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515A - 소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515A
KR20030071515A KR10-2003-0011861A KR20030011861A KR20030071515A KR 20030071515 A KR20030071515 A KR 20030071515A KR 20030011861 A KR20030011861 A KR 20030011861A KR 20030071515 A KR20030071515 A KR 2003007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urinal device
urinal
fluid communication
pip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케닐슨
Original Assignee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filed Critical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Publication of KR2003007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 부분(1)과, 작동수단, 및 진공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진공 적용용 소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선형 장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쉘 부분은 실질적으로 단일의 본체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작동수단은 파이프 시스템과 유체소통되는 진공조작된 배출밸브와 레벨 센서수단을 구비한다. 쉘 부분(1)은 쉘 부분 내에서 작동수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소변기 장치{ARRANGEMENT FOR A URINAL}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진공 적용을 위한 소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기술로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진 쉘과 소변기 쉘을 지지하는 벽의 뒤쪽에 다수의 작동 부품을 가지는 복잡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동수단으로서 소변기 쉘 이외에 별도의 박스나 덮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였다. 또한, 공지의 소변기장치에는 소변기 쉘 내에 수 트랩(water trap)이 구비되어 있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공지의 소변기 장치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그러한 소변기의 조립과 설치는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들고, 따라서 유지보수나 그에 해당하는 수단이 너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을 피하고 안정한 기능을 제공하는 유선형의 소변기 조립체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소변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은, 일련의 작동수단이 실질적으로 단일의 소변기의 쉘(shell) 부분 내에 포함되고 지지될 수 있으며, 보울(bowl) 부분과 이 보울 부분에 배출개구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작동수단은 레벨 센서수단과 파이프 시스템과유체소통되는 진공작동된 배출밸브수단을 구비하는 소변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변기는 벽에 장착·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변기는 기본적으로, 파이프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진공하수 배출연결과 전원연결만을 필요로 한다.
배출개구는 레벨 센서수단을 구비한 센서실(sensor chamber)과 유체소통되게 배치됨으로써, 센서실은 진공작동된 배출밸브수단과 유체소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기장치의 유용한 실시예는 쉘 부분 내에 지지된 헹굼수 수단(rinse water means)을 더욱 구비한다.
작동수단은 쉘 부분에 고정가능한 뒷판(back plate)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진공작동된 배출밸브수단은 제 1 진공공급 밸브수단을 통하여 파이프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진공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유리하다.
진공발생수단과 진공하수배관에 의해 파이프 시스템에 진공이 제공된다.
소변기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활성화수단을 구비한 제어 유니트에 작동수단이 연결된다.
도 1은 소변기 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련의 작동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련의 작동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소변기 장치의 일반적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쉘 부분 2 : 뒤 판
3 : 작동수단 11 : 보울 부분
12 : 배출개구 31 : 센서실
32 : 레벨 센서 33 : 진공조작된 배출밸브
34 : 파이프 시스템 35 : 제 1 진공공급밸브
36 : 흡입라인 37 : 밸브라인
38 : 헹굼수 수단 39 : 헹굼수 공급라인
40 : 제 2 진공공급밸브
90 : 진공하수배관
이하,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유일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공 적용을 위한 소변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작동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소변기의 쉘 부분은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실질적으로 단일의 본체, 예컨대 세라믹이나 철로 제조된 쉘 부분(1)은 종래의 방식으로 벽 등(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작동 수단(3)은 뒷판(2)에 장착되고, 뒷판은 나사(5) 등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쉘 부분의 뒤쪽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작동수단(3)은 쉘 부분(1)과 뒷판(2)에 의해 형성된 바깥쪽 경계(outer boundary) 내에 포함된다. 쉘 부분은 대략 보울 부분(11)의 바닥에 배출개구(12)를 가지는 소변기 보울 부분(11)을 구비한다. 물론, 뒷판은 쉘 부분과 동일한 벽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수단(3)은 센서실(31)과, 센서실을 통하여 세정작동(flush operation)을 모니터링하는 레벨 센서(32)와, 진공작동된 배출밸브(33)와, 파이프시스템(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파이프 시스템은 소변기의 위치에서 배출접속(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진공하수배관(90)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도 4 참조).
