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065A - 전기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065A
KR20030074065A KR1020020050766A KR20020050766A KR20030074065A KR 20030074065 A KR20030074065 A KR 20030074065A KR 1020020050766 A KR1020020050766 A KR 1020020050766A KR 20020050766 A KR20020050766 A KR 20020050766A KR 20030074065 A KR20030074065 A KR 20030074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output
heated
display
he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290B1 (ko
Inventor
마츠모토시게치카
코이케토시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가열 출력을 이해하기 쉬운 표시를 얻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전기가열 조리기(1)는, 윗면(3)에 피 가열물(15)을 올려놓는 윗판(4)을 갖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피 가열물(15)을 가열하는 가열코일(14)과, 상기 가열코일(14)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코일(14)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16)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가열 조리기{ELECTRIC HEAT COOKER}
본 발명은 피 가열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 조리기, 특히 가열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가열코일을 사용하여 전기로 조리를 행할 수 있는 전기가열 조리기는, 불을 사용하지 않는 안전함과 피 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이 좋은 것 등으로 인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전기가열 조리기는 가열 출력을 표시하기 위해램프의 점등 등에 의한 표시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
도 15에 종래의 가열 조리기의 개요도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가열 조리기(100)는 키친(101)에 조립된 조립형의 것으로서, 본체 윗면(102)에는 윗판(10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윗판(103)에는 좌측 가열부분(104), 우측 가열부분(105), 중앙 가열부분(106)의 3개의 가열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본체 앞쪽 측면(107)에는 좌측에 로스터(108)를, 우측에 각 가열부분(104, 105, 106)이나 로스터(108)의 가열 출력 및 장치의 전원 관리 등의 여러가지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109)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가열부분(104, 105, 106) 각각에 대응한 가열 출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 111, 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부(110, 111, 112)는 복수의 LED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가열부분의 가열 출력에 응하여 좌로부터 차례로 점등하여 가고, 가열부분의 가열 출력이 최대인 때에 모든 LED가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기가열 조리기는, 불을 사용하지 않고서 가열 조리를 행하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출력으로 피 가열물이 가열되고 있는지를 감각적으로 잡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LED나 램프로 표시된 출력과 가열코일에 의한 실제의 가열 출력과의 관계를 감각적으로 잡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종래부터 존재하는 불을 사용한 화력가열에 의한 조리기에 익숙한 사람이 전기가열 조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화력에 의한 가열 출력과 가열코일에 의한 가열 출력을 결부시켜 감각적으로 이해하여 출력 조정할 수 있는 가열 출력 표시기구를 갖는 전기가열 조리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LED나 램프로 표시된 표시부(110, 111, 112)가 각 가열부분(104, 105, 106)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가열 출력을 조정하기 위해 피 가열물로부터 눈을 떼지 않으면 않되어, 조리물의 상태와 가열 출력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가열 출력의 조정을 행한다는 작업을 행하기가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가열 출력을 이해하기 쉬운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기가열 조리기는, 윗면에 피 가열물을 올려놓는 윗판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피 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코일과, 상기 가열코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는 상기 본체 윗면 부근에 마련되고, 또한 투영 표시하는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투영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가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남비 등의 조리구의 외면에 투영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가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상기 윗판에 투영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확대 투영수단은,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 표시하기 위해 촛점거리의 조정을 행하는 렌즈에 의해 구성된 광학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의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하는 방향이 가변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진입이 자유롭게 또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가 상기 본체 윗면에서의 전방측 테두리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상기 발신부에 의해 투영 표시되는 상기 가열코일의 출력 상황이 불꽃의 이미지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발신부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발신부에 의해 투영 표시되는 영상의 한 표시 예.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발신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도.
도 10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발신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가열 출력의 표시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발신부에 의해 투영 표시되는 몇가지 표시 예.
