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001A -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001A
KR20030071001A KR1020020010497A KR20020010497A KR20030071001A KR 20030071001 A KR20030071001 A KR 20030071001A KR 1020020010497 A KR1020020010497 A KR 1020020010497A KR 20020010497 A KR20020010497 A KR 20020010497A KR 20030071001 A KR20030071001 A KR 2003007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rtridge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waste to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122B1 (ko
Inventor
박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122B1/ko
Priority to US10/316,855 priority patent/US6813469B2/en
Priority to JP2003032873A priority patent/JP3911485B2/ja
Publication of KR2003007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15Cartridge systems for cleaning or developing but not being a 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감광드럼 카트리지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그 감광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고, 공급된 토너중 화상에 사용되고 남은 폐토너를 회수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에 있어서, 감광드럼 카트리지에 대응되도록 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장된 새토너를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가지는 새토너 카트리지와; 새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감광드럼 카트리지에서 회수되는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새토너 가트리지가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면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Toner cartridge assembly and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또는 팩스와 같이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 후, 그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현상하여 소망하는 이미지를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는 감광매체와 전사롤러 사이의 전사닙(transfer nip)으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옮겨진 후 정착부에서 인쇄용지에 고착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현상카트리지는, 현상부와 토너공급부가 일체의 카트리지 본체(10)에 의해 구성된다. 카트리지 본체(10) 내에는 감광드럼(11)을 중심으로 대전롤러(12), 현상롤러(13) 및 크리닝블레이드(14)가 설치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내부는 감광드럼(1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폐토너챔버(10a)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새토너 챔버(10b)가 마련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감광드럼(11)은 대전롤러(12)에 의해 대전된 뒤, 소정의 레이저 주사유닛(미도시)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정전잠상 영역에는 새토너 챔버(10b)에서 공급된 토너가 현상롤러(13)에 의해 옮겨져 소정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시화상은 감광드럼(11)과 대전롤러(20)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P)로 전사된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이 하나의 세트로 조립되어 단일품으로 생산되며, 새토너가 소진시 새것으로 교환하는 교환품이다. 따라서, 각 부품들을 별개로 교환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11)과 현상롤러(13) 사이의 접촉상태(이하 현상닙이라 함)가 강제적으로 규정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감광드럼(11)과 현상롤러(13)가 단일의 카트리지 본체(10)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11)과 현상롤러(13)의 접촉상태(이하 현상닙이라 함)는 불균일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닙의 불균일은 감광드럼(11)과 현상롤러(13)의 부품 런아웃(run out)에 의한 요소가 가장 크다. 즉, 감광드럼(11)의 런아웃은 통상 0.05mm 이내로 줄일 수 없고, 현상롤러(13)의 런아웃은 0.1mm 범위에 이른다. 이 두 요소를 조합하면, 감광드럼(11)의 길이방향으로의 현상닙은 0∼0.15mm에 이른다.
소위 접촉현상방식의 현상카트리지에서 현상닙이 0 이상이 되면, 이론적으로는 현상롤러(13) 상의 토너가 감광드럼(11)으로 현상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1)의 축간거리 중첩량이 0.05mm 이상의 값이 되어야 한정적으로 토너를 현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현상닙은 축간거리 중첩량으로 0.05mm∼0.2mm의 범위에 이르면, 이 경우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1)은 0.05mm의 축간거리 중첩량을 가지고 접촉하는 부위와, 0.2mm의 축간거리 중첩량을 가지고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게 되다. 그리고, 서로 다른 축간거리 중첩량을 가지고 접촉하는 부분에서 토너가 받는 기계적 힘에 있어서는 큰 차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닙이 감광드럼(11)의 길이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면, 현상롤러(13)에서 감광드럼(11)으로 토너가 옮겨지면서 안정되게 안착되지 못하고, 쓸려가거나 다시 현상롤러(13)로 회수됨으로서, 정상적인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감광드럼 카트리지와 분리되어 장착됨으로서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감광드럼 카트리지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화상형성장치 본체 110,120..제1 및 제2카트리지 장착부
200..감광드럼 카트리지 220..감광드럼
300..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310..새토너 카트리지
312..현상롤러 330..폐토너 카트리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감광드럼 카트리지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그 감광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고, 공급된 토너중 화상에 사용되고 남은 폐토너를 회수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장된 새토너를 상기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가지는 새토너 카트리지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에서 회수되는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상기 새토너 가트리지가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 거리 왕복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는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왕복이동 및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나사가 결합되는 제1보스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고 회동각을 규제하는 제2나사가 결합되는 제2보스가 마련되고,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는 상기 제1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과, 상기 제2나사의 이동범위를 한정하여 상기 새토너카트리지의 회동각을 한정하는 확공이 각각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나사 각각의 헤드부에는 상기 장공 및 확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는 상기 본체에 장착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상대적으로 커플링되는 위치결정수단이 마련된 것이 좋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마련된 위치결정핀에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결정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2단의 단차부가 마련되어, 장착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 쪽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연통되는 제1 및 제2카트리지 장착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제1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감광드럼을 가지는 감광드럼 