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891A -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891A
KR20030069891A KR10-2003-0011006A KR20030011006A KR20030069891A KR 20030069891 A KR20030069891 A KR 20030069891A KR 20030011006 A KR20030011006 A KR 20030011006A KR 20030069891 A KR20030069891 A KR 2003006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ntrol
transmitting
information
directional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타라시히로유키
아베타사다유키
사와하시마모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6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성 빔 송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정보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송신방법으로 송신을 한다.
소정의 섹터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을 향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장치(12)에 있어서, 섹터의 전체를 향하여 송신을 하는 옴니섹터 송신, 미리 정해진 1개 이상의 고정적인 방향으로 송신을 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송신 방향을 제어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중 2개 이상을 선택 가지로 하여,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선택부(12B)와, 대응하는 송신방법에 따른 파일럿(pilot) 신호를 생성하는 파일럿 심벌 생성부(12C, 12E, 12G)와, 송신하는 정보에 파일럿 신호가 중첩된 신호를, 선택된 송신방법에 의해서 송신하는 송신부(12D, 12F, 12H)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Transmiss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controlling method}
발명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소정의 섹터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을 향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복수의 다이폴(dipole) 안테나를 어레이상에 복수 배치하여, 신호 처리에 의해 각 안테나의 가중 계수(weight)를 적응 제어함으로써 특정 방향에 대해서는 안테나 이득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특정한 방향에 대하여 안테나의 이득을 조정하고, 지향성의 빔을 형성하는 것은 무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대단히 유용한 기술이다. 이것은 신호를 전송할 때, 희망 방향으로는 안테나의 이득을 크게 하는 것으로 송신 전력을 저감한 송신이 가능하고, 비희망 방향으로는 안테나의 이득을 작게 하는 것으로 다른 방향으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간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향성의 빔 송신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3세대 이동통신방식의 무선액세스방식의 하나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실현하기 위한 연구개발도, 예를 들면 문헌 「A.Harada, S.Tanaka, M.Sawahashi, and F. Adachi, "Performance of Adaptive Antenna Array Diversity Transmitter for W-CDMA Forward Link, "Proc. PIMRC99, pp.1134-1138, Osaka, Japan, Sep. 1999.」등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왕성하게 행하여지고 있다. 이 검토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적응적으로 생성한 이동국마다의 안테나 지향성을 각 이동국으로의 송신 신호에 승산함으로써 원하는 이동국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고, 다른 이동국 방향에 주는 간섭을 저감하도록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가입자 용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의 검토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한 송신의 검토에 있어서는 지향성 빔 송신을 하지 않고 기지국의 에어리어(섹터)로 신호를 송신하는 옴니섹터 송신과 비교한 경우의 가입자 용량의 개선 효과에 대한 검토가 대부분인 것이 현상이며, 옴니섹터 송신과 지향성 빔 송신의 송신방법의 분류나 각 송신방법으로의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른 할당법의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앞으로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는 음성과 같은 송신해야 할 신호가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회선 교환형의 신호 전송으로부터, 데이터와 같이 버스트(burst)적으로 신호가 발생하는 데이터 전송이 주류가 되고, 버스트 전송에 적합한 패킷 전송이 행하여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패킷 전송에서는 일정한 신호가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요구 품질이나 정보량은 여러가지이다.
이를 위해, 지향성 빔 송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버스트적으로 발생한 신호의 요구 품질, 정보량을 고려한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송신방법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지향성 빔 송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정보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송신방법에 의한 송신을 할 수 있는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기지국에 탑재된 송신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송신 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a는 옴니섹터 송신에 관한 도면, 도 3b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관한 도면, 도 3c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관한 도면.
