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029A - 전동 송풍기 - Google Patents

전동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029A
KR20030069029A KR1020020051055A KR20020051055A KR20030069029A KR 20030069029 A KR20030069029 A KR 20030069029A KR 1020020051055 A KR1020020051055 A KR 1020020051055A KR 20020051055 A KR20020051055 A KR 20020051055A KR 20030069029 A KR20030069029 A KR 20030069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hroud
shroud
annular member
blow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687B1 (ko
Inventor
하야츠마모루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되고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송풍기부의 순환류를 방지하여 송풍 효율이 높은 전동 송풍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흡입구(81a)가 형성된 전면 슈라우드(shroud;81)와, 전면 슈라우드(81)와 이간되어 대향하도록 마련된 후면 슈라우드(82)와, 전면 슈라우드(81)와 후면 슈라우드(82) 사이에 평면 방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슈라우드 사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블레이드(83)를 갖는 송풍 팬(8)과, 송풍 팬(8)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를 모터부로 유도하는 안내날개(9)와, 송풍 팬(8)과 안내날개(9)를 덮고,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와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10a)가 마련되고, 흡입구(10a)에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가 활주접촉되는 밀폐부재(11)가 마련된 팬 커버(10)가 구비되고,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 부근에는 고리형상 부재(12)가 마련됨과 함께 고리형상 부재(12)는 전면 슈라우드(81)와 함께 코킹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동 송풍기{ELECTRIC VENTILATO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 등에 사용되는 전동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도 6은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885042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전동 송풍기의 단측면도, 도 7은 그 주요부 확대도이다. 전동 송풍기는 전동기부(20) 및 송풍기부(30)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기부(20)는 정류자형 전동기로서, 일단측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하우징(21)과 엔드 브래킷(2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 고정자(23) 및 회전자(24)가 수납된다. 고정자(23)는 계자 코일(23a)을 감은 고정자 철심(23b)을 하우징(21)에 고정한 구성이며, 회전자(24)는 회전축(24a)에 끼워 부착된 전기자 코일(24b)을 감은 전기자 철심(24c) 및 전기자 코일(24b)과 접속되는 정류자(24d)를 축받이(25, 26)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 구성이다. 또한 하우징(21)의 외주 벽부에 나사로 조여 고정된 브러시 지지기(27)에 수납된 카본 브러시(28)는 스프링 등으로 가세되어 정류자(24d)의 외주면에 맞닿아 급전한다. 송풍기부(30)는, 엔드 브래킷(22)상에 나사로 조여진 고정 안내날개(31)와, 엔드 브래킷(22) 및 고정 안내날개(31)를 관통하여 늘어나는 회전축(24a)에 나사(32)에 의해서 고정된 송풍 팬(33)과, 엔드 브래킷(22)의 외주에 압입 고정되어 고정 안내날개(31) 및 송풍 팬(33)을 덮도록 부착된 팬 케이싱(34)을 구비한다.
송풍 팬(33)이 회전하면, 원심날개(33d)는 전면 슈라우드(33a)의 흡입구(33b)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가속하여 그 외주로부터 토출한다. 이 토출 공기는 송풍 팬(33)의 유로 후단측에 위치하는 고정 안내날개(31)에 회수되어 전동기부(20)측으로 안내되고, 엔드 브래킷(22)에 형성된 통풍창(22a)으로부터 전동기부(20) 내로 이끌어지고, 전동기부(20) 내를 관통하여 냉각한 후 하우징(21)의 외주벽에 형성된 배기구멍(21a)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토출 공기의 일부는 전면 슈라우드(33a)와 팬 케이싱(34) 사이로 유입되어 그 부분의 압력을 높인다. 밀폐부재(35)는, 토출 공기가 흡입구(33b)로 환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가 조립되었을 때, 밀폐부재(35)는 송풍 팬(33)의 전면 슈라우드(33a)를 가압하도록 접촉되어 탄성변형 상태로 되고, 전동 송풍기의 최초의 운전에 의한 송풍 팬(33)의 회전으로 전면 슈라우드(33a)의 흡입구 단연부(端緣部)(33c)의 단에서 깎여짐으로서, 해당 밀폐부재(35)와 전면 슈라우드(33a)의 흡입구 단연부(33c)가 가벼운 활주접촉 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는, 밀폐부재(35)가 전동 송풍기의 최초의 운전에 의한 송풍 팬(33)의 회전으로 전면 슈라우드(33a)의 흡입구 단연부(33c)의 단에서 깎여질 때, 드로잉 가공된 전면 슈라우드(33a)의 흡입구 단연부(33c)의 높이에 편차가 있으면, 가장 높은 부분에서 깎여지기 때문에, 낮은 부분에서는 밀폐성이 헐겁게 되어 송풍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드로잉 가공된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의 흡입구 단연부 높이의 편차를 억제하여, 밀폐부재가 흡입구 단연부에서 깎여진 후에도 밀폐성이 확보되어 높은 송풍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전동 송풍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슈라우드와,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이간되어 대향하도록 마련된 후면 슈라우드와,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후면 슈라우드 사이에 평면 방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슈라우드 사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를 모터부로 유도하는 안내날개와, 상기 송풍 팬과 상기 안내날개를 덮고,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흡입구에 상기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 단부가 활주접촉되는 밀폐부재가 마련된 팬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부 부근에는 고리형상 부재가 마련됨과 함께, 해당 고리형상 부재는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와 함께 코킹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를 함께 코킹할 때,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의 재료의 롤 방향을 서로 직교시켜 조립한 것이다.