카트리지와;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시 위치조정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 현상닙을 갖도록 접촉되는 현상롤러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시 그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감광드럼측으로 밀착시켜 상기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의 입구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로부터 폐토너를 회수하여 수용하는 폐토너 카트리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기 현상롤러를 가지며, 내부에 저장된 새토너를 상기 현상롤러를 통해 상기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에 내에서 움직임 가능한 새토너 카트리지; 및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를 소정 거리 왕복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 일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체결되는 제1 및 제2나사와;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를 소정 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장공과;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를 왕복이동 및 상기 제1나사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는 확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나사 각각은 상기 장공 및 확공보다 큰 플랜지부를 가짐으로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와 폐토너 카트리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를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 주위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결정핀과; 상기 위치결정핀에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결정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외측에는 그 장착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단차부가 소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의 내측에에 상기 제1 및 제2단차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제1 및 제2단차부에 접촉되어 밀리는 제1 및 제2가동부재와; 상기 각 가동부재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측으로 탄성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으로 밀착되게 하는 제1 및 제2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감광드럼 카트리지(200)와,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 및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2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카트리지 장착부(110)와, 상기 제1카트리지 장착부(110)에 연통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가 장착되는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를 가진다. 상기 각 장착부(110)(120)는 전면도어(1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감광드럼(220)을 가진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 본체(210) 내에는 대전롤러(214)와, 크리닝블레이드(213) 및 크리닝롤러(21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210)의 전단부에는 제1카트리지 장착부(110) 주위에 마련된 위치결정핀(111)(112)에 결합되는 위치결정홀(211)(212)을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210)의 전단부 하측에는 본체(210) 내에서 클리닝되어 회수되는 폐토너가 배출되는 토너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는,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에 삽입되는 새토너 카트리지(310)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선단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폐토너 카트리지(330) 및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330)에 대해 새토너 카트리지(310)를 소정 거리 왕복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310)는, 새토너가 저장되는 본체(311)와, 상기 본체(3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롤러(312)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롤러(312)는 본체(311)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220)에 소정 현상닙을 가지고 접촉 회전된다. 이 현상롤러(312)는 본체(311) 내에 저장된 새토너를 토너 공급롤러(313)로부터 전달받아 감광드럼(220)으로 공급한다. 상기 본체(311)의 후단에는 상기 본체(100)에 장착시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커플러(314)를 가진다.
또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외측에는 그 장착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단차지게 제1 및 제2단차부(318)(319)가 형성된다.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330)는,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의 입구에 위치고정된다. 이를 위해, 폐토너 카트리지(330)를 본체(100)에 대해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이 위치고정수단은, 본체(100)의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의 주위에 마련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핀(121)(122)과, 상기 위치결정핀(121)(122)에 대응되도록 폐토너 카트리지(330)의 외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홀(331)(332)을 구비한다. 즉, 상기 위치결정홀(331)(332)에 위치결정핀(331)(332)이 상대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폐토너 카트리지(330)는 본체(100)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330)의 상측에는 장착시,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200)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폐토너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33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개폐커버(333)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를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에 장착시, 감광드럼 카트리지(200)의 외측에 접촉되어 오픈되고, 분리시에는 스프링(334)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선단에 마련된 제1 및 제1보스(314)(315)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나사(410)(420)와, 상기 제1나사(410) 움직임 가능하게 끼워지는 폐토너 카트리지(330)에 형성되는 장공(335)과, 상기 제2나사(420)가 움직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폐토너카트리지(330)에 형성되는 확공(336)을 구비한다.
상기 제1보스(314)와 제2보스(315)는 새토너 카트리지(310) 선단에 좌우/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다. 상기 장공(335)은 제1보스(3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확공(336)은 제2보스(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공(335)은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확공(336)은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좌우 및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새토너 카트리지(310)는 상기 확공(336)의 폭만큰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나사(410)는 장공(335)을 통과하여 제1보스(314)에 체결된다. 이 제1나사(410)는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부(411)와, 장공(335)의 폭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지지부(412)와, 그 지지부(412)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서 폐토너 카트리지(330)의 분리를 방지하는 플랜지부(413)를 가진다. 결국,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330)가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나사(410)가 장공(335)을 따라 이동됨으로서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좌우 이동이 가이드된다.