도 15는 종래의 가열 조리기의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가열 조리기 2 : 본체
3 : 윗면 4 : 윗판
14 : 가열코일 15 : 피 가열물
16 : 발신부 20 : 제어부
(실시 형태 1)
도 1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전기가열 조리기(1)는 본체(2)의 윗면(3)에 윗판(4)이 배치되어 있다. 윗판(4)상에는 피 가열물을 올려놓음으로써 가열코일에 의해 피 가열물을 가열할 수 있는 좌측 가열부분(5a), 우측 가열부분(5b), 중앙 가열부분(5c)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윗면(3)에는 윗판(4)의 외주에 따라 마련된 테두리체(6)를 가지며, 본체 윗면(3)의 솟쪽에 본체(2) 내부로 기류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구 해당 부분에는, 테두리체(6)의 일부를 구성하면서 흡기구로부터 본체(2) 내부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흡기 필터(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2) 앞쪽 측면(8)의 좌측에는 로스터(9)가 구비되어 있고, 측면(8)의 우측에는 각 가열부분(5a, 5b, 5c)의 가열 출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진입이 자유로운 손잡이(10)나 로스터(9)의 가열 출력의 조정 및 전기가열 조리기(1)의 전원, 조리시간을 설정하거나 계측하거나 하기 위한 타이머 등이 구비된 조작 패널(11)이 마련된 조작부(12)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가열부분(5a, 5b, 5c)의 앞측에는 가열코일의 출력 제어 상황을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를 위한 투영창(13a, 13b, 13c)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신부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부분(5a)의 윗판(4)의 아래쪽에는 가열코일(14a)이 구비되어 있어, 가열부분(5a) 위에 올려놓여진 피 가열물(15)을 가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투영창(13a) 아래쪽에는 발신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발신부(16a)는 케이스(17)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LED(18)와, 피 가열물(15) 표면에 알맞게 영상을 투영 표시하기 위해, 투영 표시하는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확대 표시하고, 또한 촛점거리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주로 렌즈로 이루어지는 광학계로 구성된 확대 투영수단(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가열부분(5a) 위에 올려놓여진 피 가열물(15)에 영상을 투영하는 발신부(16a)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가열부분(5b, 5c) 위에 올려놓여진 피 가열물(15)에 영상을 투영하는 발신부(16b, 16c)도 여기서 설명한 발신부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발신부(16a)에 의해 투영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부(12)에 있어서 가열 조리기(1)의 전원이 투입되고, 가열부분(5a)에 피 가열물(15)을 올려놓고, 가열코일(14a)을 동작 가능 상태(가열코일(14a)의 전원을 온)로 하면, 발신부(16a)는 불꽃을 이미지한 그린색 영상을 피 가열물(15) 표면에 투영한다.
그리고 손잡이(10)에 의해 가열코일(14a)의 출력을 상승시켜 가면, 상기 투영된 불꽃의 이미지의 색을 그린색으로부터 적색으로 좌로부터 차례로 변화시켜 가고, 출력을 최대로 하였을때 모든 불꽃의 이미지가 적색으로 표시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적색 불꽃의 수와, 가열코일에 의한 가열 출력은 비례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열코일에 의한 가열 출력에 비례한 영상을 피 가열물 표면에 투영함으로써, 화력가열에 의한 가열 이미지에 가까운 감각으로 가열 출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영되는 불꽃의 이미지가, 실제로 불을 사용한 이미지에 가깝게 하기 위해, 가열코일의 출력이 약(弱) 이상으로 되면(가열코일에 의해 가열중이면) 투영되는 이미지를 점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불을 사용한 이미지에 가깝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점멸 표시뿐만 아니라, 다른 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나, 투영하는 광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 확대 투영수단을 이용하여 불꽃이 흔들리고 있도록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점멸 표시, 다른색으로의 변화, 투영하는 광 강도의 변화 등의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라면, 단순히 피 가열물 표면에 광을 조사할 뿐이여도 좋고, 본 발명은 피 가열물 표면에 투영되는 것이 영상일 필요는 없고, 영상을 투영하는 경우라도, 그 영상은 불꽃을 이미지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확대 투영수단(19)을 동작시켜, 가열코일에 의한 가열 출력에 비례하여 불꽃 등의 투영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화시켜 가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화력가열에 의한 가열 이미지에 가까운 감각으로 가열 출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1)에서는, 조작부(12)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전기가열 조리기(1)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제어부(20)로 보내진다. 제어부(20)는 조작부(12)로부터 가열코일(14a, 14b, 14c)의 어느 하나라도 동작되는 것이 입력된 때에는, 그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동작 해당 가열코일(14)을 동작시키고, 동작 해당 가열부분의 피 가열물에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16)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확대 투영수단(19)을 구동하여 양호하게 피 가열물에의 가열 상황의 투영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열부분에 올려놓여지는 피 가열물인 남비 등은, 그 지름 등 여러가지 크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대 투영수단(19)에는 발신부(16)로부터 피 가열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계측하고, 촛점거리를 조정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이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토포커스 기능을 가짐으로서, 피 가열물의 크기의 제한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발신부를 가짐으로서 가열코일(14)의 가열 출력의 상황을 화력가열에 의한 가열 출력의 감각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출력의 조정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한 발신부가 본체 윗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기 쉬운 가열 출력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열 출력 상황이 피조리물 표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피 가열물로부터 눈을 떼지않고서, 조리물의 상태와 가열 출력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가열 출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에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전기가열 조리기(1)는, 투영부(16)가 발신 부재(21a, 21b, 21c)에 구비되어 있는 이외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신 부재(21a, 21b, 21c)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발신 부재(21)는, 내부에 LED(18) 및 확대 투영수단(19)으로 이루어지는 발신부(16)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고, 윗판(4)에 상지지부재(22)와 하지지부재(23)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신 부재(21)의 하부에 요철에 의한 기어(24)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이 기어(24)와 맞물리는 기어(25)를 구비한 전동기(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가 동작함에 의해 기어(25)가 회전함으로써, 발신 부재(21)가 상하로 동작하여 윗판(4)으로부터 진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발신 부재(21)의 진입에 의해 발신부(16)도 윗판(4)으로부터 진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의 제어 블록도를 도 7에 기재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1)에서는, 조작부(12)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전기가열 조리기(1)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제어부(20)로 보내어진다. 