는 1개 실장하고 있다. 이 입금고의 상세구성은 도 7에 나타내어 있으며, 도 3과 도 7에 의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실시한다. 도 7에 있어서, 입금고의 스택기구는, 입금고 밖의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후술)으로부터 기어를 매개로 하여 구동되는 회전하는 스택롤러(601)와, 스택롤러(601)에 대향하는 백업롤러(602, 603)와, 백업롤러(603)와 동일축 상에 있으며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후술)에 의하여 백업롤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탄성부재가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브러시롤러(604), 및 하측 스택가이드(605), 상측 스택가이드(606)에 의하여 스택기구가 구성된다. 또한, 입금고의 지폐수납공간은, 상측 칸막이판(611)과 하측 칸막이판(613) 및 압판(615)으로 형성되는 스택완료된 지폐수납공간(617)과, 상측 칸막이판(611)과 하측 칸막이판(613) 및 상측 스택가이드(606), 하측 스택가이드(605)로 형성되는 스택중인 지폐수납공간(616)으로 이루어진다.
입금고(60)에 수납하는 지폐는, 지폐반송로(화살표 901a)로부터 절환게이트(903)가 도시한 903b의 상태로 절환되며, 화살표 902a의 방향으로 반송되고, 회전하는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2, 603) 사이로 보내진다.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3) 사이로 보내어진 지폐는 정지한 브러시롤러(604)의 탄성부재(604a)에 접촉하여, 탄성부재(604a)의 탄성변형력에 의하여 하측 스택가이드(605)와의 사이에서 마찰저항력을 받으면서 통과하고,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3)에 의한 협지반송력이 없어지는 위치에서 일단 정지하며, 그 직후에, 브러시롤러(60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택중인 지폐수납공간(616)으로 연속해서 반송되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지폐는 차례차례 반송되고, 지폐수납공간에 지폐끼리가 간섭하는 일 없이 집적되어진다.
다음으로,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후술)에 의하여, 구동벨트(618)를 구동하고, 구동벨트(618)에 연결한 압출 플레이트(608), 압출 보조가이드(609), 압출지점 샤프트(610), 상측 스택가이드(606)가 화살표(621, 622)의 방향으로 도시한 점선 (608a, 609a, 610a, 606a)의 위치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벨트(618)에 연결한 상측 칸막이판(611), 상측 칸막이판 지점 샤프트(612)가 화살표(625)의 방향으로 도시한 점선(611a, 612a)∼(611b, 612b)∼(611c, 612c)의 순서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택중인 지폐수납공간(616)에 집적된 지폐는 스택완료된 지폐수납공간(617)의 지폐와 일체화되고, 압판(615)을 화살표(624)의 방향으로, 그리고 하측 스택가이드(613)를 화살표(623)의 방향으로 밀어 붙힌다. 다음으로, 구동벨트(618)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고, 압출 플레이트(608), 압출 보조가이드(609), 압출지점샤프트(610), 상측 스택가이드(606), 상측 칸막이판(611), 상측 칸막이판 지점 샤프트(612)를 초기의 위치까지 되돌리고, 상기 스택중인 지폐수납공간(616)을 빈 상태로 하여 다음 집적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출금고(70)는, 본 실시예에서는 1개 실장하고 있으며, 그 상세한 구성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금고(70)는 외부의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후술)으로부터 기어를 매개로하여 구동되는 회전하는 피이드롤러(701), 픽업롤러(711)와, 피이드롤러(701)에 대향하고 회전하는 백업롤러(702)와, 피이드롤러(701)에 대향하고 송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704)로 구성되어지는 분리기구를 갖추어 구성하고 있다. 출금용 지폐는 바닥판 가이드(709), 압판(706)과, 분리가이드(705), 상면가이드(708)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담당직원에 의하여 정렬되고 세트되어 가장 앞면의 지폐는 압판(706)에 연결된 도시를 생략한 스프링에 의하여 픽업롤러(711)로 밀려 갖다 대어진다.
압판(706)은 수납공간 내를 가동(可動)하고, 수납지폐의 감소에 따라 송출지폐가 픽업롤러(711)에 소정의 누르는 힘이 걸리도록 수납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롤러(711)에 갖대 대어진 지폐는 회전하는 피이드롤러(701)와 픽업롤러(711)의 동작에 의하여 송출되고, 송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703)로 2장씩 보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살표(902e) 방향으로 1장씩 반송되어 지폐반송로의 화살표(901e) 방향으로 반송되어진다.