도 4는 각 송신방법의 선택 기준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
도 5는 파일럿 채널의 다중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는 시간 다중방식에 관한 도면, 도 5b는 주파수 다중방식에 관한 도면, 도 5c는 부호 다중방식에 관한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시간 다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주파수 다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주파수 다중방식 및 시간 다중방식에 의해 다중하는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주파수 다중방식 및 시간 다중방식에 의해 다중하는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주파수 다중방식 및 시간 다중방식에 의해 다중하는 제 3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부호 다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부호 다중방식 및 시간 다중방식에 의해 다중하는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부호 다중방식 및 시간 다중방식에 의해 다중하는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3개의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부호 다중방식 및 시간 다중방식에 의해 다중하는 제 3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송신하는 채널의 종류에 따라서 각 송신방법에 채널을 할당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5의 할당 패턴 규칙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
도 17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시간적으로 바꾸어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다른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그룹화하여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이동통신 시스템
2 : 섹터
10 : 기지국
12 : 송신 제어장치
12A : 정보 데이터 생성부
12B : 송신방법 선택부
12C : 옴니섹터 송신용 파일럿 심벌 생성부
12D : 옴니섹터 송신부
12E :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 파일럿 심벌 생성부
12F :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부
12G :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 파일럿 심벌 생성부
12H :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부
20 : 이동국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섹터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을 향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장치로, 상기 섹터의 전체를 향하여 송신을 하는 옴니섹터 송신, 미리 정해진 1개 이상의 고정적인 방향으로 송신을 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송신 방향을 제어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중 2개 이상을 선택 가지로 하여,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송신방법에 의해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 제어장치에서는 선택수단이, 섹터의 전체를 향하여 송신을 하는 옴니섹터 송신, 미리 정해진 1개 이상의 고정적인 방향으로 송신을 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송신 방향을 제어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중 2개 이상을 선택 가지로 하여,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선택수단은 송신하는 정보가 섹터 내의 전체 이동국을 향한 정보인 경우에, 옴니섹터 송신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정보가, 위치가 대략적으로 판명되어 있는 특정한 1개 이상의 이동국을 향한 정보인 경우에,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선택하고, 송신하는 정보가 위치가 이미 판명되어 있는 특정한 1개의 이동국을 향한 정보인 경우에,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수단이 선택된 송신방법에 의해서 정보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지향성 빔 송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정보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송신방법에 의한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을, 상기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에 다중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다중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일럿 신호는 송신된 신호가 이동국으로 수신될 때까지 받는 위상이나 진폭의 변동을 이동국이 추정하기 위한 신호이고,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위상, 진폭은 이동국에 있어서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다중 제어수단이 파일럿 채널을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에 다중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동국은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에 관한 위상, 진폭의 이미 알려진 값으로부터의 변동량을 측정함으로써, 신호 전파로에서의 변동량이 추정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동국에서, 상기 추정한 변동량에 근거하여, 위상, 진폭이 미지의 그 밖의 수신 신호가 받은 신호 전파로의 변동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송신된 신호의 복원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한 3개의 송신방법(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신호 전파로에서 각각 다른 변동의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방법에 따른 신호 전파로의 변동을 보상하는 것으로, 송신된 신호의 복원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의 의의는 크다.
또, 다중 제어수단은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시간 다중방식, 주파수 다중방식 및 부호 다중방식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중방식에 의해서, 파일럿 채널을 다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수 및 송신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복수의 채널을, 상기 선택 가지로서의 2개 이상의 송신방법에 할당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할당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복수의 채널로서는 청구항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통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유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제어 채널,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정보를 송신하는 공통 데이터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및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데이터 채널의 6종류의 채널을 적용할 수 있다.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한 복수의 채널을, 선택 가지로서의 2개 이상의 송신방법에 할당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송신하는 채널의 용도, 각 송신방법의 사용률 등을 고려한 소정의 할당 패턴 규칙에 근거하여 복수의 채널을 할당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전체 이동국을 향한 신호이면, 공통 제어 채널 및 공통 데이터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할당하여, 옴니섹터 송신에 의해 섹터 전체에 송신하는 것으로, 효율 좋은 송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특정한 1개의 이동국을 향한 신호이면, 개별 제어 채널 및 개별 데이터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할당하여,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의해 해당 이동국에 송신하는 것으로, 적은 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을 각 송신방법에 적절하게 할당하는 것으로, 이동국의 수용 가능수(가입자 용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송신수단이 상기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복수의 방향으로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에 의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분할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분할방식에 의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어, 송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분할 제어수단은 복수의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다음, 그룹마다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 또는 2개 이상 조합한 방식에 의해서, 해당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여러 가지 분할방식에 의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어, 송신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송신 제어장치에 관계되는 발명은 이하와 같은 송신 제어방법에 관계되는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는 것으로,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은 