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586B1 -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586B1
KR102197586B1 KR1020190005198A KR20190005198A KR102197586B1 KR 102197586 B1 KR102197586 B1 KR 102197586B1 KR 1020190005198 A KR1020190005198 A KR 1020190005198A KR 20190005198 A KR20190005198 A KR 20190005198A KR 102197586 B1 KR102197586 B1 KR 10219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oyster shell
coating composition
shell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647A (ko
Inventor
김운중
장동원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5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굴패각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도포성, 코팅성, 은폐성, 필적 균일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폐기되는 굴패각을 재활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인더로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성, 코팅성, 은폐성, 필적 균일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A paint composition using oyster shell}
본 발명은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굴패각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도포성, 코팅성, 은폐성, 필적 균일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료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자외선이나 열에 장기간 노출되면 도막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이 분쇄되어 도막의 특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분쇄 시 다양한 오염물질의 발생으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환경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도료, 코팅제 및 접착제 분야에서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외선이나 열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도막의 특성이 유지되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수용성 도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수용성 도료는 건조속도가 용제형 도료에 비하여 느려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내수성과 내마모성이 저하되어 신뢰성 측면에서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굴패각(굴껍질)은 남해안을 중심으로 해마다 많은 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비료나 굴양식을 위해 일부 재활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폐기되고 있다.
굴패각은 주성분이 탄산칼슘으로서, 단열성능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도료, 건축자재, 산업자재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50019호는 조개패각 및 안료를 포함하는 도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코팅성, 은폐성, 내열성 등이 부족하여 도료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500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폐기되는 굴패각을 재활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인더로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성, 코팅성, 은폐성, 필적 균일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패각 입자의 입경은 1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안정화제, 방부제, 조막조제, 소포제, 도막조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물 10~30중량%, 굴패각 입자 25~70중량%, 바인더 20~50중량%, 안료 1~10중량%, 분산제 0.1~1중량%, 안정화제 0.1~1중량%, 방부제 0.1~1중량%, 조막조제 0.5~2중량%, 소포제 0.1~1.5중량%, 도막조제 0.1~1.5중량% 및 증점제 0.5~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도료, 코팅제 또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폐기되는 굴패각을 재활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인더로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성, 코팅성, 은폐성, 필적 균일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도료, 코팅제 또는 접착제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안정화제, 방부제, 조막조제, 소포제, 도막조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은 물 10~30중량%, 굴패각 입자 25~70중량%, 바인더 20~50중량%, 안료 1~10중량%, 분산제 0.1~1중량%, 안정화제 0.1~1중량%, 방부제 0.1~1중량%, 조막조제 0.5~2중량%, 소포제 0.1~1.5중량%, 도막조제 0.1~1.5중량% 및 증점제 0.5~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조성물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함량은 10~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균일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없고 가공성이 저하되며,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코팅성 및 은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굴패각 입자는 굴패각을 전처리한 후 이를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때 전처리는 굴패각 표면에 붙어있는 다양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굴패각을 미생물반응장치에 투입한 후 미생물로 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250~450℃에서 살균 및 열처리를 수행하거나, 분사장치를 통하여 미생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굴패각에 분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처리 방법들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전처리된 굴패각을 수득하여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굴패각 입자를 제조한다.
이때 굴패각 입자의 입경은 10~5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입자의 입경이 10㎛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입경이 500㎛를 초과하면 코팅성 및 내열성이 저하된다.