리사이클고(80)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실장되어 있으며, 도 9에 리사이클고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었다.
리사이클고(80)는, 상술한 지폐를 연속해서 수납하는 입금고(60)와 지폐를 연속해서 분리송출하는 출금고(70)의 기능을 모두 가져 수납과 분리송출이 가능한 수납고이며, 상술한 출금고(70)에서 설명한 분리기구와 동일한 형상의, 리사이클고외부의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후술)으로부터 기어를 매개로 하여 구동되는 회전하는 스택·피이드롤러(801), 픽업롤러(811)와, 회전하는 백업롤러(802)와, 스택방향으로 회전하고 송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 게이트롤러(803)와 동일한 축상에 있고 탄성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브러시롤러(804), 및 분리시와 스택시에서 가동하는 분리·스택가이드(805)에 의하여 스택·분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판(808), 압판(806)과, 바닥판(808)으로붙처 상면에서 지폐하면을 지지하도록 걸쳐져 있는 바닥면 평벨트(807)와, 분리·스택가이드(805)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지폐가 수납되어진다. 또한, 수납부 상부의 분리·스택가이드(805) 근방에 톱니모양의 외주형상을 가지는 회전하는 상부 퍼내기롤러(812)와, 수납부 하부의 게이트롤러(803)의 근방에 톱니모양의 외주형상을 가지는 회전하는 하부 퍼내기롤러(809)를 가지며, 스택완료된 지폐의 상하단부를 톱니모양의 외주부가 지지하고, 압판(806)측으로 퍼내면서 지폐의 입위(立位)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의 수납공간을 구성하는 압판(806)과 바닥면 평벨트(807)와 상부 퍼내기롤러(812)와 하부 퍼내기롤러(809)는, 리사이클고 외부의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후술)에 의하여 구동벨트(817)를 매개로 하여 구동되어진다.
분리동작시에는, 분리·스택가이드(805)는, 파선(805a)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압판(806)과 바닥면 벨트(807)는 일체로 되어 수납공간 내를 가동하고, 송출지폐가 픽업롤러(811)에 소정의 누르는 힘이 걸리도록 수납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롤러(811)에 눌려 대어진 지폐는 회전하는 스택·피이드롤러(801)로 보내지고,송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로 2장씩 보내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살표(902b) 방향으로 1장씩 반송되고, 지폐반송로의 절환게이트(903)는 도시한 903b의 방향으로 절환되어 화살표(901b)의 방향으로 반송되어진다.
스택동작시에는, 분리·스택가이드(805)는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압판(806)과 바닥면 벨트(807)는 일체로 되어 도시를 생략한 금고 외부의 구동원에 의하여 수납공간 내를 가동하여, 수납지폐의 증가에 따라 화살표(902b)의 방향으로 반송되어진 진입지폐와 수납지폐가 간섭하지 않도록 수납지폐를 분리·스택가이드(8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이 때, 상부 퍼내기롤러(812)는 좌측으로 회전하고, 하부 퍼내기롤러(809)는 우측으로 회전하며, 스택완료된 지폐의 상하단부를 톱니모양의 외주부가 지지하고, 압판(806)측으로 펀면서 지폐의 입위(立位)상태를 유지한다.
장전·회수고(81)는, 리사이클고(80)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금거래에는 이용하지 않지만, 리사이클고로서 운용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각 수납고의 조작방법 및 구동원의 전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통의 외형형상을 가진다. 이들을 총칭하여 지폐류를 수납하는 지폐카세트(1000)라 부르는데, 간단히 카세트라고도 한다.
