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898B1 -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898B1
KR101053898B1 KR1020090013349A KR20090013349A KR101053898B1 KR 101053898 B1 KR101053898 B1 KR 101053898B1 KR 1020090013349 A KR1020090013349 A KR 1020090013349A KR 20090013349 A KR20090013349 A KR 20090013349A KR 101053898 B1 KR101053898 B1 KR 10105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dividual information
antenna transmission
cmhp
tech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096A (ko
Inventor
정세영
채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1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8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을 하고,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을 증대시키고, 상기 빔 형성을 한 개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공통 정보는 빔 형성을 하지 않고 전송하는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CMHP 기법의 빔 형성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시스템 복잡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종래 CMHP 기법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멀티 안테나, 다중 안테나, CMHP, 빔 형성, 빔 포밍, 복잡도

Description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method with low system complexit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private information)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common information)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superposition coding, SPC)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에 있어서, 개별 정보만 빔 형성(beam forming, BF)을 하고 공통 정보는 빔 형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복잡도를 낮춘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것이다[빔 분할 다중 접속과 그룹 협력 중계 기반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 연구, 2008-F-004-01].
최근 무선 통신 분야에서 멀티 안테나 관련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멀티 안테나 기술은 송수신기에 2개 이상의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대용량, 고 속으로 안정된 통신을 이루려는 기술을 말한다.
멀티 안테나 관련 기술은 빔 형성(beam forming), 다이버시티(diversity), 다중화(multiplexing) 기술 등으로 분류된다. 빔 형성은 안테나에서 전파가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만 방사되도록 방향성을 갖는 전파 빔을 만드는 기술이다. 빔 형성 기술은 공간 신호처리를 통하여 다중 채널(channel)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을 최대화하여 어레이 이득(array gain)을 높이고 주변 신호의 간섭(interference)을 줄이며 공간 분할 다중화를 가능하게 한다. 다이버시티 기술은 단일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동시에 다중 채널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는다. 또한, 다중화 기술은 여러 데이터 스트림을 서로 다른 채널들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공간 다중화 이득(spatial multiplexing gain)을 얻는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멀티 안테나는 무선 통신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첩 코딩(superposition coding, SPC) 기법은 이러한 멀티 안테나 기술의 하나이다. 중첩 코딩 기법이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private information)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common information)를 구별하고 이를 함께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CMHP(Cover-van der Meulen-Hajek-Pursey) 기법은 중첩 코딩 기법의 하나이다.
CMHP 기법은 이러한 공통 정보를 모든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는 전송률(rate)로 전송함으로써, 송신단에 전력(power)과 빔 형성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도를 증가시켜 종래 기술보다 높은 전송률을 구현하였다.
도 1은 2-사용자 CMHP 모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것으로 2-사용자 CMHP 모델에서의 변조, 전송, 복조 등 각종 신호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수학식 1은 CMHP 모델에서의 전송률을 설명하는 수식으로,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은 신호 대 간섭 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09997827-pat00001
정보 이론적으로 멀티 안테나 기술인 CMHP, TDMA, MMSE 기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채널 오차의 존재 여부에 관계 없이 이론상 CMHP 기법의 최대 전송률이 TDMA, MMSE 기법보다 크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CMHP 모델에서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전송률을 최대로 하기 위한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은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09997827-pat00002
