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058B1 -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058B1
KR100882058B1 KR20077006550A KR20077006550A KR100882058B1 KR 100882058 B1 KR100882058 B1 KR 100882058B1 KR 20077006550 A KR20077006550 A KR 20077006550A KR 20077006550 A KR20077006550 A KR 20077006550A KR 100882058 B1 KR100882058 B1 KR 10088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ilot channel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637A (ko
Inventor
나오토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Abstract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하기 위해 S-CPICH가 기지국(2)으로부터 회선 제어국(1)에 요구되면, 회선 제어국(1)에서, 기지국(2)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S-CPICH가 설정되고, 설정된 S-CPICH가 기지국(2) 및 이동국(3)에 통지된다. 기지국(2)에서는,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통지된 S-CPICH의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이동국(3)에서는,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통지된 S-CPICH가 Phase Reference로서 이용되어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복조된다.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회선 제어국

Description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COMMUNICATION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IRCUIT CONTROL STATION}
본 발명은,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셀룰러 방식을 이용한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직접확산 부호분할 다원접속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행 회선에서는,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Phase Reference라고 불리는 물리 채널이 필요해진다. 이동국에서는, 이 물리 채널을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통신로 변동(페이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량이 추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는, Phase Reference로서 공통 물리 채널인 P-CPICH(Primary Common Pilot Channel)가 원칙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S-CPICH(Secondary Common Pilot Channel)나, 개별 물리 채널의 파일럿 심볼(개별 Pilot)에 대해서도,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S-CPICH에 대해서는,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하는 것이 회선 제어국에 의해 허가된 경우만,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별 Pilot에 관해서는, Phase Reference로서 항상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Phase Reference의 이용 방법에 관해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사양서 TS25.331 v5.1.0(2002-06)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기지국(BS : Base Station)이 적응(適應)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국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이른바 Beam-forming에서는, 상행 회선에서의 데이터 수신에서는, 안테나 빔에 의해 다른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하행 회선에서의 데이터 송신에서는, 데이터 송신 영역이 안테나 빔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동일 셀 내의 다른 이동국으로부터의 멀티 패스 간섭의 저감, 및 인접 셀의 다른 이동국으로부터의 셀 사이 간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이동국에서의 수신 품질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응 안테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직접확산 부호분할 다원접속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공개1999-266228호 공보 참조). 또한, 적응 안테나의 동작 원리에 관해서는, 전자정보 통신학회지 Vol.81 No.12 pp.1254-1260(1998년 12월) "애덥티브 어레이와 이동통신[I]"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Beam-forming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Beam-forming 후의 전반로를 나타내는 물리 채널을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Beam-forming 후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국에는, 안테나 지향성에 의해, 셀 내에 일양하게 송신되는 P-CPICH와는 다른 전파(傳播) 특성이 위상 변동으로 나타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Beam-forming을 적용한 기지국과 접속하는 이동국에서는, Phase Reference로서 P-CPICH가 아니라, 안테나 빔마다 송신이 가능한 S-CPICH 또는 개별 Pilot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다.
여기서, 데이터 채널과 동일한 지향성으로 송신되는 파일럿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하는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공개1999-252002호 공보 참조). 이 기술에서는, 이동국에서,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어 오는 파일럿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이용하기 위한 지시를 낼 필요가 있지만, 현재, 기지국과 회선 제어국 사이에서 Phase Reference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S-CPICH를 Phase Reference로 이용하기 위한 지시를 낼 수는 있지만, 기지국에서,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S-CPICH로서 어느 부호를 이용하기 위한 지시가 나와 있는가라는 정보를 인식할 수 없다.
그것에 의해, 기지국에서, S-CPICH에 대해 Beam-forming을 적용할 수 없고, 또한, Beam-forming이 적용되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국에서는,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Beam-forming 적용시에 개별 pilot를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국에서,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이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지만, 현재, 이 정보는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통지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국에서,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이 Beam-frming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Phase Reference를 P-CPICH로부터 개별 pilot으로 전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에서, 통신 데이터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받은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이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송신하지 않은 경우에, 이동국에서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pilot를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고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의 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최적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있어서 최적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고, 해당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수신 타이밍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수신 타이밍에 의거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고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의 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상기 이동국마다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는 스텝과,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는 스텝과,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갖고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최적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있어서 최적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고, 해당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수신 타이밍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수신 타이밍에 의거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과, 해당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갖고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이동국마다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갖고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이동국과, 해당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갖고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이 기지국으로부터 회선 제어국에 요구되면, 회선 제어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공통 파일럿 채널이 설정되고, 설정된 공통 파일럿 채널이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된다. 기지국에서는,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이동국에서는,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이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복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에서, 통신 데이터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받으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인 S-CPICH를 기준위상 정보인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인 S-CPICH를 기준위상 정보인 Phase Reference로서 송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이동국에서,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실시의 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이동국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초기 설정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정상 상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9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l0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이동국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초기 설정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정상 상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0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기지국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4는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5는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6은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2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의 구성에서 S-CPICH 생성부를 삭제하고, 기지국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이동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8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의 구성에서 S-CPICH 생성부를 삭제하고, 기지국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9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의 구성 에서 S-CPICH 생성부를 삭제하고, 기지국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회선 제어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제 1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실시의 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형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선 제어국(1)과, 기지국(2)과, 이동국(3)으로 구성되어 있고, 무선 액세스로서 직접확산 부호분할 다원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동국(3)에 송신되는 데이터가 네트워크로부터 회선 제어국(1)을 경유하여 기지국(2)에 도착하면, 기지국(2)으로부터, 회선 제어국(1)을 경유하여 도착한 데이터가 하행 개별 데이터 채널(DL-DPDCH)에 의해 이동국(3)에 송신된다. 또한, 이동국(3)으로부터는, 상행 개별 데이터 채널(UL-DPDCH)에 의해 데이터가 기지국(2)에 송신된다. 또한, 기지국(2)에서는, 이동국(3)과의 사이에서 회선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하행 개별 제어 채널(DL-DPCCH)과 상행 개별 제어 채널(UL-DPCCH)이 이용된다.
