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166A -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 Google Patents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166A
KR20030074166A KR10-2003-0012275A KR20030012275A KR20030074166A KR 20030074166 A KR20030074166 A KR 20030074166A KR 20030012275 A KR20030012275 A KR 20030012275A KR 20030074166 A KR20030074166 A KR 20030074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transparent hard
transparent
film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781B1 (ko
Inventor
사이토우마사토
하라타마사히로
코야마마수오
키무라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7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고분자 표시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투명 하드 코오트 층을 형성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에 있어서, 투명 하드 코오트 층을 적어도 전리(電離)방사선 경화성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와 평균 입자경이 1∼10 ㎛인 무기 입자로 형성된다. 또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는 반응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방현성과 해상성을 균형있게 충족시키는 동시에 표면경도를 표시하는 하드 코오트성이 우수한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TRANSPARENT HARD COAT FILM}
본 발명은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장치, CRT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EL 표시장치 등의 각종 표시장치의 표시기재에 적용할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액정 표시장치나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는 그 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그 디스플레이 화면이 외부광의 영입으로 눈이 부셔 보기에 불편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고분자 필름에 표면 요철 처리를 한 투명 하드 코오트필름을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투명 고분자 필름상에 하게되는 표면 요철처리로는 매트제로 입자를 함유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층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1-209154호, 특개소 64-51932호 등) 그러나, 종래의 표면 요철처리에 의한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방현성(防眩性), 해상성(解像性), 하드 코오트 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균형을 맞춘다는 것을 아주 어려웠다.
예를 들면, 상기한 매트제가 되는 입자를 함유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층의 경우, 입자의 함유량을 많이 하면, 헤이즈치가 상승하여 해상성이 떨어지고, 그 함유량을 적게 하면 광택도가 상승하여 방현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표시상(表示像)의 시인성(視認性)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입자의 입자경을 적게 하는 경우에는 헤이즈치의 상승을 억제해서 해상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유효하나, 동시에 하드 코오트층의 두께를 얇게하지 않으면 표면 입자에 의한 요철 형성이 어려워져 방현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 하드 코오트 층의 두께를 얇게 하면, 표면경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하드 코오트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는 표면 경도등을 대표하는 하드 코오트성을 부여하는 것은 효과적이나, 입자가 막의 내부에 매몰되기 때문에 표면요철 형성이 어려워져서 방현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시키고, 방현성과 해상성을 균형 있고, 우수하게 하는 광학특성과 하드 코오트성을 겸비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방현성과 해상성을 균형있게 개선시키고, 동시에 하드 코오트성을 겸비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얻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방현성과 해상성을 균형 있게 개선시킨 광학특성과 하드 코오트성을 동시에 갖는 투명 하드코오트 필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특정재료를 사용함으로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투명 고분자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으로서, 상기 투명 하드 코오트층은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성(電離放射線硬化性)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와 평균 입자경이 1∼10㎛인 무기입자로 이루어지는 매트제에 의해서 형성된다.
특히,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는 도막화 될 때에 도막 중에서 유기 바인더에 무기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유기 바인더만으로 이루어지는 도막에서 얻을 수 없는 물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상기 전리 방사선경화성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코오트제가 적어도 그 표면에 광 중합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感光性基)를 도입한 반응성 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0.00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상기 투명 하드 코오트층의 두께가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매트제로서 무기입자를 하드 코오트제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하드 코오트층으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와 특정의 입자경을 갖는 무기입자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헤이즈치의 상승과 그에 따르는 해상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방현성을 높일 수 있게 하며, 특히 높은 하드 코오트성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드 코오트 필름은 하드 코오트 고분자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투명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등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이중 연신가공, 특히 이축연신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기계적 강도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투명 하드 코오트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거나, 이접착층(易接着層)을 형성한 것이 아주 적합하다.
이와같은 투명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필름의 재질에 따라 적의 선택되어질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25∼500㎛가 적당하고, 50∼200㎛인 것이 보다 좋다.
이하, 투명 고분자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하드 코오트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투명 하드 코오트층은 적어도 전리 방사선 경화성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이하 "HbHc제" 라 한다)와 매트제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한다.