청구항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섹터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을 향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방법으로, 상기 섹터의 전체를 향하여 송신을 하는 옴니섹터 송신, 미리 정해진 1개 이상의 고정적인 방향으로 송신을 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송신 방향을 제어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중 2개 이상을 선택 가지로하여,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선택된 송신방법에 의해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에서는 청구항 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공정에서의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을, 상기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에 다중시켜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에서는 청구항 10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시간 다중방식, 주파수 다중방식 및 부호 다중방식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중방식에 의해서, 상기 파일럿 채널을 다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에서는 청구항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공정에서의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수 및 송신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복수의 채널을, 상기 선택 가지로서의 2개 이상의 송신방법에 할당하여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에서는 청구항 1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채널은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통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유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제어 채널,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정보를 송신하는 공통 데이터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및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데이터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에서는 청구항 1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공정에서, 상기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에 의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분할 송신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송신 제어방법에서는 청구항 1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송신 제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다음, 그룹마다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 또는 2개 이상 조합한 방식에 의해서, 해당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 및 송신 제어장치의 구성]
우선, 도 1,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시스템(1) 및 송신 제어장치(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과, 기지국(10)에 구비한 소정의 지향성 빔 안테나에 의한 신호의 송수신영역(2; 섹터)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10)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송신 제어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송신 제어장치(12)는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하는 경우에,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여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파일럿 신호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수신기로 수신될 때까지 받는 위상이나 진폭의 변동을 추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제어장치(12)는 송신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데이터 생성부(12A)와, 후술하는 3개의 송신방법으로부터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송신방법 선택부(12B)와, 옴니섹터 송신용의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옴니섹터 송신용 파일럿 심벌 생성부(12C)와, 송신되는 정보에 옴니섹터 송신용의 파일럿 신호가 중첩된 신호를 송신하는 옴니섹터 송신부(12D)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의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 파일럿 심벌 생성부(12E)와, 송신되는 정보에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의 파일럿 신호가 중첩된 신호를 송신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부(12F)와,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의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 파일럿 심벌 생성부(12G)와, 송신되는 정보에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용의 파일럿 신호가 중첩된 신호를 송신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부(12H)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파일럿 심벌 생성부(12C, 12E, 12G)는 대응하는 송신방법에 따른 파일럿 신호(수신하는 이동국(20)에서 위상과 진폭이 이미 알려진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각 송신부(12D, 12F, 12H)는 각각의 안테나 패턴에 따라서 상기 중첩 후의 신호에 가중 계수를 승산하고, 상기 가중 후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위상, 진폭이 이동국(20)에서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동국(20)은 실제로 수신한 신호의 위상, 진폭의 변동량을 측정함으로써,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국(20)에 달하는 전파로에서의 변동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20)은 이 추정한 변동량에 근거하여, 위상, 진폭이 미지의 그 밖의 수신 신호가 받은 전파로의 변동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송신된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된 신호는 전파로에서 각각 다른 변동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각의 송신방법에 대응한 파일럿 신호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도 2에서는 각 송신방법에 대응한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송신 빔 패턴과 선택 기준]
다음에,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송신 빔 패턴과 그 선택 기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는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송신 빔 패턴을 도시하다. 도 3a의 옴니섹터 송신에서는 기지국(10)은 섹터 전체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옴니섹터 송신은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에 동시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적합한 송신 형태다.
도 3b의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서는 기지국(10)은 미리 정해진 모든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동시에 송신하면, 옴니섹터 송신과 같이,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10)은 미리 정해진 각방향의 지향성 빔을 순차 송신해 가면, 시간적으로 지연은 있지만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지향성 빔을 사용하는 것으로 송신 전력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은 거의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방향적으로 그들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방향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것으로, 그것들의 이동국에 저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c의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이 섹터 내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기지국(10)은 그 위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을 완전하게 향할 수 있고, 항상 저송신 전력으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도 2의 송신방법 선택부(12B)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택 기준에 근거하여, 송신되는 정보의 종류 등에 따른 효율적인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선택 기준에서는 옴니섹터 송신(도 3a)은 송신되는 정보가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에 송신해야 할 정보인 경우, 송신해야 할 목적의 이동국의 위치가 불분명한 경우, 신호의 전송 속도가 작은 경우(소요의 송신 전력이 작은 정보의 송신인 경우) 등에 선택된다.
또한,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도 3b)은 송신되는 정보가 섹터 내의 특정한 또는 모든 이동국에 송신해야 할 정보인 경우, 송신해야 할 목적의 이동국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판명되어 있는 경우, 신호의 전송 속도가 큰 경우(소요의 송신 전력이 큰 정보의 송신인 경우) 등에 선택된다.