또한, 제2나사(420)도 체결부(421)와, 지지부(422) 및 플랜지부(423)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부(423)는 상기 확공(336)의 폭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수단은, 토너 카트리지(300)가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에 장착시 새토너 카트리지(310)를 감광드럼(220) 측으로 가압하여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압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의 내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가동부재(141)(143)와, 각 가동부재(141)(143)를 새토너 카트리지(310) 쪽으로 밀착시키는 제1 및 제2가압스프링(151)(15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가동부재(141) 및 제2가동부재(143) 각각은 가압스프링(151)(153)에 밀려 새토너 카트리지(310)의 단차부(318)(319) 각각을 접촉가압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상태에서 감광드럼 카트리지(200)는 제1카트리지 장착부(11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는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삽입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의 단차부들(318)(319)은 제1 및 제2가동부재(141)(143)에 접촉되면서 감광드럼 카트리지(200) 측으로 밀린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300)가 완전히 삽입되면, 폐토너 카트리지(330)는 본체(100)에 위치 고정된다.
한편, 새토너 카트리지(310)는 폐토너 카트리지(3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새토너 카트리지(310)는 가동부재들(141)(143)에 의해 밀려 수평이동 및/또는 회동되면서 이동된다.
즉, 새토너 카트리지(310)는 도 5의 상태에서 후단부의 커플러(314)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또한, 새토너 카트리지(310)는 상기 커플러(314)와 제1나사(41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된다. 이와 같이, 새토너 카트리지(310)가 장착되고 동시에 가압되어 움직임으로써, 현상롤러(312)는 감광드럼(220)에 소정 현상닙을 갖도록 밀착된다. 또한, 새토너 카트리지(310)가 회동되면서 가압됨으로써, 현상롤러(312)와 감광드럼(220) 런아웃에 의한 회전편차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현상롤러(312)는 프린팅동작시 미세하게 계속해서 움직이면서 일정한 현상닙을 유지하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토너 카트리지(310)와 폐토너 카트리지(330)가 어느 일정 결합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제2카트리지 장착부(120)로 삽입된다.
그리고, 삽입된 후에는 새토너 카트리지(310)가 상기 가동부재(141)(143)에 밀려서 움직이게 되면,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토너 카트리지(310)가 폐토너 카트리지(330)에 대해 소정 거리 이동되거나 회동되어 위치가 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롤러를 가지는 새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린팅동작시 현상롤러는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감광드럼과의 사이에서 소정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토너 카트리지가 회동 가능하므로, 현상롤러의 런아웃 및 감광드럼의 런아웃 그리고, 각 부품들의 누적공차에 의한 부분을 상쇄시킬 수 있게된다.
결국,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기계적 접촉에 의한 마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화상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감광드럼 카트리지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그 감광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고, 공급된 토너중 화상에 사용되고 남은 폐토너를 회수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장된 새토너를 상기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가지는 새토너 카트리지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에서 회수되는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상기 새토너 가트리지가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 거리 왕복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는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왕복이동 및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나사가 결합되는 제1보스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고 회동각을 규제하는 제2나사가 결합되는 제2보스가 마련되고,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는 상기 제1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과, 상기 제2나사의 이동범위를 한정하여 상기 새토너카트리지의 회동각을 한정하는 확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나사 각각의 헤드부에는 상기 장공 및 확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는 상기 본체에 장착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상대적으로 커플링되는 위치결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마련된 위치결정핀에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결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2단의 단차부가 마련되어, 장착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 쪽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8. 서로 연통되는 제1 및 제2카트리지 장착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제1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감광드럼을 가지는 감광드럼 카트리지와;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시 위치조정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 현상닙을 갖도록 접촉되는 현상롤러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시 그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감광드럼측으로 밀착시켜 상기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의 입구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감광드럼 카트리지로부터 폐토너를 회수하여 수용하는 폐토너 카트리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기 현상롤러를 가지며, 내부에 저장된 새토너를 상기 현상롤러를 통해 상기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에 내에서 움직임 가능한 새토너 카트리지; 및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를 소정 거리 왕복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 일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체결되는 제1 및 제2나사와;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를 소정 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장공과;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를 왕복이동 및 상기 제1나사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는 확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나사 각각은 상기 장공 및 확공보다 큰 플랜지부를 가짐으로서 상기 새토너 카트리지와 폐토너 카트리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를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 주위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결정핀과;
    상기 위치결정핀에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폐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결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외측에는 그 장착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단차부가 소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2카트리지 장착부의 내측에에 상기 제1 및 제2단차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의 제1 및 제2단차부에 접촉되어 밀리는 제1 및 제2가동부재와;