HbHc제는 전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되는 재료로서, 도막을 형성하였을 때 유기 바인더 중에 무기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상태의 재료이고, 경화전 상태에서 유기 바인더는 무기 미립자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있어도 좋고, 전리방사선 경화형의 유기 바인더에 무기 미립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도 좋다.
무기 미립자로는 실리카가 아주 적합하고, 특히 적어도 표면에 광 중합 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感光性基)가 도입된 반응성 실리카 입자(이하, "반응성 실리카"라고 한다)가 아주 적합하다.
여기서 광 중합성을 갖는 감광성기로는 (메타) 아크릴로일 옥시기로 대표되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들 수 있다.
이와같은 HbHc제로서 반응성 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HbHc제는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도입된 광 중합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와 광 중합반응 가능한 화합물 예를들면, 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더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서 호적하게 사용되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한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는 예를들면 모체가 되는 분체상 실리카 또는 콜로이드상 실리카에 대해서 분자중에 가수분해성 시릴기(A), 중합성 불포화기(B),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기(C) 및 식(2)로 표시되는 기(D)를 갖는 화합물 (이하,「중합성 불포화기 수식가수분해성 실란」이라 한다)이 시릴옥시기에 의해서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이다. 즉, 중합성 불포화기 수식가수분해성 실란이 가수분해성 시릴기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서 실리카 입자와의 사이에 시릴옥시기를 생성하여 화학적으로 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 식 중 X는 NH, 산소원자 및 황 원자로 부터 선택되고,
Y는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 부터 선택되었다.
다만, X가 산소 원자인 경우 Y는 유황 원자이다.)
여기서, 가수분해성 시릴기(A)는 예로는, 알콕시릴기, 아세톡시릴기 등의칼복실레이트시릴기, 클로시릴기등의 할로겐화시릴기, 아미노시릴기, 옥심시릴기, 히드리드시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불포화기(B)로서는 아크릴로옥시기, 메타크릴로옥시기,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타디에닐기, 스티리루기, 에티니일기, 신나모일기, 말레이드기, 아크릴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쓰이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기는 0.001∼0.1㎛, 보다 좋게는 0.001∼0.01㎛ 이다. 평균 입자경을 이와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뒤에 설명하는 평균 입자경 1∼10㎛의 무기입자로 이루어지는 매트제와의 조합에 있어서, 방현성과 해상성(解像性)의 균형을 충분히 좋게 하는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투명 하드 코오트층으로서 충분한 하드 코오트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음에 HbHc제에 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같은 불포화 유기화합물로는 분자층에 두개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가불포화 유기화합물, 또는 분자중에 한개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가 불포화 유기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가 불포화 유기화합물은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다)아크릴레이트, 1,2-부타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사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플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단가 불포화 유기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타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루닐(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포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등을 들 수 있다.
HbHc제는 상술한 반응성 실리카 입자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에 범용의 희석 용제를 혼합시킴으로서 고형분을 조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하여, 매트제로 사용하는 무기 입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기 입자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클레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산화 지르코늄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실리카 특히, 다공질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무기입자는 평균 입자경이 1∼10㎛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평균 입자경이 이와같은 범위의 무기입자를 매트제로 하여 상기 HbHc제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 중 하나인 방현성과 해상성을 균형 있게 만족시키게 되고, 특히 하드 코오트성을 겸비한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효과를 보다 쉽게 얻기 위해서, 평균 입자경이 2∼8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무기입자는 HbHc제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보다 좋게는 18 중량부 이하, 보다 더 좋게는 16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의 방현성과 해상성은 함유된매트제의 함량만이 아니고, 층의 두께에도 관계가 있으며, 뒤에 설명하는 하드 코오트층의 호적한 두께의 범위에 있어서, 2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방현성을 충분하게 할 수 있고, 또 20 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해상성을 충분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에는 HbHc제 및 무기입자의 타의 성분으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선 수지, 광중합 개시제 등을 적의 함유시켜도 좋다.