회선 제어국(1)은, 이동국(3)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고, 또한, 기지국(2)과 이동국(3) 사이에서 회선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제어 회선을 설정한다. 또한, 유저 데이터를 유선으로 기지국(2)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고, 기지국(2)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S-CPICH를 할당하고, 할당한 S-CPICH를 기지국(2) 및 이동국(3)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지국(2)은, 동일 셀 내의 이동국(3)에 대해, 제 1의 하행 공통 파일럿 채 널(P-CPICH)을 무지향성의 안테나 패턴(4)을 이용하여 일양하게 송신한다. 또한, 셀 내를 분할하는 복수의 안테나 빔(5-1 내지 5-3)을 갖고 있고, 이 안테나 빔(5-1 내지 5-3)마다 다른 제 2의 하행 공통 파일럿 채널(S-CPICH)을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 빔의 수는, 본 형태에서는 3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안테나 빔(5-1 내지 5-3)중에서 이동국(3)에 응하여 안테나 빔을 하나 선택하고, 수신한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선택한 안테나 빔을 사용하여 각각 DL-DPDCH와 DL-DPCCH에 의해 이동국(3)에 송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2)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안테나, 유저 및 안테나 빔의 수를 각각, 3, 2, 3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의 기지국(2)에서는, 안테나 빔(5-1 내지 5-3)의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의 안테나(111-1 내지 111-3) 및 송수(送受) 공용기(121-1 내지 12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송수 공용기(121-1 내지 121-3)에 의해 상행 신호와 하행 신호가 분리된다. 안테나(111-1 내지 113-3)를 통하여 수신된 상행 신호는, 송수 공용기(121-1 내지 121-3)에서 분리되어 안테나마다 분배기(131-1 내지 131-3)에 입력되고, 분배기(131-1 내지 131-3)에 의해, 유저와 같은 수로 분배되어 유저마다 신호 수신부(140-1, 140-2)에 입력된다. 신호 수신부(140-1)는, 유저 방향 검출기(141)와, 유저 데이터 복조부(142)로 구성되고, 신호 수신부(140-2)도 이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신호 생성부(150-1)는, 유저 데이터 합성부(151)와, 안테나 빔 형성부(152)로 구성되고, 신호 생성부(150-2)도 이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유저 방향 검출기(141)는, 안테나(111-1 내지 111-3)에서의 상행 신호의 수신 전력을 구하고, 최대의 전력이 얻어지는 안테나(111-1 내지 111-3)에 대응하는 안테나 빔으로부터 이동국(3)의 방향을 검출한다. 검출된 이동국(3)의 방향은 이동국(3)마다 신호 생성부(150-1, 150-2)에 보내지고, 하행 신호를 생성할 때에 이용된다. 유저 방향 검출기(141)는, 상술한 처리에 의해 이동국(3)의 방향이 변화한 것을 검출한 경우, 그 취지를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한다. 한편, 최대의 전력이 얻어진 안테나(111-1 내지 111-3)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 복조부(142)에 입력되어 복조되고, 회선 제어국(1)에 보내진다.
한편,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보내져 온 유저 데이터는, 유저마다 신호 생성부(150-1, 150-2)에 입력된다. 신호 생성부(150-1, 150-2)에 입력된 유저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 합성부(151)에서 제어 신호와 합성되고 출력된다. 유저 데이터 합성부(151)로부터 출력된 합성 신호는, 안테나 빔 형성부(152)에서, 유저 방향 검출부(141)로부터 통지된 이동국(3)의 방향에 따른 안테나(111-1 내지 111-3)마다의 무게를 곱함으로써 안테나(111-1 내지 111-3)마다의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기준위상 정보인 Phase Reference로서 이용되는 S-CPICH는, S-CPICH와 동수의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에 의해 다른 안테나 빔(5-1 내지 5-3)으로 이 안테나 빔(5-1 내지 5-3)과 1대1로 대응되어 송신된다. S-CPICH 생성부(160-1)는, S-CPICH 발생부(161)와 안테나 빔 형성부(162)로 구성되어 있고, S-CPICH 생성부(160-2, 160-3)도 이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S-CPICH 발생부(161)에서 생성된 S-CPICH는, 안테나 빔 형성부(162)에 주어지고, 안테나 빔 형성부(162)에 있어서, S-CPICH 발생부(161)에서 생성된 S-CPICH를 이용하여 안테나 신호가 형성된다.