또한 고리형상 부재의 개구 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벽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벽부의 상단부를 상기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 단부의 높이와 개략 같아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밀폐부재에 접촉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한 전동 송풍기의 반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동 송풍기 송풍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재료의 롤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시한 전동 송풍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전동 송풍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프레임 1a : 통풍구
1b : 축받이 하우징 2 : 고정자
3 : 회전자 4 : 정류자
5 : 브래킷 5a : 축받이 하우징
6 : 축 7 : 축받이
8 : 송풍 팬 81 : 전면 슈라우드
81a : 흡입구 82 : 후면 슈라우드
83 : 블레이드 9 : 안내날개
10 : 팬 커버 10a : 흡입구
11 : 밀폐재 12 : 고리형상 부재
12a : 원통벽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한 전동 송풍기의 반단면도, 도 2는 송풍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동 송풍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의 재료의 롤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전동 송풍기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는, 종래의 구성과 거의 같은데, 주요부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측면에 통풍구(1a)를 갖는 동시에 중앙부에 축받이 하우징(1b)을 가지며 내부에 고정자(2)와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자(3)와 정류자(4) 등의 모터부를 내포한 모터 프레임, 부호 5는 모터 프레임(1)의 개구부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축받이 하우징(5a)을 갖는 브래킷, 부호 6은 회전자(3)의 축, 부호 7은 축(6)의 양 단에 마련되는 축받이 하우징(1b, 5a) 내에 수납되는 축받이이다. 부호 8은 회전자(3)의 축(6)에 고정되어 회전자(3)와 함께 회전하며 전면 슈라우드(81), 후면 슈라우드(82) 및 블레이드(83)로 구성된 송풍 팬, 부호 9는 송풍 팬(8)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를 모터부로 유도하는 안내날개, 부호 10은 중앙부에 개구부인 흡입부(10a)가 마련되고, 송풍 팬(8) 및 안내날개(9)를 덮는 동시에 브래킷(4)의 외주연부에 압입 고정된 팬 커버로서, 흡입구(10a)의 단연부에는 밀폐부재(11)가 부착되어 있다.
부호 12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요건인 고리형상 부재를 나타내고, 고리형상 부재(12)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팬(8)의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 부재(12)는 재료의 롤 방향이 전면 슈라우드(81)의 재료의 롤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블레이드(83)의 고리(83a)에 의해 함께 코킹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롤 방향이란, 알루미늄, 철 등의 코일재의 압연 방향으로서 재료의 방향성을 나타낸 것이다. 코일재를 드로잉 가공할 때, 롤의 압연방향과 그 직각방향에서는 잔류 스트레인(strain)량이 다르기 때문에 성형 후 휘어짐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리형상 부재(12)의 재료의 롤 방향이 전면 슈라우드(81)의 재료의 롤 방향과 직교되도록, 고리형상 부재(12)를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 부근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전면 슈라우드(81)의 휘어짐을 교정하여 흡입구(81a)의 높이의 편차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전면 슈라우드(81)와 고리형상 부재(12)는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고 다른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모터부가 구동되면 회전자(3)의 축(6)에 부착된 송풍 팬(8)이 회전한다. 그리고 송풍 팬(8)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도면중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팬(8)의 내부를 통하여 안내날개(9)로 정류되어 압력을 회복하면서, 팬 커버(10)와 브래킷(4)의 외주부 내벽으로 전향하여 모터부를 냉각한 후 모터 프레임(1)의 측면에 뚫린 통풍구(1a)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일부의 공기는 전면슈라우드(81)와 팬 커버(10) 사이로 유입되어 그 부분의 압력을 높인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송풍 팬(8)의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 부근에, 고리형상 부재(12)가 전면 슈라우드(81) 재료의 롤 방향과 직교되도록 함께 코킹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는 고리형상 부재(12)에 의해 형상이 교정되어 높이가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팬 커버(10)의 흡입구(10a)에 마련된 밀폐부재(11)가, 전동 송풍기의 최초 운전에 의해 송풍 팬(8)의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의 단에서 균일하게 깎여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고 순환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 효율이 높은 전동 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시한 전동 송풍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는 고리형상 부재의 형상이 약간 다를뿐이며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2a는 고리형상 부재(12)의 개구측에 마련된 원통벽으로서, 그 단부(12b)의 높이가 송풍 팬(8)의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의 높이와 개략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고리형상 부재(12)에 마련된 원통벽(12a)의 단부(12b)와 송풍 팬(8)의 전면 슈라우드(81)의 흡입구(81a)로 래비린스(labyrinth) 효과가 얻어져,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고 순환류를 방지할 수 있어서 송풍 효율이 높은 전동 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동 송풍기에 있어서는,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부 부근에 고리형상 부재가 마련됨과 함께, 고리형상 