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046A -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046A
KR20030074046A KR1020020028271A KR20020028271A KR20030074046A KR 20030074046 A KR20030074046 A KR 20030074046A KR 1020020028271 A KR1020020028271 A KR 1020020028271A KR 20020028271 A KR20020028271 A KR 20020028271A KR 20030074046 A KR20030074046 A KR 20030074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rt
unit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영
Original Assignee
(주)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02002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4046A/ko
Publication of KR2003007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0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의 자동조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트의 범퍼하부에 소정의 위치로 설치되어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최적의 출력신호가 되도록 조정한 센서감도제어부와, 상기 센서감도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제어정보자료가 기 설정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부와, 상기 중앙제어장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 구동부를 직접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노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카트의 범퍼하단부에 설치되어지는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따라 카트의 주행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Automatic steering system of Cart}
본 발명은 카트(Car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선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을 센서로 감지하여 주행 중인 카트의 주행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카트의 자동조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골프장내에서 미리 설정되어 포장되어진 노면상 위를 주행하는 소형의 차량이다.
현재, 사용 중인 카트의 조향장치는 조향핸들, 조향축, 조향기어 및 로드나 링크 등으로 되어 있다.
조향핸들은 허브 스포크(spoke) 및 림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림과 스포크는 철심 또는 경합금의 강도 부재가 들어 있고, 림의 지름은 통상적으로 440~550mm 정도이다. 바깥쪽은 합성수지 또는 경질고무로 성형되어 있다.
조향축의 설치는 보통 테이프 축을 사용하고 키 또는 볼트로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골프장에서 사용되어지는 카트의 조향장치는 기계적인 구조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내에서 주행하는 카트가 주행하는 노면에 설치되어진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카트의 범퍼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센서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에 따라 카트의 주행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카트의 자동조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자동조향시스템의 회로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센서부 10-1: 좌측부센서 10-2: 중앙부센서
10-3: 우측부센서 20: 센서감도제어부 20-1: 센서드라이브부
20-2: 센서감도조절부 20-3: 센서이득필터부 20-4: 센서이득제어부
20-5: 버퍼부 30: 중앙제어장치부
30-1: ROM(Read Only Memory) 30-2: RAM(Random Access Memory)
30-3: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30-5: 디지털입력출력부 40: 구동제어장치부
40-1: 디지털버퍼부 40-2: 절연부
40-3: 드라이브보호부 40-4: 모터드라이브부
50: 조향구동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카트의 범퍼하부에 소정의 위치로 설치되어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최적의 출력신호가 되도록 조정한 센서감도제어부와, 상기 센서감도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제어정보자료가 기 설정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부와, 상기 중앙제어장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 구동부를 직접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의 자동조향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자동조향시스템의 회로블록도이다.
센서부(10)는 카트의 범퍼 하단부 좌측부분에 좌측부센서(10-1)가 설치되어 있고, 범퍼의 하단부 중앙에 중앙부센서(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 범퍼의 하단부 우측으로 우측부센서(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카트가 주행하는 노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센서감도제어부(20)는 상기 센서부(10)의 각각의 센서(10-1, 10-2, 10-3)로부터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센서드라이브부(20-1)와 상기 센서드라이브부(20-1)로 입력되는 센서의 감지신호의 감도량을 최적의 조건으로 조정하는 센서감도조절부(20-2)와, 상기 센서드라이브부(20-1)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합성되어 있는 노이즈 및 특정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센서이득필터부(20-3)와, 상기 센서이득필터부(20-3)에서 노이즈 및 특정주파수 성분이 제거된 신호의 감도 부족현상을보정하는 센서이득제어부(20-4)와, 상기 센서이득제어부(20-4)에서 보정된 신호를 증폭하여 보강하는 버퍼부(20-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제어장치부(30)는 상기 센서감도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미리 설정되어진 제어정보자료를 상호 비교하여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된 것으로서, 동작제어와 구동제어 및 입력과 출력에 곤한 전반적인 시스템제어에 필요한 시스템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잇는 ROM(Read Only Memory)(30-1)과, 시스템 제어프로그램 작동 시에 제어정보 자료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RAM(Random Access Memory)(30-2)과, 상기 센서감도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형태의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0-4)와, 디지털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디지털입력출력부(30-5)와,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3)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제어장치부(40)는 중앙제어장치부(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구동부(50)를 직접 구동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부(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감소를 증폭하는 디지털버퍼부(40-1)와, 디지털과 아날로그 구동드라이브간의 신호레벨을 절연하는 절연부(40-2)와, 조향구동부(50)의 모터를 직접구동하게 하는 모터드라이브부(40-4)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드라이브를 보호 또는 차단하는 드라이브보호부(40-3)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작동조향시스템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카트의 버퍼하단부분의 좌측부와 우측부 및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좌측부센서(10-1)와 우측부센서(10-3) 및 중앙부센서(10-2)로 된 센서부(10)의 각각의 센서(10-1, 10-2, 10-3)가 노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진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0)의 각각의 좌측부센서(10-1)와 중앙부센서(10-2) 및 우측부센서(10-3)로부터 감지되어진 신호는 센서감도제어부(20)의 센서드라이브(20-1)로 입력된다.