작동수단(3)은, 파이프 시스템(34)에 연결되는 흡입 라인(36)을 통하여 파이프시스템(34)에, 밸브 라인(37)을 통하여 진공조작된 배출밸브(33)에 각각 유체소통되는 제 1 진공공급밸브(35)를 더욱 구비한다. 간헐적으로 조작된 진공발생수단 (100)(도 4 참조)에 의해 파이프 시스템(34)에 부분적 진공이 생성된다. 이 부분적인 진공은 상기 제 1 진공공급밸브(35)와 흡입 라인 및 밸브라인(36, 37)을 경유하여 진공조작된 배출밸브(33)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나타낸 작동수단(3)의 제 2 실시예는 도 2와 관련하여 개시된 것에 상응하고, 헹굼수 공급라인(39)을 구비한 헹굼수 수단(38)을 더욱 구비한다. 헹굼수 수단(38)은 세정 시퀀스 동안에 소변기 보울 부분(11)에 헹굼수를 제공한다. 헹굼수 수단(38)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진공공급밸브(40)를 경유하여 진공에 의해 작동되고, 이 제 2 진공공급밸브에 진공발생수단(100)으로부터 진공라인(41)을 통하여 제어진공(control vacuum)이 마련된다.
이하, 소변기 장치의 작동을 주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소변기를 사용하고 일회용 쓰레기가 소변기 보울 부분(11)에 수용될 때, 활성화 수단, 예컨대 세정 버튼(6)이 세정 시퀀스를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제어 유니트(7)를 통하여 진공발생수단(100), 예를 들면 이젝터 수단(ejector means)에 신호가 보내어 진다. 이는, 진공하수배관(90)에, 선택적으로는 보유탱크(91)와 파이프 시스템(34)을 포함하여 진공하수배관에, 예컨대 약 18 k㎩ 내지 약 35 k㎩의 주어진 부분적 진공을 생성하는 간헐적으로 조작된 진공발생수단(100)을 활성화시킨다. 부분적 진공레벨은 제어 유니트(7)에 연결된 진공 스위치(71)에 의해 제어된다. 진공발생수단(100)의 작동은 원하는 진공레벨에 도달한 후 차단된다. 참조번호 8은 제어 유니트(7)에 대한 전원연결을 나타낸다.
주어진 진공레벨에 도달하면, 제어 유니트(7)는 진공라인(41)에 의해 진공발생수단(100)에 연결된 제 2 진공공급밸브(40)를 통하여 헹굼수 수단(38)을 활성화하고, 이에 따라 소변기 보울 부분(11)은, 예컨대 주어진 헹굼수 양만큼, 예를 들면 약 0.2 내지 0.3 리터만큼 세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 유니트(7)는 제 1 진공공급밸브(35)를 활성화하여 부분적 진공은 파이프 시스템(34)으로부터 흡입 라인(36), 상기 제 1 진공공급밸브(35) 및 밸브 라인(37)을 통하여 진공조작된 배출밸브(36)를 향하게 된다. 이로써 배출밸브(33)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일회용 쓰레기는 소변기 보울 부분(11)으로부터 배출 개구(12)를 통하여, 이어서 센서실 (31)과 배출밸브(33)를 통하여 파이프 시스템(34)으로 배출되고, 이는 진공하수배관(90)과 보유탱크(91)로 이어진다.
세정 시퀀스가 실행된 후에, 시간제어를 구비한 제어 유니트(7)는 배출 밸브(33)를 폐쇄하기 위하여 제 1 진공공급밸브(35)를 통하여 부분적 진공연결을 폐쇄한다.