신호 생성부(150-1, 150-2)와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에서 각각 형성된 안테나 신호는, 각각 가산기(132-1 내지 132-3)에 의해 안테나(111-1 내지 111-3)마다 가산되고, 송수 공용부(121-1 내지 121-3) 및 안테나(111-1 내지 111-3)를 통하여 송신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이동국(3)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형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112)와, 송수 공용기(122)와, 데이터 복조부(180)와, Phase Reference 검출부(170)와, 데이터 변조부(180)로 구성되어 있다. 송수 공용기(122)는, 상행 신호와 하행 신호를 분리한다. 안테나(112)를 통하여 수신되고, 송수 공용기(122)에서 분리된 하행 신호는, Phase Reference 검출부(170)와 데이터 복조부(181)에 각각 입력된다. Phase Reference 검출부(170)는, 송수 공용기(122)에서 분리된 하행 신호중에서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의 지시를 검출하고, Phase Reference에 어느 물리 채널을 적용하면 좋은지를 판단한다. 판단된 Phase Reference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 복조부(190)에 보내진다. 데이터 복조부(190)에서는, Phase Reference 검출부(170)로부터 보내져 온 정보에 따라 페이딩에 의한 통신로 변동을 계산하고, 안테나(112)를 통하여 수신되고, 송수 공용기(122)에서 분리된 상행 신호의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
한편, 이동국(3)으로부터 기지국(2)에 송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변조부(190) 에서 변조된 후, 송수 공용기(122)를 통하여 안테나(112)로부터 송신된다.
이하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이동국(3)은, 데이터 통신을 시작함에 있어서, Phase Reference에 관한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의 지시를 확인한다(스텝 S101).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지시가 없는 경우는, Phase Reference로서 P-CPICH를 이용한다. 또한,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이용하는 취지의 지시를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수신한 경우는, 그 지시에 의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 설정하고(스텝 S102), 설정한 S-CPICH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조를 행한다(스텝 S103).
그 후, 데이터 수신이 완료될 때까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Phase Reference에 관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4).
다음에, 기지국(2)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2)의 초기 설정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기지국(2)은, 초기 설정시에서는 우선, 셀 내에 송신 가능한 안테나 빔의 수를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하고, 그 수와 동수의 S-CPICH를 회선 제어국(1)에 요구한다(스텝 S105).
그리고, 회선 제어국(1)에서 할당된 S-CPICH가 통지된 후, 통지된 S-CPICH를 안테나 빔마다 할당하여 하행 회선으로 송신을 시작한다(스텝 S106).
상술한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정상 상태로 이동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2)의 정상 상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정상 상태에서는, 기지국(2)은, 이동국(3)으로부터의 회선 접속의 요구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7).
이동국(3)으로부터 회선 접속이 요구된 경우, 우선, 상행 회선의 신호로부터 이동국(3)의 방향을 검출하고(스텝 S108), 이동국(3)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 빔으로 송신되는 S-CPICH를 선택하고, 또한, 그 안테나 빔을 하행 회선의 안테나 빔으로서 설정한다(스텝 S109).
또한, 스텝 S109에서 설정된 S-CPICH의 정보를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한다(스텝 S110).
그 후, 할당한 안테나 빔에 의해 이동국(3)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면서 정기적으로 상행 신호를 사용하여 이동국(3)의 방향을 검출하고,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스텝 S111),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으로 전환하고(스텝 S112), 스텝 S110에서의 처리로 되돌아와, 전환한 안테나 빔에 할당되어 있는 S-CPICH에 관한 정보를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한다.
그리고,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 결과를 감시한다(스텝 S113).
다음에, 회선 제어국(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부(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회선 제어부(1)는, 초기 동작으로서 기지국(2)으로부터 S-CPICH의 할당이 요구되면, 요구된 수와 동수의 S-CPICH를 할당한다(스텝 S114).
그 후,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스텝 S115), 기지국(2)에서 이동국(3)에 할당한 S-CPICH의 정보를 기지국(2)으로부터 수취한 경우(스텝 S116), 기지국(2)으로부터 수취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적용하는 지시를 이동국(3)에 송신한다(스텝 S117). 초기 설정이 종료된 회선 제어국(1)은,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항상 기지국(2)으로부터의 S-CPICH의 설정 또는 변경의 통지를 계속 대기한다.
다음에, 상술한 회선 제어국(1), 기지국(2) 및 이동국(3)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우선,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에 대해 송신 가능한 안테나 빔의 수를 통지하고, 동수의 S-CPICH를 할당하도록 요구를 송신한다.
그러면,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S-CPICH를 할당하고, 할당한 S-CPICH를 기지국(2)에 통지한다.
다음에, 기지국(2)은, 접속 요구가 있는 이동국(3)의 방향에 따라, 이동국(3)이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하여야 할 S-CPICH를 설정하고, 설정한 S-CPICH를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한다.
그러면,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에서 설정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적용하는 지시를 이동국(3)에 송신한다.