또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도 3c)은 송신되는 정보가 섹터 내의 특정한 이동국에 송신해야 할 정보인 경우, 송신해야 할 목적의 이동국의 위치가 판명되어 있는 경우, 신호의 전송 속도가 큰 경우(소요의 송신 전력이 큰 정보의 송신인 경우) 등에 선택된다.
이들 3개의 송신방법의 특징을 조합함으로써, 섹터 내의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정보의 종류 등에 따른 효율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옴니섹터 송신뿐만 아니라, 고정 제어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가하는 것으로, 송신 전력을 저감한 송신방법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3개의 송신방법의 모두를 선택 가지로 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라, 3개 중 2개를 선택 가지로 하여 송신방법을 선택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용도에 따라서 2개의 송신방법을 구별지어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신호 전송 및 송신 전력을 저감한 송신방법이 가능해진다.
[파일럿 채널의 다중에 대해서]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의 다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파일럿 채널 또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파일럿 채널에 있어서의, 각 빔에 대응한 파일럿 채널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서는 각 방향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들의 채널을 다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서는 이동국마다 지향성 빔을 향하기 때문에, 그들의 빔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이 필요하고, 그것들의 채널을 다중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복수의 채널을 다중하는 방법으로서, 도 5에서는 시간으로 다중하는 방법, 주파수로 다중하는 방법, 부호로 다중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시간으로 다중하는 방법에서는 빔마다의 파일럿 채널을 시간 분할로 할당한다. 도 5b에 도시하는 주파수로 다중하는 방법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시스템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지향성 빔을 형성하여 송신하는 주파수 캐리어에, 그 빔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는 것으로, 주파수 분할에 의한 다중이 가능하다. 도 5c에 도시하는 부호로 다중하는 방법에서는 직교하는 부호의 패턴을 각각의 파일럿 채널에 할당함으로써 다중이 가능해진다.
이하, 각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 다중법에 관한 각종의 구성예를 순차로 설명한다.
도 6은 각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 다중법의 구성의 일례로,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각의 파일럿 채널을 시간 다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시각 t1로부터 옴니섹터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T1 시간 송신 후, 그 밖의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시각 t2로부터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T2 시간 송신 후, 그 밖의 채널을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시각 t3으로부터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T3 시간 송신 후, 그 밖의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한다.
이 도 6의 구성에서는 각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럿 채널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고정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 빔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의 다중법은 도 5에 도시한 3개의 다중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각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 다중법의 구성의 일례로,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각의 파일럿 채널을 주파수 다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주파수 f1로 옴니섹터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송신하고, 주파수 f2로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하며, 주파수 f3으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7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시스템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고, 각 송신방법의 파일럿 채널을 주파수적으로 분리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럿 채널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여기서의 주파수 f1, f2, f3 등의 표현은 각각 1개의 주파수 캐리어라고 생각하여도 좋고,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를 정리한 주파수군이라고 생각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 빔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의 다중법은 도 5에 도시한 3개의 다중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각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 다중법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는 옴니섹터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시각 t1로부터 주파수 f1및 f2를 사용하여 T1 시간 송신한 후, 그 밖의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시각 t2로부터 주파수 f1을 사용하여 T3 시간 송신한 후, 그 밖의 채널을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한다. 이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과 동시 병행하여,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시각 t2로부터 주파수 f2 사용하여 T2 시간 송신한 후, 그 밖의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한다.
또, 도 8에서는 고정 제어와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의 송신 시간 T3, T2를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송신 시간 T3, T2를 다른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8의 경우에 있어서, 옴니섹터 송신과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다중법을 바꾼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10은 도 8의 경우에 있어서, 옴니섹터 송신과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다중법을 바꾼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8, 9, 10에서 설명한 내용에서는 주파수가 다른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할 때, 같은 타이밍 t2로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변경했었지만,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과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송신 시각은 같은 시각일 필요는 없고, 송신 시각을 엇갈리게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각 송신방법에 대응한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느쪽의 구성예에 있어서나, 고정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 빔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의 다중법은 도 5에 도시하는 3개의 다중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각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 다중법의 구성의 일례로,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각의 파일럿 채널을 부호 다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확산 부호 c1로 옴니섹터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송신하고, 확산 부호 c2로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하며, 확산 부호 c3으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11의 구성에서는 확산 부호로서 직교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파로에서의 직교성이 유지되면, 파일럿 채널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부호 분할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이들 3 가지 송신방법에 의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여기서의 확산 부호 c1, c2, c3 등의 표현은 각각 1개의 확산 부호로 생각하여도 좋고, 복수의 확산 부호를 정리한 확산 부호군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 빔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의 다중법은 도 5에 도시한 3개의 다중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각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파일럿 채널 다중법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는 옴니섹터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시각 t1로부터 T1 시간 송신한 후, 그 밖의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시각 t2로부터 확산 부호 c1을 사용하여 파일럿 채널을 T3 시간 송신한 후, 그 밖의 채널을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한다. 이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과 동시 병행하여,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을 시각 t2로부터 확산 부호c2를 사용하여 T2 시간 송신한 후, 그 밖의 채널을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송신한다.