그리고 조작부(12)의 입력에 의해, 가열코일(14a, 14b, 14c)의 어느 하나라도 동작되는 것이 입력된 때에는, 제어부(20)는 그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가열부분의 피 가열물(15)에 가열 상황을 투영하기 위해, 상기 기어(25)를 갖는 전동기 등을 구동시키는 발신 부재 구동수단(26)에 구동하도록 지시를 내어, 발신부(16)에 의한 표시를 가능상태로 한다. 그리고 동작 해당 가열코일(14)을 동작시키고, 동작 해당 가열부분의 피 가열물에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16)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확대 투영수단(19)을 구동하여 양호하게 피 가열물의 가열 상황을 투영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의 효과에 더하여, 발신 부재(21)가 윗판(4)으로부터 진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필요가 없을 때는 발신 부재(21)를 수납해 둠으로서 윗판(4)의 평활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청소 등을 하기 쉽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 3)
도 8에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도를 도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1)는 실시 형태 2와 개략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실시 형태 2와 다른 점은, 투영부(16)를 구비하는 발신 부재(21a, 21b)가 본체(2) 윗면의 테두리체(6)에 진입이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에서 기술한 효과에 더하여, 테두리체(6)에 발신 부재(21a, 21b)가 마련됨으로써, 주로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윗판(4)에 발신 부재(21) 등을 부착하기 위한 가공 등을 시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윗판(4)의 평활성이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어 청소하기 쉬우며 외관의 양호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에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도를 기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1)는 실시 형태 3과 개략 같은 구성을 갖고 있지만, 투영부(16)를 구비하는 발신 부재(21a, 21b)의 구성이 다르다.
도 10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신 부재(21a, 21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신 부재(21)는 내부에 LED(18) 및 확대 투영수단(19)으로 이루어지는 발신부(16)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고, 윗판(4)에 상지지부재(22)와 하지지부재(23)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발신 부재(21)의 하부 측면에 요철에 의한 기어(24)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이 기어(24)와 맞물리는 기어(25)를 구비한 전동기(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가 동작함에 의해 기어(25)가 회전함으로써, 발신 부재(21)가 상하로 동작하여 윗판(4)으로부터 진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신 부재(21) 내부에 투영각도 가변수단(27)이 구비되어 있고, 발신부(16)로부터 투영되는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시키는 부위를 피 가열물(15) 표면인지, 윗판(4) 위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윗판(4)에 투영 표시하는 때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윗판(4) 위에 윗판 투영부(2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윗판 투영부(28)에서는, 양호하게 발신부(16)로부터 투영된 가열 출력 상황을 보기 쉽게 표시하기 위해, 윗판 투영부(28)의 윗판(4) 하면에 형광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윗판 투영부(28)를 이용하면 발신부(16)로부터 투영되는 가열 출력 상황을 양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가열 출력 상황을 피 가열물(15) 표면에 표시할 것인지, 또는 윗판(4) 위에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3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응하여 사용하는 것이나, 피 가열물(15)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 등으로 보기 쉬운 쪽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법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투영각도 가변수단(27)으로서는 거울이나 광화이버 등, 투영 방향을 가변하기 위한 여러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1에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개요 구성도를 기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부(16)를 갖는 발신 부재(21)가 본체 앞측 테두리체(6)에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발신 부재는 평판형상이고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되고 진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 이외는 실시 형태 4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신 부재(21)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 가열물(15a 및 15b)의 양자 또는 15a나 15b의 어느 한쪽에 가열 출력 상황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발신 부재(21)가 직립하여, 내부에 구비된 발신부(16)에 의해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윗판(4)상에 가열 출력 상황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발신 부재(21)의 일어서는 각도가 조정되어, 윗판 투영부(28a 및 28b)에 표시를 행하는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코일에 의한 가열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 부재(21)가 쓰러져 수납되어, 윗판(4)의 표면의 평면과 개략 균일한 평면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실시 형태 4에서 기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6)