선택적으로는, 세정 시퀀스는 센서실(31)을 구비한 레벨 센서수단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레벨 센서수단은 주어진 일회용 쓰레기의 양, 예컨대 소변기 보울 부분(11)과 배출개구(12)에 모인 약 0.15 내지 0.20 리터의 유체에 대응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센서수단(32)은 제어 유니트(7)에 연결되어 있고, 세정 시퀀스를 개시하는 상술한 세정 버튼(6)과 상응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조립과 설치에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들지 않으며, 따라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정한 기능을 제공하는 유선형의 소변기 조립체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을 명백히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보다 자세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쉘 부분(1)과, 작동수단(3)과 진공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진공적용용 소변기장치에 있어서,
    쉘 부분(1)은 실질적으로 단일의 본체를 구비하며,
    작동수단(3)은, 파이프 시스템(34)과 유체소통되는 진공조작된 배출밸브수단 (33)과, 레벨센서수단(32)을 구비하며,
    쉘 부분(1)은 쉘 부분 내에 작동수단(3)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쉘 부분(1)은 배출개구(12)를 가지는 보울 부분(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배출개구(12)는 레벨센서수단(32)를 구비한 센서실(31)과 유체소통되며, 센서실(31)은 진공조작된 배출밸브(33)와 유체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수단(3)은, 쉘 부분(1) 내에 지지된 헹굼수 수단(38)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작동수단(3)은 뒷판(2)에 장착되고, 뒷판은 쉘 부분(1)의 뒤쪽(4)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조작된 배출밸브수단(32)은 제 1 진공공급밸브수단 (35)을 통하여 파이프 시스템(34)과 유체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파이프 시스템(34)과 제 1 진공공급밸브수단(35) 사이의 흡입라인(36)을 통하여, 또한 제 1 진공공급밸브수단(35)과 진공조작된 배출밸브수단(33) 사이의 밸브라인(37)을 통하여 유체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파이프 시스템(34)은 진공하수배관(90)을 통하여 진공발생수단(100)과 유체소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진공하수배관(90)은 보유탱크(9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헹굼수 수단(38)은 진공조작되는 것과, 헹굼수 수단(38)은 제 2 진공공급밸브수단(40)과 진공라인(41)을 경유하여 진공발생수단(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활성화수단(6)을 구비한 제어 유니트(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장치.
KR10-2003-0011861A 2002-02-28 2003-02-26 소변기 장치 KR20030071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20392 2002-02-28
FI20020392A FI111978B (fi) 2002-02-28 2002-02-28 Urinaalijärjeste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15A true KR20030071515A (ko) 2003-09-03

Family

ID=856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861A KR20030071515A (ko) 2002-02-28 2003-02-26 소변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167561A1 (ko)
EP (1) EP1340861A1 (ko)
JP (1) JP2003268833A (ko)
KR (1) KR20030071515A (ko)
CN (1) CN1441131A (ko)
CA (1) CA2417812A1 (ko)
FI (1) FI111978B (ko)
TW (1) TW2003033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08188B (zh) 2001-08-30 2012-09-05 Toto株式会社 便器洗净装置
DE202005001083U1 (de) * 2005-01-24 2005-03-31 Kotte Gmbh & Co Kg Wandmontiertes Urinal mit eingebauter Spülvorrichtung
US8397318B2 (en) * 2006-04-05 2013-03-19 Airbus Operations Gmbh Flushing system for a vacuum toilet
DE102007004831B4 (de) 2007-01-31 2011-06-09 Airbus Operations Gmbh System zum Spülen einer Vakuumtoilette in einem Luftfahrzeug
DE102007034499A1 (de) * 2007-07-25 2009-01-29 Aoa Apparatebau Gauting Gmbh Abwasser-Kontrollmodul mit einem Zwischenspeicher
DE102007061255A1 (de) * 2007-12-19 2009-07-02 Airbus Deutschland Gmbh System zum Spülen einer Vakuumtoilette