카세트의 측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는 거래장치 본체측의 가이드부와 맞물려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단차부의 형상을 홈의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가이드부 형상과 당접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단차부에는, 카세트 내부의 각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어(1011, 1012)가 설치되어 있어, 장치 본체측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건네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폐카세트(1000)의 내부에는, 도 7, 도 8, 도 9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용의 스택기구나 분리기구, 압판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수납부가 실장되어 있으며, 기어(1011, 1012)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되어진다. 지폐카세트(1000)의 상측 손잡이(1015)는, 담당직원이 지폐카세트(1000)를 들어 운반하기 위하여, 및, 상술한 앞면조작형 장치, 뒷면조작형 장치에 따라 화살표(1014)의 앞뒤방향으로 착탈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손잡이(1015)를 가지는 상측 뚜껑(1001)을 화살표(1016) 방향으로 개폐하여, 지폐카세트(1000) 내부의 지폐의 삽입/인출조작을 수행한다. 지폐카세트(1000)의 우측 앞면(도시하는 방향)에는, 수평방향으로 카세트를 조작하기 위한 앞측 손잡이(1005)와, 지폐입출금기(1) 본체와의 사이에서 1장씩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출입구(1004) 및 스택롤러 연결기어(1013)를 배치한다. 지폐카세트(1000)의 바로 앞측 측면에는 브러시롤러/피이드롤러 연결기어(1011) 및 구동벨트 연결기어(1012)를 배치한다.
스택롤러 연결기어(1013), 브러시롤러/피이드롤러 연결기어(1011), 구동벨트 연결기어(1012)의 구동원의 연결방법에 대하여, 도 11에 나타낸 지폐카세트(1000)의 측면도, 도 12에 나타낸 지폐카세트(1000)의 좌측정면도, 우측정면도에 의하여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택롤러 연결기어(1013)는, 도 7에 나타낸 입금고(60)를 구성하는 경우에만 실장하고, 스택롤러(601)를 구동하는 기어(톱니바퀴)로 지폐카세트(1000)의 외부 반송로(90)에 실장되는 구동기어(1023)와 접속되어, 반송로(90)의 구동원과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되어진다.
브러시롤러/피이드롤러 연결기어(1011)는, 도 7에 나타낸 입금고(6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브러시롤러(604)를 구동하는 기어로, 또한 도 8, 도 9에 나타낸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피이드롤러(701) 혹은 스택·피이드롤러(801)를 구동하는 기어로, 모두 공통의 위치에 있으며, 카세트 외부의 하부지폐기구(1b)를 구성하는 프레임(1020)에 고정된 스텝핑 모터(1031)의 구동기어(1021)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구동벨트 연결기어(1012)는, 도 7에 나타낸 입금고(6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구동벨트(618)를 구동하는 기어로, 도 8에 나타낸 출금고(7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실장하지 않고, 도 9에 나타낸 리사이클고(8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구동벨트(817)를 구동하는 기어로, 모두 공통의 위치에 있으며, 카세트 외부의 하부지폐기구(1b)를 구성하는 프레임(1020)에 고정된 스텝핑 모터(1032)의 구동기어(1022)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즉, 지폐카세트(1000)를 착탈할 때의 기어연결은, 스택롤러 연결기어(1013), 브러시롤러/피이드럴러 연결기어(1011), 구동벨트 연결기어(1012) 모두, 상술한 앞면조작형 장치의 경우에는 반송로(90)를 개폐한 후 지폐카세트(1000)를 꺼집어 냄으로써, 또한 뒷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지폐카세트(1000)를 후방으로 꺼집어 냄으로써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지폐카세트(1000)의 바로 앞측 측면(1002)은, 도 12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카세트 착탈시에는 오목부를 구동기어(1021, 1022)가 통과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담당직원의 조작에 있어서 지폐카세트(1000)의 브러시롤러/피이드롤러 연결기어(1011), 구동벨트 연결기어(1012)는 오목부 내면에 있기 때문에, 운반중의 오조작에 의한 기어의 파손이나 안전성에 있어서 뛰어나다.