또, 도 12에서는 고정 제어와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을 위한 파일럿 채널의 송신 시간 T3, T2를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송신 시간 T3, T2를 다른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도 12의 경우에 있어서, 옴니섹터 송신과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다중법을 바꾼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14는 도 12의 경우에 있어서, 옴니섹터 송신과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다중법을 바꾼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 13, 14에서 설명한 내용에서는 다른 확산 부호를 할당하는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할 때, 같은 타이밍 t2로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변경했었지만,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과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송신 시각은 같은 시각일 필요는 없고, 송신 시각을 엇갈리게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각 송신방법에 대응한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느쪽의 구성예에 있어서나, 고정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각 빔에 대응한 복수의 파일럿 채널의 다중법은 도 5에 도시한 3개의 다중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도 5로부터 도 14에서는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3종류의 송신방법이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임의의 2종류의 송신방법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같은 생각에 의해파일럿 채널의 다중이 가능하다.
[송신하는 채널의 종류에 따른 각 송신방법으로의 채널의 할당 제어]
다음에, 송신하는 채널의 종류에 따른 각 송신방법에서의 채널의 할당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옴니섹터 송신,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의 3종류의 송신방법이 있는 경우에, 각 송신 방법으로 할당 패턴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하는 채널의 종류에 따라서, 각 송신방법에 각 채널을 할당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의 채널은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통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유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제어 채널,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정보를 송신하는 공통 데이터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및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데이터 채널 6개이다.
여기서의 할당하는 패턴의 규칙에는 송신하는 채널의 용도, 각 송신방법의 사용률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이동국을 향한 신호이면, 옴니섹터 송신에 의해 기지국의 섹터 전체에 신호하는 것으로, 효율 좋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특정한 이동국을 향한 신호이면,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의해 그 이동국에 지향성 빔을 형성하는 것으로, 저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6에는 상기한 할당 패턴 규칙의 일례를 도시하다. 도 16의 예에서는 공통 제어 채널 및 공통 데이터 채널을 옴니섹터 송신에 할당하고 있다. 이것은 송신해야 할 채널이 전체 이동국을 향한 신호이기 때문에, 옴니섹터 송신에 의해 동시에 송신함으로써 전송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유 제어 채널 및 공유 데이터 채널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할당하고 있다. 이것은 채널은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하는 채널이기 때문에, 거의 동일 방향에 존재하는 사용자는 1개의 지향성 빔에 할당하여 송신하는 것이 효율이 좋고, 또한 저송신 전력에서의 송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별 제어 채널 및 개별 데이터 채널은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할당하고 있다. 이 신호는 완전히 각 이동국용이기 때문에, 적응 제어에 의해 지향성 빔을 원하는 이동국에 형성하고, 저송신 전력에서의 송신으로 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 도 16은 어디까지나 채널 할당의 일례이고, 이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3개의 송신방법 중 어떤 특정한 송신방법에 의한 신호 전송의 확률이 높아져 있는 경우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은 다른 송신방법에 채널을 분배하는 등의 처리도 가능하다. 또, 도 15에서는 3종류의 송신방법, 6종류의 채널을 고려하고 있지만, 이들은 임의의 종류의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의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의 전환 제어]
다음으로,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의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의 전환 제어에 대해서 각종의 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시간적으로 바꾸어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도 17에서는 합계 N개의 지향성 빔이 있는 경우에, 어떤 1개의 지향성 빔을 시각 t1에 송신하고, 그 후, 시각 t2에서는 별도의 방향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고, 시각 t3에서는 또 별도의 방향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요령으로 순차 지향성 빔의 방향을 바꾸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지향성 빔의 중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빔간의 간섭을 저감한 송신이 가능해진다.