이동국(3)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2)에서 설정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적용하고,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
그 후, 기지국(2)은, 정기적으로 이동국(3)에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 빔을 검출하고, 안테나 빔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회선 제어국(1)에 안테나 빔을 변경하는 것을 통지한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 안테나 빔의 변경 통지를 수취하면, 이동국(3)에 대해 Phase Reference를 변경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동국(3)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Phase Reference의 변경의 지시를 받은 경우, 지시를 받은 S-CPICH를 Phase Reference로 하여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기지국(2)이 안테나 빔마다 다른 S-CPICH를 할당하고, 이동국(3)의 방향에 가장 가까운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송신함과 함께 S-CPICH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3)에 통지하기 때문에, 이동국(3)은 데이터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얻은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의 형태)
본 형태에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회선 제어부(1)와, 기지국(2)과, 이동국(3)으로 이루어진다.
기지국(2)은, 동일 셀 내의 이동국(3)에 대해, 제 1의 하행 공통 파일럿 채널(P-CPICH)을 무지향성의 안테나 패턴(4)을 이용하여 일양하게 송신한다. 또한, 셀 내를 분할하는 복수의 안테나 빔(5-1 내지 5-3)을 갖고 있고, 이 안테나 빔(5-1 내지 5-3)마다 다른 제 2의 하행 공통 파일럿 채널(S-CPICH)을, 안테나 빔을 일정 주기로 순번대로 전환하여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안테나 빔(5-1 내지 5-3)중에서 이동국(3)에 대해 안테나 빔을 하나 선택하고, 수신한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선택한 안테나 빔을 사용하여 각각 DL-DPDCH와 DL-DPCCH에 의해 이동국(3)에 송신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2)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안테나, 유저 및 안테나 빔의 수를 각각, 3, 2, 3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본 형태에서의 기지국(2)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것에 대해, S-CPICH 생성부(260)의 구성만이 다른 것이다.
본 형태에서의 S-CPICH 생성부(206)는,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지시된 S-CPICH를 발생시키는 S-CPICH 발생부(261)와, 일정 시간에 안테나 빔을 전환하여 안테나 신호로 변환하는 안테나 빔 전환부(263)로 구성되고, 안테나 빔의 수에 관계없이 하나이다.
또한, 본 형태에서의 이동국(3)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이하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이동국(3)은, 데이터 통신을 시작함에 있어서, Phase Reference에 관한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의 지시를 확인한다(스텝 S201).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지시가 없는 경우는, Phase Reference로서 P-CPICH를 이용한다. 또한,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이용하는 취지의 지시를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수신한 경우는, 그 지시에 의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 설정한다(스텝 S202).
또한, S-CPICH는 시분할로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 타이밍을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수신 타이밍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제어 정보에 의해, 슬롯 번호 또는 프레임 번호와 주기가 통지되기 때문에, 그 정보에 의거하여 S-CPICH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한다(스텝 S203).
그리고, S-CPICH를 Phase Reference로 하여 페이딩에 의한 위상의 보정량을 구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스텝 S204).
그 후, 데이터 수신이 완료될 때까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Phase Reference에 관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05).
다음에, 기지국(2)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 국(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초기 동작으로서,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에 S-CPICH를 하나 요구한다. S-CPICH가 할당된 기지국(2)은 일정 시간마다 안테나 빔을 전환하면서 S-CPICH를 송신한다.
기지국(2)은, 접속하는 이동국(3)의 상행 회선을 수신하는 방향으로부터 하행 회선에 이용하는 안테나 빔을 설정한다(스텝 S206).
안테나 빔이 설정되면, 그 안테나 빔을 사용하여 이미 송신을 시작하고 있는 S-CPICH의 슬롯 번호 또는 프레임 번호를 조사하고, 그것에 의해, S-CPICH의 이동국(3)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고(스텝 S207), 기지국(2)은 이동국(3)에 대해 S-CPICH의 수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슬롯 번호 또는 프레임 번호와 주기)를 회선 제어국(1)을 통하여 통지한다(스텝 S208).
그 후, 설정된 안테나 빔에 의해 통신을 행하면서 정기적으로 상행 신호를 사용하여 이동국(3)의 방향을 검출하고,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스텝 S209), 양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으로 전환하고(스텝 S210), 스텝 S208에서의 처리로 되돌아와, 전환한 빔에 의한 S-CPICH의 수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슬롯 번호 또는 프레임 번호와 주기)를 회선 제어국(1)을 통하여 통지한다.
그리고,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 결과를 감시한다(스텝 S211). 이로써, 이동국(3)에 있어서 최적의 S-CPICH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게 된다.
다음에, 회선 제어국(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부(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회선 제어부(1)는, 초기 동작으로서 기지국(2)으로부터 S-CPICH의 할당이 요구되면, 요구에 응하여 S-CPICH를 할당한다(스텝 S212).
그 후,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스텝 S213), 기지국(2)으로부터 이동국(3)의 S-CPICH의 수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통지된 경우(스텝 S214), 이동국(3)에 대해,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적용하는 지시를 송신함과 함께 수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도 송신한다(스텝 S215).