열가소성수지로는 아세틸셀룰로오즈, 니트로셀룰로오즈, 아세틸부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 유도체, 초산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 및 그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수지, 폴리비닐폴루말, 폴리비닐리덴 및 그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수지, 폴리니닐폴루말, 폴리비닐부티랄등의 아세틸계 수지, 아크릴수지 및 그 공중합체, 메타크릴수지 및 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수지, 폴리스틸렌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선상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을 들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아크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광확산성폴리머로부터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우레탄수지, 페놀수지, 요소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는 광 중합성 광확산성폴리머 또는 광 중합성 모노머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전리방사선 경화도료에 전리방사선(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 중합성 광확산성폴리머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며, 가교경화에 의해 3차원 망목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플리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게 많이 사용되어진다.
이 아크릴계 플리폴리머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메라민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어진다.
또, 광 중합성 모노머로는 상기한 다가 불포화 유기화합물 등이 사용되어진다.
또, 광 중합개시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미히라케톤,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이소벤조에이트,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 페닐)-2-(4-몰포리닐)-1-프로판, α-아실록심에스테르, 티옥산손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하드 코오트층의 두께는 2∼10㎛, 바람직하게는 3∼8㎛ 인 것이 좋다. 두께를 2㎛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으로서의 하드 코오트성은 충분하게 할 수 있고, 10㎛ 이하로 하면, 투명 하드 코오트필름의 광학특성의 균형을 조정하기는 쉬워지고, 동시에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투명 고분자필름의 한쪽 면에만 설치한 경우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의 컬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투명 하드 코오트층은, HbHc제, 무기입자 및 필요에 따라 타의 성분을 배합해서 적의 필요에 따라 쓰이는 희석용제에 의해 도포액과 조정하여 이도포액을 투명 고분자필름 표면에 종래 공지의 도포방법으로 도포하고,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완성할 수 있다.
전리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수은등, 저압수은등, 카본아크, 메탈할라이드램프 등에서 발사하는 100∼400 nm, 바람직하게는 200∼400 nm의 파장영역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주사형(走査型)이나 커텐형 전자선 가속기에서 발사하는 100 nm 이하의 파장영역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중 「부」, 「%」는 특기하지 않는 한 중량기준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 )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a)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시키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5㎛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a)>
· 적어도 평균 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 (일본 JSR사 제품 " 데솔라이트 7501"
<고형분 50%>) ‥‥ 100 부
· 다공질 실리카( 일본 후지실리시아사 제품 "싸이리시아 446"
<평균 입자경 4.5㎛> ) ‥‥ 5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이루가큐어 651")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실시예 2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b)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시키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동안 조사하여 약 3㎛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b) >
·적어도 평균 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일본 JSR사 제품 "데솔라이트7501"
<고형분 50%>) ‥‥ 100 부
· 다공질 실리카(일본 후지 실리시아사 제품 "싸이리시아446"
<평균 입자경 4.5㎛>) ‥‥ 4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이루가큐어 651")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실시예 3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c)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7㎛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c) >
· 적어도 평균 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 (일본 JSR사 제품 "데솔라이트 7501"
<고형분 50%>) ‥‥ 100 부
· 다공질 실리카( 일본 후지 실리시아사 제품 "싸이리시아446"
<평균 입자경 4.5㎛> ) ‥‥ 6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이루가큐어 651")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비교예 1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d)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5㎛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d) >
