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116B1 -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 Google Patents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116B1
KR100625116B1 KR1020040076353A KR20040076353A KR100625116B1 KR 100625116 B1 KR100625116 B1 KR 100625116B1 KR 1020040076353 A KR1020040076353 A KR 1020040076353A KR 20040076353 A KR20040076353 A KR 20040076353A KR 100625116 B1 KR100625116 B1 KR 10062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mer
silica
diffuse reflection
reflection coating
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527A (ko
Inventor
김남훈
김현
장주영
김지웅
송지혜
최성철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맨텍
Priority to KR102004007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1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난반사 코팅제는, 10 내지 30 nm 크기의 실리카 입자가 분산된 실리카졸을 올리고머와 혼합하여 분산하고 여기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실리카졸을 응집시킴으로서 형성되는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단순히 마이크로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빛의 투과율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난반사 특성은 우수한 막을 코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에 도전성 물질이나 광개시제 등을 더 포함시킴으로서 대전방지성, 광경화성의 기능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크릴계 유기화합물의 자외선 경화반응을 통해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눈부심, 난반사, 올리고머, 실리카, 나노복합체, 졸, 나노

Description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반사 코팅제{Anti-glare coating composition having oligomer/silica nano composite}
도1은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난반사 코팅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반사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화질 영상 매체 시대를 맞이하여 PDP, LC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디지털 방송에 따른 대형 TV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로서의 신 시장 창출에 힘입어 PDP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05년까지 400만대 수준까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PDP에 적용되는 부품, 재료등 관련 기술도 더불어 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PDP 및 각종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패널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난반사 기능과 내스크래치성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먼 지부착 방지를 위한 대전방지 성능도 요구되어진다.
현재 개발된 난반사 기술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실리카 분산 조성물을 혼합하여 코팅하는 방법, 필름위의 표면에 요철이 있는 롤을 연속적으로 필름에 눌러주는 방법, 무기화합물의 박막코팅방법 등이 있다.
종래의 눈부심방지도료는 반사되는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분산시켜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는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투과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노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여 빛의 투과율은 떨어지지 않으면서 난반사효과는 우수한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는 난반사 코팅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반사 코팅제는, 10 내지 30 nm 크기의 실리카 입자가 분산된 실리카졸을 올리고머와 혼합하여 분산하고 여기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실리카졸을 응집시킴으로서 형성되는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리고머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1 ~ 20 wt%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반사 코팅제는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01 ~ 20wt% 를 차지하는 폴리치오펜계 전도성 고분자나 암모늄계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올리고머/실리카 유무기 복합체 제조]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에 10 내지 30 nm 크기의 실리카 입자가 분산된 실리카졸에 분산제로서 Disperbyk-111(BYK Gardner GMBH 제품)을 소량 투입한 후 고속교반기를 사용하여 2시간 이상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잘 혼합 분산한다. 이때 분산성이 좋지 않으면 투과율이 목표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충분히 분산을 행한다.
그 다음으로는 분산되어진 용액에 응집제로서 에틸렌 디아민(ethylenediamine)을 소량 투입함으로써 분산된 나노사이즈의 실리카졸이 응집을 일으키면서 실리카 표면의 친수기와 올리고머의 우레탄결합 사이에서의 수소결합에 의하여 올리고머와 실리카 입자의 유무기 복합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도1은 이렇게 해서 형성된 올리고머/실리카 나노 복합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나노 복합체 형성시 눈부심 방지 효과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응집제를 통한 응집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응집제가 너무 많으면 복합체가 빠른 속도로 겔(gel)화되어 저장안정성이 나빠질 수 있음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대신에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전체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1 ~ 20 wt%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성 부여]
상기와 같은 올리고머/실리카 유무기 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반사 코팅제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면 코팅막이 대전방지기능을 포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올리고머/실리카 유무기 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반사 코팅제에 도전성 물질로서, 폴리치오펜계 전도성 고분자 용액이나 암모늄염 용액을 투입 혼합한다. 상기 폴리치오펜계 전도성 고분자나 암모늄계 대전방지제는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01 ~ 20wt% 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1은 조성물(표의 상단)대로 혼합하여 대전방지성 난반사 코팅제를 만든 다음에 이를 바코터로 PET 필름에 코팅하여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물성치를 나타낸 것이다(하단).
함량(PHR) 비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40 올리고머
TMPTA 20 모노머
TPGDA 20 모노머
HDDA 14 모노머
광개시제 5 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첨가제 1 BYK-300 (BYK Gardner GMBH 제품)
Silica sol 5 30 nm
분산제 0.2 Disperbyk-111 (BYK Gardner GMBH 제품)
응집제 0.2 에틸렌 디아민
대전방지제 5 폴리피치온계 전도성 고분자 용액
희석제 20 IPA
Total 130.4
표면경도 3H JIS K5401
광투과율 84 KS M ISO 13468-1
광택도 58 ASTM D523
Haze 7 KS M ISO 13468-1
표면저항 2.0ㅧ1011 ASTM D257
부착성 100/100 KS M 5981
내용제성 양호 KS M 5971
본 발명에 따른 난반사 코팅제는 나노크기의 실리카졸을 사용하여 이를 올리고머에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다시 응집제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응집시킴으로서 얻어지는 나노복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순히 마이크로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빛의 투과율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난반사 특성은 우수한 막을 코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에 도전성 물질이나 광개시제 등을 더 포함시킴으로서 대전방지성, 광경화성의 기능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크릴계 유기화합물의 자외선 경화반응을 통해서 내스크래치 성이 우수한 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0 내지 30 nm 크기의 실리카 입자가 분산된 실리카졸을 올리고머와 혼합하여 분산하고 여기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실리카졸을 응집시킴으로서 형성되는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코팅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코팅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가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1 ~ 20 wt%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코팅제.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01 ~ 20wt% 를 차지하는 폴리치오펜계 전도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코팅제.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고형분에서 0.01 ~ 20wt% 를 차지하는 암모늄염계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코팅제.
KR1020040076353A 2004-09-23 2004-09-23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KR10062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353A KR100625116B1 (ko) 2004-09-23 2004-09-23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353A KR100625116B1 (ko) 2004-09-23 2004-09-23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27A KR20060027527A (ko) 2006-03-28
KR100625116B1 true KR100625116B1 (ko) 2006-09-20