또한, 이들 지폐카세트는, 현금을 취급하기 때문에 보안관리가 필요하며, 이 경우 각 지폐카세트마다 착탈을 허가하는 열쇠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의 특징과 그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폐류 수납카세트는, 장치본체의 가이드부와 당접 혹은 겹쳐지는 단차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단차부를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이게 함으로써 입출금구와 지폐판별부를 지폐입출금기의 상부에, 그리고 지폐수납고를 하부에 배치하고, 지폐반송로도 상기의 상부와 하부의 기구부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부의 반송로는 이용자 조작측 벽면 근방에 배치하고 있으며, 또한, 지폐카세트를 앞면이나 후면으로부터 모두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담당직원이 앞면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앞면 조작형이나, 뒷면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뒷면 조작형 모두에 있어서 용이하게 응할 수 있으며, 조작성, 설치장소, 보안 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2) 지폐류를 수납하는 지폐카세트는,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 장전·회수고 중 어느 것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공통적인 상자구조로서, 기어로 구성되는 구동연결수단도 공통적이기 때문에, 부품의 공통화가 가능하여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폐기구가 공통적이고,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 장전·회수고의 설정을 바꿀 수 있으며, 기기의 공통화, 나아가 금융기관에 있어서 운용방법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어, 범용성이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카세트를 담당직원이 조작할 때, 장치 앞면측이나 뒷면측 어디로부터도 탈착조작이 용이한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를 가지는 범용성이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본엔 지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즉, 각종 지폐류를 취급할 수 있는 지폐 수납카세트를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카세트를 이용함으로써 범용성이 높은 자동거래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다금종의 취급 뿐만 아니라, 입금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나 출금용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는 출금고,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여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는 리사이클고나, 리사이클고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장씩 송출하여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 등, 기능에 따른 각종 지폐카세트를 범용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취급장치에 착탈가능하고 지폐를 서있는 상태로 수납하는 지폐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지폐취급장치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수수를 수행하는 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출입구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 또는 상기 출입구로부터 반송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출금고, 또는 상기 출입구로부터 지폐를 집적시키고 동시에 상기 출입구로부터 지폐를 분리하는 리사이클고를 포함하고,
    상기 입금고 및 출금고 및 리사이클고를 공통적인 외부구조로 하고, 상기 각고의 각각에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기구, 또는 지폐를 분리하는 분리기구, 또는 지폐의 집적 및 분리를 겸하는 집적분리기구를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카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금고의 집적기구는, 상기 지폐취급장치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내부로 거두어 들이는 스택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협지하는 백업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 상기 백업롤러에 의하여 반송되는 지폐를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변형력에 의해 수납하는 브러시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카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금고의 분리기구는, 서있는 상태의 지폐를 꺼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꺼내어진 지폐를 반송하는 피이드롤러와, 상기 피이드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2장 이상의 지폐의 반송을 방지하는 게이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카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클고의 집적분리기구는, 서있는 상태의 지폐를 꺼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꺼내어진 지폐를 반송함과 동시에 상기 지폐취급장치의 반송로로부터 반송되어지는 지폐를 그 내부로 넣는 스택·피이드롤러와, 상기 스택·피이드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2장 이상의 지폐의 반송을 방지하는 게이트롤러와, 상기 스택·피이드롤러로부터 반송되어지는 지폐를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변형력에 의하여 수납하는 브러시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카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금고, 출금고 및 리사이클고의 각각의 내부에 실장되는 롤러에 대해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카세트.
  6.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취급장치에 있어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카세트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해서, 상기 지폐카세트에 입금하는 입금처리, 또는 상기 지폐카세트로부터 꺼낸 지폐를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하고 상기 입출금구에서 출금하는 출금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지폐카세트 중, 적어도 2이상의 지폐카세트의 외형형상을 공통의 구조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폐카세트는 입금된 지폐를 전용으로 수납하는 입금고를 갖고,
    상기 입금고는 상기 입출금구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내부에 거두어 들이는 스택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협지하는 백업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 상기 백업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를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변형력에 의해 수납하는 브러시롤러로 구성하는 집적기구를 그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폐카세트는 입금된 지폐를 전용으로 수납하는 입금고를 갖고,