BE1021316B1 (fr) * 2011-02-23 2015-10-29 Luc Michel Urinoir ou cuvette avec un systeme d'aspiration d'odeurs
WO2013025888A1 (en) 2011-08-16 2013-02-21 Flow Control Llc. Toilet with ball valve mechanism and secondary aerobic chamber
EP2933390B1 (de) * 2014-04-16 2017-01-11 Geberit International AG Spül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513A (en) * 1983-06-02 1985-06-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utomatic vacuum urinal flush mechanism
DE3712777A1 (de) * 1987-04-15 1988-11-03 Niethammer Gmbh Urinal
US5326069A (en) * 1992-10-28 1994-07-05 Burton Mechanical Contractors, Inc. Vacuum toilet system and discharge valve thereof
US20010034902A1 (en) * 1992-04-02 2001-11-01 Tyler Steven J. Vacuum flush waste disposal system for railcars
FI99156C (fi) * 1993-04-19 1997-10-10 Evac Ab Sähköohjauslaite
JPH09256448A (ja) * 1996-03-25 1997-09-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男子小用の自動洗浄装置
FI100547B (fi) * 1996-07-09 1997-12-31 Evac Int Oy Alipaineklosetti
DE29616003U1 (de) * 1996-09-13 1997-02-13 Roediger Anlagenbau Anordnung zum Absaugen von Flüssigkeit
FI105120B (fi) * 1998-12-23 2000-06-15 Evac Int Oy Jätteen kuljetusjärjestelmä
US20020112281A1 (en) * 1999-06-24 2002-08-22 Wolfgang Erdmann Toilet system with reduced or eliminated flushing requirement, especially for transportation vehicles
DE29916029U1 (de) * 1999-07-14 2000-01-05 Steinel Gmbh & Co Kg Steuervorrichtung für ein Urinal
EP1091053A1 (de) * 1999-10-05 2001-04-11 ROEDIGER VAKUUM- und HAUSTECHNIK GmbH Steueranordnung für ein durch Unterdruck betätigbares Absperrventil sowie ein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olchen
AU3542101A (en) * 2000-01-18 2001-07-31 Roediger Vakuum- Und Haustechnik Gmbh Sanitary system
US6453481B1 (en) * 2001-03-20 2002-09-24 Evac International Oy Vacuum waste system having a vacuum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20392A0 (fi) 2002-02-28
EP1340861A1 (en) 2003-09-03
JP2003268833A (ja) 2003-09-25
CA2417812A1 (en) 2003-08-28
US20030167561A1 (en) 2003-09-11
TW200303390A (en) 2003-09-01
CN1441131A (zh) 2003-09-10
FI111978B (fi) 200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5914B2 (ja) ポンプ作動衛生器具及び便器設備
US20090144890A1 (en) Device having a flushing apparatus and a lavatory body, assembly kit for assembling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id device
US3902203A (en)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JP2007218037A (ja)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030071515A (ko) 소변기 장치
JP2007205157A (ja) 真空式下水システム
RU2267582C2 (ru) Туалетная система с унитазом
RU2728865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уалета
JP2007046307A (ja) 便器洗浄装置
JPH1096255A (ja) 便器洗浄装置
JP2006112056A (ja) 便器装置
GB2268520A (en) Vented toilet seat
EP1492928B1 (en) Stench-free toilet system
CN112302124B (zh) 一种自动清洗的小便池系统及工作方法
US6442771B1 (en) Flushing device
JPH1037275A (ja) トイレ装置
KR20010013299A (ko) 진공 배출식 변기 시스템
GB2212827A (en) Lavatory bowl extraction apparatus
CN214245978U (zh) 一种除臭马桶
JP4052085B2 (ja) 便器洗浄装置
JPH08270042A (ja) 真空式トイレ装置
JP2007046309A (ja) 便器洗浄装置及び吸排気装置
CN217408629U (zh) 低能耗气冲厕所系统
JP2021017781A (ja) 小便器装置
KR200211435Y1 (ko) 다기능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