도 12에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가열 출력의 표시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를 도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부(16)에 의해 피 가열물(15)의 바닥부 부근에 광을 조사하는 것 이외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열코일(14)이 동작되면, 가열 출력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피 가열물(15)의 바닥부 부근에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가열 출력의 증감에 비례하여 조사하는 광의 강도가 증감된다. 또한 발신부(16)에 의해 조사되는 광은 가열코일(14) 동작중에 점멸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가열코일(14)의 가열 출력이 약한 때에는 피 가열물(15) 바닥부에 강도가 약한 광이 조사되고, 가열코일(14)의 가열 출력이 강하게 됨에 따라 피 가열물(15) 바닥부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가 증가하여 가기 때문에, 불을 강하게 하여 갔을 때에 피 가열물의 바닥부가 밝게 되어 가는것과 같이 보이기 때문에, 보다 감각적으로 가열 출력을 이해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7)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가열 조리기(1)는, 개략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실시 형태 1과 다른 점은, 도 1에 도시한 본체(2)의 윗면(3)에 구비된 윗판(4)이, 조작부(12)가 마련된 전방측에서의 가열부분(5a, 5b)과 테두리체(6) 사이의 부분에서 윗쪽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3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전기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윗판(4)은 가열부분(5)과 테두리체(6) 사이의 부분에서 윗쪽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윗쪽으로 굴곡된 부분에 투영창(13)이 마련되어 있고, 윗판(4)의 윗쪽으로 굴곡된 굴곡부분과 테두리체(6)에 의해 형성된 공극부에 발신부(16)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발신부(16)를 형성하는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피 가열물(15)에 대하여 개략 수직하게 가열코일(14)의 출력 상황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양호한 투영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가열 조리기는 여러가지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화력출력을 표시하는 부재가 발신부만인 예를 들어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만에 한정되는 것이아니라,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램프나 LED의 점등에 의한 가열 출력의 표시와 발신부의 투영에 의한 표시를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램프이나 LED의 점등에 의한 가열 출력의 표시와 함께 이용하면, 보다 가열 출력 상황을 이해하기 쉽고 사용법이 좋은 전기조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출력 상황을 보다 양호하게 표시하기 위해, 발신부를 마련하는 위치로서는, 피 가열물보다 본체 앞측, 즉 본체 전방측의 윗면인 것이 알맞다. 이러한 위치에 발신부를 마련하면, 사용자에 대하여 보기 쉬운 위치에 가열 출력 표시를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발신부의 가열코일의 출력 상황을 표시한 표시 예를 몇가지 도시한다.
도 14에 발신부에 의해 투영 표시되는 몇가지 표시 예를 기재한다.
도 14의 (a)에 도시한 표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불을 사용한 이미지에 가깝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에 비례하여 투영하는 광의 강도를 강하게 하여 가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방법이라면, 화력가열에 의한 화력을 올렸을 때에, 불꽃이 커져 피 가열물을 가열하는 불꽃의 밝기가 증가하는 감각에 가깝기 때문에, 보다 화력가열에 의한 가열 이미지에 가까운 감각으로 가열 출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한 표시 예에 있어서는,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에 비례하여 투영하는 불꽃의 이미지를 크게하여 가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방법이라면, 화력가열에 의한 화력을 올렸을 때에, 불꽃이 커지는 감각에 가깝기 때문에, 보다 화력가열에 의한 가열 이미지에 가까운 감각으로 가열 출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부에 의해 투영 표시되는 가열코일의 출력 상황이 불꽃의 이미지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면, 전기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을 화력에 의한 가열 출력의 감각에 보다 가깝게 되어 가열코일의 출력을 감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8에서는 확대 투영수단으로서 렌즈에 의해 구성된 광학계인 형태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1장 이상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계 이외에도 오목거울이나 볼록거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오목거울이나 볼록거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성되는 광학계를 간이화 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불꽃이 흔들리고 있도록 표시하는 경우에서는, 렌즈계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확대율을 주기적으로 바꿔가는 것이나, 전술한 오목거울이나 볼록거울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이들 오목거울이나 볼록거울을 요동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방법이라도 전기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을 화력에 의한 가열 출력의 감각에 보다 가깝게 되어 가열코일의 출력을 감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신부에서 투영되는 이미지는 여러가지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투영 이미지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기가열 조리기도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가 마련됨으로써, 가열 출력 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신부가 본체 윗면 부근에 마련되고, 또한 투영 표시하는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투영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가열 출력 상황을 양호하게 보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확대 투영수단이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 표시하기 위해 촛점거리의 조정을 행하는 렌즈에 의해 구성된 광학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면, 여러가지 크기의 피 가열물에 가열 출력 상황을 양호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윗면에 피 가열물을 올려놓는 윗판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피 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코일과, 상기 가열코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투영 표시하는 발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가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 출력 상황을 상기 윗판에 투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 조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진입이 자유로우며 또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 조리기.