그리고, 이동국(3)의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이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에, 상술한 회선 제어국(1), 기지국(2) 및 이동국(3)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우선,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에 대해 하나의 S-CPICH를 할당하도록 요구를 낸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 요구를 받은 경우, 기지국(2)에 대해 S-CPICH를 할당하고, 기지국(2)에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2)은, 접속 요구가 있는 이동국(3)이 Phase Reference로서 수 신하여야 할 S-CPICH의 수신 타이밍을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한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 이동국(3)의 S-CPICH의 수신 타이밍을 수취한 경우, 이동국(3)에 대해 Phase Reference에 S-CPICH를 이용하는 지시와 수신 타이밍을 송신한다.
이동국(3)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Phase Reference의 변경의 지시를 받으면, 지시를 받은 S-CPICH를 지정된 수신 타이밍에서 Phase Reference로서 복조를 행한다.
그 후, 기지국(2)은, 정기적으로 이동국(3)에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 빔을 확인하고, 안테나 빔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회선 제어국(1)에 안테나 빔을 변경하는 것과 새로운 수신 타이밍을 통지한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 안테나 빔의 변경 통지를 수취한 경우, 이동국(3)에 대해 Phase Reference의 수신 타이밍을 변경하도록 지시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기지국(2)이 S-CPICH를 송신하는 안테나 빔을 시간적으로 전환하고, 이동국(3)의 방향에 가장 가까운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을 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동일 시각에 S-C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이동국(3)에 통지하기 때문에, 이동국(3)은 데이터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얻은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 3의 실시의 형태)
본 형태에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회선 제어 부(1)와, 기지국(2)과, 이동국(3)으로 이루어진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2)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의 기지국(2)은, 도 2에 도시한 것에 대해 신호 수신부(340-1, 340-2)가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에서는, 유저 방향 검출기(141)에 의해, 이동국(3)의 방향을 신호 생성부(150-1, 150-2)에 통지하고 있지만, 본 형태에서는 통지를 행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신호 수신부(340-1, 340-2)에, Phase Reference 후보 검출부(343)를 추가하고, 유저 데이터 복조부(342)로부터 출력된 개별 제어 정보로부터 이동국(3)이 보고하는 수신 전력이 최대가 되는 S-CPICH를 검출한다. Phase Reference 후보 검출부(343)는, 이동국(3)으로부터 통지되는 S-CPICH가 송신된 방향을 신호 생성부(350-1, 350-2) 내의 안테나 빔 형성부(352)에 통지한다. 신호 생성부(350-1, 350-2)에서는, Phase Reference 후보 검출부(343)의 출력에 의거하여, 안테나 빔을 형성하여 유저 데이터를 안테나 신호로 변환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이동국(3)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형태에서의 이동국(3)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것에 대해, Phase Reference 검출부(370)에서,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통지된 모든 S-CPICH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전력이 최대가 되는 S-CPICH의 정보를 데이터 변조부(390)에 입력하고, 데이터 변조부(390)에서, Phase Reference 검출부(370)로부 터 얻어지는 S-CPICH의 정보를 개별 제어 데이터로서 데이터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기지국(2)에 수신 전력이 최대가 되는 S-CPICH를 보고하는 점만이 다른 것이다.
이하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동국(3)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기지국(2)이 Beam-forming을 행하고 있는 것이 통지되고, 안테나 빔으로 송신되고 있는 S-CPICH의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취득하면(스텝 S301), 취득한 S-CPICH마다 수신 감도(수신 전력)를 비교하고, 가장 큰 전력으로 수신하는 S-CPICH를 구하고(스텝 S302), 그것에 의해,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S-CPICH를 선택한다.
그리고, 측정할 때까지 최대였던 S-CPICH와 측정하여 얻어진 S-CPICH가 다른 경우는(스텝 S303), 그 취지를 기지국(2)에 개별 데이터 회선을 통하여 보고함과 함께, Phase Reference로서 비교 후의 S-CPICH를 설정한다(스텝 S304).
그리고, 설정한 S-CPICH를 이용하여,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스텝 S305). 그 후,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데이터의 복조를 계속하면서 정기적으로 S-CPICH의 감도 비교를 행한다(스텝 S306).
다음에, 기지국(2)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 국(2)의 초기 설정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기지국(2)은, 초기 설정시에는 우선, Beam-forming을 행하고 있는 것을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함과 함께, 안테나 빔 수를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하고, Phase Reference에 이용하는 S-CPICH를 안테나 빔 수만큼 요구한다(스텝 S307).
그리고, 회선 제어국(1)에서 할당된 S-CPICH가 통지된 후, S-CPICH를 할당하여 하행 회선으로 송신을 시작한다(스텝 S308).
상술한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정상 상태로 이동한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2)의 정상 상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기지국(2)은, 우선, 이동국(3)의 상행 회선으로부터 이동국(3)의 방향을 검출하고, 이동국(3)의 방향으로 송신하는 안테나 패턴을 갖는 안테나 빔을 설정하고, 이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이동국(3)에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309).
그리고, 이동국(3)으로부터 보고되는 수신 전력이 최대가 되는 S-CPICH의 정보를 취득한 후(스텝 S310), 보고된 S-CPICH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현재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을 비교하고(스텝 S311), 양자가 일치한 경우는, 빔의 전환은 행하지 않고 통신을 계속한다. 만약,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빔을, 이동국(3)으로부터 보고된 빔으로 전환하여 송신을 행한다(스텝 S312).