· 전리방사성 경화도료 (일본 다이닛폰잉크사 제품
"유니테크 17-806 " <고형분 80%>) ‥‥ 62.5 부
· 다공질 실리카(일본 후지 실리시아사 제품
"싸이리시아 446" <평균 입자경 4.5㎛> ) ‥‥ 5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 이루가큐어 651")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62.5 부
· 톨루엔 ‥‥ 30 부
비교예 2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e)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시키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10㎛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e) >
· 전리방사성 경화도료 ( 일본 다이닛폰잉크사 제품
"유니테크 17-806" <고형분 80%>) ‥‥ 62.5 부
· 다공질 실리카( 일본 후지실리시아사 제품
" 싸이리시아 446 " < 평균 입자경 4.5㎛> ) ‥‥ 13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이루가큐어 651") ‥‥ 1.5부
· 메틸에틸케톤 ‥‥ 62.5 부
· 톨루엔 ‥‥ 30 부
비교예 3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f)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2㎛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f) >
· 적어도 평균 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 (일본 JSR사 제품
" 데솔라이트 7501 "<고형분 50%>) ‥‥ 100 부
· 미분말 실리카 (일본 아에로질사 제품 "아에오질 50"
<평균 입자경 30 nm> ) ‥‥ 4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 이루가큐어 651" )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비교예 4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g)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시키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7㎛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g) >
· 적어도 평균 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 (일본 JSR사 제품
"데솔라이트 7501" <고형분 50%>) ‥‥ 100 부
· 다공질 실리카 ( 일본 후지 실리시아사 제품 "싸이리시아
476" <평균 입자경 14.1 ㎛> ) ‥‥ 5 부
· 광중합 개시제 (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 이루가큐어 651" )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비교예 5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 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h)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5㎛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h) >
· 적어도 평균 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 ( 일본 JSR사 제품
"데솔라이트 7501"< 고형분 50% >) ‥‥ 100 부
· 아크릴수지 입자( 일본 종연화학사 제품 "MX-500 KS"
<평균 입자경 5 ㎛> ‥‥ 4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 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 이루가큐어 651")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비교예 6
두께 1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본 도오요보세키사 제품 "코스모샤인 A4300")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용 도포액(i)을 도포하고, 60℃로 가열하면서 5분간 건조한 다음,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2초간 조사하여 약 5㎛ 두께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하여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 투명 하드 코오트용 도포액 (i) >
· 적어도 평균입자경이 0.001∼0.1㎛의 범위내에 있는
반응성 실리카 입자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HbHc제( 일본 JSR사
제품 "데솔라이트 7501"<고형분 50%>) ‥‥ 100 부
· 아크릴수지 입자( 일본 종연화학사 제품 "MX-500KS")
<평균 입자경 5 ㎛> ‥‥ 3 부
· 광중합 개시제 (지바스페샬 디케이칼사 제품
"이루가큐어 651") ‥‥ 1.5 부
· 메틸에틸케톤 ‥‥ 40 부
· 톨루엔 ‥‥ 15 부
이상과 같이 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얻은 투명 하드 코오트필름의 방현성, 해상성, 하드 코오트성에 대해 아래와 같이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방현성(防眩性)]
SM 칼러컴퓨터 UGV-5K( 일본 "수가시험기사"제품)을 사용하여 입출각도 60。에서 광택도「%」(JIS-K5400)를 측정함과 동시에 화상을 표시한 CRT화면 위에 투명 하드 코오트필름을 적층시킨 경우에 외부 광의 영입에 의해서 표시화상이 잘 보기가 어려워지거나 그러하지 않거나에 따라 눈으로 보아서 평가하였다.
눈으로 평가한 결과, 상태가 좋은 것은 「O」, 나쁜 것은「X」로 나타내었다.
[해상성(解像性)]
SM 칼러컴퓨터 HGM-2K (일본 "수가시험기사" 제품)를 사용하여 헤이즈「%」(JIS-K7105)를 측정함과 동시에 화상을 표시한 CRT 화면 위에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적층시킨 경우, 표시화상이 흐려지느냐 또는 그러하지 않느냐를 가지고 눈으로 평가하였다.
눈으로 평가한 결과 상태가 좋은 것은「O」, 나쁜 것은「X」로 나타내었다.
[ 하드 코오트성 ]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의 투명 하드 코오트층 표면에 대해서 마모 시험기( 일본 요시미쓰사 제품, 데이퍼식 )를 사용하여 마모륜 CS-10, 하중 500g, 회전속도 700rpm, 500회전의 조건으로 마모시험을 하였다.
이 마모시험 전후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의 헤이즈값의 증가량을 측정하여평가하였다.
이 평가는 헤이즈값의 증가량이 5% 미만인 것을 「O」로 표시하고, 5% 이상 20% 미만의 것은 「△」로 표시하고, 20% 이상인 것은 「X」로 표시하였다.