    상기 각 가동부재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측으로 탄성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으로 밀착되게 하는 제1 및 제2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10497A 2002-02-27 2002-02-27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KR10043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497A KR100437122B1 (ko) 2002-02-27 2002-02-27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US10/316,855 US6813469B2 (en) 2002-02-27 2002-12-12 Toner cartridge assembly and printing apparatus
JP2003032873A JP3911485B2 (ja) 2002-02-27 2003-02-10 トナーカートリッジアセンブリ及び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497A KR100437122B1 (ko) 2002-02-27 2002-02-27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001A true KR20030071001A (ko) 2003-09-03
KR100437122B1 KR100437122B1 (ko) 2004-06-23

Family

ID=2775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497A KR100437122B1 (ko) 2002-02-27 2002-02-27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13469B2 (ko)
JP (1) JP3911485B2 (ko)
KR (1) KR100437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25B1 (ko) * 2003-02-20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6608B2 (en) * 2003-12-19 2006-11-14 Steven Miller Removable toner cartridge universal adapter
US8010011B2 (en) * 2005-07-05 2011-08-30 Katun Corporation Removably mountable frame for an image processsing apparatus, a removably mountable adaptor fo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artridges for use with a removably frame and removably mountable adaptor
KR100896262B1 (ko) * 2007-07-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9048138A (ja) * 2007-08-23 2009-03-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833272B (zh) * 2009-02-09 2013-11-13 兄弟工业株式会社 显影剂容纳容器和显影装置
JP4843694B2 (ja) * 2009-05-08 2011-12-21 株式会社ミヤコシ 湿式電子写真印刷機
JP2018180380A (ja) 2017-04-17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7379148B2 (ja) 2019-12-26 2023-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632A (en) * 1981-01-13 1984-02-21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holding a recording member in the form of an endless belt in a recording system using the same
JPH0248959U (ko) * 1988-09-30 1990-04-05
JP2877928B2 (ja) * 1990-09-12 1999-04-0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JPH04237079A (ja) * 1991-01-21 1992-08-25 Ricoh Co Ltd 現像装置
JP2564128Y2 (ja) * 1991-09-25 1998-03-04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
JP2553400Y2 (ja) * 1992-01-22 1997-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5232752A (ja) * 1992-02-20 1993-09-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59528A (ja) * 1993-05-31 1994-03-04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3288850B2 (ja) * 1994-05-10 2002-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52826A (ja) * 1995-11-30 1997-06-10 Nec Corp 印字装置
JP3320398B2 (ja) *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3943B2 (ja) * 2000-03-17 2010-04-21 桂川電機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1318571A (ja) * 2000-05-09 2001-11-16 Funai Electric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2091265A (ja) * 2000-09-11 2002-03-27 Toshiba Tec Corp 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648173B2 (ja) * 2001-05-16 2005-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25B1 (ko) * 2003-02-20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11485B2 (ja) 2007-05-09
US20030161658A1 (en) 2003-08-28
US6813469B2 (en) 2004-11-02
JP2003255695A (ja) 2003-09-10
KR100437122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0195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35569B2 (en) Movable process cartridge usable in a one-property contact developing proces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248810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681088B2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US78561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101354A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rocess cartridge is detachably mountable and such a process cartridge whose developing member is supported at a position which deviates from a developing position
US8249485B2 (en) Process cartridge with portions to be supported and regulated during insertion of the cartridge into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457566B2 (en) Electrophotosensitive drum having non-circular twisted projection with electroconductive member thereon, process cartridge having such dr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e cartridge is detachably mountable
US5537187A (en) Process cartridge having a frame connecting member with a guide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200900106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KR100730324B1 (ko)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US11209754B2 (en) Structure for selectively locking toner inlet shutter of toner refill portion
US90753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EP1983384B1 (en) Method of reusing a developing device used in an image-forming device
KR100437122B1 (ko)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9159088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容器
JP681883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WO2023069794A1 (en) Process cartridge with toner receiving unit at pivot axis of development unit
JP20030761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608022B1 (ko) 정착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200035225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