송신단 채널 정보가 정확할 경우인 완전(perfect) CSIT(Channel State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에서는 SINR 밸런싱(balancing) 기법을 사용한다. 이는 목적 함수를 직접적으로 풀기 어려우므로 SINR 제한(constraint)을 추가하여 목적 함수의 해를 구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반복적 알고리즘(iterative algorithm)이 존재한다. 또한 모든 SINR 제한에 대하여 최적 전력(power)과 빔 형성 벡터(beam forming vector)를 찾게 된다. 그러나, 완전 CSIT는 각 사용자를 모두 고려하여 목적 함수를 풀어야 하므로, 사용자 수가 증가하거나,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모델로 확장할 때 복잡도가 크게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송신단 채널 정보가 부정확할 경우인 불완전(imperfect) CSIT에서는 그리드 탐색(grid search) 기법을 사용한다. 그리드 탐색의 경우, 전력분배 및 빔 형성 벡터의 모든 조합을 다 비교해 보아야 하므로, 이 기법 역시 최적 빔 형성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복잡도가 지나치게 올라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CMHP 기법은 정보 이론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복잡도 문제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인 시스템에는 널리 활용되지 못하여 왔다. 이에 CMHP 기법이 적용되면서도 이러한 문제점이 없는 멀티 안테나 전송 기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해 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증가하더라도 CMHP 시스템의 복잡도가 어느 정도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잡도를 줄이면서도 다른 멀티 안테나 기법에 비하여 우수한 CMHP 기법의 정보 이론적 전송률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을 하고,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을 증대시키고, 상기 빔 형성을 한 개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공통 정보는 빔 형성을 하지 않고 전송하는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 수준은 -20dB 이상인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첩 코딩 기법은 CMHP(Cover-van der Meulen-Hajek-Pursey) 기법인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을 하는 개별 정보 빔 형성기, 및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을 증대시키는 사이드-로브 수준 증대기를 포함하는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은 -20dB 이상인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첩 코딩 기법은 CMHP(Cover-van der Meulen-Hajek-Pursey) 기법인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CMHP 기법의 빔 형성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시스템 복잡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 복잡도를 낮춤으로써 종래 CMHP 기법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a는 개별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공통 정보 개념이 도입된 CMHP 기법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W1(211)은 사용자 1의 정보를, W2(212)는 사용자 2의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최대 전송률이 8000비트(bit)인 사용자 1의 정보 W1(211)은 최대 전송률이 7000비트인 사용자 2의 정보 W2(212)의 신호로부터 간섭을 받는다. 반대로 최대 전송률이 7000비트인 사용자 2의 정보 W2(212)는 최대 전송률이 8000비트인 사용자 1의 정보 W1(211)의 신호로부터 간섭을 받게 된다.
도 2b는 CMHP 기법을 적용하여 공통 정보를 분리하여 개별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8000비트인 사용자 1의 정보를 7000비트의 개별 정보 W1(221)과 1000비트의 공통 정보 W0(220)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공통 정보의 분리를 통해 사용자 1의 정보와 사용자 2의 정보 간의 간섭 현상에 변화가 일어난다. 공통 정보 W0(220)는 사용자 1의 정보에 속해 있으나, 이는 사용자 2의 입장에서도 복호화(decoding) 가능한 정보이다. 사용자 2의 수신단에 사용자 1의 정보 중 공통 정보 W0(220)가 수신되는 것은 물리적으로는 간섭이지만, 신호의 내용 측면에서는 더 이상 간섭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CMHP 기법을 적용하지 않은 종래의 경우와 달리, 실질적으로 사용자 2는 8000비트가 아닌 사용자 1의 개별 정보 W1(221)의 7000비트로부터만 간섭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 2의 최대 전송률이 종래의 경우보다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2의 개별 정보 W2(222)는 최대 전송률이 7500비트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CMHP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송신단에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고 수신단에 단일 안테나를 사용한 MISO(Multi Input Single Output) 채널 모델의 경우이다. 여기서 송신단은 멀티 안테나(342, 344, 346)를 가지고 있는 기지국에 해당되고, 수신단은 단일 안테나(352, 354)를 가지고 있는 릴레이(relay) 혹은 단말기(terminal)에 해당된다.
제 0 인코더(302), 제 0 증폭기(304), 제 0 빔 형성기(306)는 공통 정보 W0을 처리하고, 제 1 인코더(312), 제 1 증폭기(314), 제 1 빔 형성기(316)는 개별 정보 W1을, 제 2 인코더(322), 제 2 증폭기(324), 제 2 빔 형성기(326)는 개별 정보 W1를 각각 처리한다. 인코더(302, 312, 322)는 입력 정보(W0, W1, W2)를 부호화하고, 증폭기(304, 314, 324)는 부호화된 입력 정보를 빔 형성을 통한 전송을 위하여 적절하게 증폭 또는 감쇄시킨다. 빔 형성기(306, 316, 326)는 증폭 또는 감쇄된 입력 정보의 전파가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만 방사되도록 방향성을 갖는 전파 빔을 형성하며, 사이드-로브 레벨을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신호 합산기(330)는 빔 형성이 끝난 신호를 합산하여 각 송신단의 멀티 안테나(342, 344, 346)에 보낸다. 개별 정보 W1의 전파는 부호화된 W1을 복호화할 수 있는 제 1 디코더(364)를 가지는 사용자 1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고 방사되며, 개별 정보 W2의 전파는 부호화된 W2을 복호화할 수 있는 제 2 디코더(374)를 가지는 사용자 2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고 방사된다.