부재를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와 함께 코킹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부는, 고리형상 부재에 의해 형상이 교정되어 높이가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팬 커버의 흡입구에 마련된 밀폐부재가, 전동 송풍기의 최초의 운전에 의해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 단부에서 균일하게 깎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고 순환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 효율이 높은 전동 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를 함께 코킹할 때,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의 재료의 롤 방향을 서로 직교시켜 조립하였기 때문에, 전면 슈라우드의 휘어짐을 교정하여 개구부의 높이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 부재의 개구 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벽부가 마련됨과 함께, 벽부의 상단부를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 단부의 높이와 개략 같아지도록 형성하고, 밀폐부재에 접촉시켰기 때문에, 고리형상 부재에 마련된 벽부와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부와로 래비린스 효과가 얻어져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류를 방지할 수 있고 송풍 효율이 높은 전동 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슈라우드(shroud)와,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이간되어 대향하도록 마련된 후면 슈라우드와,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후면 슈라우드 사이에 평면 방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슈라우드 사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를 모터부로 유도하는 안내날개와, 상기 송풍 팬과 상기 안내날개를 덮고,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흡입구에 상기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 단부가 활주접촉되는 밀폐부재가 마련된 팬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부 부근에는 고리형상 부재가 마련됨과 함께, 해당 고리형상 부재는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와 함께 코킹(caulking)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송풍 팬의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를 함께 코킹할 때,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고리형상 부재의 재료의 롤 방향을 서로 직교시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고리형상 부재의 개구 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벽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벽부의 상단부를 상기 전면 슈라우드의 개구 단부의 높이와 개략 같아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밀폐부재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송풍기.
KR10-2002-0051055A 2002-02-19 2002-08-28 전동 송풍기 KR100473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41909A JP2003239896A (ja) 2002-02-19 2002-02-19 電動送風機
JPJP-P-2002-00041909 2002-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029A true KR20030069029A (ko) 2003-08-25
KR100473687B1 KR100473687B1 (ko) 2005-03-08

Family

ID=2778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055A KR100473687B1 (ko) 2002-02-19 2002-08-28 전동 송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239896A (ko)
KR (1) KR100473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896A (ja) * 2002-02-19 2003-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送風機
JP2008193881A (ja) * 2007-02-08 200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200A (en) * 1976-02-09 1982-03-30 Stiegelmeier Owen E Heavy duty impeller
JPS6060300A (ja) * 1983-09-12 1985-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掃除機用電動送風機のインペラ
JP2966736B2 (ja) * 1994-08-26 1999-10-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動送風機
JP3704016B2 (ja) * 2000-03-24 2005-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
JP2003239896A (ja) * 2002-02-19 2003-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送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687B1 (ko) 2005-03-08
JP2003239896A (ja)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0157B1 (en) Centrifugal fan
US7223070B2 (en) Blower motor
KR100365478B1 (ko) 전동송풍기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청소기
KR101256428B1 (ko) 냉각 팬
US20060222491A1 (en) Centrifugal fan
KR100378034B1 (ko) 전동송풍기
JP2006219990A (ja) 電動送風機
KR100473687B1 (ko) 전동 송풍기
JP2003269391A (ja) ブロワー電動機
CN109904971B (zh) 马达以及具有该马达的送风装置
KR100496552B1 (ko) 전동 송풍기
KR20060007637A (ko) 진공청소기용 팬-모터의 가이드 베인 구조
JP3948509B2 (ja) 電動送風機
CN112524090B (zh) 送风装置和机电设备
CN219875245U (zh) 电机组件、风机组件及吸力装置
JP7375698B2 (ja) 遠心圧縮機
JPH07208390A (ja) 電動送風機
CN111727324B (zh) 送风机
JPH11201093A (ja) 電動送風機
JP2020180589A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JP6589000B2 (ja) 遠心式ファン
JPH06323297A (ja) 電動送風機
CN117605696A (zh) 轴流风扇
KR200167172Y1 (ko) 전동기의 냉각구조
JPH06108995A (ja) 電動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