수지(부) 입자(부, 입자경) 방현성(광택도%) 해상성(헤이즈%) 하드 코오트성
HbHc UV경화 실리카입자 수지입자
실시예 1 50 5(4.5㎛) ○(69.5) ○(7.0)
2 50 5(4.5㎛) ○(69.2) ○(7.1)
3 50 6(4.5㎛) ○(70.5) ○(7.0)
비교예 1 50 5(4.5㎛) ×(125.4) ○(3.1) ×
2 50 13(4.5㎛) ○(70.5) ×(11.7) ×
3 50 4(30㎚) ×(136.5) ○(2.0)
4 50 5(14.1㎛) ×(110.0) ○(5.2)
5 50 5(5㎛) ○(40.5) ×(14.0)
6 50 3(5㎛) ×(92.1) ○(7.0)
표 1에 의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도포액(a)의 HbHc제를 사용하지 않고, 타의 전리방사선 경화도료로 치환한 도포액(d)을 써서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한 비교예 1의 투명 하드 코오트필름은 해상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으나, 방현성은 떨어졌다. 또 투명 하드 코오트층의 하드 코오트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 비교예 1과 같이 HbHc제를 사용하지 않고, 타의 전리방사선 경화도료를 사용하여 방현성이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실리카 입자를 첨가시킨 비교예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해상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 하드 코오트성에 대하여도 비교예 1과 같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또, 평균 입자경이 1㎛ 미만(30nm)인 무기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3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및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14,1㎛)인 무기 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3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다 같이 해상성은 문제가 없었으나, 방현성이 아주 나빠지는 결과가 나왔다.
또,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매트제로서 무기입자를 쓰지 않고, 아크릴수지를 사용하고 그 첨가량을 실시예 1과 같이 한 비교예 5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방현성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해상성에 대하여는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크릴수지의 첨가량을 해상성에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감소시킨 비교예 6 에서는 방현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또 비교예 5 및 비교예 6 은 어느 것이나 투명 하드 코오트층의 매트제로 무기입자를 사용한 실시예와 대비할 때 하드 코오트성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 비교예에 대하여 실시예 1-3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은 방현성과 해상성이 모두 우수함과 동시에 충분한 하드 코오트성을 겸비하고 있다.
이들 결과로부터 투명 하드 코오트층으로 HbHc제 와 소정의 평균 입자경의 범위내의 무기입자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높은 하드 코오트성을 가지며, 방현성과 해상성이 균형을 갖춘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

  1. 투명 고분자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 하드 코오트층을 형성한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으로서, 상기 투명 하드 코오트층은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성(電離放射線硬化性)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와 평균 입경이 1∼10㎛인 무기입자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오트제가 적어도 그 표면에 광 중합 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를 도입한 반응성 실리카 입자를 함유하고,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0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하드 코오트층의 두께가 2∼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4.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를 하드 코오트제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KR1020030012275A 2002-03-15 2003-02-27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KR100930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1639A JP4064130B2 (ja) 2002-03-15 2002-03-15 透明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JP-P-2002-00071639 2002-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66A true KR20030074166A (ko) 2003-09-19
KR100930781B1 KR100930781B1 (ko) 2009-12-09

Family

ID=2803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75A KR100930781B1 (ko) 2002-03-15 2003-02-27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69673B2 (ko)
JP (1) JP4064130B2 (ko)
KR (1) KR100930781B1 (ko)
TW (1) TWI2557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116B1 (ko) * 2004-09-23 2006-09-20 주식회사 대하맨텍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369B1 (ko) 2002-03-15 2010-08-31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투명 하드코오트 필름 투명 도전성 하드코오트 필름 및 이필름을 사용한 터치판넬과 이 터치판넬을 사용한액정표시장치
US20050106377A1 (en) * 2003-11-18 2005-05-19 Koestner Roland J. Anti-glare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WO2005077651A1 (ja) * 2004-02-18 2005-08-25 Kimoto Co., Ltd.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CN1918005B (zh) * 2004-02-18 2010-12-08 木本股份有限公司 牛顿环防止膜以及使用该膜的触摸屏
US20060009536A1 (en) * 2004-07-12 2006-01-12 Guang-Way Jang Functionalized sol-gel material, sol-gel film derived therefro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07400B1 (ko) * 2006-06-30 2013-09-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경화성 수지 조성물,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JP2008238711A (ja) * 2007-03-28 2008-10-09 Fujifilm Corp 親水性部材及び下塗り組成物