굴패각 입자의 함량은 25~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패각 입자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인 경우 도포성 및 코팅성이 저하되며,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조성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및 라텍스계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는 분자 내에 아크릴기를 갖는 고분자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하여 제조되거나 아크릴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고분자 자체로 사용될 수 있고, 아크릴계 고분자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는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능기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도료의 코팅성 및 내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라텍스계 고분자는 천연고무(N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폴리클로로프렌 고무(C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이소프렌 고무(IR),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고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고무(AB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로부터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라텍스계 고분자는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능기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도료의 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2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인 경우 코팅성이 저하되며,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인더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및 라텍스계 고분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아크릴계 고분자 및 라텍스계 고분자의 중량비는 60~80: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은폐력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바륨설페이트, 탈크, 탄산칼슘,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안료의 함량은 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은폐력이 저하되고,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의 분산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일예로, 스판 80이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0.1~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분산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1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분산제로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는 60~80: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화제는 내후성, 내열성, 단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페놀 항산화제, 알킬화 모노페놀, 알킬티오메틸페놀, 하이드로퀴논, 알킬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록시벤질, 트리아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제의 함량은 0.1~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내후성, 내열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방부제는 도료의 부패방지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아황산나트륨; 벤조산나트륨; 이소티아졸론; 바륨메타보레이트; 비스트리부틸 틴 옥사이드, 디부틸 틴 라우레이트 등의 주석 화합물; 벤질브로모아세테이트, 펜타클로로페닐라우레이트 등의 할로겐 화합물; 디클로로페놀, 트리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페닐페놀, 클로로크레졸, 클로로자이레놀 등의 페놀계 화합물;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아졸린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의 함량은 0.1~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항균성이 저하되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막조제는 도막의 치밀성,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조막조제의 함량은 0.5~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코팅성이 저하되고,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소포제는 도료의 제조 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광물유, 테레빈 유,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리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리시놀리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프로필렌 올리에이트 부틸 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스테아레이트 부틸 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포제의 함량은 0.1~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기포발생으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수 없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도막조제는 아크릴계 고분자,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막조제의 함량은 0.1~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조기에 도막형성이 어려워 건조가 지연되고 치밀하게 도막이 형성되지 못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증점제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폴리사카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증점제의 함량은 0.5~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수 없고,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내에 포함된 다수의 카르복실기는 바인더 및 굴패각 입자와 결합하여 코팅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산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데실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데실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중량비는 10~30:70~90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10:90 미만이면 조성물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30:70을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의 함량은 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방향족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시아나이드계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할로겐계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비닐방향족 단량체;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비닐시아나이드계 단량체;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비닐할로겐계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중량비는 70~90: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함량은 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굴패각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굴패각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굴패각 입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굴패각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코팅제 또는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료 조성물은 도료, 코팅제 또는 접착제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21중량%, 입경이 90㎛인 굴패각 입자 45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 탄산칼슘 5중량%,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5중량%, 하이드로퀴논 0.3중량%, 디클로로페놀 0.2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0.5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0.5중량% 및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 26중량%, 입경이 90㎛인 굴패각 입자 50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중량%, 탄산칼슘 5중량%,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5중량%, 하이드로퀴논 0.3중량%, 디클로로페놀 0.2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0.5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0.5중량% 및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 11중량%, 입경이 90㎛인 굴패각 입자 25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중량%, 탄산칼슘 5중량%,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5중량%, 하이드로퀴논 0.3중량%, 디클로로페놀 0.2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0.5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0.5중량% 및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3중량%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3중량%, 물 21중량%, 입경이 90㎛인 굴패각 입자 42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 탄산칼슘 5중량%,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5중량%, 하이드로퀴논 0.3중량%, 디클로로페놀 0.2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0.5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0.5중량% 및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3중량%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3중량%, 물 21중량%, 입경이 90㎛인 굴패각 입자 42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 탄산칼슘 5중량%,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5중량%, 하이드로퀴논 0.3중량%, 디클로로페놀 0.2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0.5중량%,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0.5중량% 및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 대신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8중량%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고무(SAN) 7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포력 및 은폐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료 조성물을 유리 기판에 도포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도포력 및 은폐력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내열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료 조성물을 유리 기판에 도포한 후, 형성된 도막을 80℃ 열탕기에 1시간 디핑하여 외관 및 부착성을 확인하여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도포력 탁월 우수 보통 탁월 탁월 탁월 불량
은폐력 우수 보통 우수 탁월 탁월 탁월 불량
내열성 우수 보통 보통 탁월 탁월 우수 불량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은 도료 조성물의 도포력, 은폐력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특히 실시예 1, 4 내지 6은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도포력, 은폐력 및 내열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저하되었다.