도 17의 예에서는 빔의 방향을 시간적으로 바꾸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동국의 섹터 내의 분포에 따라서, 이동국의 수가 많은 방향에는 빔의 할당 시간을 길게 하거나, 혹은 할당하는 횟수를 늘리는 것으로, 송신 기회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의 송신 방향과 겹치지 않도록,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는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8에서는 합계 N개의 지향성 빔이 있는 경우에, 다른 N개의 주파수(f1 내지 fN)를 사용하여 각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고, 다른 주파수를 각 빔에 할당함으로써, 지향성 빔이 겹쳐 있더라도 상호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 도 18의 예에서는 빔의 방향을 주파수적으로 바꾸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동국의 섹터 내의 분포에 따라서, 이동국의 수가 많은 방향에는 할당하는 주파수대를 확대하거나, 혹은 할당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송신 기회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과 구별하도록,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다른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서는 합계 N개의 지향성 빔이 있는 경우에, 다른 N개의 확산 부호(c1 내지 cN)를 사용하여 각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고, 다른 확산 부호를 각 빔에 할당함으로써, 지향성 빔이 겹쳐 있더라도 상호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 도 19의 예에서는 빔의 방향을 다른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구별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동국의 섹터 내의 분포에 따라서, 이동국의 수가 많은 방향에는 할당하는 확산 부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송신 기회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과 구별하도록, 확산 부호를 선택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시간 다중방식, 주파수 다중방식 또는 부호 다중방식을 조합함으로써도 상호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빔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은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경우에, 미리 그룹화를 하여 그룹마다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도 20에서는 합계 8 방향의 지향성 빔이 존재하는 경우에, 1개의 그룹마다 2 빔을 수용하는 것으로 합계 4그룹으로 그룹화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4그룹에 대하여, 도 17에 도시한 시간 분할, 도 18에 도시한 주파수 분할, 도 19에 도시한 부호 분할의 각각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중 시간 분할 방법에서는 그룹화하지 않고 각 빔마다 송신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그룹화하는 것으로 각 빔의 송신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송신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송신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분할이나 부호 분할 방법에서는 각 빔에 대응시키는 형태로 필요한 주파수의 수나 확산 부호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송신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향성 빔 송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정보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송신방법에 의한 송신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소정의 섹터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을 향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장치로서,
    상기 섹터의 전체를 향하여 송신을 하는 옴니섹터 송신, 미리 정해진 1개 이상의 고정적인 방향으로 송신을 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송신 방향을 제어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중 2개 이상을 선택 가지로 하여,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송신방법에 의해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송신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을, 상기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에 다중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다중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송신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수단은 시간 다중방식, 주파수 다중방식 및 부호 다중방식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중방식에 의해서, 파일럿 채널을 다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송신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수 및 송신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복수의 채널을, 상기 선택 가지로서의 2개 이상의 송신방법에 할당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할당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송신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통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유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제어 채널,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정보를 송신하는 공통 데이터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및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데이터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에 있어서 복수의 방향으로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한 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에 의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분할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송신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다음, 그룹마다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 또는 2개 이상 조합한 방식에 의해서, 해당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장치.
  8. 소정의 섹터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을 향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섹터의 전체를 향하여 송신을 하는 옴니섹터 송신, 미리 정해진 1개 이상의 고정적인 방향으로 송신을 하는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및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송신 방향을 제어하는 적응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 중 2개 이상을 선택 가지로 하여,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방법을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선택된 송신방법에 의해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하는 송신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공정에서의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을, 상기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에 다중시켜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시간 다중방식, 주파수 다중방식 및 부호 다중방식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중방식에 의해서, 상기 파일럿 채널을 다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공정에서의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이동국의 수 및 송신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복수의 채널을, 상기 선택 가지로서의 2개 이상의 송신방법에 할당하여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통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유 제어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제어 신호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제어 채널,
    상기 섹터 내의 모든 이동국을 향한 정보를 송신하는 공통 데이터 채널,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및
    이동국을 향한 개별 정보를 개별로 송신하는 개별 데이터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공정에서, 상기 고정 제어의 지향성 빔 송신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지향성 빔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에 의해서,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송신하도록 분할 송신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송신 제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다음,
    그룹마다 시간 분할방식, 주파수 분할방식 및 부호 분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방식 또는 2개 이상 조합한 방식에 의해서, 해당 각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을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방법.