JP5320703B2 (ja) * 2007-08-10 2013-10-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186834B2 (ja) * 2007-08-10 2013-04-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409311B (zh) * 2007-08-10 2013-09-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硬塗膜
US8153249B2 (en) * 2008-08-26 2012-04-10 Snu R&Db Foundation Article treated with silica particle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rface of the article
JP6109483B2 (ja) * 2012-03-01 2017-04-05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199605B2 (ja) * 2013-05-27 2017-09-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巻回体
JP6213349B2 (ja) * 2014-03-31 2017-10-18 マツダ株式会社 透明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45881B1 (ko) * 2016-09-28 2019-11-1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152A (en) * 1993-12-02 1998-05-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Transparent functional membrane containing functional ultrafine particles, transparent functional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740943B2 (ja) * 1994-10-31 1998-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摩耗性を有する化粧材
US6072018A (en) * 1996-09-30 2000-06-06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High abrasion resistant coating material
FR2759464B1 (fr) * 1997-02-10 1999-03-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preparation d'un materiau optique multicouches avec reticulation-densification par insolation aux rayons ultraviolets et materiau optique ainsi prepare
AU6622098A (en) * 1997-02-25 1998-09-18 Bayer Aktiengesellschaft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DE69838636T2 (de) * 1997-11-21 2008-08-28 Orient Chemical Industries, Ltd. Organisch-anorganisches Hybrid-Polymer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1286083A (ja) * 1998-04-02 1999-10-19 Oike Ind Co Ltd 防眩性フイルム
US6376060B1 (en) * 1998-09-25 2002-04-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Hardcoat film
JP2000103887A (ja) * 1998-09-25 2000-04-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基材フィルム用ハードコート膜、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溶液、プラスチック基材フィルム用ハードコート膜の形成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熱線反射フィルム、及び紫外線遮蔽フィルム
KR100673796B1 (ko) * 1999-09-09 2007-01-24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투명 하드코트 필름
US6495253B1 (en) * 1999-09-17 2002-12-17 Kimoto Co., Ltd. Support film for a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JP2001323087A (ja) * 2000-03-10 2001-11-20 Fuji Photo Film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イ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116B1 (ko) * 2004-09-23 2006-09-20 주식회사 대하맨텍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781B1 (ko) 2009-12-09
JP2003266582A (ja) 2003-09-24
US20030180520A1 (en) 2003-09-25
TWI255771B (en) 2006-06-01
US6869673B2 (en) 2005-03-22
JP4064130B2 (ja) 2008-03-19
TW200303818A (en)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1096B (en) Anti glare hard coat film
KR100930781B1 (ko)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KR101960557B1 (ko) 내후성 적층 필름
CN108431639B (zh) 抗反射膜
JP561632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53352B2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シート
JP2007182519A (ja)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基材上に被覆硬化した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構造体およびその製法
TWI499509B (zh) 防眩性透光性硬被覆膜
CN102911539A (zh) 防眩性防反射涂层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防眩性防反射薄膜、偏光板以及显示装置
JP6727574B2 (ja) 光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低屈折層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CN107850694A (zh) 减反射膜和显示装置
WO2008146935A1 (ja) 防眩性光透過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014055B2 (ja) 透明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993002B1 (ko)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JP2005031282A (ja) 光学素子用樹脂組成物、光学素子用樹脂硬化物及び光学素子
JP677739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2166844B1 (ko) 하드 코팅 필름
JP2010077328A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防眩性フィルム
JP7323986B2 (ja) 防眩フィルム
JP4969031B2 (ja)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塗料、これを用いてなる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膜および成形体
JP5197775B2 (ja) 透明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6072195A (ja) ディスプレイ表面用積層体とその製造法
JP2010235935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透明性フィルム
JP2009116344A (ja) 防眩フィルム
JP2010047621A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成型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