Claims (5)

  1. 물; 굴패각 입자; 바인더; 안료; 분산제;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물 10~30중량%, 굴패각 입자 25~65중량%, 바인더 20~50중량%, 안료 1~10중량%, 분산제 0.1~1중량% 및 상기 공중합체 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고분자 및 라텍스계 고분자를 동시에 사용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및 라텍스계 고분자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패각 입자의 입경은 10~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KR1020190005198A 2019-01-15 2019-01-15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KR10219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98A KR102197586B1 (ko) 2019-01-15 2019-01-15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98A KR102197586B1 (ko) 2019-01-15 2019-01-15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47A KR20200088647A (ko) 2020-07-23
KR102197586B1 true KR102197586B1 (ko) 2020-12-31

Family

ID=7189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98A KR102197586B1 (ko) 2019-01-15 2019-01-15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509B1 (ko) * 2021-02-25 2023-07-27 오케이엠텍(주) 조개류 패각을 활용한 기능성(항균성 및 방염성) 도료 조성물
KR102424921B1 (ko) * 2021-08-12 2022-07-22 김소중 콘크리트 구조물 외벽의 내자외선 성능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인 외벽 수성 페인트
KR102423651B1 (ko) * 2021-12-20 2022-07-22 주식회사 그린팩토리 도료용 필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KR102664871B1 (ko) * 2023-06-23 2024-05-14 윤순배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626A (ja) 2001-09-05 2003-03-12 Toshio Enami ホタテ貝殻の微粉末含有塗料組成物
KR100918085B1 (ko) * 2009-02-16 2009-09-22 (주)비온디 차열 및 단열 성능을 갖는 고기능성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용 단열 및 차열 구조체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019A (ko) 2000-05-06 2000-08-05 최재승 조가비 이용 도료(塗料)
KR101160806B1 (ko) * 2009-10-19 2012-07-02 이두호 굴 껍질 분말을 이용한 건축용 접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626A (ja) 2001-09-05 2003-03-12 Toshio Enami ホタテ貝殻の微粉末含有塗料組成物
KR100918085B1 (ko) * 2009-02-16 2009-09-22 (주)비온디 차열 및 단열 성능을 갖는 고기능성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용 단열 및 차열 구조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47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586B1 (ko) 굴패각을 이용한 도료 조성물
CN105505166B (zh) 一种高性能单组份水性白色附着底漆及其制备方法
CN100351326C (zh) 阻燃涂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693993A (zh) 一种光学耐磨硬化涂料组合物及其硬化膜的制备方法
CN101348611A (zh) 丙烯酸改性聚硅氧烷树脂及其涂料
CN106967357A (zh) 环保型水性可剥离涂料及制备
KR102560509B1 (ko) 조개류 패각을 활용한 기능성(항균성 및 방염성) 도료 조성물
CN107200921A (zh) 一种环保型pp封边条及其制备方法
WO2022111515A1 (zh) 一种装饰用氟碳粉末涂料及其制备工艺
KR102185993B1 (ko) 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산업자재용 조성물
KR102370531B1 (ko) 차열성능 및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건물 내외부용 수성 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04617A (zh) 一种防火涂料制备工艺
JP6600646B2 (ja) 無溶媒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ポリマーラテックス
CN104479508A (zh) 一种耐腐蚀阻燃油漆的制备方法
CN106957597B (zh) 一种uv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589306A (zh) 一种高渗透性uv底漆
CN103589325A (zh) 一种纳米隔热紫外光固化漆
KR102241079B1 (ko) 수성 단열 멀티도료의 제조방법
CN107915946A (zh) 一种抗静电高韧性abs复合材料
CN103421265B (zh) 透明pmma增韧剂
CN107189325A (zh) 一种abs激光封边条及其制备方法
CN108219650B (zh) 一种环保光扩散涂料及其制备方法
US10118864B2 (en) Decorative coating compositions
CN108300037A (zh) 一种水性可剥离涂料及其制备方法
KR20060027527A (ko) 올리고머/실리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난반사 코팅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