KR10-2002-0050766A 2002-03-14 2002-08-27 전기가열 조리기 KR100487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9779A JP3757358B2 (ja) 2002-03-14 2002-03-14 電気加熱調理器
JPJP-P-2002-00069779 2002-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65A true KR20030074065A (ko) 2003-09-19
KR100487290B1 KR100487290B1 (ko) 2005-05-03

Family

ID=2803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766A KR100487290B1 (ko) 2002-03-14 2002-08-27 전기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57358B2 (ko)
KR (1) KR100487290B1 (ko)
CN (1) CN1213249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425A (ko) * 2013-11-26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20150137837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WO2018093234A1 (ko) * 2016-11-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KR20180057479A (ko) * 2016-11-21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US10805989B2 (en) 2014-05-30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4284A (ja) * 2005-04-06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加熱調理器
JP2008004387A (ja) * 2006-06-22 2008-01-10 Rb Controls Co コンロ装置
JP4526552B2 (ja) * 2007-06-08 2010-08-18 アール・ビー・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コンロ装置
EP2363055A1 (en) 2010-03-01 2011-09-0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Projector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uch a projector
JP5660935B2 (ja) * 2011-03-09 2015-01-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透過ホログラム書込みユニット
KR102270491B1 (ko) 2014-05-30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기
WO2017076469A1 (en) * 2015-11-06 2017-05-11 Arcelik Anonim Sirketi Induction cooker with improved usability
DE102016112640A1 (de) 2016-07-11 2018-01-11 Miele & Cie.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nterstützen eines energiesparenden Betriebs eines Bodenpflegegeräts und Bodenpflegegerät
US11212882B2 (en) 2016-10-07 2021-12-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resentation of a cooking situation based on emotion of a user
EP3396453A1 (de) * 2017-04-28 2018-10-31 E.G.O. ELEKTRO-GERÄTEBAU GmbH Kochfeld, verfahren zur positionserfassung eines kochgefässes auf einem solchen kochfeld und verfahren zur projektion von licht
JP7236644B2 (ja) * 2019-10-01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991U (ja) * 1982-09-10 1984-03-17 株式会社東芝 電磁調理器
JPH05332559A (ja) * 1992-06-03 1993-12-14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3405317B2 (ja) * 2000-04-13 200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01326064A (ja) * 2000-05-17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3405318B2 (ja) * 2000-04-13 200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3405298B2 (ja) * 1999-12-02 200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3769462B2 (ja) * 2000-12-08 2006-04-26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425A (ko) * 2013-11-26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20150137837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US10805989B2 (en) 2014-05-30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US10887950B2 (en) 2014-05-30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US11324080B2 (en) 2014-05-30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WO2018093234A1 (ko) * 2016-11-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KR20180057479A (ko) * 2016-11-21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US11638332B2 (en) 2016-11-21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oking inform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290B1 (ko) 2005-05-03
CN1445481A (zh) 2003-10-01
JP3757358B2 (ja) 2006-03-22
JP2003272815A (ja) 2003-09-26
CN1213249C (zh)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290B1 (ko) 전기가열 조리기
JP6622296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
JP6808614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
KR102305835B1 (ko)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CN109792802B (zh) 带支撑托盘的可变峰值波长烹饪器具
JP3845006B2 (ja) 加熱調理器
CN217185712U (zh) 烹饪设备
JP2005322511A (ja) 加熱調理器
JP4654735B2 (ja) 誘導加熱装置
CN109983840B (zh) 感应加热烹饪设备以及显示其烹饪信息的方法
JP2004103286A (ja) 電磁調理器
JP200404728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044137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973852A (zh) 一种智能补光台灯及其控制方法
JPH0654174B2 (ja) 電子レンジ
JP6937917B2 (ja) 加熱調理器
JP7170827B2 (ja) 炊飯器
JP2004039375A (ja) 加熱調理器
JP7099409B2 (ja) 加熱調理器
JP2020176772A (ja) ダイヤ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101052137B1 (ko) 조리기기
JP562727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3061101A (ja) 電気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