수신단은 각각 단일 안테나(352, 354)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1 측 수신단은 공통 정보를 복호화하는 제 0 디코더(362)와 개별 정보 W1을 복호화하는 제 1 디코더(364)를 포함하며, 사용자 2 측 수신단은 공통 정보를 복호화하는 제 0 디코더(372)와 개별 정보 W2를 복호화하는 제 2 디코더(374)를 포함한다. 제 0 디코더(362, 372)는 각 단일 안테나(352, 354)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공통 정보 W0 을 복원하므로, 사용자 1 및 사용자 2 모두의 수신단에 필요하다. 사용자 1의 수신단에는 개별 정보 W1을 복원하기 위하여 제 1 디코더(364)가 구비되며, 사용자 2의 수신단에는 개별 정보 W2를 복원하기 위하여 제 2 디코더(374)가 구비된다.
이러한 멀티 안테나 시스템의 구조를 개량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는,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을 하는 개별 정보 빔 형성기, 및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을 증대시키는 사이드-로브 수준 증대기를 포함한다. 이 때 공통 정보에 대한 빔 형성기는 포함되지 않거나,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복잡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빔 형성기(316), 제 2 빔 형성기(326)는 개별 정보 빔 형성기로 구현될 수 있고, 제 0 빔 형성기(306)는 제거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복잡도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빔 형성기(316) 및 제 2 빔 형성기(326)는 사이드-로브 수준 증대기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종래의 CMHP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에 비하여 낮은 복잡도로 더 많은 사용자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송신단(transmitter)인 기지국은 멀티 안테나, 수신단(receiver)인 단말은 단일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먼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에 대하여 빔 형성을 한다(S410). 종래의 CMHP 기법은 공통 정보와 개별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빔 형성을 하고자 했기 때문에, 복잡도가 높은 시스템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본 발 명은 공통 정보를 제외하고 개별 정보만을 고려하여 빔 형성을 함으로써, 멀티 안테나 시스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은 충분히 높아야 한다 (S420). 사이드-로브 수준이 낮으면, 각 사용자의 개별 정보 간의 간섭이 많이 일어난다. 공통 정보의 도입으로 인하여, 예컨대 제 1 사용자의 정보에 속하는 공통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수신단으로 수신되는 간섭은 별 문제가 없어졌다. 하지만, 서로 다른 사용자의 개별 정보 간의 간섭은 여전히 문제가 되기 때문에, 사이드-로브 수준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이드-로브 수준을 -20dB 이상으로 설정하여 개별 정보 간 간섭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빔 형성을 한 개별 정보를 전송한다(S430). 빔 형성에는 오직 개별 정보만이 반영되므로, 빔 형성의 최적화를 위하여 요구되는 시스템의 복잡도가 종래의 CMHP 시스템에 비하여 감소한다. 빔 형성된 개별 정보는 각 사용자의 수신단으로 방향성을 갖고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공통 정보는 빔 형성을 하지 않고 전송한다(S440). 공통 정보는 모든 사용자가 복호화 가능한 정보이므로, 사용자의 수신단으로의 방향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낮다. 빔 형성을 거치지 않은 공통 정보는 등방적(isotropic)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공통 정보에 대해서는 빔 형성을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시스템의 복잡도가 낮아질 수 있다.
여기서 빔 형성된 개별 정보와 빔 형성되지 않은 공통 정보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CMHP 기법 자체가 중첩 코딩 기법에 속하므로 이는 당연 하다. 각 수신단은 개별 정보와 공통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CMHP 기법의 각 복호화기(decoder)를 사용하여 복호화한다.