그 후,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이동국(3)으로부터 정기적으로 보고되는 S-CPICH의 정보를 이용하여 빔 전환의 판단을 계속해서 행한다(스텝 S313).
다음에, 회선 제어국(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부(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S-CPICH를 할당하고(스텝 S314), 할당한 S-CPICH를 기지국(2)에 통지한다.
그 후, 이동국(3)에 대해, 회선 제어국(1)이 기지국(2)에 대해 할당한 모든 S-CPICH를 통지하고,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적용할 것을 지시한다(스텝 S315).
다음에, 상술한 회선 제어국(1), 기지국(2) 및 이동국(3)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20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우선,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에 S-CPICH를 요구한다.
회선 제어국(1)은, S-CPICH를 할당하면, 할당한 S-CPICH를 기지국(2)에 통지함과 함께, 기지국(2)에 할당한 S-CPICH의 정보를 이동국(3)에 통지한다.
이동국(3)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통지된 S-CPICH에 대해 품질 측정(수신 전력)을 행하고, 측정 결과를 기지국(2)에 보고한다. 측정 결과의 보고는, 통신중에는 일정한 주기로 행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기지국(2)이 안테나 빔마다 다른 S-CPICH를 할당하고, 이동국(3)으로부터의 S-CPICH의 수신 품질에 관한 보고를 이용하여, 데이터 와 S-CPICH를 같은 안테나 빔에 의해 송신하기 때문에, 이동국(3)은 데이터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얻은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안테나 빔의 변경시에 회선 제어국(1)을 통하지 않고 기지국(2)이 이동국(3)으로부터 보고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변경을 행하기 때문에, 회선 제어국(1)을 통하여 안테나 빔을 변경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회선 제어국(1)에 정보를 통지하지 않기 때문에, 회선 제어국(1)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제 4의 실시의 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형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것에 대해, 회선 제어국(1), 기지국(2) 및 이동국(3)으로 구성된 점은 동일하지만, 기지국(2)이 송신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의 송신 방법이 다르다. 본 형태에서는, 기지국(2)은, 이동국(3)마다 다른 안테나 빔(5)을 형성하고, 그 안테나 빔(5)에 의해 S-CPICH를 송신한다. 따라서, S-CPICH를 송신하는 안테나 빔(5)은 이동국(3)과 동일한 수만큼 필요하게 된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기지국(2)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형태에서의 기지국(2)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것에 대해,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가 없고, 신호 생성부(450-1, 450-2)에 S-CPICH 발생부(453)가 마련되어 있는 점과, 유저 방향 검출부(141) 대신에 안테나 합성부(444)가 마련되어 있는 점만이 다른 것이다.
신호 생성부(450-1, 450-2)에서는, S-CPICH 발생부(453)에서 생성한 S-CPICH를 유저 데이터 합성부(451)에 입력한다. 유저 데이터 합성부(451)에서는,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보내져 온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합성하고, S-CPICH를 다중한다. 다중된 신호는 안테나 빔 형성부(452)에 입력되고, 안테나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유저마다 S-CPICH를 다중한 안테나 신호를 가산기(432-1 내지 432-3)에 의해 합성하고, 송수 공용기(421-1 내지 421-3) 및 안테나(411-1 내지 411-3)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2)은, 이동국(3)마다 안테나 빔을 가지며, 적응적으로 안테나 빔을 갱신한다. 안테나 합성부(444)에서 이용한 안테나 빔은 신호 생성부(450-1, 450-2)에 보내지고, 상행 회선에서 이용한 안테나 빔으로부터 하행 회선에서 이용하는 안테나 빔으로 변환하여 안테나 빔 형성부(452)에서 이용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의 이동국(3)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이하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이동국(3)은, 데이터 통신을 시작함에 있어서, Phase Reference에 관 한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의 Phase Reference에 관한 지시를 확인한다(스텝 S401).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지시가 없는 경우는, Phase Reference로서 P-CPICH를 이용한다. 또한, Phase Reference로서 S-CPICH를 이용하는 지시를 회선 제어부(1)로부터 수신한 경우는, 그 지시에 의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 설정하고(스텝 S402), 설정한 S-CPICH를 이용하여,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스텝 S403).
그 후, 데이터 수신이 완료될 때까지 데이터 복조를 행한다(스텝 S404).
다음에, 기지국(2)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기지국(2)은 우선, 회선 제어국(1)에 대해 접속하는 이동국(3)마다 S-CPICH를 요구한다(스텝 S405).
또한, 안테나 빔을, 상행 회선용으로 얻어진 안테나 빔으로부터 하행 회선용으로 변환하고, 이동국(3)마다 안테나 빔을 형성한다(스텝 S406).
그리고, 회선 제어국(1)에 의해 S-CPICH가 할당되면, 이 S-CPICH와 유저 데이터 신호를 다중하여 송신한다(스텝 S407).
그 후, 상술한 스텝 S406, S407에서의 처리를 통신 종료까지 계속해서 행한다(스텝 S408).
다음에, 회선 제어국(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회선 제어국(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이동국(3)마다 다른 S-CPICH를 할당한다(스텝 S409).