    상기 출금고는 서 있는 상태의 지폐를 꺼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꺼내어진 지폐를 반송하는 피이드롤러와, 상기 피이드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2장 이상의 지폐의 반송을 방지하는 게이트롤러로부터 구성하는 분리기구를 그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폐카세트는 상기 입출금구를 통해 입금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를 갖고,
    상기 리사이클고는 서 있는 상태의 지폐를 꺼내는 픽업롤러와,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꺼내어진 지폐를 분리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입출금구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집적하는 스택·피이드롤러와, 상기 스택·피이드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2장이상의 지폐의 반송을 방지하는 게이트롤러와, 상기 스택·피이드롤러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변형력에 의해 수납하는 브러시롤러로 구성하는 집적분리기구를 그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KR10-2003-0059426A 1999-07-01 2003-08-27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KR100399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87252 1999-07-01
JP18725299A JP3451988B2 (ja) 1999-07-01 1999-07-01 紙幣カセッ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608A Division KR100399825B1 (ko) 1999-07-01 2000-06-29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554A true KR20030074554A (ko) 2003-09-19
KR100399827B1 KR100399827B1 (ko) 2003-09-29

Family

ID=1620272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608A KR100399825B1 (ko) 1999-07-01 2000-06-29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KR10-2003-0059426A KR100399827B1 (ko) 1999-07-01 2003-08-27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KR10-2003-0059428A KR100399828B1 (ko) 1999-07-01 2003-08-27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608A KR100399825B1 (ko) 1999-07-01 2000-06-29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428A KR100399828B1 (ko) 1999-07-01 2003-08-27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51988B2 (ko)
KR (3) KR100399825B1 (ko)
CN (6) CN1003378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091A (ko) * 2000-11-01 2001-03-05 구자홍 매체카세트장치
KR100552227B1 (ko) * 2004-02-13 2006-02-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장착 및 탈착시 부하가 회피되는 리싸이클박스의 구동장치
JP2005259084A (ja) * 2004-03-15 2005-09-22 Fujitsu Ltd 紙葉類取扱装置の構築方法、及び紙葉類カセット
KR101247490B1 (ko) * 2006-06-12 2013-03-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리사이클박스의 유동 방지구조
KR101026917B1 (ko) 2006-06-30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장치
JP4368888B2 (ja) 2006-12-15 2009-1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JP5042697B2 (ja) * 2007-04-23 2012-10-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KR101064818B1 (ko) * 2008-11-28 2011-09-14 엘지엔시스(주) 매체카세트의 전기연결장치
JP6036559B2 (ja) * 2013-06-10 2016-11-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KR102079706B1 (ko) * 2013-11-11 2020-02-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모듈
KR101665613B1 (ko) * 2015-02-27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9365B1 (ko) * 2017-09-18 2019-08-12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2007B (en) * 1982-06-16 1986-01-02 Tokyo Shibaura Electric Co Automatic depositing apparatus
JP2667739B2 (ja) * 1990-08-16 1997-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H07129819A (ja) * 1993-11-02 1995-05-19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装置
US5485907A (en) * 1994-08-23 1996-01-23 Gamemax Corporation Paper money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for vending machines
CN2230949Y (zh) * 1995-06-26 1996-07-10 霍建东 多功能组合式出纳盒
JPH09110186A (ja) * 1995-10-16 1997-04-28 Oki Inf Syst 紙葉類繰出装置
JP3238054B2 (ja) * 1995-11-01 2001-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引装置
EP1378869B1 (en) * 1997-10-06 2014-08-06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Leaflets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0826C (zh) 2008-05-28
CN101241619A (zh) 2008-08-13
CN1848181A (zh) 2006-10-18
KR20010015101A (ko) 2001-02-26
CN1515480A (zh) 2004-07-28
JP2001014509A (ja) 2001-01-19
CN100579880C (zh) 2010-01-13
KR100399828B1 (ko) 2003-09-29
KR100399827B1 (ko) 2003-09-29
JP3451988B2 (ja) 2003-09-29
CN101004841A (zh) 2007-07-25
CN1303075A (zh) 2001-07-11
CN100337887C (zh) 2007-09-19
KR20030074555A (ko) 2003-09-19
CN100585651C (zh) 2010-01-27
CN1515481A (zh) 2004-07-28
KR100399825B1 (ko)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KR100308610B1 (ko) 지폐류취급장치
KR0180289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JP2001118111A (ja) 紙幣入出金機およびそれに用いる紙幣収納庫
KR20110083477A (ko) 지폐 수납고 및 지폐 취급 장치
JP2004310653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KR100399827B1 (ko)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JP4932298B2 (ja) 紙幣入出金機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8171451A (ja) 紙幣入出金機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JP4292180B2 (ja) 自動取引装置
JP3799320B2 (ja) 紙幣カセット及び紙幣取扱装置
JP3799321B2 (ja) 紙幣カセット及び自動取引装置
JP3902980B2 (ja) 自動取引装置
JP4292232B2 (ja) 紙幣入出金機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4310304B2 (ja) 自動取引装置
JP4866405B2 (ja) 紙幣入出金機
JP2012099146A (ja) 紙幣入出金機
JPH06208683A (ja) 自動機群管理装置
JP2008159086A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