도 5는 빔 형성을 거친 개별 정보의 전송을 도시한 것이다. 점선은 전송되는 전파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빔 형성을 통하여 송신단의 멀티 안테나(342, 344, 346)가 수신단의 각 단일 안테나(352, 354)에 따라 각각 방향성을 갖고 개별 정보를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빔 형성을 거치지 않은 공통 정보의 전송을 도시한 것이다. 점선이 원형인 것은 등방적으로 전파가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빔 형성이 없으므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공통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사이드-로브 수준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가로 축은 각도(angle)(degree), 세로 축은 이득(gain)(dB)을 나타낸다. 델타(δ) 값이 클수록 개별 정보 간 간섭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사이드-로브 수준에 따라 전송률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CMHP 기법의 성능 분석 결과로, 사이드-로브 수준에 따른 전송률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가로 축은 신호 대 잡음 비(SNR), 세로 축은 총 전송률(sum rate)을 나타낸다. 도 8a는 델타(δ) 값이 -5dB인 경우, 도 8b는 델타(δ) 값이 -15dB인 경우, 도 8c는 델타(δ) 값이 -25dB인 경우의 전송률 변화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8c의 세로 축의 단위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각 그래프에서의 점선 부분은 CMHP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개별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델타(δ) 값이 각각 -5dB, -15dB, -25dB인 경우, SNR이 25dB일 때 총 전송률은 각각 7.5dB, 12.5dB, 17dB 정도이고, SNR이 50dB일 때 총 전송률은 각각 16dB, 21dB, 28dB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즉 사이드-로브 수준을 나타내는 델타(δ) 값의 절대값이 클수록 총 전송률이 증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MHP 기법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private information)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common information)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 기법을 적용한 다른 형태의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모듈,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대신 기타 LCD 등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그림, 영상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도 1은 2-사용자 CMHP 모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개별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CMHP 기법을 적용하여 공통 정보를 분리하여 개별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CMHP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빔 형성을 거친 개별 정보의 전송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빔 형성을 거치지 않은 공통 정보의 전송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사이드-로브 수준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CMHP 기법의 성능 분석 결과로, 사이드-로브 수준에 따른 전송률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6)

  1.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을 하고,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을 증대시키고,
    상기 빔 형성을 한 개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공통 정보는 빔 형성을 하지 않고 전송하는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 수준은 -20dB 이상인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코딩 기법은 CMHP(Cover-van der Meulen-Hajek-Pursey) 기법인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4. 특정 수신자만이 복호화 가능한 개별 정보 및 모든 수신자가 복호화 가능한 공통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중첩 코딩 기법을 적용한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빔 형성을 하는 개별 정보 빔 형성기, 및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을 증대시키는 사이드-로브 수준 증대기
    를 포함하는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의 사이드-로브(side-lobe) 수준은 -20dB 이상인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코딩 기법은 CMHP(Cover-van der Meulen-Hajek-Pursey) 기법인
    멀티 안테나 전송 장치.
KR1020090013349A 2009-02-18 2009-02-18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5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49A KR101053898B1 (ko) 2009-02-18 2009-02-18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49A KR101053898B1 (ko) 2009-02-18 2009-02-18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96A KR20100094096A (ko) 2010-08-26
KR101053898B1 true KR101053898B1 (ko) 2011-08-04

Family

ID=4275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349A KR101053898B1 (ko) 2009-02-18 2009-02-18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8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664A (ko) * 1996-12-06 1998-10-07 가나이 츠토무 무선통신시스템
KR20030069891A (ko) * 2002-02-21 2003-08-2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KR20040069465A (ko) * 2003-01-29 2004-08-06 텔레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스마트 무선 통신시스템을 위한 매체 접속 제어 방법
KR20080053008A (ko) * 2006-12-08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전송, 멀티 캐스트 전송 및 유니캐스트전송을 지원하는 전송 방법 및 전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664A (ko) * 1996-12-06 1998-10-07 가나이 츠토무 무선통신시스템
KR20030069891A (ko) * 2002-02-21 2003-08-2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송신 제어장치 및 송신 제어방법
KR20040069465A (ko) * 2003-01-29 2004-08-06 텔레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스마트 무선 통신시스템을 위한 매체 접속 제어 방법
KR20080053008A (ko) * 2006-12-08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전송, 멀티 캐스트 전송 및 유니캐스트전송을 지원하는 전송 방법 및 전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96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7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US9923616B2 (en) Feedback based on codebook subset
US812101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03208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IMO system with repeaters
JP43691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220787A (zh) 蜂窝无线通信系统中用于干扰抑制组合和下行链路波束成形的方法和设备
US20100119004A1 (en) Mim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versity mode selection
KR20010032182A (ko) 기지국 장치 및 송신 방법
CN101997588A (zh) 一种多天线系统中信号发送的方法及装置
US94672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operation among base stations
US2007018341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3940013A (zh) 用于大规模mimo通信的方法、基站、系统和计算机程序
KR101919618B1 (ko) 차량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및 그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053898B1 (ko)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멀티 안테나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6287669A (ja) 無線通信装置
CN104380719A (zh) Mimo信号发送和接收设备以及包括至少一个这种设备的系统
US84067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using sector common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8686B2 (en) Method for selecting source transmit antenna in cooperative MIMO communication system
KR101034011B1 (ko) 간섭 채널 상에서 빔 형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205996B1 (ko) 양방향 릴레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JP3669304B2 (ja) 指向性制御アンテナ装置
Fedosov et al.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Spatial Correl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MIMO System When Using the Adaptation Algorithm
Liu et al. An efficient selective receiver for STBC scheme
KR101269683B1 (ko) 신호 검출 방법 및 수신 장치
KR20160091667A (ko) 빔 선택 기반 빔 공간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