KR10-2003-0011006A 2002-02-21 2003-02-21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KR20030069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5089 2002-02-21
JP2002045089A JP2003244054A (ja) 2002-02-21 2002-02-21 送信制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91A true KR20030069891A (ko) 2003-08-27

Family

ID=2765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006A KR20030069891A (ko) 2002-02-21 2003-02-21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70957B2 (ko)
EP (1) EP1339176B1 (ko)
JP (1) JP2003244054A (ko)
KR (1) KR20030069891A (ko)
CN (1) CN1306835C (ko)
AU (1) AU2003200590B2 (ko)
CA (1) CA2419263C (ko)
SG (1) SG1174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898B1 (ko) * 2009-02-18 2011-08-04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5914B2 (en) * 2003-10-08 2008-06-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ple antenna transmitter beamforming of high data rate wideband packetized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US7979090B2 (en) * 2004-05-28 2011-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A update in adaptive antenna systems
US7899497B2 (en) 2004-08-18 2011-03-01 Ruckus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parameter control for an antenna apparatus with selectable elements
US7933628B2 (en) 2004-08-18 2011-04-26 Ruckus Wireless, Inc.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rameter control
WO2006030582A1 (ja) * 2004-09-17 2006-03-23 Nec Corporation 通信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回線制御局
US7206610B2 (en) * 2004-10-28 2007-04-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ectored service area
US8792414B2 (en) 2005-07-26 2014-07-29 Ruckus Wireless, Inc. Coverage enhancement using dynamic antennas
JP2006287755A (ja) 2005-04-01 2006-10-19 Ntt Docomo Inc 上りリンクチャネル用の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2006287757A (ja) * 2005-04-01 2006-10-19 Ntt Docomo Inc 下りリンクチャネル用の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7894402B2 (en) * 2005-04-15 2011-02-22 Alcatel-Lucent Usa Inc. High rate packet data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JP4567628B2 (ja) * 2005-06-14 2010-10-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734890B1 (ko) * 2005-10-10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서 단말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키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8036669B2 (en) 2006-04-20 2011-10-11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resource reuse with SDMA beams
US8175532B2 (en) * 2006-06-06 2012-05-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via at least one of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 antennas
DE102006038826A1 (de) * 2006-08-18 2008-05-15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Kg Richtungsabhängige Aussendung von Organisationsinformationen in einem systemübergreifenden Kanal
US8670725B2 (en) 2006-08-18 2014-03-11 Ruckus Wireless, Inc. Closed-loop automatic channel selection
EP2095657A2 (en) * 2006-12-18 2009-09-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ac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directional antennas
EP1971043A1 (en) 2007-03-16 2008-09-17 Sony Deutschland GmbH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049045B2 (ja) * 2007-04-17 2012-10-17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共通制御信号送信方法
US8254944B2 (en) * 2008-01-14 2012-08-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 multiple antennas and controlling feedback information
JP5077024B2 (ja) * 2008-03-31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
JP5066550B2 (ja) * 2008-09-25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US8670778B2 (en) * 2008-09-29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00361A1 (en) * 2008-10-07 2010-06-23 Nokia Siemens Networks OY Wireless cellular network using adaptive beamforming with different coverage for control and data channels
JP5251605B2 (ja) 2009-03-02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利得制御方法
CN103733527B (zh) * 2011-04-07 2015-10-07 蓝色多瑙河系统公司 在无线系统中实现高平均频谱效率的技术
JP2013251841A (ja) * 2012-06-04 2013-12-12 Hitachi Ltd 無線通信基地局
US9439096B2 (en) * 2012-08-13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channel refinement and multi-stream transmiss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KR102128400B1 (ko) * 2014-01-16 2020-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전송 장치의 전파 빔 방향 조정 방법
JP6278001B2 (ja) * 2015-05-26 2018-02-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N108476238B (zh) * 2016-03-31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US10548100B2 (en) * 2016-08-19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Non-uniform transmission of synchronization signals
US10172071B2 (en) 2016-10-21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irectional synchronization in assisted millimeter wave systems
JP6926702B2 (ja) 2017-06-09 2021-08-2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ビーム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4292A (en) * 1982-01-29 1983-11-08 Energy Development Associates, Inc. Metal halogen battery system