Family

ID=3713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353A KR100625116B1 (ko) 2004-09-23 2004-09-23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0103B1 (en) * 2011-12-28 2022-02-16 Posco Insul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pon which the insulation coating composition is appli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90B1 (ko) * 2006-03-29 2007-04-18 주식회사 두산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36013B1 (ko) * 2006-07-07 2008-06-09 주식회사 두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47176B1 (ko) * 2009-12-03 2014-01-0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166A (ko) * 2002-03-15 2003-09-19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166A (ko) * 2002-03-15 2003-09-19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7416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0103B1 (en) * 2011-12-28 2022-02-16 Posco Insul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pon which the insulation coating composition is appli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27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522B2 (en) Antiglar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990610A (zh) 抗菌和抗静电多功能硬质涂料组合物
KR101748025B1 (ko) 소프트 몰드를 사용하는 프리즘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7902266B2 (en) Composition of anti-glare coating
JP200714501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光拡散板
KR101837829B1 (ko)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80971B (zh) 防眩性透光性硬涂膜
CN100344709C (zh) 用于隔离热射线的组合物,由此形成的膜以及形成该组合物和膜的方法
JP2006520681A (ja) 帯電防止被覆された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法
EP1566414A1 (en) Ultraviolet-curable antistatic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KR100794717B1 (ko)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KR100625116B1 (ko)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JP200510392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78713C (zh) 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以及高分子液晶微粒
KR100824325B1 (ko)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JPWO2003055950A1 (ja) 塗料組成物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0662179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재의 코팅 방법
JP200524793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479152B (zh) 一种高硬度防眩膜
JP6034613B2 (ja) 無機化合物微粒子分散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無機化合物微粒子分散硬化物の製造方法
KR20090026860A (ko) 방현필름
JP2006282722A (ja) 液状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膜
KR100892920B1 (ko)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CN113655554B (zh) 防眩膜及具有此防眩膜的偏光板
KR20080100511A (ko) 폴리스티렌 입자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