그리고, 이동국(3)마다 S-CPICH를 할당하면, 할당한 S-CPICH의 정보를 기지국(2) 및 이동국(3)에 통지하고, Phase Reference에 통지한 S-CPICH를 적용하는 지시를 행한다(스텝 S410).
다음에, 상술한 회선 제어국(1), 기지국(2) 및 이동국(3)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26은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기지국(2)이, 회선 제어국(1)에 S-CPICH의 할당 요구를 송신하면, 회선 제어국(1)은, 이동국(3)마다 S-CPICH를 할당하고, 할당한 S-CPICH의 정보를 기지국(2)에 통지함과 함께, 이동국(3)에 대해, 할당한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적용할 것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기지국(2)이 이동국(3)의 방향에 따른 안테나 빔을 형성하고, 데이터와 S-CPICH를 형성한 안테나 빔에 의해 송신하기 때문에, 이동국(3)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받은 S-CPICH를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 5의 실시의 형태)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2)의 구성에서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를 삭제하고, 기지국(2)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하에,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2)의 구성에서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를 삭제하고, 기지국(2)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이동국(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동국(3)은, 회선 제어국(1)으로부터 기지국(2)이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있다는 통지와,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는 지시를 받은 경우,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한다(스텝 S501).
그리고, 개별 파일럿 채널로부터 통신로의 변동을 추정하고,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복조를 행하고(스텝 S502),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503).
다음에, 기지국(2)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8은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2)의 구성에서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를 삭제하고, 기지국(2)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기지국(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기지국(2)은, 회선 제어국(1)에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있는 것을 통지한다(스텝 S504).
또한, 기지국(2)은, 이동국(3)의 상행 회선으로부터 이동국(3)의 방향을 일정한 주기로 검출하고(스텝 S505), 검출 결과와 현재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에 의한 방향을 비교하고(스텝 S506),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안테나 빔을 갱신한다(스텝 SS507).
검출 결과와 현재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에 의한 방향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또는, 스텝 S507에서 안테나 빔을 갱신한 후, 그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이동국(3)에 송신하고(스텝 S508), 데이터가 없어질 때까지 이동국(3)의 방향의 검출을 행하면서 통신을 행한다(스텝 S509).
다음에, 회선 제어국(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9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한 기지국(2)의 구성에서 S-CPICH 생성부(160-1 내지 160-3)를 삭제하고, 기지국(2)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회선 제어국(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이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 기지국(2)으로부터 통지되면(스텝 S510), 기지국(2)이 Beam-farming을 적용하고 있는 취지와,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는 지시를 이동국(3)에 통지한다(스텝 S511).
다음에, 본 형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기지국(2)이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있는 것을 회선 제어국(1)에 통지하면, 회선 제어국(1)은, 기지국(2)이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있는 것을 이동국(3)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회선 제어국(1)이 이동국(3)에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을 적용하도록 지시를 내기 때문에, 데이터와 같은 통신로 변동을 받은 Phase Reference를 얻을 수 있다.
(제 6의 실시의 형태)
도 21에 도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22에 도시한 기지국(2)의 구성에서 S-CPICH 발생부(453)를 삭제하고, 기지국(2)이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본 형태에서의 이동국(3) 및 회선 제어국(1)의 동작은,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형태에서의 기지국(2)의 동작은, 제 4의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스텝 S407에서, 데이터에 S-CPICH를 다중하지 않고, 기지국(2)으로부터 S-CPICH를 송신하지 않는 점만이 다르고, 그 밖의 동작은 같다.
또한, 제어 신호의 플로우는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본 형태에서는, 회선 제어국(1)이 이동국(3)에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을 적용하도록 지시를 내기 때문에, 데이터와 같은 통신로 변동을 받은 Phase Reference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6개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2) 은 이동국(3)에의 데이터 송신과 같은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Phase Reference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국(3)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한 기지국(2)과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 통신로 변동을 나타내는 최적의 Phase Reference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선 제어국(1) 및 기지국(2) 내의 처리는 상술한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 외에, 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회선 제어국(1) 및 기지국(2)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회선 제어국(1) 및 기지국(2)에 판독시켜서, 실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회선 제어국(1) 및 기지국(2)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DVD, CD 등의 이설(移設) 가능한 기록 매체 외에, 회선 제어국(1) 및 기지국(2)에 내장된 HDD 등을 가리킨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어 블록에서 판독되고, 제어 블록의 제어에 의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에서, 통신 데이터와 동일한 통신로 변동을 받으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인 S-CPICH를 기준위상 정보인 Phase Reference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인 S-CPICH를 기준위상 정보인 Phase Reference로서 송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이동국에서, Phase Reference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9)

  1.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의 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이동국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환하여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있어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고, 해당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수신 타이밍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수신 타이밍에 의거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의 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5.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 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는 스텝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회선 제어국에서 상기 이동국마다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6.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는 스텝과,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 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7.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는 스텝과,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 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이동국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환하여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있어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고, 해당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수신 타이밍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통지된 수신 타이밍에 의거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 널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2. 이동국과,
    해당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이동국마다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3.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 지국과,
    해당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4. 이동국과,
    해당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을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상기 회선 제어국에 보고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은,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개별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5.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의 수를 상기 회선 제어국에 통지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마다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이동국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환하여 선택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있어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고, 해당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수신 타이밍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고,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수신 품질의 가장 좋은 공통 파일럿 채널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경우에, 보고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고,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제어국.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빔의 수가 통지된 경우에,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제어국.