JPH03254228A (ja) * 1990-03-02 1991-11-13 Fujitsu Ltd 通信用指向性アンテナ制御式移動通信システム
GB2281175B (en) * 1993-08-12 1998-04-08 Northern Telecom Ltd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JPH09200115A (ja) * 1996-01-23 1997-07-3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のアンテナ指向性制御方法および可変指向性アンテナ
US5890067A (en) * 1996-06-26 1999-03-30 Bnr Inc. Multi-beam antenna arrays for base stations in which the channel follows the mobile unit
US5953325A (en) * 1997-01-02 1999-09-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orward link transmission mode for CDM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steerable and distributed antennas
US6246674B1 (en) * 1997-01-27 2001-06-12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Antenna deployment sector cell shaping system and method
US6198435B1 (en) * 1997-01-27 2001-03-06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trunking efficiency through sector overlap
US6167286A (en) * 1997-06-05 2000-12-26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ulti-beam antenna system for cellular radio base stations
KR100369794B1 (ko) 1997-08-18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송신장치의대역확산신호발생장치및방법
US6108323A (en) 1997-11-26 2000-08-22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DMA cellular system having beamforming antennas
JP2000049798A (ja) * 1998-07-27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JP4077084B2 (ja) * 1998-09-18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6314305B1 (en) * 1998-12-10 2001-11-06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mitter/receiver for combined adaptive array processing and fixed beam switching
US6259918B1 (en) * 1999-02-26 2001-07-10 Telefonaktiebolaget Lm (Publ) Preservation of cell borders at hand-off within a smart antenna cellular system
DE69932859T2 (de) * 1999-05-01 2007-02-15 Nokia Corp. Verfahren zur gerichteten funkkommunikation
JP3663092B2 (ja) * 1999-11-19 2005-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基地局
JP2001169326A (ja) *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3522619B2 (ja) 2000-01-05 2004-04-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リアcdma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
KR100324426B1 (ko) * 2000-01-14 2002-02-27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내 3섹터 기지국의 송신전력 자동 변경방법
US6807192B2 (en) 2000-01-14 2004-10-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electively sized data transport blocks
JP2001275150A (ja) * 2000-03-23 2001-10-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基地局
JP2001339758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996418B2 (en) * 2000-12-29 2006-02-07 Nortel Network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OFDM data communications
TW504857B (en) * 2001-05-31 2002-10-01 Wistron Neweb Corp Radio wave transmitter with omni-directional radiation field and radio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287604B2 (ja) * 2001-08-27 2009-07-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基地局,無線装置及び移動端末
US7095987B2 (en) * 2001-11-15 2006-08-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d uplinked-signal based adaptive downlink diversity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40221B2 (en) * 2007-05-02 2011-10-18 The Boeing Company Mobi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898B1 (ko) * 2009-02-18 2011-08-04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44054A (ja) 2003-08-29
CN1306835C (zh) 2007-03-21
AU2003200590A1 (en) 2003-09-11
CA2419263C (en) 2009-03-31
CA2419263A1 (en) 2003-08-21
EP1339176A1 (en) 2003-08-27
SG117433A1 (en) 2005-12-29
CN1440212A (zh) 2003-09-03
AU2003200590B2 (en) 2004-07-08
US7570957B2 (en) 2009-08-04
US20030162551A1 (en) 2003-08-28
EP1339176B1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9891A (ko)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US6771989B1 (en) Method of directional radio communication
JP4454308B2 (ja) マルチキャリアcdma伝送方法及び基地局の送信装置
KR100607017B1 (ko) 섹터분할된 무선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코드된 할당
US8094547B2 (en) Orthogonal frequency and code hopping multiplexing communications method
KR100966044B1 (ko)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CA2166538C (en) Frequency plan for a cellular network
US7408974B2 (en) Composite code-division/time-division multiplex system
JP41074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24753A (ko) 송신장치 및 통신방법
EP1511206B1 (en) Method of assigning one or more spreading sequences to users of a multi carrier transmission network
US20090110032A1 (en) Method of Reusing Spreading Codes
US6980832B1 (en) Method of reduc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32087A1 (en) User Equipment Multiplexing In Downlink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KR20070083402A (ko)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및 단말의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KR100264971B1 (ko) 이동 통신 채널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23162177A1 (ja) 無線通信方法、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666403B1 (ko)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03

Effective date: 2007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