상기 센서드라이브부(20-1)로 입력되는 감지신호는 센서이득필터부(20-3)를 통하여 특정 주파수 또는 노이즈성분이 필터링 되고, 상기 센서이득필터부(20-3)에서 필터링 되어진 감지신호는 센서이득제어부(20-4)에서 감소된 만큼의 신호를 보정 받아서 상기 센서부(10)의 각각의 센서(10-1, 10-2, 10-3)가 최적의 출력신호로 조정되며, 사기 센서이득제어부(20-4)에서 보정된 감지신호는 버퍼부(20-5)를 통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중앙제어장치부(30)의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0-4)로 전송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0-4)로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감지신호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진 감지신호는 중앙제어장치부(30-3)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장치부(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3)는 RAM(30-2)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제어정보자료를 읽어 드리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3)는 RAM(30-2)으로부터 읽어드린 제어정보 자료와 상기 센서감도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센서부(10)의 좌측부센서(10-1)와 중앙부센서(10-2) 및우측부센서(10-3)의 센서 감도량을 최적의 조건이 되도록 센서감도제어부(20)의 센서감도조절부(20-2)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부(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3)는 ROM(30-1)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제어와 구동제어 및 입출력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제어프로그램을 읽어드림과 동시에 RAM(30-2)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자료를 읽어드리며 한편 센서감도제어부(2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상호 연산 처리하여 그 결과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디지털입력출력부(30-5)를 통하여 구동제어장치부(40)의 디지털버퍼부(40-1)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구동제어장치부(40)의 디지털버퍼부(40-1)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디지털버퍼부(40-1)를 통하여 감소되어진 만큼의 신호를 증폭 받게 되고, 상기 소정의 크기로 증폭되어진 제어신호는 절연부(40-2)를 통하여 모터드라이브(40-4)로 입력되며,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모터드라이브부(40-4)는 조향구동부(50)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를 직접구동하게 조향구동부(5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조향구동부(50)의 모터가 구동되는 것이다.
구동제어장치부(40)의 드라이브보호부(40-3)는 모터드라이브부(40-4)의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모터드라이브부(40-4)를 부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카트의 범퍼하단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로 감지하여 그 감지되어진 신호에 따라 카트의 주행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카트에 있어서,
    카트의 범퍼하부에 소정의 위치로 설치되어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최적의 출력신호가 되도록 조정한 센서감도제어부와, 상기 센서감도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제어정보자료가 기 설정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부와, 상기 중앙제어장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 구동부를 직접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의 자동조향시스템
KR1020020028271A 2002-05-21 2002-05-21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KR20030074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271A KR20030074046A (ko) 2002-05-21 2002-05-21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271A KR20030074046A (ko) 2002-05-21 2002-05-21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594 Division 2002-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46A true KR20030074046A (ko) 2003-09-19

Family

ID=3222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271A KR20030074046A (ko) 2002-05-21 2002-05-21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40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00A (ko) 2014-08-18 2016-02-26 조용환 귓속 위생관리용 한지 쑥뜸봉의 제조방법 및 귓속 위생관리용 한지 쑥뜸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3511A (ja) * 1986-05-09 1987-11-16 Daifuku Co Ltd 磁気誘導式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H05119831A (ja) * 1991-10-30 1993-05-18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式ゴルフカート
JPH09128048A (ja) * 1995-10-31 1997-05-16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式ゴルフカート
JP2001014029A (ja) * 1999-06-29 2001-01-1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走行自動式ゴルフカートの磁気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3511A (ja) * 1986-05-09 1987-11-16 Daifuku Co Ltd 磁気誘導式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H05119831A (ja) * 1991-10-30 1993-05-18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式ゴルフカート
JPH09128048A (ja) * 1995-10-31 1997-05-16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式ゴルフカート
JP2001014029A (ja) * 1999-06-29 2001-01-1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走行自動式ゴルフカートの磁気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00A (ko) 2014-08-18 2016-02-26 조용환 귓속 위생관리용 한지 쑥뜸봉의 제조방법 및 귓속 위생관리용 한지 쑥뜸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85186A3 (en) Vehicle with a distributed motor
US5238079A (en)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US11247648B2 (en) Tire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use with a vehicle on board stability control system
AU659295B2 (en) Method of detecting a deflated tyre on a vehicle
MX9705515A (es) Sistema y metodo de control de traccion de vehiculo electrico.
JPH1067216A (ja) スタビライザーバーのダンピング制御装置
KR20030074046A (ko) 카트의 자동 조향시스템
JP4375429B2 (ja) 車輪位置検出装置におけるトリガ機搭載構造
US6094979A (en) Flat tire sensor
SE534417C2 (sv) System och förfarande för reglering av chassihöjden hos ett dragfordon
KR100204770B1 (ko) 자동차의 조향 이상 감지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EP1065135A3 (en) Vehicle power steering system with digital angle sensing device
JPH07206399A (ja) オーダーピッキングトラックの操舵装置
JP2830722B2 (ja) 無人走行車
EP0864473A3 (de) Abstützeinrichtung für Schienenfahrzeuge
KR920008708B1 (ko) 포크리프트(Forklift)의 자동조향 제어기
KR20020055817A (ko) 차량의 롤링 제어 시스템
KR19980062227A (ko) 자동차의 속도 감응형 타이어 공기압 조절장치
JPS63208784A (ja) コ−ナソナ−表示方法
KR20120003198A (ko) 회전반경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01224A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위치 결정방법
KR20030050631A (ko) 전동 조향 장치
KR100444453B1 (ko) 차량의 전자현가장치
KR20000015109U (ko) 속도/전류추종전환형 주행제어장치
JPH1114655A (ja) センサ信号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