  22.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마다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이동국마다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고,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제어국.
  23.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서,
    상기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고된 경우에,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제어국.
  24.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으로서,
    상기 적응 안테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고된 경우에, 기준위상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채널을 설정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제어국.
  25. 컴퓨터에,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에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는 순서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6. 제 25항에 있어서,
    컴퓨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의 수를 상기 회선 제어국에 통지하는 순서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마다의 공통 파일럿 채널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의 방향에 가장 안테나 이득이 커지는 안테나빔으로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이동국의 방향의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안테나 빔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환하여 선택하는 순서와,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빔과 같은 안테나 빔으로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회선 제어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7. 컴퓨터에,
    이동국마다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에서,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에 요구하는 순서와,
    상기 회선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하는 안테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8. 컴퓨터에,
    복수의 안테나 빔을 갖는 적응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적응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의 무선 회선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준위상 정보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 빔마다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설정하는 순서와,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9. 제 28항에 있어서,
    컴퓨터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빔의 수가 통지된 경우에, 통지된 상기 안테나 빔의 수만큼의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는 순서와,
    해당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77006550A 2004-09-17 2005-07-20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 KR100882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1487 2004-09-17
JPJP-P-2004-00271487 2004-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37A KR20070041637A (ko) 2007-04-18
KR100882058B1 true KR100882058B1 (ko) 2009-02-10

Family

ID=3605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6550A KR100882058B1 (ko) 2004-09-17 2005-07-20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24987A1 (ko)
EP (1) EP1791271A4 (ko)
JP (1) JP4677990B2 (ko)
KR (1) KR100882058B1 (ko)
CN (1) CN101023603B (ko)
WO (1) WO2006030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193A1 (ja) * 2007-12-05 2009-06-11 Fujitsu Limited 送信装置、送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
EP2364571B1 (en) * 2008-10-02 2012-08-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channel in sa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511124A (zh) * 2009-03-09 2009-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均衡方法、基站及通信系统
JP5267319B2 (ja) * 2009-05-18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方法
CN103688474B (zh) * 2013-09-27 2018-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9474013B2 (en) * 2014-06-16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a directional wireless network
CN113965963A (zh) * 2015-06-23 2022-01-2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方法、控制装置以及发送系统
CN110115090A (zh) * 2016-12-22 2019-08-09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054A (ja) 2002-02-21 2003-08-29 Ntt Docomo Inc 送信制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JP2003259454A (ja) 2002-03-05 2003-09-1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構成方法、無線基地局、移動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835B2 (ja) * 1996-12-06 2002-07-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0446612C (zh) * 2001-05-04 2008-12-24 诺基亚公司 借助定向天线的许可控制
CN1161907C (zh) * 2001-07-20 2004-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下行反馈多天线发射方法与装置
CN1155184C (zh) * 2001-09-21 2004-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停顿间隙控制的实现方法
FI20021554A (fi) * 2001-12-28 2003-06-29 Nokia Corp Menetelmä kanavan estimoimiseksi ja radiojärjestelmä
SE0201102D0 (sv) * 2002-04-10 2002-04-1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U2002324261A1 (en) * 2002-08-14 2004-03-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20050070285A1 (en) * 2003-09-29 2005-03-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for use with adaptive antenn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054A (ja) 2002-02-21 2003-08-29 Ntt Docomo Inc 送信制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JP2003259454A (ja) 2002-03-05 2003-09-1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構成方法、無線基地局、移動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1271A4 (en) 2012-04-11
WO2006030582A1 (ja) 2006-03-23
EP1791271A1 (en) 2007-05-30
JPWO2006030582A1 (ja) 2008-05-08
US20070224987A1 (en) 2007-09-27
KR20070041637A (ko) 2007-04-18
JP4677990B2 (ja) 2011-04-27
CN101023603B (zh) 2011-02-02
CN101023603A (zh)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058B1 (ko) 통신 제어 방법,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회선 제어국
EP2787657B1 (en) Signaling support for antenna selection using subset lists and subset masks
JP4516358B2 (ja)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6148127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10120881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수신 방법
EP1432144B1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directional beam communication
EP236457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channel in sa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3514431A (ja) アンテナのアレイを使用したcdmaシステム内でのダウンリンク信号処理
JP2008517269A (ja) キャリア多様性を用いた装置および方法を使用する無線端末位置決め
JP2009530900A (ja) 適応アンテナ向けのハンドオーバの改善
WO2010009999A1 (en) A method for coordination of the interference in downlink or uplink between cells of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base station, a terminal and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
EP1562306A1 (en) Fast beam selection with macrodiversity
KR20200016849A (ko)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7548527B2 (en) Securing a connection in a radio system
JP200223234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スマートアンテナを有する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基地局装置と無線で通信する無線端末
JP200412916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制御局、基地局及び移動局
WO2008006930A1 (en) Method, radio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KR101739124B1 (ko) 기지국의 무선환경 측정 장치 및 그의 측정 방법
CN107113646B (zh) 信道空间特征信息获取方法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